리다자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다자오는 1889년 허베이성 탕산에서 태어난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다. 그는 와세다 대학에서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고 귀국 후 신문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및 도서관 주임을 역임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선전했다. 1920년 중국 공산당 창당에 기여하고, 제1차 국공합작에 참여했으나, 1927년 장쭤린에 의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는 중국 신문화 운동과 공산주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마오쩌둥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사서 - 유흠
유흠은 전한 말기부터 신나라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왕망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여러 업적을 남겼으나, 왕망을 전복하려다 실패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고 고문경 위작 의혹에도 휩싸였다. - 중국의 사서 - 유향 (전한)
유향은 전한 선제를 섬기며 문장가로 발탁되었고 황실 도서관 정리 작업에 참여하여 《신서》, 《설원》, 《열녀전》 등을 편집했으며, 《산해경》의 최초 편집자로 알려져 있다. - 탕산시 출신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탕산시 출신 - 장패륜
청나라 말기 관료 장패륜은 강경한 정치적 견해로 '탄핵대신'이라 불렸지만, 청불 전쟁 패전의 책임을 지고 면직된 후 이홍장의 도움으로 재기했으나 그의 사망 후 복귀하지 못했으며, 그의 손녀는 작가 장아이링이다.
리다자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다자오 |
원어 이름 | 李大釗 |
로마자 표기 | Li Dazhao |
출생일 | 1889년 10월 29일 |
출생지 | 청나라직례성낙정현 |
사망일 | 1927년 4월 28일 |
사망지 | 중화민국베이징 |
사망 원인 | 교수형 |
국적 | 중국 |
학력 | |
대학교 | 와세다대학교 |
대학원 | 북양법정학교 |
정치 활동 | |
소속 정당 | 중국사회당 (1912년–1913년) 중국공산당 (1921년–1927년) 중국국민당 (1922년–1927년) |
별칭 | 수창(壽昌) 수창(守常) |
기타 정보 | |
한자 (간체) | 李大钊 |
한자 (번체) | 李大釗 |
병음 | Lǐ Dàzhāo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Li Ta-chao |
민난어 발음 | Li3 Ta4-Chao1 |
주음부호 | ㄌㄧˇ ㄉㄚˋ ㄓㄠ |
로마자 표기법 (수창) | Shòuchāng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수창) | Shou4-ch'ang1 |
민난어 발음 (수창) | shou4-chang1 |
주음부호 (수창) | ㄕㄡˋ ㄔㄤ |
![]() |
2. 생애
리다자오는 1889년 허베이성 탕산 라오팅현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3년 톈진의 북양정법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으로 유학,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와세다 대학 정치과에서 공부하다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1917년부터 베이징 대학 역사학, 경제학, 철학 교수 겸 도서관 주임으로 근무하면서 소비에트 러시아의 10월 혁명을 선전하였고, 볼셰비키주의와 코민테른의 세계 혁명을 지지한 중국 초기 공산주의 혁명가였다. 베이징 대학 교원과 학생들에게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선전하고, 코민테른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에 가담하도록 영향을 끼쳤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으로 경도되었다. 1918년 11월 베이징 대학 《신청년》에 <볼셰비즘의 승리> 등 마르크스-레닌주의 문헌을 발표, "앞으로의 세계는 분명히 적기의 세계가 될 것이다"라고 선언하고, 천두슈 등과 《매주평론》을 창간, 마르크스-레닌주의 계급, 민족 혁명을 일으켰다.
1921년 천두슈, 마오쩌둥 등과 중국 공산당을 창립, 비공식적 볼셰비키주의 공산주의 선동가에서 공식 중국 공산당 조직 지도자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21년 7월 상하이 중국 공산당 창당 대회에 마오쩌둥 등이 참가했다. 천두슈와 리다자오는 중국 공산당이 소련 공산당 코민테른의 지도를 받도록 했으며, 1922년 코민테른 지시로 중국 국민당과 제1차 국공합작을 추진했다.
블라디미르 레닌 사후 중국 국민당, 중국 공산당, 코민테른 관계가 악화, 장제스는 1927년 상하이 4.12사건을 일으켜 중국 공산당 측 코민테른 성원을 숙청했다. 리다자오는 베이징에서 동료, 제자 등 19명과 감금, 소련 공산당과 코민테른 대리 중화민국 정부 전복 혐의로 4월 28일 베이징 군벌 장쭤린 명령으로 처형되었다.[13]
1917년부터 1927년까지 베이징대 도서관 주임, 경제학, 역사학, 철학 교수, 코민테른 혁명가 육성 베이징 대학 마르크스주의 연구회 주관, 역사 유물주의, 국제 공산주의 운동사, 공산주의와 사회 운동 등 13개 과목을 담당하였다.
2. 1. 초기 생애 (1889-1916)
리다자오는 1889년 허베이성 탕산 라오팅현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태어나기 몇 달 전에 아버지를 잃었고, 젖먹이 시절 어머니마저 여의었다. 열 살 때, 자신보다 여섯 살 많은 조인란(趙任蘭)과 결혼했는데, 이는 그의 양조부가 그의 보호를 위해 주선한 것이었다.[1] 그는 라오팅현의 세 개 마을 학교에서 10년 동안 전통적인 교육을 받았다.[1] 1905년에는 융핑부 중학교에서 근대 교육을 시작했다. 1907년부터 1913년까지는 톈진의 북양정법전문학교에서 대학 교육을 마쳤다.[1]1913년 톈진 북양법정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제국으로 유학하여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학과에서 공부했다.[10] 일본에 있을 당시 그는 YMCA 기숙사에 살면서 심수조(清水安蔵) 교회에서 성경 공부에 참여했다.[2] 그는 위안스카이의 황제 즉위 음모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하여 수업에 결석한 탓에 와세다 대학에서 퇴학당했고, 1916년 초 상하이로 돌아왔다.
와세다대학교 역사문서센터에는 리다자오와 관련된 두 권의 수업료 영수증이 보관되어 있는데, 만년필로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리다자오는 1914년 9월 9일에 5엔, 10월 26일에 4.5엔, 11월 9일에 4.5엔 등을 지불했다. 와세다대학교 명예교수 안도 히코타로(安藤彦太郎)는 그의 저서 "미래로 가는 다리: 와세다대학과 중국"에서 리다자오의 성적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가 수강한 11개 과목과 각 강사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다른 일본 학생들에 비해 리다자오의 성적은 매우 좋았다"고 말했다.[3] 와세다대학교 중국 동문회가 제공한 리다자오의 학생등록카드 스캔본에는 그의 이름, 주소, 출신지, 입학 정보가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다.[3]
1914년에는 신주학회를 조직하여 반위안스카이 활동을 시작했다. 1915년 일본 총리였던 오쿠마 시게노부와 그의 내각은 비밀리에 중국에 대한 "21개 조 요구"를 제안했다. 이는 일본 유학 중인 중국 학생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리다자오는 적극적으로 그들의 항의에 참여했다. 그는 유학생 명의로 『전국의 부로에게 경고한다』를 발표하고 중국인들에게 “파부침주(破釜沈舟)의 결심”으로 일본에 저항할 것을 계몽했다.[3] 그는 "21개 조 요구"의 열렬한 옹호자였던 우키타 가즈타미(宇喜多和爾)와 위안스카이의 법률 고문이었던 하기노 나가야스(萩野長康)와 같은 교수의 강의를 거부했다. 리다자오는 "국가의 상황"과 같은 기사에서 그들을 비판했다. 1916년 2월, 그의 학생등록카드에는 "장기 결석으로 제적"이라는 이유와 함께 퇴학 날짜가 기록되었다.[3] 1916년 4월, 리다자오는 일본에 있는 수백 명의 다른 중국 유학생들과 함께 일본의 명문 대학에서 학업을 포기하고 위안스카이에 대한 국내 반대 운동에 합류했다.[3]
2. 2. 베이징 대학 교수 시절과 5.4 운동 (1916-1919)
1916년 귀국 후, 리다자오는 베이징에서 '진종보(晨鐘報)'를 창간하고 편집장에 취임했다.[17] 1917년부터 베이징 대학 도서관 주임 겸 경제학, 역사학,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4] 베이징대학교(北京大學)뿐만 아니라 베이징의 다른 네 개 대학교에서도 여러 과목을 강의했으며, 중국 전역의 협회, 대학 등에서 강연 요청을 받았다. 1918년, 베이징 대학의 '신청년'에 '볼셰비즘의 승리' 등 마르크스-레닌주의 관련 글을 발표했으며, 소비에트 연방의 볼셰비키 정부를 자국을 위한 가능한 모델로 탐구한 최초의 학자 중 한 명이었다.[6]천두슈와 함께 '매주평론'을 창간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 계급, 민족 혁명을 일으켰다. 베이징 대학 내 마르크스주의 연구회를 조직하고, 장궈타오, 취추바이, 마오쩌둥 등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다.[4] 특히, 마오쩌둥에게는 베이징대 도서관의 보조 사서로 일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주기도 했다.
1919년 5.4 운동 당시 리다자오는 5·4운동의 주요 지도자였으며,[10] 베이징의 젊은 학생들에게 베이양정부(北洋政府)에 맞서 행동하고 파리강화회의에서 제국주의 열강이 산둥(山東)의 전 독일 식민지 특권을 일본 제국에 이양하기로 한 결정에 항의하도록 조언하고 지도했다.[5]
2. 3. 중국 공산당 창당과 국공합작 (1920-1927)
1920년 코민테른 극동지국에서 중국을 방문한 보이틴스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상하이에서의 공산당 지도자 천두슈와의 회견을 실현시켰다.[17] 같은 해 8월, 보이틴스키, 천두슈, 리한준, 선현룡, 우수송, 사존통 등과 협력하여 중국 공산당 창당 준비를 진행했고 마르크스 사상 학설 연구회를 조직했다. 10월에는 덩중하, 고군우, 하맹웅 등과 베이징 공산주의 소조를 결성했다. 1921년 천두슈, 마오쩌둥 등과 함께 중국 공산당을 창립하였는데,[10] 이때 비로소 비공식적이고 문단적인 성격의 볼셰비키주의 공산주의 선동가, 혁명가에서 공식적인 중국 공산당 조직의 지도 계열 인사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제3인터내셔널을 위한 투쟁을 위해서였다. 1921년 7월에 상하이에서 개최된 중국 공산당 창당 대회에는 그의 부하였던 마오쩌둥 등도 참가하였다.천두슈와 리다자오 등의 지휘 아래 중국 공산당은 소련 공산당이 지도하는 코민테른의 지도를 본격적으로 받게 되었으며 1922년에는 코민테른 지시로 중국 국민당과의 공작에도 나서게 되고 이것이 제1차 국공합작으로 이어졌다. 1922년,[17] 리다자오는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상하이로 가서 쑨원을 만났다. 리다자오는 코민테른의 지시로 1924년에는 마오쩌둥, 리리싼, 취추바이, 마오둔 등 다른 중국 공산당 당원들과 함께 개인 자격으로 중국 국민당 당원으로 입당하기도 하였고,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기도 하였다. 1924년,[17] 국공합작에 참가하여 이다자오(리다자오)는 중국 국민당 제1회 전국 대표대회에 참석하여 국민당에 입당하고 국민당 제1회 중앙집행위원에 취임했다.
1925년,[17] 북양 정부의 공산주의 탄압이 행해지자 주중국 소련 대사관에 보호를 요청했다.
2. 4. 체포 및 처형 (1927)
1927년 국공합작이 붕괴되자 장쭤린의 봉천군벌은 4월 6일, 외교적 특권을 침해하면서도 베이징 소련 대사관을 급습했다. 이 과정은 다른 외국 외교 공관의 지지를 받았다.[14] 장쭤린은 소련 대사관에 군대를 파견하여 대량의 무기를 보유하고 중화민국에 반대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리다자오를 체포했다. 체포 배경에는 1927년 3월 난징 사건이 베이징으로 파급될 것을 우려한 열강이 난징 사건 배후에 공산당과 소련의 책동이 있다고 판단하고, 영국, 미국, 프랑스 등 7개국 외교단이 안국군 총사령부에 엄중하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기 때문이었다.군법회의에 회부된 리다자오는 다른 19명과 함께 1927년 4월 28일 "소련과 내통하고 외국과 공모했다"는 죄목으로 교수형에 처해졌다.[13] 리다자오가 처형된 직후 그의 아내와 딸은 석방되었다.[14]
3. 사상
리다자오는 초기에는 표트르 크로폿킨의 상호부조론에 영향을 받았으나,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로 전향했다.[7] 그는 중국 농민의 혁명적 역할을 강조하여 마오쩌둥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0] 1919년에는 논문 『대아세아주의와 신아세아주의』에서 신아시아주의를 내걸고 아시아 연방을 주장했다.
1917년부터 1927년까지 베이징대에서 도서관 주임, 경제학, 역사학, 철학 교수 등을 지내면서, 코민테른의 혁명가 육성을 위한 베이징 대학 마르크스주의 연구회를 주관하는 한편, 역사 유물주의, 국제 공산주의 운동사, 공산주의와 사회 운동 등 13개 과목을 담당하였다.
4. 유산
리다자오는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이자 혁명 이론가로서 중국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오쩌둥을 비롯한 후대 공산당 지도자들에게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으며, 그의 사상은 현재까지도 중국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5] 베이징 대학에는 1982년 덩리췬, 마인추, 보시라이, 리커창 등 대학 동문들의 성금을 지원받아 제작된 리다자오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모리스 마이스너는 리다자오를 중국 공산당의 "첫 번째 진정한 지도자이자 가장 위대한 순교자"라고 언급하며, 그가 "신문화운동 초기(약 1915~1919년)의 민주주의적 성향을 가진 서구 교육을 받은 지식인 세대(최초의 중국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등장한 세대)와 1927년 이후 당 지도부를 계승한 젊은 공산주의 지식인 세대 사이의 연결 고리를 대표한다"고 말했다.
1913년 톈진 북양법정전문학교 졸업 후 와세다대학 정치학과에 입학하여 사회주의 사상에 접했다. 1914년에는 신주학회를 조직하여 반위안스카이 활동을 시작했다. 1916년 귀국하여 베이징에서 『진종보(晨鐘報)』를 창간하고 편집장에 취임했다. 1917년부터 채원페이에 의해 베이징대학 경제학과 교수와 도서관장에 임명되었다. 1920년 코민테른 극동지국에서 중국을 방문한 보이치스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상하이에서의 공산당 지도자 천두슈와의 회견을 실현시켰다. 같은 해 8월, 보이치스키, 천두슈 등과 협력하여 중국 공산당 창당 준비가 진행되었고 마르크스 사상 학설 연구회를 조직했다.
1922년 리다자오는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상하이로 가서 쑨원을 만났다. 1924년 국공합작에 참가하여 중국 국민당 제1회 전국 대표대회에 참석하여 국민당에 입당하고 국민당 제1회 중앙집행위원에 취임했다. 1927년 장쭤린은 소련 대사관에 군대를 파견하여 대량의 무기를 보유하고 중화민국에 반대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하여 리다자오를 체포했다. 군법회의에서는 1명을 제외한 19명이 4월 28일 “소련과 화해하고 외국과 통모했다”는 죄목으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리다자오 처형 후 시체는 베이징 향산 만안공묘(zh)에 매장되었다. 1983년에는 만안공묘에 인접하여 이대조 열사릉원이 설치되었다.
5. 가족
참조
[1]
서적
李大钊与故乡 (Li Dazhao and his hometown)
Central Party Literature Press
1994
[2]
서적
Chinese Ide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16
[3]
웹사이트
通讯:在日本追寻李大钊之青春印记-新华网
http://www.xinhuanet[...]
Xinhua News Agency
2024-01-11
[4]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
2009
[5]
간행물
Assessing Li Dazhao’s Role in the New Cultural Movement
Rowman Littlefield and Lexington Books
2020
[6]
간행물
Assessing Li Dazhao’s Role in the New Cultural Movement
Rowman Littlefield and Lexington Books
2020
[7]
간행물
From Admirer to Critic: Li Dazhao’s Changing Attitudes towards the United States
The University of Amsterdam Press
2022
[8]
간행물
Li Dazhao and the Chinese Embracement of Communism
Routledge
2022
[9]
서적
An Ideological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2020
[10]
서적
Ecological States: Politics of Science and Nature in Urbanizing China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
[11]
서적
Li Dazhao: China's First Communist
SUNY Press
2024
[12]
서적
Li Dazhao and Feng Yuxiang
People's Liberation Army Publishing House
1987
[13]
서적
李大钊传 (Biography of Li Dazhao)
Hongqi Publishing House
2009
[14]
웹사이트
张作霖杀害共产党创始人李大钊的复杂内幕(2)
https://web.archive.[...]
Sina
2009-10-21
[15]
서적
The Origin of Chinese Commu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6]
뉴스
Films to celebrate the centennial of CPC
https://www.chinadai[...]
China Daily
2021-01-01
[17]
뉴스
中国共産党創立100周年で大注目 日本の早稲田大学に留学した2人の重要人物とは……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