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해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해 박씨는 신라 파사왕의 4세손 박제상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전법판서를 지낸 박명천을 중시조로 하여 녕해를 본관으로 사용하며, 밀양 박씨 등과 함께 박씨 대종친회를 이룬다. 판서공파, 태사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고려 시대에는 박윤, 박원계 등이, 조선 시대에는 박경, 박자청, 박헌영 등이 주요 인물로 알려져 있다. 영해 박씨는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일원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00년에는 약 25,189명이 영해 박씨 성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해 박씨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영해 박씨 - 박구일
    박구일은 해병대 사령관을 지낸 군인 출신으로,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을 역임하고 통일국민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제14대,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영해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寧海朴氏 (영해박씨)
로마자 표기Yeonghae Bakssi
한자 표기寧海朴氏
관향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국가조선
영지盈徳郡
시조박제상
원시조박혁거세
저명한 인물박헌영
집성촌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조제리 삼계
봉화군 봉성면 원둔리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고방산리
강원도 회양군
평안북도 정주시
보은군 회인면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관련 웹사이트영해박씨대종회
통계 정보
2000년 인구25,189명
2000년 순위209위
기타 인물
인물박원계
박경
박자청
박명벽
박헌영
박구일
박승국

2. 역사

박제상(朴堤上)은 신라 파사왕(婆娑王) 4세손인 박물품(朴勿品)의 아들이며, 눌지왕(訥祇王) 때 충신으로 알려졌다. 박제상의 26세손인 박명천(朴命天)은 고려 시대에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역임하고, 삼중대광벽상공신(三重代匡壁上功臣)으로 예원군(禮原君)에 봉해졌다. 이후 자손들은 녕해(寧海)를 본관으로 삼았다. 영해 박씨는 박제상을 시조, 박명천을 중시조로 하여 이어져 내려왔다.

3. 본관

영해(寧海)는 경상북도 북동부에 있었던 지명이다. 원래 고구려의 우시군(于尸郡)이었던 것을 신라의 한반도 통일 이후 유린군(有隣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예주(禮州)로 고쳐 불렀으며, 1310년에 영해부(寧海部)로 개칭되었고, 1913년 영덕군(盈德郡)에 통합되었다. 일부 지역은 영해면(寧海面)으로 남아 있다.[2]

4. 분파

파명중시조
판서공파박보생, 박동생, 박광선, 박광우, 박광정
태사공파박송비
돈옹공파박앙
봉화공파박유
칠의공파박충옥


5. 인물

영해 박씨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 조선, 근현대 인물들이 있다.


  • 고려
  • 박원계: 1301년(충렬왕 27) 문과에 급제, 충숙왕 때 강릉도 존무사 및 전법판서를 거쳐 1348년(충목왕 4) 이학도감판사가 되었다.[1]
  • 박윤: 평장사와 후판병부사를 역임하였다.
  • 박원개: 박원계와 동일인으로 추정되며, 고려 충숙왕 때 강릉도존무사와 전법판서를 지냈다.

  • 조선
  • 박경: 대사헌과 완산부윤을 역임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 박자청: 황희석(黃希碩)의 가인(家人) 출신으로, 내시로 낭장(郞將)에 올랐다. 1392년 조선 개국 후 황희석의 덕으로 중랑장(中郞將)으로 승진, 1419년(세종 1)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에 이르렀다.
  • 박경(朴璟): 대사헌(大司憲)과 원산부윤(元山府尹)을 역임하였다.
  • 박창룡(朴昌龍): 평양서윤(平壤庶尹)을 지냈다.
  • 박도(朴度):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 근현대
  • 박헌영: 남조선로동당을 결성한 공산주의자이다.
  • 박구일(1934년 ~ ): 대한민국 정치인, 전 국회의원(14대 비례대표, 15대 대구 수성구), 제17대 해병대 사령관 역임.
  • 박정원
  • 박승엽(1995년 ~ )
  • 박민창(1999년 ~ )
  • 박태호(1992년 ~ ):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 박현우(1999년 ~ ): 대한민국 취업준비생이다.
  • 박선희(2000년 ~ ):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 박정민(2005년 ~ ): 대한민국 대학생이다.
  • 박지수(2009년 ~ ): 대한민국 중학생이다.
  • 박수진(2012년 ~ ): 대한민국 청소년이다.
  • 박선우(2023년 ~ ): 대한민국 어린이이다.

5. 1. 고려


  • 박원계(1282년 ~ 1348년) : 1301년(충렬왕 27) 문과에 급제하여 충숙왕 때 강릉도 존무사를 거쳐 전법판서를 지냈으며, 1348년(충목왕 4) 이학도감판사가 되었다.[1]
  • 박윤 : 고려에서 평장사와 후판병부사를 역임하였다.
  • 박원개 : 박원계와 동일인으로 추정되며, 고려 충숙왕 때 강릉도존무사와 전법판서를 지냈다.

5. 2. 조선


  • 박경(1350년 ~ 1414년) : 조선 개국 후 대사헌과 완산부윤을 역임했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 박자청(1357년 ~ 1423년) : 황희석(黃希碩)의 가인(家人)으로, 내시로 출사해 낭장(郞將)에 올랐다. 1392년 조선 개국 후 황희석의 덕으로 중랑장(中郞將)으로 승진, 1419년(세종 1)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에 이르렀다.
  • 박경(朴璟) : 조선 개국 후 대사헌(大司憲)과 원산부윤(元山府尹)을 역임하였다.
  • 박창룡(朴昌龍) : 조선의 평양서윤(平壤庶尹)을 지냈다.
  • 박도(朴度) : 조선의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5. 3. 근현대


  • 박헌영 : 남조선로동당을 결성한 공산주의자이다.
  • 박구일(1934년 ~ ) : 대한민국 정치가, 전 국회의원(14대 비례대표, 15대 대구 수성구), 제17대 해병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 박정원
  • 박승엽(1995년 ~ )
  • 박민창(1999년 ~ )
  • 박태호(1992년 ~ ) :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 박현우(1999년 ~ ) : 대한민국 취업준비생이다.
  • 박선희(2000년 ~ ) :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 박정민(2005년 ~ ) : 대한민국 대학생이다.
  • 박지수(2009년 ~ ) : 대한민국 중학생이다.
  • 박수진(2012년 ~ ) : 대한민국 청소년이다.
  • 박선우(2023년 ~ ) : 대한민국 어린이이다.

5. 4. 현대


  • 박구일(1934년 ~ ): 대한민국 정치인이자 제14대 국회의원(비례대표), 제15대 국회의원(대구 수성구), 제17대 해병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 박헌영: 남조선로동당을 결성한 공산주의자이다.
  • 박정원
  • 박승엽(1995년 ~ )
  • 박민창(1999년 ~ )
  • 박태호(1992년 ~ ):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 박현우(1999년 ~ ): 대한민국 취업준비생이다.
  • 박선희(2000년 ~ ):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 박정민(2005년 ~ ): 대한민국 대학생이다.
  • 박지수(2009년 ~ ): 대한민국 중학생이다.
  • 박수진(2012년 ~ ): 대한민국 청소년이다.
  • 박선우(2023년 ~ ): 대한민국 어린이이다.

6. 과거 급제자

영해 박씨는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1명이 있었다.[4]

고려 문과
박원계


6. 1. 조선

영해 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는 없었으나, 무과 급제자 12명과 많은 역관을 배출하였다.[4]

무과
박경운박구박기운박률박시준
박욱박응량박일룡박정박종호
박희지박희현



생원시
박동제박로박명학박사섭박사태
박순박용박유명박재실



진사시
박기동박내원박내준박노수박명벽
박사섭박영박해박현



역과
박계진박기영박노영박명준박명철
박명홍박문한박보영박분박상만
박세화박수현박승연박승헌박승혁
박승훈박시영박시진박신영박언필
박언황박옹박원영박유성박유신
박유은박유현박인후박정한박정환
박종홍박진영박진원박진철박진형
박진홍박춘위박치검박치규박치륜
박태영박필영박회영



율과
박상연



음양과
박명협박유경박유상박유항박춘욱



의과
박지영박치수


7. 집성촌

8. 인구

영해 박씨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5,252가구21,299명
2000년7,985가구25,189명


9. 기타

밀양 박씨, 고령 박씨 등과 함께 박씨 대종친회(신라오릉보존회)를 이루고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2] 웹사이트 관향별소개 1 페이지 {{!}} 신라오릉보존회 http://www.panparks.[...] 2022-09-04
[3] 웹사이트 박씨(朴氏) 본관(本貫) 영해(寧海)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