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 로마자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언어학적 분석을 위해 개발된 로마자 표기법으로,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 적용된다. 한국어 예일 표기법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보다 늦게 개발되었으며, 형태음운론적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 예일식은 한글 자모를 로마자로 대응시키고, 경음화, 음절 경계, 장모음, 두음법칙 등을 표기하기 위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세 한국어 표기를 위한 별도의 규칙이 존재하며, 일본어(JSL 로마자), 중국어(북경 관화, 광둥어)에도 예일 표기법이 사용된다.
새뮤얼 마틴과 예일 대학교의 동료 연구자들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보다 약 5년 뒤에 한국어 예일 표기법을 개발하였다. 예일 표기법은 단어의 형태음운론적 구조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여, 언어학적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형태음운론적인 측면에서 예일 표기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어 신철자법과도 유사하다.
2. 한국어 예일 표기법
2. 1. 특징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자모를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단어의 발음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달리, 단어의 형태음운론적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하여 언어학적 분석에 유리하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예일 표기법은 방언에서 단어가 어떻게 발음되는지 예측하기 쉽다.
2. 2. 표기 규칙
예일 로마자 표기법의 자음 및 모음 표기 규칙은 다음과 같다.
한글 자모 | 예일 표기법 |
---|---|
ㄱ | k |
ㄲ | kk |
ㄴ | n |
ㄷ | t |
ㄸ | tt |
ㄹ | l |
ㅁ | m |
ㅂ | p |
ㅃ | pp |
ㅅ | s |
ㅆ | ss |
ㅇ | ng |
ㅈ | c |
ㅉ | cc |
ㅊ | ch |
ㅋ | kh |
ㅌ | th |
ㅍ | ph |
ㅎ | h |
한글 자모 |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 ㅐ | ㅔ | ㅚ | ㅟ | ㅑ | ㅕ | ㅛ | ㅠ | ㅒ | ㅖ | ㅘ | ㅙ | ㅝ | ㅞ | ㅢ |
---|---|---|---|---|---|---|---|---|---|---|---|---|---|---|---|---|---|---|---|---|---|
예일 표기법 | a | e | o | wu | u | i | ay | ey | oy | wi | ya | ye | yo | yu | yay | yey | wa | way | we | wey | uy |
- 한글 초성의 'ㅇ'은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표기하지 않는다.
- 양순음 뒤의 'ㅜ'와 'ㅡ'는 대부분 구별되지 않으므로 'u'로 표기하고, 그 외의 'ㅜ'는 'wu'로 표기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ㅟ'를 'wuy', 'ㅠ'를 'ywu'로 표기하기도 한다.
- 'q'는 한글에서 표기하지 않는 경음화 현상을 나타낸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halq il''' : 할 일(''할릴'')
- * '''halq kes''' : 할 것(''할껏'')
- * '''kulqca''' : 글자(''글짜'')
- 한글 자모로 번역 시 혼동될 수 있는 경우, 구두점을 찍어 글자 사이 경계를 구분하거나 소리 변화를 표시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nulk.un''' : 늙은
- * '''kath.i''' : 같이(''가치'')
- 모음 위의 윗줄은 장음을 나타낸다. (서울 방언에서는 20세기 후반 이후 장단음 구별이 사라졌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māl''' : 말(소리; 장음)
- * '''mal''' : 말(동물; 단음)
- 올려쓰기 글자는 두음법칙에 의해 표시되지 않지만 원래 있었던 소리를 나타낸다. 'ㄹ' 탈락은 'l', 'ㄴ' 탈락은 'n'을 올려 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yengwen''' : 영원
- * '''lyeksa''' : 역[
= 력]사(歷史), '''lnoin''' : 노[=로]인(老人) - * '''nYengpyen''' : 영[=녕]변(寧邊)
2. 2. 1. 자음
한글 자모 | 예일 표기법 |
---|---|
ㄱ | k |
ㄲ | kk |
ㄴ | n |
ㄷ | t |
ㄸ | tt |
ㄹ | l |
ㅁ | m |
ㅂ | p |
ㅃ | pp |
ㅅ | s |
ㅆ | ss |
ㅇ | ng |
ㅈ | c |
ㅉ | cc |
ㅊ | ch |
ㅋ | kh |
ㅌ | th |
ㅍ | ph |
ㅎ | h |
2. 2. 2. 모음
한글 자모 |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 ㅐ | ㅔ | ㅚ | ㅟ | ㅑ | ㅕ | ㅛ | ㅠ | ㅒ | ㅖ | ㅘ | ㅙ | ㅝ | ㅞ | ㅢ |
---|---|---|---|---|---|---|---|---|---|---|---|---|---|---|---|---|---|---|---|---|---|
예일 표기법 | a | e | o | wu | u | i | ay | ey | oy | wi | ya | ye | yo | yu | yay | yey | wa | way | we | wey | uy |
- 한글에서 초성에 오는 '''ㅇ'''은 실제로는 소리나지 않기 때문에 표기하지 않는다.
- 양순음 뒤에 오는 '''ㅜ'''와 '''ㅡ'''는 대부분의 화자에게서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둘 다 '''u'''로 표기하고 그 외의 '''ㅜ'''는 '''wu'''로 표기한다. 이를 기반으로, 필요에 따라 ㅟ를 wuy로, ㅠ를 ywu로 표기하는 연구자도 있다.
- '''q'''는 한글에서는 표기하지 않는 경음화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 * '''halq il''' : 할 일(''할릴'')
- * '''halq kes''' : 할 것(''할껏'')
- * '''kulqca''' : 글자(''글짜'')
- 한글 자모로 번역할 때 혼동이 있을 수 있는 경우 구두점을 붙여 앞의 글자와 뒤의 글자 사이의 경계를 구분한다. 소리가 바뀌는 현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 * '''nulk.un''' : 늙은
- * '''kath.i''' : 같이(''가치'')
- 모음 위의 윗줄은 길게 소리난다는 것을 표시한다. (서울 방언에서는 장음과 단음의 차이가 20세기 후반 이후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 '''māl''' : 말(소리; 장음)
- * '''mal''' : 말(동물; 단음)
- 올려쓰기로 쓴 글자는 두음법칙에 의해 표시되지 않지만 원래는 있었던 소리를 표시한다. '''ㄹ'''이 탈락되었으면 '''l'''을, '''ㄴ'''이 탈락되었으면 '''n'''을 올려쓰기로 앞에 붙여 써줄 수 있다.
- * '''yengwen''' : 영원
- * '''lyeksa''' : 역[
= 력]사(歷史), '''lnoin''' : 노[=로]인(老人) - * '''nYengpyen''' : 영[=녕]변(寧邊)
2. 3. 중세 한국어 표기
중세 한국어를 표기할 때는 몇 가지 추가 규칙이 적용된다. 현대 한국어에서 '''o'''는 ㅗ를 표기하는 데 쓰이지만, 중세 한국어에서는 ㆍ(아래아)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고, ㅗ는 ''wo''로 표기한다. ㅜ는 항상 ''wu''로, ㅠ는 ''ywu''로 표기한다. ㅸ(순경음 비읍)은 대문자 ''W''로, ㅿ(반치음)은 ''z''로, ㅇ(이응)은 [ɡ > ɣ > ɦ] 음가를 내는 후음 불청불탁일 때 대문자 ''G''로, ㆆ(여린히읗)은 ''q''로 표기한다. 새뮤얼 마틴(Samuel Martin)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전의 한국어는 이탤릭체로, 현대 한국어는 굵은 글씨로 표기하여 구분하였다.한글 | 중세어 예일 | 현대어 예일 |
---|---|---|
ㅗ | wo | o |
ㅚ | woy | oy |
ㅛ | ywo | yo |
ㅜ | wu (항상) | wu 양순음 뒤에: u |
ㅠ | ywu | yu |
ㆌ | ywuy | 없음 |
ㆍ | o | 없음 |
ㆎ | oy | 없음 |
엘레노어 조던이 "Japanese: The Spoken Language"(1987년)에서 일본어 예일 표기법 (JSL 로마자)을 제안했고, 조지 A. 케네디가 1943년 예일 대학교에서 중국어 예일 표기법을 고안했다.
3. 다른 언어의 예일 표기법
일본어 예일 표기법은 비일본어 화자가 일본어를 배울 때 사용되며, 대체로 훈령식에 준하지만, 장음을 이중 모음으로 표기하는 점이 다르다(예: 도쿄는 "Tookyoo"로 표기).
중국어 예일 표기법은 원래 미국 병사가 전장에서 중국군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당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일반적이었지만, 신병들이 영어 철자법을 사용하여 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되었다. 예일식에서는 유기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포스트로피처럼 보이는 등 웨이드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오독을 제거할 수 있었다.
3. 1. 일본어 예일 표기법 (JSL 로마자)
엘레노어 조던의 "Japanese: The Spoken Language"(1987년)에서 제안된 로마자 표기법으로, 비일본어 화자가 일본어를 배울 때 사용된다. 대체로 훈령식에 준하지만, 장음을 대문자인 경우뿐만 아니라 이중 모음으로 표기하는 점이 다르다(예를 들어 도쿄는 "Tookyoo"로 표기한다).
3. 2. 중국어 예일 표기법
1943년 예일 대학교의 조지 A. 케네디가 고안하였다.
원래는 미국 병사가 전장에서 중국군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당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법이었지만, 신병들이 영어 철자법을 사용하여 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되었다. 예일식에서는 유기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포스트로피처럼 보이는 등 웨이드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오독을 제거할 수 있었다.
3. 2. 1. 북경 관화
조지 A. 케네디가 1943년 예일 대학교에서 고안하였다.
원래는 미국 병사가 전장에서 중국군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당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법이었지만, 신병이 영어 철자법을 사용하여 중국어의 음을 표기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되었다. 예일식에서는 유기음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포스트로피처럼 보이는 등 웨이드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오독을 제거할 수 있었다.
3. 2. 2. 광둥어
예일 광둥어 병음은 현재도 초심자용 서적이나 사전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b | p | m | f |
d | t | n | l |
g | k | ng | h |
j | ch | s | |
gw | kw | y | w |
a | aai | aau | aam | aan | aang | aap | aat | aak |
ai | au | am | an | ang | ap | at | ak | |
e | ei | eng | ek | |||||
i | iu | im | in | ing | ip | it | ik | |
o | oi | ou | on | ong | ot | ok | ||
u | ui | un | ung | ut | uk | |||
eu | eui | eun | eung | eut | euk | |||
yu | yun | yut | ||||||
m | ng |
광둥어에는 아홉 개의 성조가 있으며, 입성을 제외하면 여섯 개의 음이 순수하게 톤만으로 변별된다. 예일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성조 부호와 ''h''를 사용하여 성조를 나타낸다.
번호 | 성조명 | 예일식 표기 | ||
---|---|---|---|---|
1 | 높은 평탄조 | sī | sīn | sīk |
1 | 높은 하강조 | sì | sìn | |
2 | 중간 상승조 | sí | sín | |
3 | 중간 평탄조 | si | sin | sik |
4 | 낮은 하강조 | sìh | sìhn | |
5 | 낮은 상승조 | síh | síhn | |
6 | 낮은 평탄조 | sih | sihn | sihk |
- 성조 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성조의 번호를 기술하는 것도 이루어진다.
- 현대 광둥어에서는, 높은 평탄조와 높은 하강조가 변별되지 않으므로, 같은 성조 번호가 된다.
번체자 | 간체자 | 성조 기호를 사용한 로마자 표기 | 성조 번호를 사용한 로마자 표기 |
---|---|---|---|
gwóng jàu wá | gwong2 jau1 wa2 | ||
yuht yúh | yut6 yu5 | ||
néih hóu | nei5 hou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