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냐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 데 오냐테는 1550년 누에바에스파냐에서 태어난 스페인계 정복자이자 탐험가로, 누에보 멕시코를 탐험하고 식민지화했으며, 초대 총독을 역임했다. 그는 아코마 푸에블로 학살과 같은 잔혹한 행위로 인해 비판을 받았으며, 말년에는 스페인으로 돌아가 채광 감독관으로 일했다. 오냐테는 탐험가로서의 업적과 함께,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동상 건립을 둘러싸고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그의 행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강조하는 입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주 설립 이전의 역사 - 텍사스 공화국
    1836년 텍사스 혁명으로 멕시코에서 독립한 텍사스 공화국은 짧은 존속 기간 동안 원주민과의 갈등, 멕시코의 침략, 정치적 분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미국 합병 후 미-멕시코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시민권 기준, 법 체계, 대학 설립 시도 등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텍사스주 설립 이전의 역사 - 프랑스령 루이지애나
    프랑스령 루이지애나는 17세기부터 19세기 초 프랑스가 북미 대륙에 소유했던 광대한 식민지로, 미시시피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며 모피 무역, 광물 자원 확보, 원주민 가톨릭 개종 등을 추진했고, 이후 스페인 지배를 거쳐 미국에 매각되어 현재 미국 중서부 및 남부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바스크인 콩키스타도르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는 스페인 바스크인 탐험가로, 마젤란 탐험대의 반란에 가담했으나 용서받고 마젤란 사후 빅토리아호를 이끌어 세계 최초로 지구를 일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카를 5세로부터 문장을 받았으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마젤란에 가려져 역사적 평가와 재조명의 대상이 되었다.
  • 바스크인 콩키스타도르 -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스페인의 탐험가이자 초대 필리핀 총독으로, 1565년 필리핀 탐험대를 이끌어 세부와 마닐라를 정복하고 스페인 식민 통치를 시작했으며, 가톨릭 개종과 마닐라를 수도로 선포, 마닐라 갤리온 무역 창출에 기여했다.
  • 16세기 멕시코 사람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세기 멕시코 사람 -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은 아즈텍 귀족으로 모크테수마 2세와 과우테목 통치 기간 시우아코아틀을 지냈으며, 스페인 정복 후 코르테스에 의해 과우테목의 후계자로 임명되어 스페인식 교육과 세례를 받고 돈 후안 벨라스케스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으나, 낮은 신분과 취임식 부재로 인해 나우아 백성들에게 임시 통치자로 여겨졌고 코르테스의 원정에 동행하다 사망했다.
오냐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안 데 오냐테 기마상, 뉴멕시코주 알칼데
후안 데 오냐테 기마상, 알칼데, 뉴멕시코
이름후안 데 오냐테
본명(돈 후안 데 오냐테 살라사르)
출생1550년
출생지파누코, 누에바에스파냐 (현재의 사카테카스주, 멕시코)
사망1626년 7월 3일경 (76세)
사망지과달카날, 세비야, 스페인
직업탐험가, 뉴멕시코 총독
통치
직위누에바에스파냐의 산타페데누에보멕시코 초대 총독
임기 시작1598년 11월
임기 종료1606년 4월 18일
후임크리스토발 데 오냐테 (아들)
개인 정보
배우자이사벨 데 톨로사 코르테스 데 목테수마
자녀2명
부모크리스토발 데 오냐테, 카탈리나 살라사르 이 데 라 카데나

2. 초기 생애

후안 데 오냐테 이 살라자르의 문장


오냐테는 누에바 에스파냐의 사카테카스 주파누코에서 바스크계 스페인인 식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크리스토발 데 오냐테는 정복자였으며, 은광을 소유하고 있었다. 어머니 카타리나 살라사르 이 데 라 카데나 (Catalina Salazar y de la Cadena)는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전공을 세운 카데나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오냐테는 누에바 에스파냐 북부의 변경 지역에서 원주민과 싸우는 전사가 되었다.

이름배우자후손
크리스토발 데 오냐테마리아 구티에레스 델 카스티요후안 페레스 데 나리아혼도 이 카스티요
마리아 데 오냐테비센테 데 살디바르니콜라스 데 살디바르 이 오냐테


2. 1. 가문과 출생

오냐테는 1550년경 누에바에스파냐(식민지 멕시코) 사카테카스에서 스페인-바스크계 정복자이자 은광 재벌 크리스토발 데 오냐테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도냐 카탈리나 살라자르 이 데 라 카데나[6]는 스페인 왕실에서 봉사한 유대계 신개종 기독교인 가문의 후손이었다.[7] 오냐테는 삼각 동맹의 정복자인 에르난 코르테스의 손녀이자 아즈텍 황제 모테쿠소마 2세의 증손녀인 이사벨 데 톨로사 코르테스 데 모크테수마와 결혼했다.[9]

3. 누에보 멕시코 탐험 및 총독 재임

1595년 스페인 왕 펠리페 2세의 명을 받은 오냐테는 리오그란데 강 유역을 식민지화하기 위한 탐험을 시작했다. 1598년 4월, 그는 현재의 엘파소와 시우다드 후아레스 지역에 도착하여 '엘파소 델 놀테'라 명명하고, 리오그란데 강을 건너 누에보 멕시코를 스페인 제국에 귀속시켰다. 그는 산타페 데 누에보 멕시코 주의 설립자로, 1598년부터 1610년까지 초대 식민지 총독으로 활동했다. 그는 오케이 오윙게에 식민 정부를 두고 그곳의 푸에블로의 이름을 '산 후안 데 로스 카바예로스'로 변경했다.

오냐테는 원정에 참여한 식민지인들에게 토지를 할당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공물을 요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오냐테의 냉혹하고 무자비한 통치는 스페인 식민지 주민과 원주민 모두에게 악명을 떨쳤다. 특히 아코마 푸에블로에 대한 잔혹한 학살은 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그의 행적은 현재까지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엘파소 국제공항 앞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졌으나, 아코마 인디언 학살 사실 때문에 동상 건립 반대 여론이 거세져 동상 이름이 "The Equestrian"(승마)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상 철거 요구와 훼손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3. 1. 탐험 배경 및 초기 활동

1595년, 스페인 왕 펠리페 2세는 오냐테에게 리오그란데 강 유역을 식민지화하라는 명을 내렸다. 오냐테의 주요 목표는 가톨릭교 전파와 전도소 창설, 프란시스코 레이바 데 보니야 대위 체포, 그리고 미지의 땅 탐험이었다.[10][11]

1598년, 오냐테는 탐험을 시작하여 4월 말 현재의 엘파소와 시우다드 후아레스 지역에 도착했다. 그는 이 지역을 엘파소 델 놀테라고 이름 짓고, 리오그란데 강을 건너 스페인 영유를 선언했다(라 토마 선언).[12] 4월 30일, 지금의 엘파소 남쪽 산엘리자리오 근처에서 치와와 사막을 50여 일 동안 횡단하며 물 부족으로 죽을 뻔했다가 리오그란데 강을 만나 살아난 것에 대한 감사 예배(미사)를 드렸다. 이는 1621년 청교도들이 플리머스에서 드린 추수감사예배보다 23년 앞선, 미국 대륙 최초의 추수감사예배로 알려져 있다.

돈 후안 데 오냐테와 엘 파소 델 리오 노르테의 텍사스 역사 표지판


오냐테는 군인 129명, 프란치스코 수도사 10명, 정착민 300여 명, 마차 83개, 소 7000여 마리로 구성된 카라반을 이끌고 리오그란데 강을 건너 뉴멕시코 정복길을 나섰다. 탐험대 대장이었던 가스파르 페레스 데 비야그라는 1610년 저서 『누에보 멕시코의 역사』("Historia de Nuevo mexico")에 오냐테의 뉴멕시코 원주민 정복을 기록했다.[13]

3. 2. 아코마 학살과 그 이후

1598년 10월, 오냐테의 부대는 아코마 푸에블로에서 식량을 징발하려다 원주민들의 저항에 부딪혔다. 다가오는 겨울을 나기 위해 식량을 비축해야 했던 아코마인들은 저항했고, 이 과정에서 오냐테의 조카인 후안 데 살디바르를 포함한 13명의 스페인 군인이 사망했다.[14]

1599년 1월, 오냐테는 이 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고 아코마 푸에블로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이 명령은 후안 데 살디바르의 형제인 비센테 데 살디바르가 실행하여 아코마 학살로 이어진다. 이 공격으로 약 800~1,000명의 아코마인이 사망했다.[1] 살아남은 약 500명[17]은 오케이 오윙게에서 열린 재판에서 12세 이상의 모든 남녀에게 20년의 강제 "개인 노역"을 선고받았다. 또한, 25세 이상 남성 24명은 발을 절단해야 한다는 명령이 내려졌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발 전체가 아닌 발가락만 절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8] 오냐테의 개인 일기에는 아코마 전사들의 처벌에 대해 "las puntas del pie"(발의 끝, 발가락)를 자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다.[19]

이러한 잔혹 행위로 인해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는 오냐테를 뉴멕시코에서 추방하고, 아코마 족에 대한 "과도한 무력" 사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려 5년 동안 멕시코에서 추방했다.[1] 오냐테는 이후 스페인으로 돌아가 남은 생을 살았다.[15][16]

4. 그레이트플레인스 탐험 (1601년)

1601년, 오냐테는 키비라라는 전설적인 "황금 도시"를 찾기 위해 130명의 스페인 군인, 12명의 프란치스코회 사제, 130명의 아메리카 원주민 병사와 하인, 350마리의 노새를 이끌고 북아메리카 중부 대평원으로 대규모 탐험을 떠났다.[20]

오냐테는 텍사스 팬핸들 지역에서 아파치족을 만났고, 캐나디안 강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여 현재의 오클라호마 주에 들어갔다. 강가의 모래 지역은 수레로 지나갈 수 없었기에, 내륙으로 이동하여 더 푸르고 물이 많으며 검은 호두나무와 버 오크 숲이 있는 지역으로 들어갔다.[20]

오냐테 원정대의 정확한 경로는 논쟁의 대상이다. 대부분의 권위자들은 오냐테가 캐나디안 강을 따라 텍사스에서 오클라호마까지 이동한 후, 솔트 포크에서 에스칸자케족의 야영지를 발견하고, 아칸소 강과 그 지류인 월넛 강을 따라 캔자스주 아칸소시티 부근의 라야도족 정착지로 이동했다고 본다. 그러나 소수 의견으로는 에스칸자케족 야영지는 닌네스카 강에 있었고, 라야도족 마을은 현재의 위치토 (캔자스주)에 있었다고 주장한다.[27]

4. 1. 에스칸하케족 및 라야도족과의 만남

오냐테는 현재의 오클라호마 지역에서 에스칸자크족이라고 불리는 원주민들의 야영지를 발견했는데, 600채의 집에서 5,000명 이상이 사는 것으로 추산했다.[21] 에스칸자크족은 지름이 약 27.43m나 되는 둥근 집에 살았으며 무두질한 들소 가죽으로 덮여 있었다. 오냐테에 따르면, 그들은 사냥꾼이었으며, 생계를 위해 들소에 의존하고 작물을 심지 않았다.

에스칸자크족은 오냐테에게 그들의 적대 부족인 라야도족의 대규모 도시인 에트자노아가 불과 약 20마일 떨어진 곳에 있다고 말했다. 에스칸자크족은 라야도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또는 그들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기 위해 대규모로 모였을 가능성이 있다.

오냐테는 강 근처에서 수많은 에스칸자케 안내인들과 함께 언덕 위에 있는 300~400명의 라야도 사람들을 보았다. 라야도인들은 전쟁 준비를 알리는 신호로 흙을 공중에 던지며 다가왔다. 오냐테는 재빨리 싸우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표시했고, 우호적이고 관대함을 보인 라야도인들과 평화를 맺었다. 오냐테는 에스칸자케인들보다 라야도인들을 더 좋아했다. 그들은 "단결하고 평화로우며 정착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추장인 카라탁스에게 경의를 표했다.[23]

카라탁스는 오냐테와 에스칸자케인들을 강 건너 동쪽 강둑에 있는 정착지 에트자노아로 안내했는데, 강에서 1~2마일 떨어진 곳이었다. 그 정착지는 버려진 상태였고, 주민들은 도망친 상태였다. 그곳에는 "'약 1,200채의 집이 있었는데, 모두 큰 강(아칸소 강)으로 흘러드는 또 다른 꽤 큰 강둑을 따라 지어져 있었다.'"

다음 날, 오냐테 탐험대는 인구가 밀집한 지역을 8마일 더 나아갔지만, 많은 라야도인들을 보지는 못했다. 이 시점에서 스페인 사람들은 용기를 잃었다. 근처에 라야도인들이 많이 있었고, 곧 오냐테의 병사들은 라야도인들이 군대를 모으고 있다는 경고를 받았다. 오냐테는 라야도인들과 대적하려면 스페인 군인 300명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군인들을 돌려 뉴멕시코로 돌아갔다.

4. 2. 뉴멕시코 귀환과 에스칸하케족과의 전투

오냐테는 뉴멕시코로 돌아가는 길에 에스칸하케족의 공격을 받았다. 오냐테는 1,500명의 에스칸하케족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스페인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고 많은 원주민들이 사망했다. 2시간이 넘는 전투 끝에 오냐테는 전장에서 물러났다. 이 공격은 오냐테가 에스칸하케족의 추장 카라탁스와 여성 및 아이들을 납치한 데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24]

오냐테와 그의 부하들은 1601년 11월 24일 산 후안 데 로스 카바예로스로 별다른 성과 없이 돌아왔다.[25]

오냐테 원정대의 정확한 경로와 에스칸하케족, 라야도족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대부분의 권위자들은 오냐테가 텍사스에서 오클라호마까지 캐나디안 강을 따라 내려와, 솔트 포크에서 에스칸하케족의 야영지를 발견하고, 그 다음 아칸소 강과 지류인 월넛 강을 따라 캔자스주 아칸소시티로 이동하여 라야도족의 정착지가 있었다고 추정한다. 고고학적 증거는 월넛 강 유적지를 뒷받침한다.[26] 소수의 견해는 에스칸하케족의 야영지가 닌네스카 강에 있었고 라야도족의 마을은 오늘날 위치토 (캔자스주)에 있었다는 것이다.[27]

권위자들은 에스칸자케족이 아파치족, 통카와족, 후마노족, 콰포족, 카와족 또는 다른 부족일 것이라고 추측해 왔다. 이들은 아마도 카도어족에 속했고 위치토족 방언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라야도족이 카도어족 위치토족이었음은 거의 확실하다.

5. 콜로라도 강 탐험 (1604-1605년)

오냐테가 1605년에 새긴 "낙서"가 새겨진 인스크립션 록, 엘 모로 국립 기념물


1604년, 오냐테는 뉴멕시코에서 콜로라도 강 하류 계곡으로 향하는 마지막 대규모 탐험을 시작했다.[30] 약 36명의 탐험대는 1604년 10월 리오그란데 계곡에서 출발하여 주니 푸에블로, 호피 푸에블로, 빌 윌리엄스 강을 거쳐 콜로라도 강으로 이동했으며, 1605년 1월 캘리포니아 만 어귀까지 강을 따라 내려간 후 같은 경로로 뉴멕시코로 돌아왔다.[60]

탐험대는 샐턴 싱크에 곧 생겨났을 선사 시대의 카후일라 호수의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고, 캘리포니아 만이 북서쪽으로 무한정 계속된다고 잘못 생각했다.

콜로라도 강 하류에서 관찰된 원주민 집단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아마카바 (모하비), 바하세차, 오세라 (피마)였으며, 길라 강과 콜로라도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는 나중에 퀘찬, 알레브도마가 거주했다. 오냐테는 길라 강 합류 지점 아래에서 그들을 보았지만, 그 이후 오냐테가 코구아나, 또는 카완, 아갈레, 아갈렉과마야, 또는 할리크와마이, 그리고 코코파를 만났던 지역에서 그들보다 상류에서 보고되었다. 탐험가들이 직접 관찰하지 못한 지역에 대해서는, 그들은 인간 종족과 금, 은, 진주가 풍부하다고 알려진 지역에 대한 환상적인 보고를 했다.

5. 1. 탐험의 의의와 한계

오냐테의 마지막 주요 탐험은 뉴멕시코에서 콜로라도 강 하류 계곡으로 향하는 것이었다.[30] 이 탐험의 목적은 육로를 통한 어려운 물품 공급 경로를 대체하기 위해, 뉴멕시코에 물품을 공급할 수 있는 항구를 찾는 것이었다.

이 탐험은 1540년 에르난도 데 알라르콘과 멜초르 디아스의 탐험, 그리고 1701년 유세비오 프란시스코 키노의 방문 사이에 콜로라도 강 하류에 진입한 유일한 유럽인들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탐험대는 캘리포니아 만이 북서쪽으로 무한정 계속된다고 잘못 판단하여, 캘리포니아 섬이라는 오해를 낳기도 했다.

6. 말년과 유산

오냐테는 1606년 그의 행위에 대한 심리를 위해 멕시코시티로 소환되었다.[31] 원주민과 식민지 개척자 모두에게 잔혹 행위를 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아 뉴멕시코에서 평생 추방되었고, 멕시코시티에서는 5년간 추방되었다.[31] 이후 국왕은 오냐테를 스페인 전체 광산 검사관의 수장으로 임명했다.[32] 그는 1626년 스페인에서 사망했으며, "마지막 정복자"라고 불리기도 한다.[32][61]

오냐테는 탐험가로서의 업적과 아코마 푸에블로를 비롯한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로 인해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1599년에 발생한 아코마 학살은 오냐테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수많은 아코마인들이 사망하고, 생존자들은 강제 노역과 신체 절단 등의 형벌을 받았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도 불구하고, 오냐테는 오늘날에도 일부 지역에서 기념되고 있다. 1991년 뉴멕시코주 에스파뇰라에는 오냐테의 브론즈상이 세워졌지만, 1998년 그의 오른발이 절단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50] 엘파소시에는 200만달러와 9년 가까운 세월을 들여 제작한, 총 중량 18톤, 높이 34피트의 기마상이 2007년에 설치되었다. 이 기념식에는 주미 스페인 대사와 아코마 푸에블로의 대표가 참석했다.[50]

6. 1. 소환과 재판

1606년, 오냐테는 그의 행위에 대한 심리를 위해 멕시코시티로 소환되었다. 산타페 시 건설 계획을 마무리한 후, 그는 직에서 물러났고 원주민과 식민지 개척자 모두에게 잔혹 행위를 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뉴멕시코에서 평생 추방되었고, 멕시코시티에서는 5년간 추방되었다.[31]

6. 2. 스페인에서의 삶과 죽음

국왕은 오냐테를 스페인 전체 광산 검사관의 수장으로 임명했다.[32] 그는 1626년 스페인에서 사망했으며, "마지막 정복자"라고 불리기도 한다.[32][61]

6. 3. 유산과 논란

오냐테는 탐험가로서의 업적과 아코마 푸에블로를 비롯한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로 인해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

1598년 10월, 오냐테의 부대가 아코마 푸에블로에서 식량을 구하기 위해 교역하다가 작은 충돌이 발생했다. 아코마인들은 다가오는 겨울을 나기 위해 식량을 비축해야 했기에 저항했다. 이 과정에서 오냐테의 조카인 후안 데 살디바르를 포함한 11명의 스페인 병사가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14] 1599년 1월, 오냐테는 이 갈등을 반란으로 규정하고 ''푸에블로'' 파괴를 명령했으며, 이 명령은 후안 데 살디바르의 형제인 비센테 데 살디바르에 의해 아코마 학살로 알려진 공격으로 실행되었다. 추산 800~1,000명의 아코마인이 ''푸에블로'' 포위 공격으로 사망했다.[1] 생존자 약 500명[17]에 대해, 오케이 오윙게에서 열린 재판에서 오냐테는 12세 이상의 모든 남녀에게 20년의 강제 "개인 노역"을 선고했다. 또한 25세 이상(24명)의 남성은 발을 절단해야 했다.[2] 오냐테는 아코마 전사들의 처벌에 대해 "las puntas del pie"(발의 끝, 발가락)를 자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19]

1614년, 오냐테는 현재 뉴멕시코주인 지역에서 추방되었고, 특히 아코마 학살을 포함하여 부적절한 행정 및 과도한 잔혹 행위로 기소되었다. 그는 잔혹 행위, 부도덕성, 허위 보고 등의 유죄 판결을 받았고, 남은 생을 스페인에서 보내도록 추방되었다. 그의 잔혹 행위에도 불구하고, 오냐테는 오늘날에도 에스파뇰라 밸리 피에스타에서 기념되고 있다.[42]

1991년, 뉴멕시코주도 68호선을 따라 에스파뇰라 마을의 북동쪽에 있는 오냐테 기념관 방문자 센터에 조각가 레이날도 리베라가 제작한 오냐테의 브론즈상이 세워졌다. 1998년, 뉴멕시코주는 오냐테 도착 400주년을 기념했지만, 같은 해, 조각상이 상징하는 것에 반대하는 누군가가 오냐테상의 오른발을 절단하고, "Fair is fair"(이걸로 공정하다)라는 낙서를 남겼다.[50] 아코마 푸에블로에 대한 오냐테의 소행을 상징하는 잔해로 훼손된 조각상을 그대로 두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레이날도 리베라는 다리를 다시 주조했다. 그러나 오른발의 이음새는 아직 뚜렷하게 남아 있다.

1997년, 엘파소시는 조각가 존 셰릴 하우저에게 오냐테상 제작을 의뢰하는 데 동의했다. 이후 항의를 받고, 두 명의 엘파소 시의원이 동의를 철회했다.[50] 조각상 제작에는 200만달러와 9년 가까운 세월이 걸렸고, 조각상은 멕시코 시티에 있는 하우저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었다. 총 중량 18톤, 높이 34피트로, 기마상으로는 세계 최대·최중량인 조각상은 2006년 초에 완성되어 부분으로 분해되어 트레일러에 탑재, 여름에 엘파소 시로 운반되었고, 10월에 엘파소 국제공항 출구에 설치되었다. 2007년 4월 21일, 엘파소시는 조각상을 공개하는 성대한 기념식을 열었다. 오냐테상은 안달루시아 말을 타고, 오른손에는 라 토마 선언을 들고, 왼손에는 고삐를 쥐고 있다. 기념식에는 주미 스페인 대사 카를로스 웨스테르도르프가 초청되었으며, 아코마 푸에블로의 대표도 참석하여 항의했다.

7. 오냐테 관련 논란과 한국의 관점

오냐테의 탐험과 식민지 건설은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그의 잔혹 행위는 오늘날의 인권과 민족 간 화합의 관점에서 비판받아 마땅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오냐테의 행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세하다.[61]

1991년 뉴멕시코주 에스파뇰라에 오냐테의 브론즈상이 세워졌으나, 1998년 아코마 학살을 비판하는 누군가가 동상의 오른발을 절단하고 "Fair is fair"(이걸로 공정하다)라는 낙서를 남겼다.[50] 이는 오냐테의 행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997년 엘파소 시는 조각가 존 셰릴 하우저에게 오냐테 동상 제작을 의뢰했으나, 항의가 잇따르자 시의원 두 명이 동의를 철회했다.[50] 2007년 엘파소 국제공항에 설치된 오냐테 기마상은 세계 최대 규모의 기마상이지만, 공개 기념식에 아코마 푸에블로 대표가 참석하여 항의하는 등 논란은 계속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강조하며,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반성을 촉구하는 입장이다. 오냐테 동상 건립과 관련된 논란을 통해 역사적 정의와 화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원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7. 1. 동상 건립과 관련된 갈등

오냐테의 동상은 그의 역사적 행적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건립 초기부터 많은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뉴멕시코주 알칼데와 텍사스주 엘파소에 세워진 동상은 원주민 단체와 인권 운동가들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

알칼데 동상은 1998년 오냐테 도착 40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되었으나, 1997년 12월 29일 동상의 오른발이 절단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아코마 학살 당시 오냐테가 원주민들의 발을 자르도록 명령한 것에 대한 항의의 표시였다.[34] 범인은 "공정하게"라는 메모를 남겼고, 지역 영화 제작자 크리스 아이어는 범인 중 한 명이 "오냐테와 그의 지지자들은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발을 잘랐다고 전했다.[35] 조각가 레이날도 리베라(Reynaldo Rivera)는 발을 다시 주조했지만, 이음새는 여전히 남아있다. 일부에서는 아코마 학살을 상징하는 의미로 조각상을 절단된 채로 남겨두자는 제안도 있었다.[35] 2017년에는 조각상의 왼발이 빨간색으로 칠해지고, 기념비 기단에 "1680년을 기억하라"(푸에블로 반란의 해)는 글자가 쓰여지는 사건도 발생했다.[36] 2020년 6월 15일, 리오 아리바 군은 미국 전역의 논란이 많은 조각상 철거에 대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각상을 일시적으로 철거했다.[37]

엘파소 동상은 2007년에 건립되었으나, 역시 원주민 단체들의 반발에 직면했다. 엘파소 시는 1997년 조각가 존 셔릴 하우저에게 오냐테의 기마상 제작을 의뢰했다. 하지만 항의가 거세지자 시의회 의원 두 명이 프로젝트 지지를 철회했다.[34] 2백만 달러가 투입된 이 조각상은 제작에 거의 9년이 걸렸고, 2006년 초에 완성되어 엘파소로 운송, 10월에 설치되었다.[43] 2007년 4월 21일 제막식이 열렸으며, 무게 18톤, 높이 약 10.36m의 이 조각상은 미국에서 가장 높은 조각상 중 하나이자 세계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청동 기마상이다. 오냐테는 안달루시안 말 위에 올라타 오른손에 라 토마 선언문을 들고 있다. 그러나 오냐테의 아코마 푸에블로 부족에 대한 잔혹 행위 때문에 아코마 부족 등의 항의가 잇따랐다.[45] 논란을 완화하기 위해 동상의 이름을 "기마상"으로 변경했지만,[46] 논란은 계속되었고 2020년 6월에는 훼손되기도 했다.[47]

7. 2. 한국의 관점과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대한민국에서는 오냐테의 탐험과 식민지 건설이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들에게 끼친 부정적인 영향에 주목하며, 그의 행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특히, 그의 잔혹 행위는 오늘날의 인권과 민족 간 화합의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61]

1991년 뉴멕시코주 에스파뇰라에 오냐테의 브론즈상이 세워졌으나, 1998년 그의 아코마 푸에블로 학살을 비판하는 누군가가 동상의 오른발을 절단하고 "Fair is fair"(이걸로 공정하다)라는 낙서를 남기는 사건이 발생했다.[50] 이는 오냐테의 행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997년 엘파소 시는 조각가 존 셰릴 하우저에게 오냐테 동상 제작을 의뢰했으나, 항의가 잇따르자 두 명의 시의원이 동의를 철회했다.[50] 2007년 엘파소 국제공항에 설치된 오냐테 기마상은 세계 최대 규모의 기마상이지만, 공개 기념식에 아코마 푸에블로 대표가 참석하여 항의하는 등 논란은 계속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강조하며,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반성을 촉구하는 입장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오냐테 동상 건립과 관련된 논란을 통해 역사적 정의와 화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원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ackground ! The Last Conquistador https://www.pbs.org/[...] 2008-01-22
[2] 간행물 Oñate's Foot: Remembering and Dismembering in Northern New Mexico 2008
[3] 웹사이트 400 years later, Acoma protests Spanish cruelty – Timeline – Native Voices https://www.nlm.nih.[...]
[4] 뉴스 Controversy surrounding 'The Last Conquistador' statue in El Paso topic of documentary http://www.mrt.com/e[...] 2008-07-10
[5] 뉴스 County Takes Down Oñate Monument http://www.riogrande[...] 2020-06-15
[6] 서적 The Last Conquistador : Juan de Oñate and the Settling of the Far Southwes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1
[7] 문서 Piety and privilege collide in Juan de Oñate’s Jewish-converso lineage http://www.elpalacio[...] El Palacio The Magazine of the Museum of New Mexico 2016
[8] 서적 'Doña Teresa Confronts the Spanish Inquisition: A Seventeenth-Century New Mexican Dram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6
[9] 서적 'Encyclopedia of Frontier Biography: G–O'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1
[10] 서적 Kiva, Cross, and Crown: The Pecos Indians and New Mexico, 1540–1840 National Park Service
[11] 서적 Moquis and Kastiilam: Hopis, Spaniards, and the Trauma of History, Volume I, 1540–1679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2] 서적 'Historia de la Nueva México, 1610 : a critical and annotated Spanish/English edition' https://books.google[...] UNM Press
[13] Youtube Who Was Juan De Oñate? A Look At The Conquistador's Violent Legacy In New Mexico https://www.npr.org/[...]
[14] 웹사이트 San Gabriel de Yunque-Ouinge: San Juan Pueblo, New Mexico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15] 문서 Simmons, p. 145
[16] 서적 When Jesus Came, the Corn Mothers Went Away: Marriage, Sexuality, and Power in New Mexico, 1500–1846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02-01
[17] 문서 Simmons, p. 143
[18] 서적 New Mexico past and futur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06
[19] 웹사이트 'OPINION ! An accurate accounting of the history of Oñate' https://www.abqjourn[...] 2020-06-22
[20] 문서 Spanish Exploration in the Southwest, 1542–1706 Charles Scribner's Sons 1916
[21] 문서 Bolton, 257
[22] 문서 Bolton, 253
[23] 문서 Wichita Culture History 1992
[24] 문서 Bolton, 264
[25] 웹사이트 Yunque Yunque – New Mexico Ghost Town http://www.ghosttown[...]
[26] 문서 'European-contact and Southwestern Artifacts in the lower Walnut Focus Sites at Arkansas City Kansas' 2000
[27] 간행물 Onate's Expedition to the Southern Plains: Routes, Destinations, and Implications for Late Prehistoric Cultural Adaptations
[28] 서적 The Pawnee Indian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51
[29] 문서 Vehik, 22–23
[30] 문서 Don Juan de Oñate, Colonizer of New Mexico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53
[31] 웹사이트 'Background | the Last Conquistador | POV | PBS' https://www.pbs.org/[...] 2008-01-22
[32] 서적 'The Last Conquistador: Juan de Oñate and the Settling of the Far Southwes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1
[33] Youtube Paying homage to Gallup’s north side http://www.gallupsun[...] Gallup Sun 2017-09-22
[34] 뉴스 'As a Sculpture Takes Shape in Mexico, Opposition Takes Shape in the U.S.' https://query.nytime[...] 2002-01-17
[35] 뉴스 Vandals maim bronze sculpture at visitors center near Espanola 1998-01-08
[36] 뉴스 Statue's Stolen Foot Reflects Divisions Over Symbols of Conquest https://www.nytimes.[...] 2017-09-30
[37] 웹사이트 County Takes Down Oñate Monument http://www.riogrande[...] 2020-06-15
[38] 웹사이트 Oñate statue taken down, for now https://www.taosnews[...] 2020-06-15
[39] podcast Monumental Lies https://www.revealne[...] Reveal (podcast) 2018-12-08
[40] 웹사이트 La Jornada and Numbe Whageh Form the Cuarto Centenario Memorial to Represent the Past and Present of Albuquerque: Two Memorials, Many Perspectives, One Monument https://themonumento[...]
[41] 간행물 New Mexico's Cuarto Centenario: History in Visual Dialogue https://digitalrepos[...] The Public Historian, University of New Mexico Digital Repository 2011
[42] 웹사이트 Remembering 400 Years of Exile http://greenfiretime[...] 2014-08
[43] 웹사이트 POV – The Last Conquistador https://www.pbs.org/[...]
[44] Youtube The Last Conquistador https://vimeo.com/25[...]
[45] 서적 Deconstructing Eurocentric Tourism and Heritage Narratives in Mexican American Communities: Juan De Oñate as a West Texas Icon Milton: Routledge
[46] 웹사이트 The Equestrian {{!}} XII Travelers Memorial of the Southwest https://www.xiitrave[...]
[47] 웹사이트 'The Equestrian' Don Juan de Oñate statue at El Paso airport vandalized https://kfoxtv.com/n[...] 2020-06-12
[48] 서적 The Last Conquistador:Juan de Oñate and the Settling of the Far Southwes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49] 서적 Encyclopedia of Frontier Biography: G-O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0] 뉴스 As a Sculpture Takes Shape in Mexico, Opposition Takes Shape in the U.S. https://www.nytimes.[...] 2002-01-17
[51] 서적 The Last Conquistador:Juan de Oñate and the Settling of the Far Southwes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2] 서적 Spanish Exploration in the Southwest, 1542-1706 Charles Scribner's Sons
[53] 문서
[54] 문서
[55] 간행물 Wichita Culture History
[56] 문서
[57] 간행물 Onate's Expedition to the Southern Plains: Routes, Destinations, and Implications for Late Prehistoric Cultural Adaptations.
[58] 간행물 European-contact and Southwestern Artifacts in the lower Walnut Focus Sites at Arkansas City Kansas
[59] 문서
[60] 서적 Don Juan de Oñate, Colonizer of New Mexico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60] 간행물 Geographies of Fact and Fantasy: Oñate on the Lower Colorado River, 1604-1605
[61] 서적 The Last Conquistador: Juan de Oñate and the Settling of the Far Southwest, book tit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62] 웹사이트 광야의 소리2020년 7/8월호-충격으로 번진 오냐테 동상 철거 http://voice.kumcabq[...]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