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르모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르모크는 필리핀 레이테 섬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동비사야스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1597년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기독교가 전파되었고, 스페인,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주둔지가 되기도 했다. 1947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1991년 열대폭풍 우링으로 인한 대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고, 2013년에는 태풍 하이옌으로 도시의 90%가 파괴되는 등 자연재해를 겪었다. 현재는 농업, 수산업, 산업, 관광 등이 경제의 기반이며, 다나오 호, 통고난 온천 국립공원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테주 - 오르모크만
  • 레이테주 - 2006년 레이테 산사태
    2006년 레이테 산사태는 필리핀 레이테 섬의 긴사우곤 마을을 덮쳐 초등학교 매몰과 마을 파괴를 일으키고 1,126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대규모 산사태로,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국제 사회의 지원과 재건 노력이 뒤따랐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항구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오르모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오르모크 해변 풍경
오르모크 만에서 바라본 오르모크 시가지
위치필리핀 레이테 주 (지리적으로만 해당)
해발고도m
최대 해발고도1318 m
최소 해발고도0 m
일반 정보
별칭Ormoc, Beautiful Land (아름다운 땅 오르모크)
국가필리핀
창립1834년 2월 26일
시 승격1947년 6월 21일
바랑가이 수}} (바랑가이 목록)
인구()
인구 밀도auto
인구 명칭Ormocanon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PST)
UTC 오프셋+8
정치 및 행정
시장Lucy Torres-Gomez (PFP)
부시장Leo Carmelo J. Locsin Sr. (PFP)
하원 의원Richard I. Gomez (PFP)
시의회Nolito M. Quilang
Eusebio Gerardo S. Penserga
Benjamin S. Pongos
Gregorio G. Yrastorza
Lalaine A. Marcos
Roiland H. Villasencio
Tomas R. Serafica
Peter M. Rodriguez
Jasper M. Lucero
Vincent L. Rama
유권자 수()
경제
빈곤율% ()
서비스 제공
전기}}
기타 정보

2. 역사

1595년 예수회 선교사들이 레이테에 도착하면서 오르모크 지역에 선교지가 설립되었고, 주민들은 기독교로 개종했다. 1634년에는 술루 술탄국의 침략으로 300명의 원주민이 포로로 잡히는 사건이 발생했다.[1]

미국 식민지 시대인 1903년에는 알부에라 시가 오르모크에 통합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육군의 소규모 부대가 오르모크에 주둔했으며, 오르모크 만 해전이 발발하기도 했다. 이후 오르모크는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1947년 10월 20일, 오르모크는 공화국 법률 제179호에 따라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동비사야스 지역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8]

1991년 열대폭풍 우링으로 인해 오르모크 시는 큰 피해를 입었다. 시 정부는 4,922명의 사망자와 3,000명의 실종자(모두 사망 추정), 14,000채의 주택 파괴, 그리고 6억필리핀 페소가 넘는 재산 피해를 기록했다.[10] 불법 벌목과 '카잉긴'(화전 농업)이 홍수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10] 2011년에는 이 사건 20주기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2]

2013년 태풍 하이옌으로 인해 오르모크 시 건물의 90%가 파괴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14]

2022년에는 읍면동 통합 주민투표가 실시되어, 기존 29개 읍면동이 4개 읍면동(북, 동, 서, 남)으로 통합되었다.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1년 제52호 조례에 대한 2022년 주민투표 결과
찬성반대유효표무효표총 투표수등록 유권자투표율
4,7675385,305225,32710,20952.18%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95년 7월 16일, 예수회 선교사들이 레이테에 도착했다. 1597년 5월, 이 선교사들에 의해 오르모크에 선교지가 설립되었다. 그 해, 현지 주민들은 기독교로 개종했다. 1634년 술루 술탄국의 지배자 무왈릴 와싯 1세(Muwallil Wasit I of Sulu)이자 라자 붕수(Raja Bungsu)라 불리는 인물이 해적들을 이끌고 침략하여 오르모크에서 300명의 원주민을 사로잡았다.[1] 소고드, 카발리안(Kabalian, 현재의 남레이테 산후안), 이노파칸, 바이바이 마을들도 침략당하고 약탈당했다.[1] 오르모크 주민들은 라자와 그의 부하들과 싸웠지만, 수적으로 열세여서 마지막 한 사람까지 학살당했다.[1]

2. 2. 미국 식민지 시대

1903년, 알부에라 시가 오르모크에 통합되었다.[7]

2. 3. 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 점령과 제2 필리핀 공화국 통치 시기, 오르모크는 일본 제국 육군 소규모 부대의 주둔지였다. 연합군이 시 근처에 접근하자 일본군은 도시를 증원하기 시작했고, 오르모크 만 해전이 발발했다. 이후 오르모크는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2. 4. 시 승격

오르모크는 1947년 10월 20일 공화국 법률 제179호에 따라 도시가 되었으며, 필리핀에서 15번째 도시이자 동비사야스 지역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8]

2. 5. 1991년 대홍수

1991년 11월 5일 오전, 오르모크 지역은 열대폭풍 우링으로 인해 침수되었다. 시 정부는 사망자 4,922명, 실종자 3,000명, 파괴된 주택 14,000채, 그리고 6억필리핀 페소가 넘는 재산 피해를 기록했다.[10] 실종자 3,000명은 모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1] 홍수의 원인으로는 불법 벌목과 '카잉긴'(화전 농업)이 지목되었다.[10] 폭우로 인해 아닐라오 강과 말바사그 강 상류에 물이 고였다가 오르모크 저지대, 특히 이슬라 베르데로도 알려진 26지구로 쏟아졌다.[10]

2011년 11월 5일, 이 사건 20주기를 기념하는 국가 예술가 프랜시스 신코의 기념비가 제막되었다.[12] 이 기념비는 약 4,900명의 희생자가 매장된 오르모크 시 공동묘지의 집단 무덤 위에 세워져 있다.[13] "생명의 선물"이라는 제목의 조각상은 천국으로 떠나는 생명을 추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10][12]

2. 6. 2013년 태풍 하이옌

2013년 11월 7일,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열대 저기압 중 하나인 태풍 하이옌이 필리핀에 상륙했다. 사망자 수는 우링 열대폭풍보다 훨씬 적었지만, 도시 전역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으며 건물의 90%가 파괴되었다.[14]

1991년 11월에는 태풍 25호의 영향으로 오르모크 지역에 폭우와 산사태가 발생하여 5,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오르모크 시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2013년 11월에도 중심기압이 895hPa에 달하는 매우 강력한 태풍 30호가 레이테섬에 상륙하여 오르모크를 통과했다. 당초 피해 정보는 레이테섬의 중심 도시 타클로반과 그 주변에 국한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타클로반으로 향하려던 각 언론 기관들이 항공편 수송량의 한계로 세부에서 해로를 통해 오르모크에 상륙하면서, 피해가 오르모크를 포함한 레이테주 전체에 걸쳐 있음이 밝혀졌다.

2. 7. 2022년 읍면동 통합 주민투표

2021년 1월 19일, 오르모크 시의회는 포블라시온(Poblacion)에 위치한 여러 읍면동을 통합하고 이름을 변경하는 제52호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이 조례에 따라 읍면동은 다음과 같이 통합 및 변경되었습니다.

  • 1~8, 12, 13, 15, 17, 23, 27번 읍면동 → '''남(South)''' 읍면동
  • 9~11, 16, 18, 25, 28번 읍면동 → '''동(East)''' 읍면동
  • 14, 19~22, 24, 26번 읍면동 → '''서(West)''' 읍면동
  • 29번 읍면동 → '''북(North)''' 읍면동


이 조례는 주민투표를 통해 결정되도록 하였으며, 비엑스크레임 및 엑스크레임 발생을 막기 위해 각 읍면동별 득표수가 아닌 제안된 행정 구역의 과반수 득표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였습니다. 당시 시장이었던 리처드 고메즈(Richard Gomez)는 2021년 1월 22일 이 조례를 승인했습니다.[15][16][17][18][19] 2022년 6월 22일, 필리핀 선거관리위원회는 제10796호 결의를 통해 10월 8일에 주민투표를 실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15][16][17][18][19]

주민투표는 오르모크 시 중앙학교에 35개 투표소를 설치하여 진행되었으며, 29개 읍면동의 등록 유권자 10,209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투표 결과, 유권자 투표율은 절반을 넘었고, 그중 대다수가 재편에 찬성했습니다.[20][21][22]

2021년 제52호 조례에 대한 2022년 주민투표 결과
찬성반대유효표무효표총 투표수등록 유권자투표율
4,7675385,305225,32710,20952.18%



제안된 읍면동별 결과
제안된 읍면동찬성반대유효표실제 투표자등록 유권자
총계%총계%총계%총계%
북(North)23698.74%31.26%239100.00%23910.44%2,290
동(East)1,54687.19%22712.81%1,773100.00%1,77366.58%2,663
서(West)1,39593.94%906.06%1,48599.13%1,49861.07%2,453
남(South)1,59087.94%21812.06%1,80899.50%1,81764.82%2,803
총계4,76789.86%53810.14%5,30599.59%5,32752.18%10,209


3. 지리

오르모크는 레이테섬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도시이며, 동비사야스 지역에서는 사마르섬의 칼바요그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오르모크 만 입구에 위치하며, 완만하게 구릉진 평야가 주를 이룬다. 북서쪽으로는 마타고브, 메리다, 북쪽으로는 카낭가, 카리가라, 북동쪽으로는 자로, 파스트라나, 다가미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알부에라와 경계를 이룬다. 높은 산맥이 도시를 레이테섬 동부와 분리한다.[23]

오르모크에는 여러 강과 개울이 흐르는데, 북쪽에는 바오 강, 서쪽에는 파상가한 강, 남쪽에는 바공봉 강과 파닐라한 강이 있다. 아닐라오 강과 말바사그 강은 도시 중심부의 동쪽과 서쪽 경계를 이룬다.[23]

다나오 호는 바이올린 모양의 길이 3km 호수로, 해발 640m에 위치한다. 거대한 뱀장어가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보트 대여와 호수 위 레스토랑이 있다. 톤고난 온천 자연공원은 주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지열 발전의 근원지로, 필리핀 최초의 지열 발전이 이루어진 곳이다.

3. 1. 행정 구역

오르모크는 행정 구역상 85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포함한다.[1]

조례에 따라 29개의 바랑가이가 4개로 통합되면서 바랑가이의 수는 110개에서 감소했다.[1]

바랑가이 목록


3. 2.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8°C29°C29°C30°C30°C30°C29°C29°C29°C29°C29°C29°C
평균 최저 기온 (℃)22°C22°C22°C23°C25°C25°C25°C25°C25°C24°C24°C23°C
평균 강수량 (mm)78mm57mm84mm79mm118mm181mm178mm169mm172mm180mm174mm128mm
평균 강우 일수 (일)16.713.817.318.523.226.527.126.026.427.524.621.0



자료 출처: Meteoblue[43]

4. 인구

오르모크의 인구는 필리핀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인구 조사를 통해 집계된다. 오르모카노라고 불리는 이 도시의 원주민들은 레이테섬 서부와 남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한다. 도시 내에는 와라이어 사용자도 일부 존재한다.

오르모크 인구 조사[1][2][3][4]
연도인구
190316,126
191838,174
193977,349
194872,733
196062,764
197084,563
197589,466
1980104,978
1990129,456
1995144,003
2000154,297
2007178,605
2010191,200
2015215,031
2020230,698


4. 1. 종교

성 베드로와 바울 교회


대부분의 필리핀인과 마찬가지로 오르모카논(Ormocanons)은 대부분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이 도시는 수호성인인 성 베드로와 성 바울을 기리는 연례 축제를 6월 28일과 29일에 거행한다. 바랑가이의 지역 축제를 포함한 다른 주요 가톨릭 성일들은 연중 내내 지켜진다. 도시 내부와 섬 전체에 걸쳐 무슬림 소수 민족이 눈에 띄게 존재하며, 도시 경관 내의 모스크가 이를 증명한다. 이들 대부분은 민다나오의 라나오 델 노르테 주와 라나오 델 수르 주 출신의 마라나오족이다.

5. 경제

아빌레스 거리


레알 거리


오르모크는 농업, 수산 양식, 산업, 관광 및 상업 서비스가 혼합된 경제 기반을 가지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사탕수수, 쌀, 파인애플이 있다. 톤고난 지역에는 톤고난 지열 발전소가 위치해 있으며, 인근 카낭가 마을과 함께 국가 전력 수요의 상당 부분을 공급한다. 또한, 이사벨 마을에 있는 레이테 산업 개발 단지의 관문 역할을 하며, 필리핀 인산 비료 공장, 필리핀 제련 및 정제 회사 등 여러 산업체가 위치해 있다.[25]

오르모크시의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

연도200620092012201520182021
빈곤율(%)43.840.433.928.422.627.8


5. 1. 주요 산업

오르모크의 경제는 농업, 수산 양식, 산업, 관광 및 상업 서비스가 혼합된 형태이다. 사탕수수, , 파인애플이 주요 농산물이다.

이 도시는 톤고난 지역(Barangay Tongonan)에 있는 톤고난 지열 발전소와 인근 카낭가 마을의 풍부한 지열 자원을 통해 국가 전력 수요의 상당 부분을 공급하고 있다. 오르모크는 또한 인근 이사벨 마을에 있는 레이테 산업 개발 단지의 관문 역할을 한다. 이곳에는 아시아 최대의 비료 공장인 필리핀 인산 비료 공장과 필리핀 최대의 구리 가공 공장인 필리핀 제련 및 정제 회사를 비롯한 여러 산업체가 있다.

오르모크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발전소인 톤고난 지열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발전소는 동비사야스 지방뿐만 아니라 루손과 민다나오의 전력 수요도 공급하고 있다.

톤고한 온천 자연공원은 주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지열 발전의 근원이 되는 계곡이다. 필리핀 최초의 지열 발전이 이루어진 곳이다.

6. 문화

오르모크 시민들은 자신들을 오르모카논(Ormocanon)이라고 부른다. 그들은 레이테섬 서부 지역과 마찬가지로 세부아노어를 사용한다. 사람들은 와라이어를 사용하는 레이테섬 동부의 주도인 타클로반보다 바다를 사이에 둔 세부섬과 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많은 필리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오르모크 사람들도 대부분 가톨릭 신자이며, 매년 한 번씩 도시의 수호성인인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를 기리는 축제를 개최한다. 축제일은 6월 28일과 6월 29일이다. 또한 연중 내내 가톨릭과 관련된 축제가 열린다.

7. 관광

오르모크 시에는 다나오 호, 통고난 온천 국립공원, 파인애플 농장, 센테니얼 공원, 카수드수란 호, 알토 봉우리, 사야한 폭포, 푸엔테 델라 레이나, 서레이테 게릴라전 기념비, 도미나도르 탄 의원 저택 터, 오르모크 에코파크 및 타운십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33][34][35][36][37][38][39][40][41]

7. 1. 주요 관광지


  • '''다나오 호'''는 해발 640m에 위치한 길이 3km의 바이올린 모양 호수이다. 수상 별장이 있으며, 보트 대여가 가능하고, 향후 집라인이 설치될 예정이다. 과거 이멜다 호(Lake Imelda)로 불렸으며, 1998년 2월 3일 다나오 호 국립공원으로 이름이 변경, 1992년 국가 통합 보호 구역 시스템 법(National Integrated Protected Area System Act)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33] 호수에는 거대한 뱀장어가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보트 대여와 호수 위 레스토랑도 있다.
  • '''통고난 온천 국립공원'''은 해발 600m에 위치한 울창한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레이테 산악 트레일 서쪽 끝에 있는 272ha 규모의 공원으로, 오르모크 시에서 북동쪽으로 18km 떨어져 있다. 서늘한 기후와 무성한 열대 식물, 따뜻한 약탕, 시간당 끓는 물과 증기를 분출하는 동굴 같은 언덕 간헐천, 황화물 증기를 내뿜는 지형 등이 있다. 이 지역 전체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지열 에너지원이 있는 계곡이며, 필리핀 최초의 지열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 '''파인애플 농장'''은 도시 북쪽 히부나원(Hibunawon) 마을의 구릉 지대 210ha에 걸쳐 있다. 오르모크의 퀸 파인애플은 그 단맛으로 유명하며, 인기 있는 선물이자 도시의 비공식적인 상징이다. 이 농장은 시 부시장 가문인 로크신(Locsins) 가문이 소유하고 있다.[34]
  • '''센테니얼 공원'''은 1990년대 초 레이테와 필리핀의 해방을 위해 싸운 필리핀 군인들을 기리기 위해 건설된 참전 용사 공원이다. 필리핀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98년 센테니얼 기념비가 세워졌다. 도시에 있는 이 공원은 젊은이와 노인 모두에게 휴식과 피크닉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35]
  • '''카수드수란 호(Lake Kasudsuran)'''는 오르모크의 세 개의 아름다운 호수 중 하나로, 레이테 주 오르모크 시 가아스(Gaas) 마을에 있다. 5ha 규모의 카수드수란 호는 오르모크 시에서 북동쪽으로 27km(차로 45시간) 떨어진 가아스(Ga-as) 마을의 원시림과 해발 1000m의 야나그단 산(Mt. Janagdan) 고원에 있다. 이 호수는 도보로만 접근할 수 있다.
  • '''알토 봉우리(Alto Peak)'''는 동비사야스(8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은 채소 농장 등이 있는 농업 공동체의 고향이기도 하다.[36] 아민두에우엔 산(Mt. Amindueuen)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레이테 자로 시에 속하지만, 출발점은 오르모크 시 카빈탄(Cabintan) 마을에 있다.
  • '''사야한 폭포(Sayahan Falls)'''는 오르모크 시 가아스(Gaas) 마을 마글라후그(Maglahug) 지역에 있는 새롭게 발견된 명소이다. 지역 관광객이 소셜 미디어에 사진을 올린 후 널리 공유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37]
  • '''푸엔테 델라 레이나(Puente dela Reina)'''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로 알려져 있다. 오래전 시대의 유물인 그 돌길은 아직도 온전하게 남아 있다. 1800년대 초에 건설이 시작되어 1861년에 완공되었다. 스페인 시대에는 중국, 자바, 인도네시아인들이 생산물을 팔기 위해 자주 찾던 돛단배와 빈타(vintas)의 정박지로 사용되었다. 이 다리는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38]
  • '''서레이테 게릴라전 기념비(Western Leyte Guerrilla Warfare Forces Monument)'''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점령군과의 게릴라전에서 싸운 필리핀 저항군을 기념하는 기념비이다.[39]
  • '''도미나도르 탄 의원 저택 터(Ruins of Cong. Dominador Tan Residence)'''는 1930년대에 지어진 탄 저택 터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저택은 레이테의 일본군 주둔지가 되었다. 해방 전 오르모크 폭격, 즉 "오르모크 만 해전" 중 파괴되었다. 탄 저택 터는 이곳을 방문하는 일본인들에게는 마치 기념비와 같다. 일본과 필리핀 양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당처럼 취급된다. 이는 도미나도르의 젊은 시절 사랑을 나타내는 기념비일 뿐만 아니라 오르모크 역사의 증인이기도 하다.[40]
  • '''오르모크 에코파크 및 타운십(Ormoc ecopark and township)''' 나우간(Naungan) 마을의 어부들과 환경 운동가들은 프리미엄 랜드 코퍼레이션(Premium Lands Corporation)의 8000만필리핀 페소 규모 나우간 에코파크 및 대도시-타운십 프로젝트에 항의했다. 파그티낭가이 재단(Pagtinabangay Foundation) 조정관인 장 쥐스팀바스테(Jean Justimbaste)는 이 타운십이 오르모크 시민의 식량 안보, 생계, 그리고 지역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41]

8. 교통

오르모크 항구는 이 도시의 해상 운송 중심지 역할을 한다. 오르모크 공항이 있지만, 정기적인 상업용 항공편은 운항하지 않는다. 상업용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타클로반의 다니엘 Z. 로무알데스 공항이 가장 가까운 공항이다.

오르모크 항구


오르모크 공항

9. 교육

동부비사야스 주립대학교 - 오르모크 캠퍼스


오르모크는 서레이테의 교육 중심지이다. 공립 및 사립 초중고등학교가 다수 있다. 고등교육은 원래 베네딕트회가 운영하는 가톨릭 대학교이자 가장 오래된 학교인 세인트 피터스 칼리지 오브 오르모크에서 시작되었고, 그 뒤를 이어 사립 비종파 대학교인 웨스턴 레이테 칼리지 오브 오르모크 시티가 설립되었다.[42] 1980년대~1990년대에는 산토 니뇨 칼리지 오브 오르모크, 세인트 폴스 스쿨 오브 오르모크 파운데이션, 그리고 STI 칼리지 - 오르모크가 설립되었다. 2000년대에는 ACLC 칼리지 오브 오르모크(AMA 컴퓨터 대학교 분교), 산 로렌조 루이스 칼리지 오브 오르모크, 오르모크 시 기술 연구소(OCIT), 동부비사야스 주립대학교 오르모크 캠퍼스가 설립되었다.

오르모크에는 오르모크 세산 학교라는 중국 학교도 있다.

10. 저명한 인물


  • 존리엘 카시메로 - 프로 권투 선수
  • 모니카 쿠엔코 - 가수, 극장 배우
  • 레이 에반젤리스타 - 전 프로 농구 선수
  • 리처드 고메즈 - 배우, 전 오르모크 시 시장, 현 레이테 제4선거구 국회의원
  • 치코 라네테 및 가르보 라네테 - 프로 농구 선수
  • 제나이다 몬사다 - 화학자, 필리핀 에너지부 권한대행 장관
  • 루시 토레스 고메즈 - 배우, 전 레이테 제4선거구 국회의원, 오르모크 시 시장
  • 로버트 볼릭 - 프로 농구 선수
  • 아날린 바로 - 배우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CEBU CEO VISITS ORMOC CITY AND ENGAGES FINANCIAL LITERACY TO COMMON PEOPLE https://web.archive.[...] FINWAZE.com 2018-12-13
[3] 웹사이트 Introducing ORMOC https://web.archive.[...] Filipino Homes 2018-11-22
[4] 웹사이트 TUGOB, an Ormoc City Festival https://web.archive.[...] 2013-10-26
[5] 웹사이트 Ormoc City History Tourist Spots, Language and Festivals Philippines Cities https://philippinesc[...] 2022-09-03
[6] Youtube Ormoc City's Historical Video https://www.youtube.[...] 2022-09-15
[7] 웹사이트 Philippine Commission Act No. 954: An Act Reducing the Forty-nine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Leyte to Thirty-three https://issuances-li[...] Philippine Senate Library 2023-07-01
[8]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179 – An Act Creating Ormoc City http://www.chanroble[...] 1947-06-21
[9] 웹사이트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Kananga, Leyte, in the province of Leyte http://lawph.com/sta[...] LawPH.com 2011-04-09
[10] 뉴스 Ormoc rises from flash flood tragedy http://newsinfo.inqu[...] 2013-05-20
[11] 웹사이트 Tortured by Typhoons https://web.archive.[...] 2013-05-20
[12] 뉴스 Monument marks 20th year of Ormoc flashflood tragedy http://newsinfo.inqu[...] 2013-05-20
[13] 웹사이트 Mass Grave http://www.viajeintl[...] Fran-Con Viaje International 2013-05-20
[14] 뉴스 Overshadowed by Tacloban, Other Devastated Philippine Cities Fear Aid Will Not Come (Published 2013) https://www.nytimes.[...] 2013-11-14
[15] 웹사이트 Resolution No. 10796 https://comelec.gov.[...] Commission on Elections (Philippines) 2022-09-04
[16] 뉴스 Comelec starts printing ballots for four plebiscites https://mb.com.ph/20[...] 2022-08-03
[17] 뉴스 Comelec to hold 4 plebiscites https://www.manilati[...] 2022-08-10
[18] 뉴스 Comelec seeks support for orderly village polls, plebiscites https://www.pna.gov.[...] 2022-08-17
[19] 뉴스 Ormoc City to hold plebiscite to merge 28 villages into 3 https://newsinfo.inq[...] 2022-09-19
[20] 뉴스 Plebiscite on merger of barangays in Ormoc today https://www.philstar[...] 2022-10-08
[21] 뉴스 Comelec declares successful holding of Ormoc City plebiscite https://newsinfo.inq[...] 2022-10-08
[22] 뉴스 Ormoc City residents ratify merger of 28 barangays into 3 https://www.rappler.[...] 2022-10-08
[23] 웹사이트 Ormoc City, Leyte https://web.archive.[...] 2012-07-13
[24] 웹사이트 Ormoc: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2-29
[25]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26]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00
[27]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03
[28]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06
[29]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12
[30]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15
[31]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18
[32] 웹사이트 Wikidata item 2021
[33] 웹사이트 Lake Danao: A Guitar-Shaped Lake in the Province of Leyte https://web.archive.[...] Choose Philippines 2016-05-03
[34] 뉴스 Ormoc City: Beauty beyond tragedy https://web.archive.[...] 2017-08-03
[35] 웹사이트 WWII Veterans' & Centennial Park https://web.archive.[...] Viaje International 2018-10-25
[36] 웹사이트 Alto Peak (1,332+) http://www.pinoymoun[...] Pinoy Mountaineer 2018-10-23
[37] 웹사이트 Weekend Adventure to Sayahan Falls Traverse to Lake Kasudsuran https://makoysworld.[...] Makoys World 2018-11-12
[38] 웹사이트 Heritage Sites of Ormoc http://ormoc.islands[...] WikiMapia 2018-10-17
[39] 웹사이트 Memorial Guerilla Warriors https://www.tracesof[...] Traces of War 2018-10-29
[40] 웹사이트 Tan Mansion Ruins: A Mansion That Witnessed the Historic Battle of Ormoc http://www.choosephi[...] Choose Philippines 2018-10-24
[41] 뉴스 Ormoc City fishing town fears displacement as ‘mega city’ rises https://www.rappler.[...] Rappler 2024-06-02
[42] 웹사이트 WLC-Website https://wlcormoc.wor[...]
[43] 웹인용 Ormoc: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