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모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모어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족으로, 분류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포함 여부를 두고 논쟁이 있다. 리오넬 벤더는 남오모어군과 북오모어군으로 나누었으며, 북오모어군은 디지어군, 마오어군, 공가기모얀어군으로 세분된다. 오모어파 언어는 교착어와 융합어의 특징을 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음운론적으로는 성조 언어이며, 명사 형태론은 주격-목적격-절대격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오모어파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포함 여부와 내부 분류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며, 일부 학자들은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베르베르어파
    베르베르어파는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사막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어족으로, '타마지흐트어'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현대 베르베르어는 비교적 동질적이며 기원 시기는 게르만어파나 로망스어파와 비슷하게 비교적 최근일 가능성이 높다.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유럽의 언어
    유럽의 언어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등 다양한 어족과 언어를 포함하며, 게르만어, 로망스어, 슬라브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유럽 연합은 24개의 언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한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오모어파
개요
이름오모어파
위치에티오피아, 수단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하위 어파
구분북오모어군 (Kaffa)
남오모어군 (Arii)
마오어군 (?)
언어 코드
ISO 639-5omv
GlottoCode없음
분포도
오모어파 분포
사용 인구
추정788만 9470명

2. 분류

오모어파의 분류는 학자마다 이견이 존재한다. 초기 조셉 그린버그(1963)는 오모어파를 쿠시어파의 서부 어군("서쿠시어")으로 분류했으나, 이후 플레밍(1969)과 벤더(1971)가 아프로-아시아어족의 독립된 분파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 견해가 널리 받아들여졌다.[18] 그러나 여전히 일부 언어학자들은 서쿠시어군으로 보거나,[19] 남오모어군만 독립시키고 북오모어군은 쿠시어파에 남겨두기도 한다. 블렌치(2006)는 어휘 비교를 통해 목축 시작 이전에 분기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으며,[20] 일부 학자들은 오모어파가 아프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지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거나[4][21] 독립된 어족으로 취급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5][22]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태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일원으로 보는 것이 현재까지는 일반적인 견해이다.[6][7][8][23]

오모어파 내부 분류 역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북오모어군과 남오모어군(아로이드어군) 설정은 비교적 보편적으로 인정되지만, 북오모어군의 세부 구성, 특히 마오어군의 위치에 대해서는 학자 간 논쟁이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오모어파 분류는 기본적으로 '''리오넬 벤더'''(2000)의 분류를 따르되, Ethnologue의 분류를 참고하여 일부 보완하였다. 이는 벤더(2000) 분류를 주로 따르는 영문 위키백과와는 세부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Ethnologue 분류와의 주요 차이점은 하위 언어들의 소속 관계 설정 및 오메토어 등의 지역별 세분화 여부 등이다.

주요 학자들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으며, 각 분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리오넬 벤더(2000)의 분류
  • Ethnologue의 분류
  • 헤이워드(Hayward, 2003)의 분류: 마오어군을 오모어족의 독립된 세 번째 분파로 설정.
  • 블렌치(Blench, 2006)의 분류: 다소 불확실성을 포함한 분류 제시.


한편, 함마르스트룀 등이 편찬한 Glottolog는 오모어군을 하나의 통합된 어족으로 인정하지 않고 아프로-아시아어족에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타-네 오모어군, 디조이드어군, 마오어군, 아로이드어군(남오모어군)을 각각 독립적인 어족으로 간주한다. 굴데만(Güldemann, 2018) 역시 통합된 오모어족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 네 어족을 인정한다.[9]

2. 1. 리오넬 벤더(2000)의 분류

벤더(2000)는 오모틱어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오모틱어족'''
  • *남오모틱어군 / 아로이드어군 (하머-반나어, 아리어, 디메어, 카로어)
  • *북오모틱어군 / 비아로이드어군
  • **마오어군

밤바시어
서마오어군 (호조어, 세제어, 간자어)

  • **디조이드어군 (디지어, 셰코어, 나이어)
  • **공가-기모잔어군

공가어군/케포이드어군 (보로어, 안필로어, 카파어, 셰카초어)
기모잔어군
*''옘사어''
*오메토-기미라어군
**''벤치어''
**''차라어''
**오메토어군

2. 2. Ethnologue의 분류

Ethnologue의 분류는 리오넬 벤더의 분류와 큰 차이는 없으나, 주요 언어들의 위계 관계가 바뀌어 있고, 몇몇 언어들을 구체적인 언어로 인정하지 않아 등재하지 않았거나, 큰 차이가 없다고 보는 몇몇 언어들을 하나로 묶어 취급한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 북오모어군
  • * 디지어 : 나이어, 디지어, 셰코어
  • * 공가기모얀어
  • ** 기모얀어

야니에로어 : 옘사어
오메토기미라어
* 차라어
* 기미라어 : 벤치어
* 오메토어
** 중부오메토어 : 도르제어, 가모고파도로어, 멜로어, 오이다어, 월라이타어
** 동오메토어 : 카차마가니울레어, 코레테어, 자이세제르굴라어
** 서오메토어 : 바스케토어
** 말레어

  • ** 공가카파어

중부공가카파어 : 안필로어
북공가카파어 : 보로어
남공가카파어 : 카파어
셰카초어

  • * 마오어
  • ** 동마오어 : 밤바시어
  • ** 서마오어 : 간자어, 호조어, 세조어
  • 남오모어군 : 아리어, 하메르어, 반나어, 디메어, 카로어


Ethnologue의 분류에는 도르샤어, 푸가어, 셰어, 메르어가 누락되어 있다. 또한, 가모어, 고파어, 도로어는 '가모고파도로어'로, 카차마어, 가니울레어는 '카차마가니울레어'로, 자이세어, 제르굴라어는 '자이세제르굴라어'로 통합되어 분류되었다.

2. 3. 헤이워드(Hayward) (2003)의 분류

헤이워드(Hayward)는 2003년 연구에서 마오어군을 오모어족의 독립된 세 번째 분파로 분류하고, 오메토-기미라어군을 분리하는 등 기존 분류와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그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

  • '''오모어족'''
  • *남오모어군
  • *마오어군
  • *북오모어군
  • **디조이드어군
  • **타-네어군

공가어군
기모잔어군
*''옘사어''
*''벤치어''
*오메토-카라어군

2. 4. 블렌치(Blench) (2006)의 분류

블렌치(Blench)는 2006년에 다음과 같이 다소 불확실성을 포함한 분류를 제시했다.[3]

  • '''오모어파'''
  • *남오모어파
  • *북오모어파
  • **마오어파
  • **디조이드어파
  • **공가어파 (케포이드어파)
  • **예므어
  • **기미라어
  • **오메토어파 (?차라어)


사멸한 보샤어†는 분류되지 않았다. 에스놀로그는 보샤어를 카파어의 방언으로 분류하지만, 별개의 언어일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다.

3. 특징

오모어파 언어들은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와 융합어의 특징을 모두 보인다. 예를 들어, 겜어에서는 접사가 비교적 명확하게 분리되는 교착어적 특징이 나타나지만(''am-se-f-∅-à'' 가다+복수+현재+3인칭+여성 “그들이 간다”[10]), 아리어에서는 어미가 여러 문법 기능을 동시에 나타내는 융합어적 특징을 보인다(''ʔíts-eka'' 먹다+3인칭 복수 종속절 “먹음으로써”[11]). 디지어나 벤치어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성조와 같은 초분절 형태소를 통해 굴절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접사가 변화한 결과로 여겨진다(벤치어 ''sum˩'' "이름", ''sum-s˦'' "이름을 짓다").

명사 형태론은 일반적으로 주격-목적격-절대격 체계를 따르며, 동사 형태론은 시제/상, 의문/진술, 긍정/부정 등 다양한 문법 범주에 따라 복잡하게 굴절하고 주어와 일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통사론적으로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이 일반적이며, 후치사를 사용한다. 이는 SOV 언어 및 에티오피아 지역 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다.

음운론적으로 오모어파 언어들은 평균 30개 미만의 자음 음소를 가지며, 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내 다른 어파들과 비교할 때 비교적 많은 수이다. 또한, 충분한 자료가 있는 모든 오모어파 언어는 성조 언어로 밝혀졌으며, 주로 높낮이 두 가지 성조를 구분하지만 일부 언어는 더 많은 성조를 가지기도 한다.

3. 1. 음운론

오모어족 언어는 평균적으로 30개 미만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비교적 많은 수이지만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다른 주요 어파에서도 발견되는 수치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음은 양순 파열음, 치경 파열음, 연구개 파열음, 성문 파열음과 다양한 마찰음, 치경 파찰음 그리고 /w/, /y/, /l/, /r/, /m/, /n/이다. 성문 파열음을 제외한 파열음의 특징은 각각 유성음, 무성음, 방출음 음소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세 가지 유형(유성, 무성, 방출)은 마찰음과 파찰음에서도 모두 발견된다.

대부분의 오모어족 언어는 추가적인 자음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남부 오모어군에서는 흡착음(/ɓ/, /ɗ/, /ɠ/)이 나타나며, 벤치어에서는 설후음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자음이 축약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모음 체계는 언어군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북부 오모어군과 마오어군의 대표적인 언어들은 5~6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모음의 길이(수량)가 부분적으로 의미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반면, 남부 오모어군에서는 훨씬 더 다양한 모음 체계가 일반적이다.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된 모든 오모어족 언어는 성조 언어이다. 일반적으로 높낮이 두 가지 성조만 구분하지만, 일부 언어는 더 많은 성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어는 세 가지, 벤치어는 여섯 가지 성조를 구분한다. 아리어와 간자어(마오어군)와 같은 특정 오모어족 언어는 각 독립적인 단어에 정확히 하나의 높은 성조가 부여되는 성조 강세 체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성조가 비교적 자유롭게 분포한다.

3. 2. 형태론

오모어파 언어들은 부분적으로 교착어이고 부분적으로 융합어인 형태론을 가진다.

  • 교착어: 겜어 ''am-se-f-∅-à'' 가다+복수+현재+3인칭+여성 “그들이 간다”[10]
  • 융합어: 아리어 ''ʔíts-eka'' 먹다+3인칭 복수 종속절 “먹음으로써”[11]


굴절은 디지어와 벤치어와 같은 개별 언어에서 초분절 형태소(성조 등)를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이는 부분적으로 접사가 변화한 결과로 보인다.

  • 벤치어 ''sum˩'' "이름", ''sum-s˦'' "이름을 짓다"


명사 형태론은 주격-목적격-절대격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명사는 수, 격,[12] 그리고 한정성과 같은 문법 범주를 구분하며, 이는 주로 접미사를 통해 표시된다. 이러한 접미사는 언어에 따라 융합적이거나 분석적일 수 있다. 충분한 자료가 있는 모든 오모어파 언어에서는 남성여성의 두 가지 성을 구분하며, 이는 대체로 자연 성과 일치한다. 격 체계는 오모어파 언어를 목적격 언어로 특징짓고, 다른 격들은 다양한 부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여러 오모어파 언어에는 인용 형태(기본형)와 직접 목적어를 표시하는 절대격이 존재한다(월라이타어 예시):

  • 절대격 ''keett-a'' "집"
  • 주격 ''keett-i'' "집"


일부 일반적인 격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주격 *-''i'' (공가-기모잔어, 디지-셰코어)
  • 목적격 *-''m'' (남도모틱어)
  • 소유격 *-''kV'' (공가-기모잔어, 디지-셰코어, 마오어, 디메어)
  • 여격 *-''s'' (공가-기모잔어, 디지-셰코어, 마오어?)


오모어파 내에서 유형론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벤치어에서 주격 표지가 인칭과 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i''˧ 또는 -''a''˧).

  • ''a˦tsin˦-a˧'' “여자” (3인칭 단수 여성)
  • ''nun˧-a˧'' "우리" (1인칭 복수 배타적)[13]
  • ''nas˦i˧'' “남자” (3인칭 단수 남성)[13]


대부분의 언어에서 단수는 특별히 표시되지 않지만, 복수는 고유한 접미사를 가진다. 일부 언어의 복수 접미사는 원래 독립적인 단어에서 파생된 분할 구문(periphrastic construction)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특정 복수 접미사의 길이, 소유격 단수 형태와의 형식적 연관성, 그리고 한정성 표시 접미사가 복수 접미사 앞에 오는 (유형론적으로 드문) 순서 등을 통해 뒷받침된다.

  • 디지어 ''kìan-à-kʾankàs'' 개+정관사+복수 “개들”
  • 예메어 ''ʔasú-nì-kitó'' 사람+소유격+복수 “사람들”


동사 형태론은 시제/상, 의문형-진술형, 긍정형-부정형과 같은 범주에 따른 복잡한 굴절 체계를 보인다. 또한 주어와의 일치는 비교적 예측 가능한 형태로 나타난다.

통사론적으로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이 일반적이며, 후치사가 사용된다. 이는 SOV 언어와 에티오피아 지역 언어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오모어파 언어의 인칭 대명사는 대부분 명사와 유사한 문법 범주(수, 격 등)를 구분한다. 그러나 성(gender)은 보통 3인칭 단수에서만 표시된다. 인칭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각 수-인칭-성 조합마다 고유한 어근을 가지며, 그 뒤에 모든 인칭에 공통적인 격 어미가 붙는 구조를 보인다. 일부 대명사는 다른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들과 유사성을 보여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반면, 특정 남부 오모어파 인칭 대명사는 이웃한 나일사하라어족 언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14]

다음은 오모어파 및 관련 어족의 인칭 대명사를 비교한 표이다.

rowspan="3" colspan="2" |1인칭2인칭3인칭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남성여성
오모어파북부 오모어파
원시 곤가-기모얀어*ta*nu~*no*no*int-*isi?*is-
원시 디지-셰코어*yeta*iti*iz-*iži*iš-
원시 마오어*ti-?*hiya*nam???
원시 남부 오모어파*inta*wo-ta*yaa/*in*ye-ta*nuo*naaa*ke-ta
기타아프리카아시아어족: 아카드어īk-a/k-īk-unu/k-inaš-uš-aš-unu/š-ina
나일어파: 테소어ɛɔŋɔɔnɪ/ɪs(y)ɔɪjɔyɛsɪŋɛsɪkɛsɪ



인칭 대명사와 명사의 격 어미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 아리어: 목적격 -m: ''yé-m'' "너(목적격)", ''fatir-in-ám'' "옥수수(목적격)"


소유 대명사는 특히 고유한 형태를 가진다.

  • 아리어: ''yé'' "너의 것", ''ʔéed-te'' "남자의 것"

4. 논쟁

오모어파의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여러 논쟁이 존재한다. 크게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내에서의 위치와 오모어파 내부의 하위 분류에 대한 이견으로 나눌 수 있다.

북오모어군과 남오모어군(아로이드어군)의 존재는 비교적 널리 받아들여지지만, 북오모어군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마오어군의 위치가 주요 쟁점이다.

벤더(2000)는 마오어군을 북오모어군 아래에 두는 분류를 제시했다. 그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


  • '''오모어파'''
  • * 남오모어군 / 아로이드어군 (하머-반나어, 아리어, 디메어, 카로어)
  • * 북오모어군 / 비아로이드어군
  • ** 마오어군 (밤바시어, 서마오어군(호조어, 세제어, 간자어))
  • ** 디조이드어군 (디지어, 셰코어, 나이어)
  • ** 공가-기모잔어군

공가어군(케포이드어군) (보로어, 앤필로어, 카파어, 셰카초어)
기모잔어군
* ''옘사어''
* 오메토-기미라어군
** ''벤치어''
** ''차라어''
** 오메토어군

이는 플레밍(1976)의 분류와는 차이가 있는데, 플레밍은 마오어군을 포함하고 "기모잔어군"이라는 분류 단위를 설정하지 않았다.

Hayward (2003)는 다른 관점을 제시하여, 마오어군을 남오모어군, 북오모어군과 대등한 오모어파의 세 번째 독립 분파로 분류했다. 또한 오메토-기미라어군을 분리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 '''오모어파'''
  • * 남오모어군
  • * 마오어군
  • * 북오모어군
  • ** 디조이드어군
  • ** 타-네어군

공가어군
기모잔어군
* ''옘사어''
* ''벤치어''
* 오메토-카라어군

Blench (2006)는 더 많은 하위 분파를 인정하며 다소 유보적인 분류를 내놓았다.[3]

  • '''오모어파'''
  • * 남오모어파
  • * 북오모어파
  • ** 마오어파
  • ** 디조이드어파
  • ** 공가어파 (케포이드어파)
  • ** 예므어
  • ** 기미라어
  • ** 오메토어파 (? 차라어)


한편, 사멸한 보샤어는 아직 명확히 분류되지 않았으며, ''Ethnologue''는 이를 카파어의 방언으로 보면서도 별개 언어일 가능성을 언급한다.

오모어파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계속되고 있다. 초기 연구, 예를 들어 그린버그(1963년)는 오모어파를 쿠시어파의 한 하위 그룹, 소위 "서쿠시어군"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플레밍(1969년)은 오모어파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내에서 독립적인 분파를 형성한다고 주장했고, 벤더(1971년)가 이를 뒷받침하면서 이 견해가 많은 언어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18]

하지만 모든 학자가 이 견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여전히 오모어파를 쿠시어파의 서부 그룹으로 간주하거나(Lamberti 1991, Zaborksi 1986 등)[19], 남오모어군만 독립 분파로 인정하고 북오모어군은 쿠시어파에 남겨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블렌치(2006년)는 오모어파가 꿀 관련 어휘는 다른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들과 공유하지만 가축 관련 어휘는 공유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는 목축 문화가 시작되기 이전에 오모어파가 분기했음을 시사한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일부 학자들은 오모어파가 과연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지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으며(Newman 1980 등),[4][21] Theil (2006)은 오모어파를 아예 독립된 어족으로 취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5][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칭 접두사, 문법적 수 표시, 복수 형태 등 형태론적 증거들을 근거로 오모어파를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일원으로 보는 것이 현재까지는 일반적인 견해이다.[6][7][8][23]

아로이드어군(남오모어군)의 경우, 그린버그는 이를 "서쿠시어군"에 포함시켰으나, 엔리코 체룰리와 마리오 마르티노 모레노와 같은 초기 이탈리아 쿠시어 연구자들의 분류에서는 제외되었으며(Lamberti 1991), 오모어파 내에서의 소속 여부에 대해서도 여전히 논란이 있다.

언어 데이터베이스인 글로토로그(Glottolog)는 오모어파를 하나의 통합된 어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대신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어족을 각각 독립적인 어족으로 간주하며, 이들을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일부로 분류하지도 않는다.

  • 타네오모어어군
  • 디조이드어군 (마지어군)
  • 마오어군
  • 아로이드어군 (아리-반나어군; "남오모어군")


이러한 관점은 굴데만(Güldemann, 2018)에 의해서도 지지되는데, 그 역시 오모어파라는 통합된 분류 단위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Omotic languages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4-03-06
[2] 웹사이트 Omotic languages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4-03-06
[3] 웹사이트 The Afro-Asiatic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Reference List http://rogerblench.i[...] 2013-10-07
[4] 논문 It is quite evident that cultural ties between Proto-Semitic and the African branches of the Afrasian macrofamily must have been severed at a very early date indeed. However, the grammatical structure of [Common Semitic] (especially in the verb) is obviously close to that of Common Berbero-Libyan (CBL), as well as to Bedauye. (Bedauye might, quite possibly, be classified as a family distinct from the rest of Kushitic.) The same grammatical isoglosses are somewhat more feebly felt between Semitic and (the other?) Kushitic languages. They practically disappear between the Semitic and the Omotic languages, which were formerly termed Western Kushitic, but which actually may not be Afrasian at all, like their neighbours the Nubian languages and Meroitic. 1998
[5] 웹사이트 Is Omotic Afro-Asiatic? http://www.uio.no/st[...] 2021-02-24
[6] 논문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t 2008
[7] 서적 History and the Testimon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11-02
[8] 서적 Research in Afroasiatic Grammar Two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20-11-02
[9]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10] 문서 Yemsa Verb Morphology. Some Inflections and Derivations.
[11] 문서
[12] 논문 Concerning case in Omotic
[13] 논문 Personal Pronouns in Gimira (Benchnon) Narr
[14] 문서
[15] 논문 First Steps Toward proto-Omotic
[16] 논문 A lexicostatistical comparison of Omotic languages
[17] 논문 Comparative phonology of the Maji languages
[18] 문서
[19] 문서
[20] 논문 It is quite evident that cultural ties between Proto-Semitic and the African branches of the Afrasian macrofamily must have been severed at a very early date indeed. However, the grammatical structure of [Common Semitic] (especially in the verb) is obviously close to that of Common Berbero-Libyan (CBL), as well as to Bedauye. (Bedauye might, quite possibly, be classified as a family distinct from the rest of Kushitic.) The same grammatical isoglosses are somewhat more feebly felt between Semitic and (the other?) Kushitic languages. They practically disappear between the Semitic and the Omotic languages, which were formerly termed Western Kushitic, but which actually may not be Afrasian at all, like their neighbours the Nubian languages and Meroitic.
[21] 문서
[22] 논문 Is Omotic Afro-Asiatic?
[23] 논문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