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시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시어파는 아프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어파로,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쿠시어파는 여러 어군으로 분류되며, 베자어, 아가우어, 동쿠시어, 남쿠시어 등이 포함된다. 쿠시어파는 기원과 분류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며, 오모어파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있었다. 오로모어, 소말리어, 베자어, 시다모어, 아파르어 등은 쿠시어파에 속하는 주요 언어이며,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 또는 교육 언어로 사용된다. 쿠시어파 언어들은 음운론, 문법, 통사론 등에서 특징을 보이며, 어휘는 언어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시어파 - 소말리어
소말리어는 소말리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에서 약 2,400만 명이 사용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1972년 소말리아의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라틴 문자 기반의 표준 소말리어가 채택되었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 및 주어-목적어-동사 어순과 풍부한 어형 변화, 명사의 성을 특징으로 한다. - 쿠시어파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쿠시어파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쿠시어파 |
로마자 표기 | Cushitic |
ISO 639-2 | cus |
ISO 639-5 | cus |
Glottolog | cush1243 |
Glottolog 참조 이름 | 쿠시어 |
지역 | |
분포 지역 | 이집트, 수단, 아프리카의 뿔, 동아프리카 |
계통 분류 |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조어 | 원시 쿠시어 |
하위 분류 | |
하위 어군 | 베자어 (북부) 아게우어 (중앙) 동쿠시어군 (동부) 남쿠시어군 (남부) 다할로어 (?) |
2. 기원 및 역사
크리스토퍼 에레트는 초기 홀로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홍해 구릉 지대에 통합된 원시 쿠시트어가 있었다고 주장한다.[48][14] 일부 학자들은 고유명사학적 분석을 통해 고대 북부 누비아의 특정 집단들이 베자어와 가까운 쿠시어파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고대 누비아의 케르마 문화가 쿠시어파 사용 문명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쿠시어파의 분류는 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확정된 단일 분류는 없다. 전통적으로 쿠시어족은 북부쿠시어(베자어), 중앙쿠시어(아가우어족), 동부쿠시어, 남부쿠시어 그룹으로 나뉜다.
3. 분류
그린버그는 남부쿠시어 그룹을 포함했고, 한때 서부쿠시어로 분류되었던 오모어족은 현재 아프로아시아어족의 별개 가지로 재분류되었다.
쿠시어족의 분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남부쿠시어가 하자어 및 산다웨어와 유사한 언어와의 접촉으로 설명되는 분기로 동부 가지에 속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헤츠론과 플레밍은 베자어를 완전히 제외하기도 했다.
다음은 주요 학자들의 분류를 요약한 표이다.
3. 1. 주요 분류
쿠시어족은 여러 어군으로 나뉘며, 크게 북부쿠시어군, 중부쿠시어군, 동부쿠시어군, 남부쿠시어군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예를 들어, 남부쿠시어군이 동부쿠시어군에 속한다는 주장이 있었고, 헤츠론과 플레밍은 베자어를 쿠시어족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다음은 쿠시어족의 하위 분류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요약한 표이다.
베자어는 북쿠시어군의 유일한 언어이다. 헤츠론은 베자어가 아프로아시아어족의 독립적인 가지를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18][19][20] 디디에 모린(2001)은 베자어를 저지 동쿠시어군에 포함시키기도 했지만, 쿠시어 전문 언어학자들은 베자어를 북쿠시어군으로 분류하는 것을 표준으로 여긴다.[21]
과거에는 오모틱어족이 쿠시어족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플레밍(1974)과 벤더(1975)의 연구로 인해 아프로아시아어족의 독립적인 가지로 여겨진다.[22]
분류가 불확실한 언어로는 야쿠어, 다할로어, 아사어, 크와드자어, 분어, 옹고타어, 엠부구어 등이 있다.[23] 둘라이어군과 야쿠어의 위치는 불확실하며, 헤이워드는 동쿠시어가 유효한 어군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한다.[23] 벤더(2020)는 야쿠어가 아르보로이드 그룹의 구성원이라고 제안한다.[24] 옹고타어의 경우, 해럴드 C. 플레밍(2006)은 옹고타어가 아프로아시아어족의 별개 가지라고 제안하며,[25] 보니 샌즈(2009)는 옹고타어가 닐로-사하라 기층을 가진 동쿠시어라는 제안을 제시한다.[26][27]
헤츠론(1980)[28]과 에흐레트(1995)는 남쿠시어(리프트어)가 저지대 동쿠시어의 일부라고 제안했다.
3. 2. 기타 분류
헤츠론(Hetzron, 1980)과 플레밍(Fleming, 1981년 이후)은 베자어를 쿠시어파에서 제외하기도 하지만,[18][19][20] 다른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8] 헤츠론(1980)[28]과 에흐레트(1995)는 남부쿠시어(리프트어)가 저지대 동쿠시어의 일부라고 제안했다.분류가 불확실한 언어로는 야쿠어, 다할로어, 아사어, 크와드자어, 분어 등이 있다.[23]
3. 3. 분류 불확실 언어
야쿠어, 다할로어, 아사어, 크와드자어, 분어, 옹고타어, 엠부구어의 쿠시어 성분은 분류가 불확실한 언어들이다. 이들 언어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23]둘라이어군과 야쿠어의 위치는 불확실하다. 전통적으로 이들은 고지대(시다믹) 쿠시어와 저지대 동쿠시어와 함께 동쿠시어 아분파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헤이워드는 동쿠시어가 유효한 노드가 아닐 수 있으며, 쿠시어의 내부 관계를 파악하려고 할 때는 그 구성 요소를 별도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23] 벤더(2020)는 야쿠어가 아르보로이드 그룹의 분기된 구성원이라고 제안한다.[24]
옹고타어의 아프로아시아어적 정체성 또한 광범위하게 의문시되어 왔으며, 언어의 "혼합된" 외관과 연구 및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아프로아시아어 내에서의 위치가 불확실하다. 해럴드 C. 플레밍(2006)은 옹고타어가 아프로아시아어의 별개의 가지라고 제안한다.[25] 보니 샌즈(2009)는 가장 설득력 있는 제안은 사바와 토스코(2003)의 제안, 즉 옹고타어는 닐로-사하라어족 기층을 가진 동쿠시어라는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옹고타인들은 한때 닐로-사하라어를 사용했지만, 이전의 닐로-사하라어의 특징을 일부 유지하면서 쿠시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인다.[26][27]
로버트 헤츠론(1980)[28]과 크리스토퍼 에흐레트(1995)는 남쿠시어(리프트어)가 저지대 동쿠시어의 일부이며, 내부 다양성이 큰 여섯 그룹 중 유일한 그룹이라고 제안했다.
4. 언어 특징
쿠시어파 언어는 대부분 음소 길이(/a aː e eː i iː o oː u uː/)를 가진 5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아가우어족은 모음 길이를 대조하지 않고 하나 또는 두 개의 중앙 모음을 가지는 예외적인 경우이다.[1][2] 많은 쿠시어파 언어들은 오로모어와 같이 성문 자음(/pʼ tʼ tʃʼ kʼ/, /ɓ/)을 포함하는 자음 목록을 가지고 있다.[2] 소말리아어나 사호-아파르어족처럼 인두 자음(/ħ ʕ/)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1][2]
대부분의 쿠시어파 언어는 ‘피치 악센트’라고도 불리는 제한적 억양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 억양 체계에서 강세 모음에 겹쳐지는 억양 윤곽은 형태론과 통사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3]
명사는 격과 수에 따라 어형이 변화하며, 모든 명사는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 범주로 나뉜다. 많은 언어에서 성은 명사에 직접 표시된다. 예를 들어, 아웅이어에서는 모든 여성 명사에 접미사 '-a'가 붙는다.[1]
많은 쿠시어의 격 체계는 표지 주격 배열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유형론적으로 매우 드물며 주로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된다.[2] 타동 또는 자동 문장의 주어로 사용될 때는 명사가 주격으로 표시되지만, 단독으로 인용되거나 서술어 명사로 사용되거나 타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는 표시되지 않은 "절대격"으로 나타난다.[3][4]
소유는 일반적으로 소유자의 소유격 표시로 나타난다. 주어와 목적어에 대한 격 표시가 없는 남쿠시어는 반대로 소유된 명사를 구성격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라크어 ''afé-r mar'i'' "문들"(문자 그대로 "집의 입")에서 ''afee'' "입"은 구성격으로 표시된다.[5]
대부분의 명사는 기본적으로 수가 표시되지 않지만, 단수와 복수로 명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린어에서 ''dəmmu'' "고양이(들)"는 수 중립적이며, 단수 ''dəmmura'' "한 마리의 고양이"와 복수 ''dəmmut'' "여러 마리의 고양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형성은 매우 다양하며, 음운교체, 접미사, 중복을 사용한다.[6][7]
동사는 인칭/수와 시제/상에 따라 활용된다. 많은 언어에서 부정절에서 동사의 특수한 형태를 사용하기도 한다.[8] 대부분의 쿠시어는 7가지 인칭/수 범주(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와 복수, 3인칭 단수에는 남성/여성의 성 구분)를 구분한다. 가장 일반적인 활용 유형은 접미사를 사용한다. 베자어와 사호-아파르어군처럼 접두사 활용을 하는 언어들도 있지만, 소말리아어와 같이 몇몇 동사에만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접미사 활용은 접두사 활용된 보조 동사와 동사 어간을 결합하여 더 오래된 접두사 활용에서 발전했다고 여겨진다.[9] 다음 표는 소말리아어의 긍정 현재 시제에서 접미사와 접두사 활용의 예를 보여준다.[10]
rowspan="2" colspan="3" | | 접미사 활용 | 접두사 활용 | |
---|---|---|---|
1인칭 | colspan="2" | | keen-aaso | i-maadd-aaso |
colspan="2" | | keen-naaso | ni-maad-naaso | |
2인칭 | colspan="2" | | keen-taaso | ti-maadd-aaso |
colspan="2" | | keen-taanso | ti-maadd-aanso | |
3인칭 | 남성 | keen-aaso | yi-maadd-aaso |
여성 | keen-taaso | ti-maadd-aaso | |
colspan="2" | | keen-aanso | yi-maadd-aanso |
기본적인 어순은 서술어(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어순이며, 가장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SOV)이다. 주어나 목적어는 초점을 나타내기 위해 서술어 뒤에 올 수도 있다.
4. 1. 음운론
대부분의 쿠시어파 언어는 음소 길이(/a aː e eː i iː o oː u uː/)를 가진 간단한 5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모음 길이를 대조하지 않고 하나 또는 두 개의 추가적인 중앙 모음을 가지는 아가우어족이다.[1][2] 많은 쿠시어파 언어의 자음 목록에는 성문 자음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pʼ tʼ tʃʼ kʼ/와 같은 격렬음과 /ɓ/와 같은 파열음을 가지는 오로모어가 있다.[2] 인두 자음(/ħ ʕ/)은 덜 흔하며, 예를 들어 소말리아어나 사호-아파르어족에서 나타난다.[1][2]대부분의 쿠시어파 언어는 ‘피치 악센트’라고도 알려진 제한적 억양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체계에서 강세 모음에 겹쳐지는 억양 윤곽이 형태론과 통사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3]
4. 2. 문법
명사는 격과 수에 따라 어형이 변화한다. 모든 명사는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 범주로 나뉜다. 많은 언어에서 성은 명사에 직접 표시된다(예: 모든 여성 명사에 접미사 '-a'가 붙는 아웅이어).[1]많은 쿠시어의 격 체계는 표지 주격 배열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유형론적으로 매우 드물며 주로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된다.[2] 표지 주격 언어에서 명사는 단독으로 인용되거나, 서술어 명사로 사용되거나, 타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는 표시되지 않은 "절대격"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타동 또는 자동 문장의 주어로 기능할 때는 명시적으로 주격으로 표시된다.[3][4]
소유는 일반적으로 소유자의 소유격 표시로 나타낸다. 주어와 목적어에 대한 격 표시가 없는 남쿠시어는 반대 전략을 따른다. 여기서는 소유된 명사가 구성격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라크어 ''afé-r mar'i'' "문들"(문자 그대로 "집의 입")에서 ''afee'' "입"은 구성격으로 표시된다.[5]
대부분의 명사는 기본적으로 수가 표시되지 않지만, 단수와 복수로 명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린어에서 ''dəmmu'' "고양이(들)"는 수 중립적이며, 여기서 단수 ''dəmmura'' "한 마리의 고양이"와 복수 ''dəmmut'' "여러 마리의 고양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형성은 매우 다양하며, 음운교체(즉, 어근 모음이나 자음의 변화), 접미사, 및 중복을 사용한다.[6][7]
동사는 인칭/수와 시제/상에 따라 활용된다. 많은 언어에서 부정절에서 동사의 특수한 형태를 사용하기도 한다.[8]
대부분의 쿠시어는 7가지 인칭/수 범주를 구분한다: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와 복수, 그리고 3인칭 단수에는 남성/여성의 성 구분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활용 유형은 접미사를 사용한다. 어떤 언어들은 접두사 활용을 하기도 한다: 베자어와 사호-아파르어군에서는 접두사 활용이 여전히 동사 활용형의 생산적인 부분이지만, 대부분의 다른 언어들, 예를 들어 소말리아어에서는 몇몇 동사에만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역사적으로 접미사 활용은 접두사 활용된 보조 동사와 동사 어간을 결합하여 더 오래된 접두사 활용에서 발전했다고 여겨진다.[9] 다음 표는 소말리아어의 긍정 현재 시제에서 접미사와 접두사 활용의 예를 보여준다.[10]
rowspan="2" colspan="3" | | 접미사 활용 | 접두사 활용 | ||
---|---|---|---|---|
1인칭 | colspan="2" | | keen-aaso | i-maadd-aaso | |
colspan="2" | | keen-naaso | ni-maad-naaso | ||
2인칭 | colspan="2" | | keen-taaso | ti-maadd-aaso | |
colspan="2" | | keen-taanso | ti-maadd-aanso | ||
3인칭 | rowspan="2" | | keen-aaso | yi-maadd-aaso | |
keen-taaso | ti-maadd-aaso | |||
colspan="2" | | keen-aanso | yi-maadd-aanso |
4. 3. 통사론
기본적인 어순은 서술어(동사)가 문장 끝에 오는 어순이며, 가장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SOV)이다. 주어나 목적어는 초점을 나타내기 위해 서술어 뒤에 올 수도 있다.5. 공용어 지위
쿠시어족 중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언어는 오로모어(Afaan Oromoo|아판 오로모om) (3,700만 명),[1] 소말리어 (2,200만 명),[2] 베자어 (320만 명),[3] 시다모어 (300만 명),[4] 아파르어 (200만 명)이다.[5]
오로모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오로미아주,[7] 하라리주,[8] 디레다와를 포함한 에티오피아 연방 시스템 내 여러 주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주 오로미아 지구의 공용어이기도 하다.[8]
소말리어는 소말리아의 두 가지 공용어 중 하나이며, 소말릴란드의 공용어이다.[9][10] 또한 지부티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며,[11] 에티오피아 소말리주의 공용어이기도 하다.[8]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베자어, 아파르어, 블린어, 사호어는 에리트레아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에리트레아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된다.[12] 에리트레아 헌법은 또한 모든 토착어의 평등을 인정한다.[13] 아파르어는 지부티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며,[11] 에티오피아 아파르주의 공용어이기도 하다.[8]
6. 어휘
쿠시어족의 기본 어휘는 Vossen & Dimmendaal (2020:318)에서 발췌되었다.[38]
의미 | 베자어[39] | 이라크어[40][41] | 오로모어[42] | 소말리아어[43] | 아웅기어[44] | 키만트어[45] |
---|---|---|---|---|---|---|
발 | ragad/lagad | yaaee | miila/luka | lug | lɨkw | lɨkw |
이 | kwire | siħinoo | ilkee | ilig | ɨrkwí | ɨrkw |
머리카락 | hami/d.ifi | seʔeengw | dabbasaa | timo | ʧiʧifí | ʃibka |
심장 | gin'a | muuná | onnee | wadne | ɨʃew | lɨbäka |
집 | gau/'anda | doʔ | mana | guri/min | ŋɨn | nɨŋ |
나무 | hindi | ɬupi | mukha | qori/alwaax | kani | kana |
고기 | ʃa/dof | fuʔnaay | foon | so'/hilib | ɨʃʃi | sɨya |
물 | yam | maʔay | biʃan | biyo/maayo | aɣu | axw |
문 | ɖefa/yaf | piindo | balbala | irrid/albaab | lɨmʧi/sank | bäla |
풀 | siyam/ʃuʃ | gitsoo | ʧ'itaa | caws | sigwi | ʃanka |
검은색 | hadal/hadod | boo | gurraʧʧa | madow | ʧárkí | ʃämäna |
빨간색 | adal/adar | daaʕaat | diimaa | cas/guduud | dɨmmí | säraɣ |
길 | darab | loohi | karaa/godaana | jid/waddo | dad | gorwa |
산 | reba | tɬooma | tuullu | buur | kán | dɨba |
창 | fena/gwiʃ'a | *laabala (PSC) | waraana | waran | werém | ʃämärgina |
막대기 | amis/adi | *ħada | ulee/dullaa | ul | gɨmb | kɨnbɨ |
불 | n'e | ʔaɬa | ibidda | dab | leg | wɨzɨŋ |
당나귀 | mek | daqwaay | haare | dameer | dɨɣwarí | dɨɣora |
고양이 | bissa/kaffa | maytsí | adure | bisad/dummad | anguʧʧa | damiya |
개 | yas/mani | seeaay | seere | eey | gɨséŋ | gɨzɨŋ |
소 | ʃ'a/yiwe | ɬee | sa'a | sac | ɨllwa | käma |
사자 | hada | diraangw | lenʧ'a | libaax | wuʤi | gämäna |
하이에나 | galaba/karai | *bahaa (PSC) | waraabo | waraabe | ɨɣwí | wäya |
여동생 | kwa | ħoʔoo | obboleeytii | walaalo/abbaayo | séná | ʃän |
남동생 | san | nana | obboleessa | walaal/abboowe | sén | zän |
어머니 | de | aayi | haaɗa | hooyo | ʧwá | gäna |
아버지 | baba | taata | aabba | aabbe | tablí | aba |
앉다 | s'a/ʈaʈam | iwiit | taa'uu | fadhiiso | ɨnʤikw- | täkosɨm- |
자다 | diw/nari | guuʔ | rafuu | hurud | ɣur\y- | gänʤ- |
먹다 | tam/'am | aag | ɲaaʧʧu | cun | ɣw- | xw- |
마시다 | gw'a/ʃifi | wah | ɗugaaiti | cab | zɨq- | ʤax- |
죽이다 | dir | gaas | aʤʤeesuu | dil | kw- | kw- |
말하다 | hadid/kwinh | ʔooʔ | dubbattu | hadal | dibs- | gämär- |
얇은 | 'iyai/bilil | *ʔiiraw (PSC) | hap'ii | caato | ɨnʧu | kätän- |
뚱뚱한 | dah/l'a | *du/*iya (PSC) | furdaa | shilis/buuran | morí | wäfär- |
작은 | dis/dabali | *niinaw (PSC) | t'innoo | yar | ʧɨlí | ʃigwey |
큰 | win/ragaga | *dir (PSC) | guddaa/dagaaga | weyn | dɨngulí | fɨraq |
분류 | 언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북부 | 베자어 (베다위) | ɡaːl | ˈmale | mheːj | ˈfaɖiɡ | eːj (문자 그대로: 손) | aˈsaɡwir (5 + 1) | asaːˈrama (5 + 2) | asiˈmheːj (5 + 3) | aʃˈʃaɖiɡ (5 + 4) | ˈtamin |
중부 | 빌린어 (빌렌어) | laxw / la | ləŋa | səxwa | sədʒa | ʔankwa | wəlta | ləŋəta | səxwəta | səssa | ʃɨka |
중부, 동부 | 잠탕가어 | lə́w | líŋa | ʃáqwa | síza | ákwa | wálta | láŋta / lánta | sə́wta | sʼájtʃʼa | sʼɨ́kʼa |
중부, 남부 | 아웅기어 | ɨ́mpɨ́l / láɢú | láŋa | ʃúɢa | sedza | áŋkwa | wɨ́lta | láŋéta | sóɢéta | sésta | tsɨ́kka |
중부, 서부 | 키만트어 (키만트어) | laɣa / la | liŋa | siɣwa | sədʒa | ankwa | wəlta | ləŋəta | səɣwəta | səssa | ʃɨka |
동부, 고지대 | 알라바어 | matú | lamú | sasú | ʃɔːlú | ʔɔntú | lehú | lamalá | hizzeːtú | hɔnsú | tɔnnsú |
동부, 고지대 | 부르지어 | mitʃːa | lama | fadia | foola | umutta | lia | lamala | hiditta | wonfa | tanna |
동부, 고지대 | 게데오어 | mitte | lame | sase | ʃoole | onde | dʒaane | torbaane | saddeeta | sallane | tomme |
동부, 고지대 | 하디야어 | mato | lamo | saso | sooro | onto | loho | lamara | sadeento | honso | tommo |
동부, 고지대 | 캄바타어 | máto | lámo | sáso | ʃóolo | ónto | lého | lamála | hezzéeto | hónso | tordúma |
동부, 고지대 | 리비도어 | mato | lamo | saso | sooro | ʔonto | leho | lamara | sadeento | honso | tommo |
동부, 고지대 | 시다모어 (시다마어) | mite | lame | sase | ʃoole | onte | lee | lamala | sette | honse | tonne |
동부, 둘레이 | 가와다어 | tóʔon | lákke | ízzaħ | sálaħ | xúpin | tappi | táʔan | sétten | kóllan | ħúɗɗan |
동부, 둘레이 | 츠마이어 (츠아마코어) | doːkːo | laːkːi | zeːħ | salaħ | χobin | tabːen | taħːan | sezːen | ɡolːan | kuŋko |
동부, 콘소이드 | 부사어 (하르소-보바세어) | tóʔo | lakki, lam(m)e, lamay | ezzaħ, siséħ | salaħ | xúpin | cappi | caħħan | sásse /sésse | kollan | húddʼan |
동부, 콘소이드 | 디라샤어 (기돌레어) | ʃakka(ha) (여성) / ʃokko(ha) (남성) | lakki | halpatta | afur | hen | lehi | tappa | lakkuʃeti | tsinqoota | hunda |
동부, 콘소이드 | 콘소어 | takka | lakki | sessa | afur | ken | lehi | tappa | sette | saɡal | kuɗan |
동부, 오로모 | 오르마어 | tokkō | lamā | sadi | afurī | ʃanī | dʒa | torbā | saddeetī | saɡalī | kuɗenī |
동부, 오로모 | 서중부 오로모어 | tokko | lama | sadii | afur | ʃani | dʒaha | torba | saddet | saɡal | kuɗan |
동부, 사호-아파르 | 아파르어 | enèki / inìki | nammàya | sidòħu / sidòħoòyu | ferèyi / fereèyi | konòyu / konoòyu | leħèyi / leħeèyi | malħiini | baħaàra | saɡaàla | tàbana |
동부, 사호-아파르 | 사호어 | inik | lam:a | adoħ | afar | ko:n | liħ | malħin | baħar | saɡal | taman |
동부, 렌딜레-보니 | 보니어 | kóów, hál-ó (남성) / hás-só (여성) | lába | síddéh | áfar | ʃan | líh | toddóu | siyyéèd | saaɡal | tammán |
동부, 렌딜레-보니 | 렌딜레어 | kôːw / ko:kalɖay (고립된 형태) | lámːa | sɛ́jːaħ | áfːar | t͡ʃán | líħ | tɛːbá | sijːɛ̂ːt | saːɡáːl | tomón |
동부, 소말리아 | 가레어 (카레어) | kow | lamma | siddeh | afar | ʃan | liʔ | toddobe | siyeed | saɡaal | tommon |
동부, 소말리아 | 소말리어 | ków | labá | sáddeħ | áfar | ʃán | liħ | toddobá | siddèed | saɡaal | toban |
동부, 소말리아 | 투니어 (아프-투니어) | ków | lámma | síddiʔ | áfar | ʃán | líʔ | toddóbo | siyéed | saɡáal | tómon |
동부, 아르보로이드 | 아르보레어 | tokkó (남성) / takká (여성), ˈtaˈka | laamá, ˈlaːma | sezzé, ˈsɛːze | ʔafúr, ʔaˈfur | tʃénn, t͡ʃɛn | dʒih, ˈd͡ʒi | tuzba, ˈtuːzba | suyé, suˈjɛ | saaɡalɗ, ˈsaɡal | tommoɲɗ, ˈtɔmːɔn |
동부, 아르보로이드 | 바이소어 (바이소어) | koo (남성) too (여성) | lɑ́ɑmɑ | sédi | ɑ́fɑr | ken | le | todobɑ́ | siddéd | sɑ́ɑɡɑɑl | tómon |
동부, 아르보로이드 | 다사나크어 | tɪ̀ɡɪ̀ɗɪ̀ (형용사) / tàqàt͡ʃ ̚ (서수)/ ʔɛ̀ɾ (서수) | nàːmə̀ | sɛ̀d̪ɛ̀ | ʔàfʊ̀ɾ | t͡ʃɛ̀n | lɪ̀h | t̪ɪ̀ːjə̀ | síɪ̀t̚ | sàːl | t̪òmòn |
동부, 아르보로이드 | 엘 몰로어 | tóko / táka | l'ááma | séépe | áfur | kên, cên | yíi | tíípa, s'ápa | fúe | s'áákal | t'ómon |
남부 또는 동부 | 다할로어 | vattúkwe (남성) / vattékwe (여성) | líima | kʼaba | saʕála | dáwàtte, 아마 ← '손' | sita < 스와힐리어 | saba < 스와힐리어 | nane | kenda / tis(i)a | kumi |
남부 | 알라그와어 (와시어) | wák | ndʒad | tam | tsʼiɡaħ | kooʔan | laħooʔ | faanqʼw | dakat | ɡwelen | mibi |
남부 | 부룬게어 | leyiŋ / leẽ | t͡ʃʼada | tami | t͡ʃʼiɡaħa | koːʔani | laħaʔu | faɴqʼu | daɡati | ɡweleli | mili |
남부 | 고로와어 (고르와어) | wak | tsʼar | tám | tsʼiyáħ | kooʔán | laħóoʔ | fâanqʼw | dakáat | ɡwaléel / ɡweléel | mibaanɡw |
남부 | 이라크와어 | wák | tsár | tám | tsíyáħ | kooán | laħoóʔ | faaɴw | dakaát | ɡwaleél | mibaaɴw |
참조
[1]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1-03-02
[2]
웹사이트
Somali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1-04-20
[3]
웹사이트
Bedawiyet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7-11-22
[4]
웹사이트
Sidamo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7-11-22
[5]
웹사이트
Afar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7-11-22
[6]
뉴스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ww.africane[...]
2021-04-12
[7]
간행물
CIA World Factbook
2022-06-06
[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http://www.wipo.int/[...]
Government of Ethiopia
2017-11-22
[9]
뉴스
Somaliland profile
https://www.bbc.com/[...]
2021-10-19
[1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Somali Republic (as amended up to October 12, 1990)
http://www.wipo.int/[...]
Government of Somalia
2017-11-23
[10]
웹사이트
The Transitional Federal Charter of the Somali Republic
http://www.ilo.org/d[...]
Government of Somalia
2017-11-23
[11]
웹사이트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de Djibouti – Loi n°96/AN/00/4èmeL portant Orientation du Système Educatif Djiboutien
https://www.ilo.org/[...]
Government of Djibouti
2017-11-22
[12]
논문
"Ex Uno Plura": the uneasy road of Ethiopian languages toward standardization
http://docdro.id/Nr4[...]
2017-11-23
[1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Eritrea
http://confinder.ric[...]
Government of Eritrea
2017-11-22
[14]
서적
Archaeology of African Plant U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
[15]
서적
Semitic Languages: Outline of a Comparative Grammar Volume 80 of Orientalia Lovaniensia analect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6-11-21
[16]
서적
The Languages of Africa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1963
[17]
서적
History and the Testimony of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18]
서적
Fucus – "Remarks on the Verb in Bej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7-09-30
[19]
서적
Similative and Equative Constructions: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7-05-31
[20]
논문
North-Cushitic
https://halshs.archi[...]
2016
[21]
웹사이트
North-Cushitic
https://halshs.archi[...]
LLACAN, CNRS-INALCO, Université Sorbonne Paris-Cité
2017-11-12
[22]
논문
Cushitic and its Classifications
[23]
서적
African Languages
[24]
서적
Cushitic Lexicon and Phonology
Peter Lang
2020
[25]
웹사이트
Harrassowitz Verlag – The Harrassowitz Publishing House
http://www.harrassow[...]
2011-07-16
[26]
서적
Selected comparative-historical Afrasian linguistic studies
LINCOM Europa
[27]
논문
Africa's Linguistic Diversity
[28]
논문
The Limits of Cushitic
[29]
서적
A Linguistic Geograph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3-22
[30]
논문
We Are What We Eat: Ancient Agriculture between the Great Lakes
[31]
논문
Proto-Baz: Some aspects of early Nilotic-Cushitic contacts
[32]
논문
Proto-Cushitic Reconstruction
University of Cologne
[33]
서적
Highland East Cushitic Dictionary
Helmut Buske Verlag
1989
[34]
서적
A Comparative Dictionary of the Agaw Languages
Rüdiger Köppe
2006
[35]
서적
The Lexical Reconstruction of West-Rift Southern Cushitic
Rüdiger Köppe Verlag
2003
[36]
PhD
Lowland East Cushitic: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Yale University
1974
[37]
학술지
Consonant Phonemes of Proto East Cushitic
1979
[3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fric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39]
서적
Tu Beḍawiɛ: Grammar, texts and vocabulary
Stephen Austin and Sons
1928
[40]
서적
Iraqw texts
Rüdiger Köppe Verlag
2002
[41]
서적
The Lexical Reconstruction of West-Rift Southern Cushitic
Rüdiger Köppe
2003
[42]
서적
Oromo Dictionary I
Sagalee Oromoo Publishing
1995
[43]
서적
Qaamuuska Af-Soomaaliga
RomaTrE-Press
2012
[44]
서적
A Comparative Dictionary of the Agäw Languages
Rüdiger Köppe
2006
[45]
서적
The Kemantney Language: A sociolinguistic and grammatical study of language replacement
Rüdiger Köppe
2003
[46]
서적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47]
서적
Afroasiatic
2000
[48]
서적
Archaeology of African Plant U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