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범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범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서 데뷔하여 K리그, J리그,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중국 슈퍼리그 등에서 활약했다. 2007년 AFC 아시안컵, 2010년 FIFA 월드컵 등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45경기 출전, 2골을 기록했다. 2021년 은퇴 후, 2024년 파주시민 FC 감독으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동초등학교 (울산) 동문 - 설영우
설영우는 울산 HD FC 유소년팀과 울산대학교를 거쳐 울산 현대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K리그1 우승과 베스트 11 선정,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풀백으로 뛰고 있다. - 옥동초등학교 (울산) 동문 - 남현성
남현성은 K리그 대구 FC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체코 리그를 거쳐 K리그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통산 391경기 6골을 기록한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러시아 진출 축구 선수 - 현영민
현영민은 K리그와 러시아 리그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국가대표 출신으로, 현재는 현대고등학교의 축구 감독을 맡고 있다. - 대한민국의 러시아 진출 축구 선수 - 김남일
김남일은 '진공 청소기'라는 별명을 가진 대한민국의 은퇴한 수비형 미드필더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2002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K리그, J리그, 러시아 리그 등에서 활약, 국가대표 코치와 K리그 팀 감독을 역임했다. - 남자 축구 라이트백 - 뱅자맹 파바르
뱅자맹 파바르는 릴 OSC 유소년팀 출신의 프랑스 축구 선수로, VfB 슈투트가르트와 바이에른 뮌헨을 거쳐 현재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수비수로 활약하며,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2018 FIFA 월드컵 우승을 경험하기도 했다. - 남자 축구 라이트백 - 요주아 키미히
요주아 키미히는 독일 프로 축구 선수로, 바이에른 뮌헨과 독일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고 분데스리가와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에 기여했으며, 다재다능한 플레이 스타일과 경기 지휘 능력으로 평가받는다.
오범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범석 |
원어 이름 | 오범석 (吳範錫) |
로마자 표기 | O Beom-seok |
출생일 | 1984년 7월 29일 (39세) |
출생지 | 경상북도 포항시 |
키 | 181cm |
포지션 | 풀백,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2000-2002) |
선수 경력 | 포항 스틸러스 (2003-2007): 70경기 (3골) 요코하마 FC (임대, 2007): 10경기 (0골) 크릴리야 소베토프 (2008-2009): 28경기 (0골) 울산 현대 (2009-2010): 33경기 (4골)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1-2015): 105경기 (1골) 안산 경찰청 (임대, 군 복무, 2013-2014): 39경기 (4골) 저장 FC (2016): 21경기 (0골) 강원 FC (2017-2019): 80경기 (2골) 포항 스틸러스 (2020-2021): 1경기 (0골) |
통산 출장 및 득점 | 387경기 (14골) |
국가대표 경력 | |
청소년 국가대표 | 대한민국 U-20 (2003): 11경기 (0골) 대한민국 U-23 (2006): 4경기 (1골) |
국가대표 | 대한민국 (2005-2013): 43경기 (2골) |
감독 경력 | |
감독 팀 | 파주시민축구단 (2024-) |
수상 내역 | |
AFC 아시안컵 | 3위 (2007년)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준우승 (2010년) |
2. 어린 시절
옥동초등학교, 학성중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머리를 잘 써 상대 선수를 잘 피해 다니며 오버래핑을 하여 꾀돌이를 뜻하는 포르투갈어인 Sacanage|사카나시pt(사카나지)라는 별명이 붙었다. 터프한 플레이로 지능적이고 꼭 필요한 상황에서 반칙을 많이 범하여 '반칙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포항에서 오른쪽 풀백, 중앙 미드필더, 수비수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고,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12] 2007년에는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로 임대 이적했지만,[12] 팀의 J2리그 강등을 막지 못했다.
3. 구단 경력
2008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13][14][15][16] 양측의 대립 끝에 결국 포항 스틸러스가 이적 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하였다.[17][18][19] 이적 후 데뷔전에서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20] 2009 시즌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09년 7월, K리그의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고,[21] 2010년 1월에는 강민수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했다.[22]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경찰 축구단에서 군 복무를 수행했고, 복귀 후 2015년까지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활약했다.
2015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은 오범석은 홍명보 감독을 따라 중국 중국 슈퍼 리그의 항저우 뤼청으로 이적했다. 2016년 12월에는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한 강원 FC로 이적하여[9] 2019년까지 활약했다.
2020 시즌 중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하였고, 2021년 12월 4일 서울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클럽 기록 리그 컵 리그 컵 대륙 대회 합계 시즌 클럽 리그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대한민국 리그 FA컵 리그 컵 아시아 합계 2003 포항 스틸러스 K리그1 1 0 0 0 — — 1 0 2004 14 0 1 0 11 1 — 26 1 2005 21 2 2 0 12 0 — 35 2 2006 23 1 1 0 10 1 — 34 2 2007 11 0 1 0 5 0 — 17 0 일본 리그 천황배 리그 컵 아시아 합계 2007 요코하마 FC J1리그 10 0 0 0 — — 10 0 러시아 리그 러시아 컵 리그 컵 유럽 합계 2008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27 0 1 0 — — 28 0 2009 1 0 0 0 — — 1 0 대한민국 리그 FA컵 리그 컵 아시아 합계 2009 울산 현대 호랑이 K리그1 12 0 0 0 2 0 — 14 0 2010 21 4 1 0 0 0 — 22 4 2011 수원 삼성 블루윙즈 28 0 4 0 1 0 8 0 41 0 2012 39 0 2 0 — — 41 0 2013 안산 경찰청 (군 복무) K리그2 23 2 1 0 — — 24 2 2014 16 2 1 0 — — 17 2 2014 수원 삼성 블루윙즈 K리그1 11 0 — — — 11 0 2015 29 1 1 0 — 7 1 37 2 중국 리그 중국 FA컵 colspan=2 | 아시아 합계 2016 항저우 그린 타운 중국 슈퍼 리그 21 0 0 0 — — 21 0 대한민국 리그 FA컵 colspan=2 | 아시아 합계 2017 강원 FC K리그1 28 0 1 0 — — 29 0 2018 32 1 0 0 — — 32 1 2019 17 0 1 0 — — 18 0 2020 포항 스틸러스 K리그1 9 0 0 0 0 0 0 0 9 0 2021 18 0 0 0 — 0 0 18 0 합계 대한민국 397 15 17 0 41 2 15 1 470 18 일본 10 0 0 0 — — 10 0 러시아 28 0 1 0 — — 29 0 중국 21 0 0 0 — — 21 0 통산 456 15 18 0 41 2 15 1 530 18
3. 1. 포항 스틸러스 (1차)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오른쪽 풀백, 중앙 미드필더, 수비수를 오가며 팀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고,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12]
클럽 기록 | 리그 | FA컵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3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1 | 0 | 0 | 0 | — | — | 1 | 0 | ||
2004 | 14 | 0 | 1 | 0 | 11 | 1 | — | 26 | 1 | |||
2005 | 21 | 2 | 2 | 0 | 12 | 0 | — | 35 | 2 | |||
2006 | 23 | 1 | 1 | 0 | 10 | 1 | — | 34 | 2 | |||
2007 | 11 | 0 | 1 | 0 | 5 | 0 | — | 17 | 0 |
3. 2. 요코하마 FC (임대)
2007년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에 임대되었으나,[12] 그 해 시즌 결과 팀은 최하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3. 3.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08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을 추진하였으나,[13][14] 그 과정에서 성남 일화 천마로의 이적을 추진하던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었다.[15][16] 포항 스틸러스 측과 오범석 측은 각각 '임의탈퇴'와 '국제축구연맹 제소'라는 강경책을 내세워 대립하였고,[17][18] 결국 포항 스틸러스가 이적 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하였다.[19] 이 과정에서 포항과 성남의 팬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한 이후 데뷔전에서 FC 테레크 그로즈니를 맞아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는 등[20] 주전 선수로 뛰며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2009 시즌엔 로만 시스킨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많은 기회를 잡지 못하였다.
시즌 | 리그 | 출장 | 골 | 러시아 컵 | 리그 컵 | 유럽 | 합계 | ||||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2008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27 | 0 | 1 | 0 | — | — | 28 | 0 | ||
2009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1 | 0 | 0 | 0 | — | — | 1 | 0 |
3. 4. 울산 현대
2009년 7월 K리그 팀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다.[21] 2009 시즌에는 12경기에 출전하여 0골을 기록하였고, K리그 컵에서는 2경기에 출전하였다. 2010 시즌에는 21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하였고, FA컵에서는 1경기에 출전하였다.
3. 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0년 1월 10일 강민수를 상대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트레이드되었다.[22]2013년부터 경찰 축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하다가 2014 시즌 중 군 복무를 마치고 수원으로 복귀하였다.
2015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고, 홍명보 감독을 따라 항저우 뤼청으로 이적하였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의 기록 | |||||||||||||||||||
---|---|---|---|---|---|---|---|---|---|---|---|---|---|---|---|---|---|---|---|
시즌 | 리그 | 출장 | 골 | FA컵 | 출장 | 골 | 리그 컵 | 출장 | 골 | AFC | 출장 | 골 | 합계 | 출장 | 골 | ||||
2011 | K리그1 | 28 | 0 | 4 | 0 | 1 | 0 | 8 | 0 | 41 | 0 | ||||||||
2012 | K리그1 | 39 | 0 | 2 | 0 | — | — | 41 | 0 | ||||||||||
2014 | K리그1 | 11 | 0 | — | — | — | 11 | 0 | |||||||||||
2015 | K리그1 | 29 | 1 | 1 | 0 | — | 7 | 1 | 37 | 2 |
3. 6. 안산 경찰청 (군 복무)
2013년부터 경찰 축구단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하였고, 2014 시즌 중 군 복무를 마쳤다.[22] 2013시즌 K리그 챌린지에서 23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하였고, 2014시즌에는 16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하였다.시즌 | 리그 | 출장 | 골 |
---|---|---|---|
2013 | K리그2 | 23 | 2 |
2014 | 16 | 2 |
3. 7. 항저우 뤼청
2015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고, 홍명보 감독을 따라 항저우 뤼청으로 이적하였다.[12]클럽 기록 | 리그 |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2016 | 항저우 그린 타운 | 중국 슈퍼 리그 | 21 | 0 | 0 | 0 | — | — | 21 | 0 | ||
합계 | 중국 | 21 | 0 | 0 | 0 | — | — | 21 | 0 | |||
통산 | 456 | 15 | 18 | 0 | 41 | 2 | 15 | 1 | 530 | 18 |
3. 8. 강원 FC
2016년 12월,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한 강원 FC로 이적하였다.[9] 2017 시즌에는 28경기에 출전하여 0골을 기록하였고, 2018 시즌에는 32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였으며, 2019 시즌에는 17경기에 출전하여 무득점을 기록하였다.시즌 | 출장 | 골 |
---|---|---|
2017 | 28 | 0 |
2018 | 32 | 1 |
2019 | 17 | 0 |
3. 9. 포항 스틸러스 (2차)
2020 시즌 중 팀에서 입지를 잃자 계약 해지를 하였고 13년 만에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하였다.
4. 국가대표팀 경력
오범석은 2005년 1월 16일 콜롬비아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데뷔하였다.[23]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송종국을 이어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차세대 오른쪽 풀백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2006년 아시안 게임, 2007년 AFC 아시안컵, 2010년 FIFA 월드컵 등 여러 메이저 대회에 출전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첫 경기에는 차두리의 백업 선수로 시작했다. 2009년 10월 14일 세네갈과의 친선 경기에서 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다.[11]
연도 | 출장 | 득점 |
---|---|---|
2005 | 2 | 0 |
2006 | 1 | 0 |
2007 | 9 | 0 |
2008 | 9 | 0 |
2009 | 9 | 1 |
2010 | 9 | 1 |
2011 | 0 | 0 |
2012 | 3 | 0 |
2013 | 1 | 0 |
합계 | 43 | 2 |
4. 1. 2007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여 일본과의 3-4위전 승부차기에서 두 번째 키커로 나가 성공했고, 스코어 6대 5 승리를 이끌어 대한민국이 다음 대회 자동 출전권을 획득하는데 기여했다.[23]4. 2. 2010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허정무 감독은 아르헨티나와의 조별리그 2차전에 오범석을 선발로 기용했다. 그러나 오범석은 상대 선수인 앙헬 디 마리아에게 반칙을 범하면서 동료 선수인 박주영의 자책골로 선 실점하는 원인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상대 선수한테 집중적으로 공략당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오범석은 차두리에게 선발 자리를 다시 내주었다.[23]5. 개인사
오범석의 아버지는 오세권으로, 과거 골키퍼 포지션으로 활약했던 축구 선수였다. 은퇴 이후에는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과 내셔널리그 사무국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김희태 축구센터에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범석의 누나 오유미는 미스코리아 출신으로, 2003년 미스코리아 미(美) 출신이다.[24]
2007년에는 영국의 한 축구 전문 월간지에서 선정한 '이적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선수 100인 명단'에 포함되기도 하였다.[25]
2009년 6월, 민수지와 결혼하였다.[26]
2022년 1월 10일에는 백지훈, 김형일, 김진규와 함께 노는브로에 출연하였다.
6. 경력
오범석은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포항에서 오른쪽 풀백, 중앙 미드필더, 수비수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고,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
2007년에는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로 임대되었으나,[12] 팀은 최하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008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13][14] 원 소속팀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15][16] 양 측은 '임의탈퇴'와 '국제축구연맹 제소'라는 강경책을 내세우며 대립했지만,[17][18] 결국 포항이 이적 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했다.[19]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이적 후 데뷔전에서 FC 테레크 그로즈니를 상대로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는 등[20]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2009 시즌에는 로만 시스킨에게 밀려 출전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다. 결국 2009년 7월 K리그 울산 현대로 이적하며 한국 무대로 복귀했다.[21]
2010년 1월에는 강민수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했다.[22] 2013년부터는 경찰 축구단에서 군 복무를 했고, 2014년 복무를 마치고 수원으로 복귀했다.
2015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은 오범석은 홍명보 감독을 따라 항저우 뤼청으로 이적했다. 2016년 12월에는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한 강원 FC로 이적했고, 2020년에는 계약 해지 후 13년 만에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했다. 2021년 12월 4일 FC 서울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클럽 기록 | 리그 |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3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1 | 0 | 0 | 0 | — | — | 1 | 0 | ||
2004 | 14 | 0 | 1 | 0 | 11 | 1 | — | 26 | 1 | |||
2005 | 21 | 2 | 2 | 0 | 12 | 0 | — | 35 | 2 | |||
2006 | 23 | 1 | 1 | 0 | 10 | 1 | — | 34 | 2 | |||
2007 | 11 | 0 | 1 | 0 | 5 | 0 | — | 17 | 0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7 | 요코하마 FC | J1리그 | 10 | 0 | 0 | 0 | — | — | 10 | 0 | ||
러시아 | 리그 | 러시아 컵 | 리그 컵 | 유럽 | 합계 | |||||||
2008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27 | 0 | 1 | 0 | — | — | 28 | 0 | ||
2009 | 1 | 0 | 0 | 0 | — | — | 1 | 0 |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9 | 울산 현대 호랑이 | K리그1 | 12 | 0 | 0 | 0 | 2 | 0 | — | 14 | 0 | |
2010 | 21 | 4 | 1 | 0 | 0 | 0 | — | 22 | 4 | |||
201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8 | 0 | 4 | 0 | 1 | 0 | 8 | 0 | 41 | 0 | |
2012 | 39 | 0 | 2 | 0 | — | — | 41 | 0 | ||||
2013 | 안산 경찰청 (군 복무) | K리그2 | 23 | 2 | 1 | 0 | — | — | 24 | 2 | ||
2014 | 16 | 2 | 1 | 0 | — | — | 17 | 2 | ||||
201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K리그1 | 11 | 0 | — | — | — | 11 | 0 | |||
2015 | 29 | 1 | 1 | 0 | — | 7 | 1 | 37 | 2 | |||
중국 | 리그 | 중국 FA컵 | colspan=2 | | 아시아 | 합계 | |||||||
2016 | 항저우 그린 타운 | 중국 슈퍼 리그 | 21 | 0 | 0 | 0 | — | — | 21 | 0 |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colspan=2 | | 아시아 | 합계 | |||||||
2017 | 강원 FC | K리그1 | 28 | 0 | 1 | 0 | — | — | 29 | 0 | ||
2018 | 32 | 1 | 0 | 0 | — | — | 32 | 1 | ||||
2019 | 17 | 0 | 1 | 0 | — | — | 18 | 0 | ||||
2020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9 | 0 | 0 | 0 | 0 | 0 | 0 | 0 | 9 | 0 |
2021 | 18 | 0 | 0 | 0 | — | 0 | 0 | 18 | 0 | |||
합계 | 대한민국 | 397 | 15 | 17 | 0 | 41 | 2 | 15 | 1 | 470 | 18 | |
일본 | 10 | 0 | 0 | 0 | — | — | 10 | 0 | ||||
러시아 | 28 | 0 | 1 | 0 | — | — | 29 | 0 | ||||
중국 | 21 | 0 | 0 | 0 | — | — | 21 | 0 | ||||
통산 | 456 | 15 | 18 | 0 | 41 | 2 | 15 | 1 | 530 | 18 |
6. 1. 국가 대표 경력
2005년 1월 16일 콜롬비아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데뷔하여,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였다.[23]한때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장기적으로 송종국을 이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차세대 오른쪽 풀백을 맡을 적임자로 지목되기도 하였다.[23]
이후 2006년 아시안 게임, 2007년 AFC 아시안컵, 2010년 FIFA 월드컵 등 여러 메이저 대회에 출전했는데, 특히 2007년 AFC 아시안컵 일본과의 3-4위 결정전 승부차기에서 두번째 키커로 나가 성공했고, 스코어 6대 5 승리를 이끌어 대한민국의 다음 대회 자동 출전권을 획득하는데 기여하였다.
2010년 FIFA 월드컵 첫 경기에는 차두리의 백업 선수로 시작했지만, 허정무 감독은 아르헨티나와의 조별리그 2차전에 오범석을 선발로 기용했다. 그러나 앙헬 디 마리아에게 반칙을 범하면서 동료 선수인 박주영의 자책골로 선 실점하는 원인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상대 선수에게 집중적으로 공략당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차두리에게 선발 자리를 다시 내주었다.[23]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골 |
2005 | 2 | 0 |
2006 | 1 | 0 |
2007 | 9 | 0 |
2008 | 9 | 0 |
2009 | 9 | 1 |
2010 | 9 | 1 |
2011 | 0 | 0 |
2012 | 3 | 0 |
2013 | 1 | 0 |
합계 | 43 | 2 |
A매치 45경기 2득점 (2005년-2013년)[11]
6. 2. 클럽 경력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오른쪽 풀백, 중앙 미드필더, 수비수를 오가며 팀에서 중요한 선수로 성장하였고, 2004년 K리그 준우승에 기여하였다. 2007년 일본 J리그의 요코하마 FC에 임대되었으나,[12] 팀은 최하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2008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을 추진하였으나,[13][14] 성남 일화 천마로의 이적을 추진하던 포항 스틸러스와 마찰을 빚었다.[15][16] 양 측은 '임의탈퇴'와 '국제축구연맹 제소'라는 강경책을 내세우며 대립하였고,[17][18] 결국 포항 스틸러스가 이적 동의서를 발급하면서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완전 이적하였다.[19] 이 과정에서 포항과 성남 팬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다.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이적 후 데뷔전에서 FC 테레크 그로즈니를 상대로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는 등[20]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2009 시즌엔 로만 시스킨에게 밀려 많은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결국 2009년 7월 K리그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다.[21]
2010년 1월 10일 강민수와 트레이드되어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22] 2013년부터 경찰 축구단에서 군 복무를 하였고, 2014 시즌 중 복무를 마치고 수원으로 복귀하였다.
2015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홍명보 감독을 따라 항저우 뤼청으로 이적하였다. 2016년 12월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한 강원 FC로 이적하였다. 2020 시즌 중 팀에서 입지가 줄어 계약 해지 후 13년 만에 포항 스틸러스로 복귀하였다. 2021년 12월 4일 서울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클럽 기록 | 리그 |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3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1 | 0 | 0 | 0 | — | — | 1 | 0 | ||
2004 | 14 | 0 | 1 | 0 | 11 | 1 | — | 26 | 1 | |||
2005 | 21 | 2 | 2 | 0 | 12 | 0 | — | 35 | 2 | |||
2006 | 23 | 1 | 1 | 0 | 10 | 1 | — | 34 | 2 | |||
2007 | 11 | 0 | 1 | 0 | 5 | 0 | — | 17 | 0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7 | 요코하마 FC | J1리그 | 10 | 0 | 0 | 0 | — | — | 10 | 0 | ||
러시아 | 리그 | 러시아 컵 | 리그 컵 | 유럽 | 합계 | |||||||
2008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27 | 0 | 1 | 0 | — | — | 28 | 0 | ||
2009 | 1 | 0 | 0 | 0 | — | — | 1 | 0 |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리그 컵 | 아시아 | 합계 | |||||||
2009 | 울산 현대 호랑이 | K리그1 | 12 | 0 | 0 | 0 | 2 | 0 | — | 14 | 0 | |
2010 | 21 | 4 | 1 | 0 | 0 | 0 | — | 22 | 4 | |||
201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8 | 0 | 4 | 0 | 1 | 0 | 8 | 0 | 41 | 0 | |
2012 | 39 | 0 | 2 | 0 | — | — | 41 | 0 | ||||
2013 | 안산 경찰청 (군 복무) | K리그2 | 23 | 2 | 1 | 0 | — | — | 24 | 2 | ||
2014 | 16 | 2 | 1 | 0 | — | — | 17 | 2 | ||||
201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K리그1 | 11 | 0 | — | — | — | 11 | 0 | |||
2015 | 29 | 1 | 1 | 0 | — | 7 | 1 | 37 | 2 | |||
중국 | 리그 | 중국 FA컵 | colspan=2 | | 아시아 | 합계 | |||||||
2016 | 항저우 그린 타운 | 중국 슈퍼 리그 | 21 | 0 | 0 | 0 | — | — | 21 | 0 | ||
대한민국 | 리그 | FA컵 | colspan=2 | | 아시아 | 합계 | |||||||
2017 | 강원 FC | K리그1 | 28 | 0 | 1 | 0 | — | — | 29 | 0 | ||
2018 | 32 | 1 | 0 | 0 | — | — | 32 | 1 | ||||
2019 | 17 | 0 | 1 | 0 | — | — | 18 | 0 | ||||
2020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1 | 9 | 0 | 0 | 0 | 0 | 0 | 0 | 0 | 9 | 0 |
2021 | 18 | 0 | 0 | 0 | — | 0 | 0 | 18 | 0 | |||
합계 | 대한민국 | 397 | 15 | 17 | 0 | 41 | 2 | 15 | 1 | 470 | 18 | |
일본 | 10 | 0 | 0 | 0 | — | — | 10 | 0 | ||||
러시아 | 28 | 0 | 1 | 0 | — | — | 29 | 0 | ||||
중국 | 21 | 0 | 0 | 0 | — | — | 21 | 0 | ||||
통산 | 456 | 15 | 18 | 0 | 41 | 2 | 15 | 1 | 530 | 18 |
6. 3. 국가대표팀 득점
7. 수상
7. 1. 개인
- KBS배 수비상 (2002)[7]
-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2013)[7]
7. 2. 구단
7. 3. 방송
8. 지도자 경력
2023년 12월 22일, 2024 시즌부터 K3리그의 파주시민 FC (가칭) 감독으로 취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9] K리그1, 2와 K3리그 중에서 최연소 감독이다. 2024년 3월 30일, K3리그 3라운드 창원 FC (가칭)에서 감독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UAE 2003 FIFA World Youth Championship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2010 FIFA World Cup South Africa
https://www.fifa.com[...]
2023-03-24
[3]
뉴스
Krylia Sovetov owe Oh Beom-Seok 200 thousand dollars
http://www.goal.com/[...]
[4]
웹사이트
Reuters Penpix of South Korea Squad
https://archive.toda[...]
[5]
웹사이트
오범석 누나는 2003미스코리아美 오유미
https://www.starnews[...]
2010-06-18
[6]
NFT
[7]
웹사이트
골때녀 잔칫날' 감독진 11명, 올해의 리더상 [2022 SBS 연예대상]
https://entertain.na[...]
2022-12-17
[8]
웹사이트
유재석, 감격의 '대상' 영예…통산 19번째 트로피 품었다 [2022 SBS 연예대상] (종합)
https://entertain.na[...]
2022-12-18
[9]
웹사이트
파주시민축구단 월드컵 대표 출신 오범석 신임 감독 선임
http://www.vision21.[...]
Vision 21
2023-12-22
[10]
웹사이트
"'K1부터 K3 통틀어 최연소' 오범석 파주시민 감독 ''감독 첫 승, 프로 데뷔골만큼 짜릿하더라''[인터뷰]"
https://sports.chosu[...]
조선일보
2024-04-03
[11]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12]
웹인용
포항, 요코하마에 오범석 6개월 임대키로
http://www.sportalko[...]
2009-06-23
[13]
웹인용
오범석, 러시아 리그 진출… 바이아웃 금액 제시받아
http://www.sportalko[...]
2009-06-23
[14]
웹인용
오범석, 러시아 사마라 FC로 완전 이적
http://www.sportalko[...]
2009-06-23
[15]
웹인용
포항, '오범석 성남 이적' 공식 발표... 러시아행 급제동
http://www.sportalko[...]
2009-06-23
[16]
웹인용
'이적 갈등' 오범석 "유럽서 뛰고픈 생각 뿐"… 23일 러시아 출국 강행
http://www.sportalko[...]
2009-06-23
[17]
웹인용
포항, 러시아 이적 오범석에 강수… '임의탈퇴' 고려
http://www.sportalko[...]
2009-06-23
[18]
뉴스
‘이적 진통’ 오범석 ‘FIFA 제소’ 초강수
http://news.khan.co.[...]
[19]
웹인용
오범석, 러시아 완전 이적... "유럽서 성공하겠다"
http://www.sportalko[...]
2009-06-23
[20]
웹사이트
오범석, 러 데뷔전서 최우수 선수
http://www.segye.com[...]
[21]
웹사이트
러시아 사마라 FC 소속의 국가대표 오범석 영입
http://www.horangifc[...]
[22]
뉴스
수원-울산, 강민수-오범석 맞트레이드
https://news.naver.c[...]
OSEN
2011-01-10
[23]
웹사이트
http://sports.news.n[...]
[24]
웹사이트
오범석의 특별한 가족 이야기 '누나는 미스코리아'
http://joynews.inews[...]
[25]
웹인용
오범석, 英 <포포투> 선정 '유럽 진출 유력' 100人 선정
http://www.sportalko[...]
2009-06-23
[26]
웹사이트
오범석, 2살 연하의 여대생과 결혼···제주도 신혼여행 후 소속팀 합류
http://www.mydaily.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