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는 아메리카 지중해나 지중해와 달리 대륙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고 섬과 반도로 둘러싸인 해역을 의미한다. 남중국해, 반다해, 아라푸라해, 티모르해, 자바해 등을 포함하며, 조호 해협, 말라카 해협, 루손 해협 등 여러 해협을 포함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12개 국가 및 영토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지리 - 환태평양 조산대
환태평양 조산대는 태평양 주변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여러 지각판의 상호 작용으로 섭입대와 해구가 존재하며 화산의 분포가 뚜렷하다. - 인도양의 해역 - 티모르해
티모르해는 인도양의 일부로 티모르섬 북쪽, 오스트레일리아 남쪽에 위치하며, 해저 자원 개발 및 영유권 분쟁이 있었으나 해양 경계 조약으로 동티모르의 자원 개발 이익이 신장되었다. - 인도양의 해역 - 안다만해
안다만해는 인도양의 해역으로, 미얀마, 태국, 인도네시아에 둘러싸여 있으며, 벵골만과 말라카 해협을 연결하고,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해양 생태계를 포함하고 어업, 광물 채취, 해상 교통, 관광 등의 산업이 이루어진다. - 아시아의 지리 - 발리섬
발리섬은 인도네시아의 섬으로, 힌두 자바 문화가 유입되어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으며, 관광, 농업, 공예가 주요 경제 활동이고, 2000년대 이후 테러 공격을 겪기도 했다. - 아시아의 지리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 | |
---|---|
개요 | |
위치 | 순다 열도와 필리핀 사이에 있는 바다 |
면적 | 9,080,000 제곱킬로미터 |
최대 깊이 | 7,440 미터 |
관련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
2. 지리
아메리카 지중해와 지중해와 달리,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는 대륙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고, 섬과 반도로만 둘러싸여 있다.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한 국가 또는 영토는 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이다.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 반도에 인접해 있으며, 말라카 해협, 싱가포르 해협, 루손 해협을 포함한다.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위치한 주요 섬은 다음과 같다.
- 배서스트섬, 그루트 아일런드, 하이난섬, 푸꾸옥, 꼬창, 꼬사무이, 낭유안, 꼬팡안, 꼬사무이, 꼬따오, 티오만, 멜빌섬, 말루쿠 제도, 뉴기니, 파라셀 제도, 둥사 섬, 필리핀, 리아우 제도, 상히에 제도, 스프래틀리 군도, 대순다 열도(보르네오, 수마트라, 자바, 술라웨시), 소순다 열도(발리, 플로레스섬, 코모도, 롬복, 숨바섬, 숨바와섬, 티모르), 타이완, 탈라우드 제도.


2. 1. 주요 바다
아메리카 지중해와 지중해와 달리,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는 대륙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고 섬과 반도로만 둘러싸여 있다.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포함되는 주요 바다는 다음과 같다.순위 | 바다 이름 | 면적() |
---|---|---|
1 | 남중국해 | 3500000km2 |
2 | 반다해 | 695000km2 |
3 | 아라푸라해 | 650000km2 |
4 | 티모르해 | 610000km2 |
5 | 자바해 | 320000km2 |
6 | 타이만 | 320000km2 |
7 | 카펜타리아만 | 300000km2 |
8 | 술라웨시해 | 280000km2 |
9 | 술루해 | 260000km2 |
10 | 플로레스해 | 240000km2 |
11 | 몰루카해 | 200000km2 |
12 | 통킹만 | 126250km2 |
13 | 할마헤라해 | 95000km2 |
14 | 발리해 | 45000km2 |
15 | 사부해 | 35000km2 |
16 | 조셉 보나파르트 만 | 26780km2 |
17 | 세람해 | 12000km2 |
이 외에도 조호 해협, 리아우 해협, 카리마타 해협, 롬복 해협, 루손 해협, 마카사르 해협, 움바이 해협, 말라카 해협, Qiongzhou 해협, 싱가포르 해협, 타이완 해협, 순다 해협, 가스파 해협, 웨타르 해협 등이 있다.
2. 1. 1.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면적이 3500000km2이다.2. 1. 2. 반다해
반다해(Banda Sea영어)는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 남쪽에 있는 바다이다. 기술적으로는 태평양의 일부이지만, 수백 개의 섬과 할마헤라해, 세람해로 둘러싸여 있다. 면적은 695000km2이다.[1]2. 1. 3. 아라푸라해
면적은 650000km2이다.[1]2. 1. 4. 티모르해
티모르해는 610000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2. 1. 5. 자바해
Jawa Sea영어는 인도네시아의 대순다 열도에 속하는 섬인 보르네오, 자바, 수마트라, 술라웨시로 둘러싸인 바다로 면적은 320000km2이다.2. 1. 6. 타이만
Gulf of Thailand영어의 면적은 320000km2이다.2. 1. 7. 카펜타리아만
면적은 300000km2이다.2. 1. 8. 술라웨시해
280000km2이다.2. 1. 9. 술루해
면적은 260000km2이다.2. 1. 10. 플로레스해
플로레스해의 면적은 240000km2이다.[1]2. 1. 11. 몰루카해
몰루카해(Molucca Sea영어)의 면적은 200000km2이다.[1]2. 1. 12. 통킹만
의 면적은 126250km2이다.2. 1. 13. 할마헤라해
'''할마헤라해'''(Halmahera Sea영어)는 인도네시아 동부에 있는 바다이다. 면적은 95000km2이다.[1]2. 1. 14. 발리해
발리해의 면적은 45000km2이다.2. 1. 15. 사부해
면적은 35000km2이다.2. 1. 16. 조셉 보나파르트 만
면적은 26780km2이다.2. 1. 17. 세람해
Laut Seramid은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들 사이로 흩어져 있는 여러 작은 바다 중 하나이다. 세람해는 태평양의 일부이다. 면적은 12000km2이며, 부루와 세람 사이에 위치해 있다.2. 2. 주요 해협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의 주요 해협은 다음과 같다.
2. 2. 1. 조호 해협
조호 해협2. 2. 2. 리아우 해협
Selat Riau|리아우 해협id2. 2. 3. 카리마타 해협
카리마타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속한 해협 중 하나이다.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한 국가 또는 영토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등이 있다.2. 2. 4. 롬복 해협
롬복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속한 해협 중 하나이다.2. 2. 5. 루손 해협
루손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속한 해협 중 하나이다.2. 2. 6. 마카사르 해협
마카사르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속하는 해협 중 하나이다.2. 2. 7. 움바이 해협
움바이 해협은 롬복 해협과 웨타르 해협 사이에 있다.2. 2. 8. 말라카 해협
말라카 해협은 동남아시아의 중요한 해상 수송로 중 하나로,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 반도 사이에 있다.2. 2. 9. 칭저우 해협
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의 해협 중 하나이다.2. 2. 10. 싱가포르 해협
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이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해협은 이 해역에 포함되는 해협 중 하나이다.2. 2. 11. 타이완 해협
타이완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의 일부이다.2. 2. 12. 순다 해협
순다 해협은 인도네시아의 자바섬과 수마트라 사이에 있는 해협이다.2. 2. 13. 가스파 해협
가스파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속한 해협 중 하나이다.2. 2. 14. 웨타르 해협
웨타르 해협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속한다.3. 주변 국가 및 영토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한 국가 또는 영토는 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이다. 이 지역에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 반도에 인접한 말라카 해협, 싱가포르 해협, 루손 해협 등이 있다.
3. 1. 국가
타이완도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하고 있다.
3. 2. 영토
타이완은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 해안선을 접한 영토 중 하나이다. 타이완 해협이 이 지역에 속하며, 타이완 섬이 이 해역 내에 위치한다.4. 주요 섬
오스트랄라시아 지중해에는 여러 섬이 있으며, 크게 제도 및 군도와 개별 섬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제도 및 군도는 다음과 같다. 개별 섬은 다음과 같다.
4. 1. 주요 제도 및 군도
멜빌섬, 말루쿠 제도, 뉴기니, 파라셀 제도, 둥사 섬, 필리핀, 리아우 제도, 상히에 제도, 스프래틀리 군도, 대순다 열도(보르네오, 수마트라, 자바, 술라웨시), 소순다 열도(발리, 플로레스섬, 코모도, 롬복, 숨바섬, 숨바와섬, 티모르), 탈라우드 제도가 있다.4. 2. 개별 섬
배서스트섬, 그루트 아일런드, 하이난섬, 푸꾸옥, 꼬창, 꼬사무이, 낭유안, 꼬팡안, 꼬따오, 티오만, 타이완 등이 이 해역에 위치한다.참조
[1]
서적
Advanced Ocean Modelling: Using Open-Source Softwa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
서적
Bridging the gap between ocean acidification impacts and economic valuation: Regional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s://books.google[...]
IUCN
2015-05-01
[3]
웹사이트
Region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http://www.mt-oceano[...]
Daya Publishing House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