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뎅 호베르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뎅 호베르투는 1923년 앙골라에서 태어나 벨기에령 콩고에서 성장했으며, 1954년 앙골라 인민 연합(UPA)을 결성하여 앙골라의 독립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지원을 받으며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을 결성하고 앙골라 독립 전쟁과 내전에 참여했다. 1991년 비세세 협정 이후 앙골라로 귀국하여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200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올뎅 호베르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Allvaro Holden Roberto |
직책 | |
FNLA 의장 | 1954년 – 2007년 |
전임 | 직책 신설 |
후임 | 응골라 카방구 |
앙골라 민중공화국 대통령 (with 조나스 사빔비) | 1975년 11월 11일 – 1976년 2월 11일 |
전임 | 직책 신설 |
후임 | 직책 폐지 |
앙골라 망명 혁명 정부 대통령 | 1962년 4월 5일 – 1975년 11월 11일 |
전임 | 직책 신설 |
후임 | 자신 (앙골라 민중공화국 대통령)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23년 1월 12일 |
출생지 | 상사우바도르, 포르투갈령 앙골라 (현재의 음반자콩구, 앙골라) |
사망일 | 2007년 8월 2일 (84세) |
사망지 | 루안다, 앙골라 |
자녀 | 칼리투 로베르투, 줄리에타 로베르투, 카타리나 로베르투, 그라시아 로베르투, 이마누엘 로베르투, 장피에르 로베르투, 홀덴 로베르투 주니어, 밀턴 로베르투 |
2. 어린 시절
콩고 왕국의 왕족 후손인[30] 호베르투는 1923년 1월 12일 포르투갈령 앙골라 상사우바도르에서 가르시아 디아시와 호베르투와 조아나 랄라 네카카의 아들로 태어났다.[23] 1925년, 그의 가족은 벨기에령 콩고의 레오폴드빌(현재 킨샤사)로 이주했다.[1] 1940년, 그는 침례교 선교 학교를 졸업했다. 그 후 레오폴드빌, 코스터만스빌(현재 부카부), 스탠리빌에서 벨기에 재무부 소속으로 8년 동안 일했다.[1]
올뎅 호베르투는 1951년 앙골라를 방문하여 포르투갈인에게 흑인 노인이 학대받는 모습을 직접 목격하면서 정치와 민족 의식을 갖게 되었다.[23] 이후 콩고와 북앙골라의 민족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받아 정치 의식을 더욱 키워나갔다.
1949년, 호베르투는 레오폴드빌로 돌아와 삼촌과 함께 지역 축구 클럽 "노마드"에서 활동했다.[31] 이후 콩고 총리가 된 시릴 아둘라와 함께 다링 클럽 모테마 펨베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31] 1951년, 앙골라를 방문했을 때 포르투갈 관리들이 흑인 노인을 학대하는 것을 목격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하게 되었다.[29][32]
3. 정치 경력
3. 1. 앙골라 인민 연합 (UPA) 결성
1954년 7월 14일, 올뎅 호베르투는 시드니 마누엘 바로스 네카카와 함께 북앙골라 인민연합(UPNA)을 창설했으며, 이는 후에 앙골라 인민 연합(UPA)으로 개칭되었다.[29][32][33] UPA 의장으로서 호베르투는 1958년 12월 가나 아크라에서 열린 범아프리카 인민 회의에 앙골라 대표로 비밀리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그는 훗날 콩고 민주 공화국의 총리가 되는 파트리스 루뭄바, 훗날 잠비아의 대통령이 되는 케네스 카운다, 케냐의 민족주의자 톰 음보야를 만났다.[3][4][22] 그는 기니 여권을 얻어 국제 연합을 방문했다.[29][32][33] 1961년 2월, 톰 음보야와 조모 케냐타의 권유로 조나스 사빔비가 UPA에 합류했고, 호베르투는 그를 UPA 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34][35]
3. 2. 미국 지원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1950년대부터 올뎅 호베르투에게 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앙골라의 공산화를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6] 처음에는 연간 6,000달러를 지원했고, 1962년부터는 정보 수집을 명목으로 연간 10,000달러로 지원금을 인상했다.[6]
3. 3.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FNLA) 결성
1962년 3월, 올뎅 호베르투는 앙골라 인민연합(UPA)을 앙골라 민주당과 합병하여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을 결성했다.[3][10][11] 1961년 3월 15일, 그는 4,000~5,000명의 바콩고 무장 세력을 이끌고 앙골라를 침공하여 농장, 정부 초소, 무역 중심지 등을 점령하고 백인과 흑인들을 살해했다.[7] 이 침공에 대해 호베르투는 "이번에는 노예들이 굴복하지 않았다. 그들은 눈에 보이는 모든 사람을 죽였다."라고 말했다.[8]
1961년 4월 25일, 호베르투는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을 만났다.[9] 1962년 3월 27일, 망명 앙골라 혁명 정부(GRAE)를 수립하고 조나스 사빔비를 외무장관으로 임명했다.[3][10][11] 그는 자이르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와 정치적 동맹을 맺기 위해 아내와 이혼하고 모부투의 아내와 결혼했다.[3][10][11] 1960년대에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22][12][13]
4. 앙골라 독립 전쟁과 내전
1961년 3월 15일, 올뎅 호베르투는 4,000~5,000명의 무장 세력을 이끌고 앙골라를 침공하여 농장, 정부 초소, 무역 중심지를 점령하고 만나는 모든 사람을 살해했다. 최소 1,000명의 백인과 알려지지 않은 수의 원주민이 사망했다.[7] 호베르투는 이 침공에 대해 "이번에는 노예들이 굴복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들은 눈에 보이는 모든 사람을 죽였다.[8]
1962년 3월, 호베르투는 앙골라 민주당과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을 결성했고, 몇 주 후 망명 앙골라 혁명 정부(GRAE)를 설립하여 조나스 사빔비를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1964년 사빔비는 호베르투가 콩고 왕국 밖으로 앙골라 독립 전쟁을 확산시키기를 꺼려했기 때문에 FNLA를 떠나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을 창설했다.[6]
같은 해, 저우언라이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의 초청으로 중국 방문을 계획했으나, 카탕가 대통령 모이즈 촘베가 콩고 귀국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무산되었다.[14]
앙골라 독립 직전, 자이르는 친킨샤사 정부를 세우고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의 권력 장악을 막기 위해 앙골라에 군대를 투입했으나 쿠바 군대의 개입으로 실패했다.[15][16][17] 1975년 키팡곤두 전투에서 FNLA는 MPLA에 패배하고 자이르로 후퇴했다.[22]
호베르투와 아고스티뉴 네투는 독립 앙골라에 대한 정책 제안은 유사했지만, 지지 기반과 이념이 달랐다. 네투는 민족주의와 공산주의를 기치로 내걸고 소련의 지원을 받았고, 호베르투는 민족주의와 반공주의를 내세워 미국, 중국, 자이르의 지원을 받았다. FNLA는 MPLA에 흡수될 것을 우려하여 앙골라 반군 그룹 통합에 반대했고, MPLA 회원들을 납치, 살해하기도 했다.[3]
1991년, FNLA와 MPLA는 비세세 협정에 합의하여 호베르투가 앙골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5. 앙골라 내전 이후
1991년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과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은 비세세 합의(Bicesse Accords)에 합의했다. 이 합의로 올뎅 호베르투는 앙골라로 귀국할 수 있게 되었다.[24] 199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2.1%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다. 같은 해 실시된 인민 의회 선거에서는 FNLA가 5석을 획득했지만, 정부 참여는 거부했다.
6. 사망
올뎅 호베르투는 2007년 8월 2일 루안다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36][37][38] 호베르투가 사망한 후,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앙골라 대통령은 "호베르투는 국가의 독립을 위해 저항과 전투를 선택하도록 앙골라 세대를 격려한 민족 해방 투쟁의 선구자들 중 한 명이었다"라고 칭송하며, 장례식을 준비할 위원회를 임명하는 법령을 발표했다.[39]
참조
[1]
서적
The Africans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
서적
The Angolan Revolution, Vol. I: The Anatomy of an Explosion (1950-196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Cambridge
[3]
서적
Days of the Generals
[4]
서적
Contemporary Leaders of Africa
[5]
서적
Current Biography
H.W. Wilson Company
[6]
서적
A Certain Curve of Horn: The Hundred-Year Quest for the Giant Sable Antelope of Angola
[7]
서적
Africa's Armies: From Honor to Infamy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8]
서적
A Certain Curve of Horn: The Hundred-Year Quest for the Giant Sable Antelope of Angola
[9]
서적
Revolution in the Air: From Malcolm and Martin to Lenin, Mao and Che
[10]
서적
Angola: Struggle for Peace and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11]
서적
Southern Africa in Transition, [[American Society of African Culture]]
[12]
서적
The Israeli Connection: Whom Israel Arms and Why
[13]
서적
Portugal and Its Empire: The Truth
[14]
서적
The Crisis in Zaire
[15]
서적
The Fate of Africa: From the Hopes of Freedom to the Heart of Despair, a History of Fifty Years of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16]
서적
The Rise and Decline of the Zairian Stat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17]
웹사이트
Involvement in the Angolan Civil War, Zaire: A Country Study
http://lcweb2.loc.go[...]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18]
웹사이트
FNLA's Historic Leader Dies
http://www.angolapre[...]
Angola Press
2007-11-18
[19]
뉴스
Holden Roberto Dies at 84; Fought to Free Angola From Portuguese Rule
https://www.nytimes.[...]
2007-11-18
[20]
뉴스
Angolan independence leader Holden Roberto dies
http://edition.cnn.c[...]
CNN
2007-11-18
[21]
웹사이트
Angola: Head of State Condoles With Death of FNLA Historic Leader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07-11-18
[2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23]
서적
The Africans
[24]
뉴스
アンゴラ紛争激化の一途 FNLA議長脱出
朝日新聞
1976-01-18
[25]
웹사이트
FNLA's Historic Leader Dies
http://www.angolapre[...]
Angola Press
2007-11-18
[26]
뉴스
Holden Roberto Dies at 84; Fought to Free Angola From Portuguese Rule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07-08-04
[27]
뉴스
Angolan independence leader Holden Roberto dies
https://edition.cnn.[...]
CNN
2007-08-03
[28]
웹사이트
Angola: Head of State Condoles With Death of FNLA Historic Leader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07-11-18
[2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https://archive.org/[...]
[30]
서적
The Africans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31]
서적
The Angolan Revolution, Vol. I: The Anatomy of an Explosion (1950-196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Cambridge
[32]
서적
Days of the Generals
[33]
서적
Contemporary Leaders of Africa
[34]
서적
Current Biography
H.W. Wilson Company
[35]
서적
A Certain Curve of Horn: The Hundred-Year Quest for the Giant Sable Antelope of Angola
https://archive.org/[...]
[36]
웹인용
FNLA's Historic Leader Dies
http://www.angolapre[...]
Angola Press
2007-11-18
[37]
뉴스
Holden Roberto Dies at 84; Fought to Free Angola From Portuguese Rule
https://www.nytimes.[...]
2007-08-04
[38]
뉴스
Angolan independence leader Holden Roberto dies
http://edition.cnn.c[...]
CNN
2007-08-03
[39]
웹인용
Angola: Head of State Condoles With Death of FNLA Historic Leader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07-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