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칸은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아무다리야강의 발원지이며 고대 무역로의 요충지였다. 1873년 영국과 러시아의 협정으로 분할되었으며, 현재는 아프가니스탄의 일부로 와칸 회랑을 통해 중국과 연결된다. 지리적으로는 힌두쿠시, 파미르, 카라코람 산맥 등이 만나는 파미르 결절 지역에 속하며, 와키족과 키르기스족이 거주한다. 역사적으로는 쿠샨 제국의 일부였으며, 반독립적인 공국으로 존재하다가 아프가니스탄에 편입되었다. 1949년 중국 국경 폐쇄로 고립되었으나, 최근에는 트레킹 관광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지리 - 바다흐샨
    바다흐샨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고대부터 자원과 교역로로 번영하다가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으로 분단되었으며, 타지크인과 파미르인 등이 거주하고 이스마일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아프가니스탄의 지리 - 발루치스탄
    발루치스탄은 발루치족 거주 지역으로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걸쳐 있으며,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인더스 문명의 자원 공급지였으나, 다양한 왕조와 제국, 칼라트 칸국, 영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파키스탄에 병합되어 자원 수탈과 정부 정책 소홀로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와한

2. 지리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국경을 따라 위치한 와칸과 주변 지역


와칸은 아프가니스탄의 최북동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아무다리야 (옥수스강)의 발원지 중 하나이다. 지리적으로 중국, 인도, 박트리아 사이에 위치하여 고대에 타림 분지바다흐샨을 잇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1]

역사적으로 와칸은 판지강과 파미르강 전체 계곡 및 와칸강 유역을 포함했으나,[2] 1873년 대영 제국러시아 사이의 협정으로 판지강과 파미르강을 경계로 영향권이 나뉘면서 분할되었다.[3] 이 협정 이후 '와칸'이라는 명칭은 주로 강 남쪽의 아프가니스탄 영토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북쪽 지역은 현재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에 속한다.

와칸 지역은 크게 판지강 계곡을 포함하는 서쪽의 '하부 와칸'과 와칸강, 파미르강 및 그 지류 계곡과 주변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진 동쪽의 '상부 와칸'으로 나뉜다. 상부 와칸 동쪽 끝은 히말라야 산맥, 톈산 산맥, 카라코람 산맥, 쿤룬 산맥, 힌두쿠시 산맥 등 주요 산맥이 만나는 '파미르 결절' 지역이다.

2. 1. 와칸 회랑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사이의 와칸


와칸은 와칸 복도라고 불리는 길고 좁은 지역을 통해 중국 타슈쿠르간 타지크 현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지역을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및 길기트-발티스탄과 분리한다.

와칸 강은 동쪽에서 와칸 복도를 따라 흘러 킬라에 판자까지 흘러가 파미르 강과 합류하여 판지 강이 되며, 이 강이 국경을 형성한다.

남쪽으로는 힌두쿠시의 높은 산맥과 접해 있으며, 브로골 고개, 이르샤드 고개 및 사용하지 않는 딜리상 고개[9]를 통해 파키스탄으로 이어진다.

2. 2. 지형



와칸은 아프가니스탄의 최북동부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아무다리야 (옥수스강) 강의 발원지가 있으며, 타림 분지에서 바다흐샨으로 가는 고대 여행자들의 통로였다. 와칸의 지리적 위치는 중국, 인도, 박트리아 사이에 위치하여 고대 세계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883년까지 와칸은 판지강과 파미르강의 전체 계곡, 그리고 와칸강으로 알려진 판지강의 상류를 포함했다.[2] 1873년 대영 제국러시아 간의 협정은 판지강과 파미르강에서 두 국가의 영향권 경계를 정하면서 와칸을 분할했다.[3] 그 이후로 와칸이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두 강 남쪽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역사적인 와칸의 북쪽 부분은 현재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의 일부이다.

와칸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도로는 이스카심에서 킬라에 판자를 지나 사르하드에 브로길까지 이어지는 거친 길이다. 이 도로의 끝에서 여행자들에게는 폐쇄된 중국으로 가는 산길인 와흐지르 고개로 이어지는 길이 있다.

이스카심과 킬라에 판자 사이의 와칸 서쪽 부분은 판지강 계곡을 포함하는 '하부 와칸'으로 알려져 있다. 와칸강, 파미르강 및 그 지류의 계곡과 그 사이의 지형은 '상부 와칸'으로 알려져 있다.

상부 와칸의 동쪽 끝은 히말라야 산맥, 톈산 산맥, 카라코람 산맥, 쿤룬 산맥, 힌두쿠시 산맥이 만나는 지역인 '파미르 결절'로 알려져 있다. 파미르 결절의 서쪽에는 넓고 U자형의 풀이 무성한 계곡으로 길이가 100km, 너비가 10km인 리틀 파미르가 있으며,[4] 이곳에는 악수강 또는 무르가브강의 발원지인 차크마크틴 호수가 있다. 리틀 파미르의 동쪽 끝에는 중국으로 통하는 폐쇄된 테게르만수 고개 (4827m)로 이어지는 테게르만수 계곡이 있다. 대 파미르 또는 '빅 파미르'는 조르콜 호수 남쪽에 있는 60km 길이의 계곡으로 파미르강에 의해 배수되며 리틀 파미르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두 파미르를 나누는 산맥은 니콜라스 산맥으로 알려져 있다.[5] 니콜라스 산맥의 서쪽, 대 파미르와 와칸강 하류 계곡 사이에는 '와칸 산맥'이 있으며, 이 산맥은 '코에 파미르'(6320m)에서 절정에 이른다.

이 지역의 도로는 이스마일교 무슬림 피르에게 헌정된 작은 사당이 있으며, 이슬람교가 도착하기 전에 이 지역에 존재했던 조로아스터교 신앙에서 순결의 상징인 "특별한 돌과 말린 아이벡스, 양 뿔"로 장식되어 있다.[6]

와칸은 와칸 복도라고 불리는 길고 좁은 지역을 통해 중국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지역을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및 길기트-발티스탄과 분리한다.

와칸 강은 동쪽에서 와칸 복도를 따라 흘러 킬라에 판자까지 흘러가 파미르 강과 합류하여 판지 강이 되며, 이 강이 국경을 형성한다.

남쪽으로는 힌두쿠시의 높은 산맥과 접해 있으며, 브로골 고개, 이르샤드 고개 및 사용하지 않는 딜리상 고개[9]를 통해 파키스탄으로 이어진다.

2. 3. 기후

wikitext

와한의 기후 데이터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8.9-15.4-10.2-5.1-0.26.214.115.110.3-1.7-11.9-18.0
일평균 기온 (°C)-23.2-19.8-15.5-10.9-6.00.78.39.34.3-8.5-17.6-22.4
평균 최저 기온 (°C)-27.4-24.2-20.8-16.7-11.8-4.92.53.4-1.8-15.3-23.2-26.7
강수량 (mm)48mm63mm79mm70mm53mm24mm27mm22mm25mm35mm42mm45mm
평균 상대 습도 (%)667174758174544643636866
월평균 일조 시간 (시간)164.3156.6210.8234248252313.1316.2294226.3174167.4
출처: Climate-Data.org,[7] NASA Power[8] (극한값)


3. 역사

역사적으로 와칸은 중앙아시아의 서부와 동부 지역이 만나는 곳이기 때문에 수천 년 동안 중요한 지역이었다.

3. 1. 고대사

서부 와한(休密|Xiūmì중국어)은 서기 1세기 초, 최초의 "대 쿠샨"인 쿠줄라 카드피세스에 의해 정복되었다.[10] 이후 와한은 초기 쿠샨 제국을 형성한 5개의 ''시호''(공국) 중 하나가 되었다. 쿠샨 제국은 와한 지역을 반독립적인 통치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다스렸으며, 이 통치자들은 불교의 실크로드 무역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1]

3. 2. 와칸 미르돔

1883년까지 와한은 펀지강과 파미르강 양쪽에 걸쳐 존재했던 반독립적인 공국이었다. 이곳은 미르라고 불리는 세습 군주가 다스렸으며, 수도는 킬라-에 판자였다.[11] 와한은 바다흐샨의 조공국이었고, 바다흐샨은 다시 청나라에 조공을 바쳤다.[12]

1750년대 청나라가 준가르-청 전쟁에서 준가르 칸국을 정복하면서 와한과 이웃한 시그난은 청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 이후 1830년대에는 코칸트 칸국이 청나라로부터 와한과 시그난을 빼앗아 합병했다.[1]

3. 3. 아프가니스탄 편입

1873년 영국러시아 사이의 협정, 그리고 1893년 영국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협정을 통해 역사적인 와칸 지역은 사실상 분할되었다. 이 협정들로 판지 강과 파미르 강이 아프가니스탄과 러시아 제국 사이의 국경으로 설정되었다.[3] 남쪽으로는 1893년 듀랜드 라인 협정에 따라 영국령 인도와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경계가 정해졌다. 이 과정에서 와칸은 두 제국 사이에 놓인 좁은 완충 지대가 되었다. 1880년대(1880년-1895년[13])에는 영국의 압력 아래 아프가니스탄의 에미르인 압두르 라흐만 칸이 와칸 지역에 아프가니스탄의 통치를 강요하였다.[14] 이로 인해 와칸의 마지막 미르였던 알리 마르단 칸은 치트랄로 피신하여 이쉬코만 계곡에 정착하게 되었다.

3. 4. 현대사

1949년, 마오쩌둥이 중국에 공산주의 정권을 세우면서 국경이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 이로 인해 2,000년 동안 이어져 온 대상로가 막히면서 와한 회랑은 막다른 골목 신세가 되었다. 1979년 12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시작되자, 소련군은 와한 지역을 점령하고 사르하드에 브로길 등 여러 곳에 강력한 군사 기지를 건설했다. 또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가즈 칸 근처 프리프에 파미르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놓기도 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직접적인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다.[16]

2010년 기준으로 와칸 지역은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5]

4. 주민

와칸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총 인구는 약 10,600명으로 추산된다.[16] 와키족과 키르기스족이 와칸의 주요 민족 집단이다. 주민 대부분은 와키어(x̌ik zikwbl)를 사용하며, 와키족으로 알려진 민족 집단에 속한다. 유목 생활을 하는 키르기스족 목축민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고도에서 거주한다.[17]

유엔 환경 계획(UNEP)과 식량 농업 기구(FAO)의 2003년 보고서에 따르면, 와칸의 인구는 교육 부족, 빈곤, 건강 악화, 식량 불안정 및 아편 중독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16]

4. 1. 와키족

2003년 와칸의 와키족 인구는 9,444명이었다.[16] 와키족 대부분은 시아파 이스마일파를 믿으며, 일부는 와키어를 사용한다.[17] 와키족은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중국 등 와칸에 인접한 지역에도 거주한다.

와키족은 주로 강 유역에서 농사를 짓고, 여름에는 목초지에서 가축을 기르며 생활한다. 이 지역의 주요 이슬람 종파는 이스마일파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엄격한 이슬람 율법보다 온건한 경향을 보인다. 반면, 와칸 서쪽 입구에 위치한 도시 이쉬카심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엄격한 종교적 규율이 요구된다.

와칸 지역은 오랫동안 아프가니스탄 중앙 정부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주민들은 가난하며, 많은 이들이 전통적인 유목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유르트에서 거주하고 기본적인 사회 기반 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아가 칸 개발 네트워크 재단과 같은 비정부 기구(NGO)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그렉 모텐슨이 설립한 중앙 아시아 연구소는 이 지역에 11개의 학교를 세우는 등 교육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15]

최근에는 트레킹이나 등산을 목적으로 하는 소수의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기도 한다.[15] 2007년 12월 26일, BBC 뉴스 24의 앨러스테어 레이트헤드는 와칸 지역에 대한 30분 분량의 특집 보도를 통해 이 지역의 상황을 알렸다. 특히 영국인 의사 알렉산더 던컨과 같은 해외 거주자의 활동에 초점을 맞춰 접근이 어려운 이 지역의 현실을 상세히 다루었다.[18] 그는 또한 이 지역에서 열리는 파미르 축제에 대해서도 보도했다.[19]

4. 2. 키르기스족

2003년 기준으로 와칸에 거주하는 키르기스인은 1,130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와칸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16] 와칸의 키르기스족은 수니파 하나피 학파를 따르는 무슬림이다.

키르기스족의 아프가니스탄 이주는 1916년 중앙아시아 봉기와 관련이 깊다. 당시 러시아 제국의 탄압을 피해 많은 키르기스인이 중국과 아프가니스탄으로 이주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아프가니스탄의 와칸 지역에 정착했다.

1978년 이전까지 와칸 북동부(대 파미르와 소 파미르)에는 약 3,000명에서 5,000명 사이의 키르기스족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0][21] 그러나 1978년 사우르 혁명이 발발하자 거의 모든 키르기스인이 파키스탄으로 피난했다. 이들은 와칸과 기후가 비슷한 알래스카에 정착하기를 희망하며 페샤와르 주재 미국 영사관에 비자 5,000개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파키스탄의 난민 캠프는 더위와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인해 많은 난민들이 목숨을 잃는 비극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케난 에브렌 장군의 군사 쿠데타 통치하에 있던 터키 정부가 개입하여 1982년, 키르기스 난민들을 터키 동부 반 호수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이들 중 약 1,100명은[22] 반 주 에르지시 근처에 마련된 울루파미르(키르기스어로 '대 파미르'라는 뜻) 마을에 새로운 터전을 잡았으며, 오늘날에도 5,000명 이상이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의 터키 정착 생활은 다큐멘터리 영화 "37 Uses for a Dead Sheep – the story of the Pamir Kirghiz"를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새로운 터전에서 살아가는 키르기스족의 삶을 다루고 있다.

한편, 아프가니스탄의 소련 점령 이후인 1979년 10월에는 일부 키르기스족이 다시 와칸으로 돌아오기도 했다.[11]

5. 문화

와한 지역은 그렉 모텐슨의 저서인 ''학교 짓는 돌''에서 중요한 배경으로 등장한다. 이 책은 키르기스족 마을인 보자이 굼바즈에 학교를 짓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사실적 정확성에 대해서는 존 크라카우어가 그의 전자책인 ''세 잔의 거짓말''을 통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하며 논쟁이 되었다.

6. 관광

와칸의 타지키스탄 쪽에서 정보 게시판을 바라보는 관광객


최근 몇 년 동안 와칸은 모험을 즐기는 트레커들의 목적지가 되었으며, 여러 여행사가 이 지역으로의 여행을 제공하고 있다.[23] BBC 특파원 존 심슨은 이 지역을 훌륭하고 비교적 안전한 휴가를 보낼 수 있는 곳으로 추천했다.[24] BBC 텔레비전 진행자 케이트 험블은 이 지역이 아름답고 사람들이 친절하다고 전한다.[25] 와칸 전체는 2014년에 보호 구역인 와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MIRDOM OF WAKHĀN IN THE NINETEENTH CENTURY: DOWNFALL AND PARTITION https://www.ucentral[...] 2021-09-27
[2] conference The Significance of Geopolitical Issues for Development of Mountainous Areas of Central Asia https://lib.icimod.o[...] 2024-04-22
[3] 간행물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of the Afghanistan-USSR Boundary (1983) http://www.law.fsu.e[...] US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2014-08-17
[4] 간행물 Wakhan and the Afghan Pamir http://www.akdn.org/[...] Aga Khan Development Network 2010
[5] 웹사이트 Pamir and Wakhan Geography http://www.juldu.com[...] Juldu.com 2012-09-27
[6] 웹사이트 Pamir Mountains, the Crossroads of History https://www.nytimes.[...] 2015-01-05
[7] 웹사이트 Climate: Wakhan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22-09-02
[8] 웹사이트 Data Access Viewer https://power.larc.n[...] 2022-10-10
[9] 문서 J.Mock and K. O'Neil: Expedition Report http://www.mockandon[...]
[10] 문서 The Western Regions according to the Hou Hanshu http://depts.washing[...] 2004
[11] 웹사이트 Hermann Kreutzmann (2003) Ethnic minorities and marginality in the Pamirian Knot http://www.juldu.com[...] 2012-09-27
[12] 서적 The Kazakh Khanates Between the Russian and Qing Empires: Central Eur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13] 문서 WAKHAN Khuroson, Khujand 2018
[14] 문서 Library of Congress – Country Study of Afghanistan http://lcweb2.loc.go[...]
[15] 뉴스 In Icy Tip of Afghanistan, War Seems Remote https://www.nytimes.[...] 2010-10-28
[16] 웹사이트 Wak.p65 http://postconflict.[...] 2012-09-27
[17] 문서 1979
[18] 웹사이트 Doctor on call in Afghanistan http://news.bbc.co.u[...] BBC News 2012-09-27
[19] 웹사이트 Pamir Times http://pamirtimes.wo[...] Pamirtimes.wordpress.com 2012-09-27
[20] 뉴스 FACTBOX-Key facts about the Wakhan Corridor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6-12
[21] 웹사이트 Mock and O'Neil, Expedition Report (2004) http://www.mockandon[...] Mockandoneil.com 2012-09-27
[22] 웹사이트 Turkey: Kyrgyz Nomads Struggle To Make Peace With Settled Existence http://www.eurasiare[...] Eurasiareview.com 2012-09-27
[23] 뉴스 Tourism plan for Afghan mountains http://news.bbc.co.u[...] 2010-02-25
[24] 뉴스 BBC's John Simpson recommends: Trek Afghanistan http://www.iknowagre[...] 2010-02-07
[25] 뉴스 War and peace: Kate Humble treks into Afghanistan https://www.independ[...] 2010-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