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루치스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루치스탄은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의 교차점에 위치한 지역으로, 발루치족의 땅을 의미한다. 이 지역은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걸쳐 있으며, 아라비아해에 면한 마크란 해안에는 과다르와 차바하르 항구가 있다. 발루치스탄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인더스 문명의 영향, 아케메네스 제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지배를 거쳐 중세 시대에는 아랍인, 몽골 제국 등의 침략을 받았다. 19세기에는 영국 보호령이 되었고, 1947년 파키스탄의 독립 이후 파키스탄에 편입되었으나, 분리주의 운동과 인권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발루치족 외에 파슈툰족, 브라후이족도 거주하며, 발루치어, 파슈토어, 브라후이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발루치스탄"이라는 이름은 발루치족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8] 발루치족은 이슬람 이전의 자료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들의 기원지에서 다른 이름으로 알려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발루치스탄에 도착한 후인 10세기 즈음에 "발루치"라는 이름을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10]
아라비아해에 면한 Makran|마크란|마크란 해안영어에는 파키스탄 과다르(과다르 항)과 이란 차바하르(차바하르 항)이 있다. Gedrosia|게드로시아|게드로시아영어 사막을 품고 있다.
이란어군에 속하는 발루치어를 사용하는 발루치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파슈토어를 사용하는 파슈툰족, 브라흐위어를 사용하는 브라흐위족도 거주한다.
발루치족의 문화적 가치는 12세기와 16세기에 확고히 자리 잡았는데, 이 시기는 발루치인들에게 고통을 안겨 대규모 이주를 강요했을 뿐만 아니라 발루치 사회의 근본적인 사회 문화적 변혁을 가져왔다. 목축 생태와 부족 구조의 중첩은 현대 발루치 사회적 가치를 형성했다.[32] 목축업자의 유목 생활 방식과 다양한 강력한 민족 정체성의 동화 시도를 거부하려는 경향은 독특한 발루치 민족 정체성을 형성했다. 지난 2천 년 동안 강력하고 조직적인 종교에 의한 박해는 사회적 또는 지역 사회 문제에 대한 그들의 세속적인 종교관을 형성했다. 발루치 정체성의 독특한 특징인 독립적이고 고집스러운 행동은 그들의 유목 또는 농목축 과거와 일치한다.[32]
역사적으로 고대 발루치족의 종교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여러 발루치족 작가들은 샤푸르 2세와 호스로 2세가 발루치족을 박해했으며, 여기에는 강한 종교적, 종파적 이유가 있었다고 언급한다. 이들은 발루치족이 사산 왕조 군대와 교전할 당시 조로아스터교의 마즈다크교와 마니교를 믿었다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 중세 시대 발루치족 사회에서는 종교 기관의 발달된 구조가 발견되지 않았다. 발루치족은 7세기 발루치스탄의 아랍 정복 이후 이슬람으로 개종했으며, 거의 대부분 수니파에 속한다.[43]
발루치스탄 지역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란 세 국가에 행정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면적과 인구에서 가장 큰 부분은 파키스탄에 속하며, 파키스탄 최대의 주(면적 기준)는 발루치스탄이다. 파키스탄 인구의 약 690만 명이 발루치족으로 추산된다. 이란에는 약 200만 명의 발루치족이 있으며,[44] 동부 시스탄 및 발루체스탄 주 인구의 대다수가 발루치족이다. 아프가니스탄의 발루치스탄 지역에는 님루즈 주의 차하르 부르자크 구와 헬만드 및 칸다하르 주의 남부에 있는 레기스탄 사막이 포함된다. 아프가니스탄 님루즈 주 주지사는 발루치족이다.
[1]
웹사이트
Iran, Library of Congress, Country Profile
http://lcweb2.loc.go[...]
2009-12-05
2. 명칭
요한 한스만은 "발루치"라는 용어를 인더스 문명이 수메르인(기원전 2900–2350년)과 아카드인(기원전 2334–2154년)에게 알려진 이름인 ''멜루하''와 관련짓는다.[11] ''멜루하''는 기원전 2천년 초 메소포타미아 기록에서 사라졌지만, 한스만은 "Baluḫḫu"와 같이 수정된 형태로 신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911–605년)에서 수입된 제품의 이름에 남아 있었다고 말한다. 알-무카다시는 마크란의 수도인 반나지부르를 방문하여 서기 985년경 ''발루시''(발루치)라는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고 기록했는데, 한스만은 "발루치"가 ''멜루하''와 ''Baluḫḫu''의 수정된 형태라고 추정했다.
아스코 파르폴라는 ''멜루하''라는 이름을 인도아리아어 단어인 ''믈레차''(산스크리트어)와 ''밀락카/밀라크후''(팔리어) 등과 관련지으며, 비록 아리아인이 아닌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인도유럽어족 기원이 아니다. 그들을 드라비다어족 기원으로 보고, 이 용어를 고유명사 ''밀루-아캄''(인더스 사람들이 남쪽으로 이주할 때 ''타밀라캄''이 파생됨) 또는 ''멜루-아캄''으로 해석하여 발루치스탄의 고원을 지칭하는 "높은 나라"를 의미한다고 해석한다. 역사학자 로밀라 타파르 또한 ''멜루하''를 원시 드라비다어 용어로 해석하여, 아마도 ''멜루쿠''이며, "서쪽 끝"(인도 아대륙의 드라비다어 사용 지역)을 의미한다고 제안한다. 산스크리트어로 직역하면 ''아파란타''인데, 이것은 나중에 인도아리아인들이 이 지역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기원전 356–323년) 시대에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땅을 ''게드로시아''라고 불렀고, 그 사람들을 ''게드로소이''라고 불렀는데, 그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12] 어원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H. W. 베일리는 가능한 이란어군 이름인 ''우아드라바티''를 재구성했는데, 이는 "지하 채널의 땅"을 의미하며, 9세기에 ''바드라우트''로, 나중에는 ''발로치''로 변형되었을 수 있다. 이 추론은 여전히 추정적이다.[13]
발루치스탄(Balochistan)은 "발루치족의 땅"이라는 뜻이다.
메이지 시대에는 한자로 俾路芝[54], 卑路芝[55]로 표기되었다.
3. 지리
4. 역사
현재 발루치스탄 지역에 사람이 살았다는 초기 증거는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신석기 시대 초기 정착 마을은 메르가르 유적지를 포함한다. 기원전 2500년(청동기 시대)까지 이 지역은 인더스 문명의 문화권에 속해 있었다.[14]
아케메네스 제국 키루스 2세에 의해 속주가 설치되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다리우스 3세의 전쟁 동안 발루치족은 아케메네스 제국과 동맹을 맺었으나 패배하여 마케도니아 군대로부터 처벌을 받았다.[15] 1세기부터 3세기까지 이 지역은 인도-스키타이 왕국의 Paratarajas|파라타라자스영어가 통치했다.[56]
중세에는 아랍인의 지배를 받았으며, 9세기에 완전히 이슬람화되어 사파르 왕조의 영토가 되었다.[20] 이후 가즈나 왕조와 고르 왕조의 지배를 받았는데, 가즈나 왕조와 발루치족의 관계는 평화롭지 못했다.[20] 몽골 제국과의 관계에 대한 기록은 단편적이지만, 발루치 족장 샤 발루치가 몽골의 진격에 저항했다는 언급이 있다.
칼라트 칸국은 발루치스탄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통일된 정치체였다.[23] 1666년 미르 아흐마드 칸 1세는 무굴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23], 이 지역의 발루치 공국을 흡수했다.[22] 1758년 나시르 칸 1세 아흐마드자이는 아흐메드 샤 두라니를 물리치고 칼라트 칸국을 독립시켰다.[23]
1839년, 영국은 발루치스탄의 페르시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을 점령했다.[27] 1854년 조약으로 Baluchistan Agency|영국 보호령 발루치스탄영어이 되었고, 1870년대에 발루치스탄은 영국령 인도 제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28]
인도 독립 운동 당시, 인도 분할에 반대하고 통일된 인도를 지지하는 정당들이 발루치스탄 정치에서 활동했다.[29][30] 1947년 영국의 인도 통치가 종료되자, 칼라트 칸국은 독립을 선언했지만, 파키스탄의 군사적 압박으로 병합되었다.
발루치스탄은 파키스탄 국토의 40%를 차지하지만 인구는 5%에 불과하며,[57] 천연 가스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발루치인들은 파키스탄과 중국에 부를 수탈당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분리 독립 운동을 전개했다.[57] 1973년부터 1978년까지 파키스탄 정부는 발루치스탄에서 군사 작전을 실시했다.
1998년 5월 28일과 5월 30일, 파키스탄은 발루치스탄주에서 최초의 핵실험을 성공시켰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은 드론 공격 등을 통해 발루치스탄 분쟁에 개입하였고, 이로 인해 분쟁은 더욱 격화되었다.[22]
4. 1.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 사냥 캠프, 석기 산포지, 깨진 조각 및 벗겨진 석기 도구 등에서 현재 발루치스탄 지역에 인간이 거주했다는 초기 증거가 발견되었다.[14] 신석기 시대(기원전 7000년 - 기원전 2500년) 카치 평원의 메르가르 유적이 대표적이다. 기원전 2500년(청동기 시대)까지 현재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으로 알려진 지역은 인더스 문명의 문화적 영향권의 일부가 되었으며, 동쪽의 광대한 인더스 강 유역 정착지에 주요 자원을 제공했다.[14] 발루치스탄에는 인더스 문명을 담당한 것으로 여겨지는 발루치족이나 브라후이족이 살았다.
쿨리 문화 (기원전 2500년 - 기원전 2000년)는 Gedrosia|게드로시아영어에 있으며, 메르가르 유적과는 Bolan Pass|볼란 고개영어의 반대편에 위치해 있다. 쿨리 문화와 같은 시대에는 서쪽에 Jiroft culture|지롭트 문화영어 등이 알려져 있다. 쿨리 문화와 지롭트 문화와 인더스 문명 및 엘람과의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4. 2. 고대
기원전 530년경, 아케메네스 제국의 키루스 2세에 의해 Gedrosia|게드로시아영어 속주(사트라프)가 설치되었다.
알렉산드로스 3세 (기원전 356-323년)와 다리우스 3세 (기원전 336-330년) 황제의 전쟁 동안 발루치족은 마지막 아케메네스 제국 황제와 동맹을 맺었다. 패배한 편에 속한 발루치족은 승리한 마케도니아 군대로부터 처벌을 받았다.[15]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450년에 ''파레이타케노이''를 북서부 페르시아에서 데이오케스라는 페르시아 왕이 통치하는 부족으로 묘사했다. 아리아노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에서 ''파레이타카이''를 만났고, 크라테로스에 의해 정복되었다고 묘사한다.
3세기경,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인도-스키타이 왕국의 Paratarajas|파라타라자스영어[56]가 있었다. 1세기부터 3세기까지 이 지역은 파라타라자스(Pāratarājas, "파라타 왕")가 통치했는데, 이들은 인도-파르티아 왕조였다. 파라타 왕조는 마하바라타, 푸라나 및 기타 베다 및 이란 자료에 나오는 파라다스(Pāradas)와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파라타 왕들은 주로 동전을 통해 알려져 있는데, 동전 앞면에는 통치자의 흉상(머리띠를 한 긴 머리)이, 뒷면에는 스와스티카가 원형의 명문 안에 새겨져 있으며, 브라흐미 문자 (주로 은화) 또는 카로슈티 문자 (동전)로 쓰여져 있다. 이 동전들은 오늘날 서부 파키스탄의 로랄라이에서 주로 발견된다.
4. 3. 중세
7세기에는 우마이야 왕조, 8세기에는 아바스 왕조 등 아랍인의 지배를 받았다. 이 지역은 9세기에 완전히 이슬람화되었고, 자란지의 사파르 왕조의 영토가 되었다.[20] 이후 가즈나 왕조와 고르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가즈나 왕조와 발루치족의 관계는 평화롭지 못했다. 발루치 부족들은 994년 사부크테긴이 후즈다르를 공격했을 때, 그리고 1013년 가즈나 왕조 군대가 시스탄을 침략했을 때 마흐무드와 싸웠다.[20]
몽골 군단과의 발루치족의 만남에 대한 언급은 단편적이지만, 고전 발루치 발라드 중 하나에는 시스탄 어딘가에서 몽골의 진격에 영웅적으로 저항한 발루치 족장 샤 발루치가 언급되어 있다. 13세기에는 몽골인의 치세 하에 있던 일 칸국, 15세기에는 티무르 제국의 판도에 들어갔다.
1486년, 발루치족의 미르 차카르 린드영어가 린드 부족영어의 족장이 되면서 라샤리 부족영어과의 30년 전쟁에서 승리했다. 미르 차카르는 아프가니스탄과 펀자브 지방에도 침공하여 승리했다.
1638년 칼라트 칸국(1638년 - 1955년)이 성립되었지만,[24][25] 페르시아와 아프가니스탄의 영향이 컸다. 아프샤르 왕조의 나디르 샤가 칼라트 부족 연합군에 승리하여 칼호라의 영토를 빼앗기기도 했다. 이후 반독립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지만, 1758년에 나시르 칸 1세 아흐마드자이가 아흐메드 샤 두라니를 물리치고 칼라트 칸국은 독립을 회복했다.[23]
4. 4. 영국 보호령 시대
1839년, 영국은 발루치스탄의 페르시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을 점령했다.[27] 1840년 영국군이 침공했고, 1854년 조약을 맺어 Baluchistan Agency|영국 보호령 발루치스탄영어이 되었다. 이 지역은 영국이 인도를 통치하면서 본국과 인도 사이의 전신선을 부설하는 데 필수적인 지방이 되었다.
1870년대에 발루치스탄은 영국령 인도 제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28] 영국은 발루치스탄을 Kalat (princely state)|칼라트영어, Kharan (princely state)|카란영어, Las Bela (princely state)|라스 벨라영어, Makran (princely state)|마크란영어의 4개 번왕국과 Baluchistan (Chief Commissioner's Province)|발루치스탄 수석 칙임관령영어으로 분할했다.
칼라트 칸국과 조약을 체결하면서 영국이 기본적으로 추구한 것은 시카르푸르, 자코바바드(칸가드), 다다르, 볼란 고개, 퀘타, 코자크 고개를 거쳐 칸다하르로 가는 "인더스 군"에 길과 보급품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영국 제국주의자들이 발루치스탄에 관심을 가진 주된 이유는 인도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경제적인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군사적, 지정학적 성격이 강했다. 발루치스탄 진출의 기본적인 목적은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 오는 위협으로부터 영국령 인도의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주둔지를 배치하는 것이었다.[27]
1840년부터 발루치스탄 전역에서 영국 통치에 대한 봉기가 일어났다. 발루치족은 자신들의 국가가 점령된 아프가니스탄의 일부가 되어 꼭두각시 칸의 통치를 받는 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마리 부족이 반란을 일으켰고 영국은 무력으로 보복했다. 1840년 5월 11일, 브라운 소령이 지휘하는 영국군 부대가 카한의 마리 본부를 공격하여 카한 요새와 주변 지역을 점령했다. 마리군은 이 지역에서 철수하여 재결집했고, 필리지 근처에서 영국군 호송대를 매복 공격하여 영국군 100명 이상을 사살했다.[27]
인도 독립 운동 당시, 분할에 반대하고 통일된 인도를 지지하는 안주만-이-와탄 발루치스탄과 같은 친(親) 국민 회의 정당들이 발루치스탄 정치에서 활동했다.[29][30]
4. 5. 파키스탄 편입 이후
1947년 영국의 인도 통치가 종료되자, 칼라트 칸국은 "원래 인도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인도나 파키스탄에 참여하지 않고 독립을 선언했다. 영국과 파키스탄도 칼라트 토후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칼라트 칸국은 파키스탄과 특별한 관계를 맺는 것을 모색하여, 1952년에 Baluchistan States Union|발루치스탄 토후국 연합영어을 결성하고 의회와 내각을 설치했다.[57]
그러나 파키스탄의 군사적 압박(Balochistan conflict|발루치스탄 분쟁영어)에 저항할 수 없었던 칼라트 칸국은 병합 조약에 조인하여 파키스탄에 군사적으로 병합되었다. 그 후에도 잠시 내정 자치는 이어졌지만 권한은 대폭 축소되었고, 1955년에는 토후국 자체가 명목상으로도 소멸되었다.[57]
발루치스탄은 파키스탄 국토의 40%를 차지하지만 인구는 5%에 불과하다.[57] 그러나 발루치스탄은 석탄, 천연 가스, 크롬 등 풍부한 자원에 혜택을 받고 있다. 발루치스탄의 발루치인들은 파키스탄과 중국에 부를 수탈당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분리 독립 운동을 전개했다.[57]
1973년 이슬라마바드의 이라크 대사관을 파키스탄군과 경찰이 습격하여 무기가 압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라크, 소비에트 연방, 인도는 이란이나 파키스탄 영내에서 활동하는 발루치스탄 해방군 등 Baloch nationalism|발루치 민족주의영어 운동에 원조를 제공하고 있다고 파키스탄 정부로부터 비난받았다.[58][59][60][61][62][63]
1973년부터 1978년까지 파키스탄 정부는 발루치스탄에서 군사 작전을 실시했다.
1998년 5월 28일과 5월 30일, 파키스탄의 나와즈 샤리프 수상 겸 국방장관은 최초의 핵실험을 발루치스탄주 Chagai District|차가이 지구영어 Ras Koh Hills|라스 코 언덕영어의 지하 핵실험 시설에서 성공시켰다.
4. 6. 9.11 테러 이후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은 드론 공격 등을 통해 발루치스탄 분쟁에 개입하였고, 이로 인해 분쟁은 더욱 격화되었다.[22] 2004년부터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에서는 분리주의 무장세력의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2013년에는 발루치스탄 해방군이 콰이드-에-아잠 레지던시를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또한, 2021년 발루치스탄 지진을 비롯하여 2013년 발루치스탄 지진, 2013년 사라반 지진 등 큰 지진이 발생하는 등 자연재해도 발생하고 있다.
5. 주민
모국어로 펀자브어나 신드어가 사용되기도 하며, 제2언어로서 파키스탄에서는 우르두어,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페르시아어가 사용되는 등, 다중 언어 사용 환경이다.
6. 문화
발루치인 간의 분쟁 해결을 위한 메드 오 마라카는 매우 존경받는 전통이다. 이는 피고 또는 범죄자가 죄를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죄자 자신이 피해자의 집으로 가서 용서를 구한다.[33]
복장 규정과 개인 위생은 발루치인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는 문화적 가치 중 하나이다. 발루치 복장은 메디아 및 파르티아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고대 시대 이후 발루치 복장에는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발루치 의상은 가터로 고정된 헐렁하고 여러 번 접힌 바지, 짧은 머리, 셔츠(qamis), 그리고 머리 터번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과 수염은 조심스럽게 말려 있었지만, 때로는 길고 곧은 머리카락에 의존하기도 했다. 전형적인 발루치 여성의 옷은 긴 프록과 바지(샬와르)에 머리 스카프로 구성된다.[34][35]
자히로크는 가장 중요하고 유명한 발루치 노래 장르 중 하나로, 발루치인들 스스로 "발루치 클래식 음악"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36][37]
전통적인 발루치 음악의 악기에는 수루즈, 도날리, 가이차크, 도홀, 소르나, 루밥, 케멘체, 탐부라그, 벤주 등이 있다.[38][39][40][41][42]
7. 종교
8. 정치 및 분쟁
발루치스탄 지역은 "대(Greater) 발루치스탄"을 형성하기 위해 세 국가의 발루치 지역의 독립을 요구하는 분리주의 무장세력과 함께 여러 차례 반군 활동을 겪었다.[46] 파키스탄에서는 발루치스탄 주에서 분리주의 무장세력의 반군 활동이 1948년, 1958~59년, 1962~63년, 1973~1977년에 발생했으며, 2003년부터 새로운 저강도 반군 활동이 진행 중이다.[47][48] 역사적으로 분쟁의 원인으로는 "부족 간 분열", 발루치-파슈툰족 간의 민족 분열, "펀자브족의 소외", "경제적 억압" 등이 보고된다.[49] 그러나 파키스탄 보안군의 단속, 분리주의 무장세력 간의 내분, 그리고 파키스탄의 민주적 과정에 참여하려는 발루치 정치인들에 대한 분리주의 무장세력의 암살로 인해 분리주의 무장세력의 반군 활동은 감소했다.[50] 파키스탄의 분리주의 무장세력은 더 많은 자치와 이 지역의 천연 자원에 대한 더 큰 지분을 요구한다. 파키스탄의 발루치족은 초법적 살해, 강제 실종, 고문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겪었다. 이러한 행위는 국가 보안군과 그 관련자들이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51] 2019년 미국은 발루치스탄 해방군을 파키스탄 정부와 싸우는 분리주의 무장세력 중 하나로, 세계 테러 단체로 지정했다.[47]
이란에서는 분리주의 활동이 파키스탄의 분쟁만큼 큰 영향력을 얻지 못했지만,[52] 2012년부터 증가하고 더 종파적으로 변했으며,[44] 다수 수니파 발루치족은 시아-이슬람주의 이란 정부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살라피스트 및 반 시아파 이데올로기를 보이고 있다.[44] 이란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인 시스탄-발루체스탄은 오랫동안 마약 밀매 갱, 발루치 소수 민족 출신 반군, 수니파 극단주의자들이 관련된 불안에 시달려 왔다.[53]
참조
[2]
웹사이트
Afghanistan,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09-12-05
[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Ethnic Groups
https://www.cia.gov/[...]
2014-11-03
[4]
문서
Other variations of the spelling, especially on French maps, include ''Beloutchistan'' and ''Baloutchistan'' also ''Baloch Land''.
[5]
서적
The Baloch and Balochistan: A Historical Account from the Beginning to the Fall of the Baloch State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12-10-01
[6]
간행물
The History of Baloch and Balochistan: A Critical Appraisal
http://journals.pu.e[...]
2020-09-22
[7]
서적
The Baloch Race: A Historical and Ethnological Sketch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1904-01-01
[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Balochistan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6-02-12
[9]
뉴스
Human Rights in Balochistan: A Case Study in Failure and Invisibility
http://m.huffpost.co[...]
2016-03-25
[10]
백과사전
Encyclopaedia Iranica
[11]
서적
"The identification of Meluhha with the Greater Indus Valley is now almost universally accepted."
[12]
서적
The House of Seleuc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1-12
[13]
서적
[14]
뉴스
What did Harappans eat, how did they look? Haryana has the answers
http://www.hindustan[...]
2015-05-17
[15]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21
[1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Balochistan
https://thediplomat.[...]
2022-04-21
[17]
서적
Baluchistan
Directorate of Archives, Government of Balochistan
1923-01-01
[18]
서적
Balochistan Through the Ages: Geography and history
Nisa Traders
1979-01-01
[19]
서적
The Tribal Baluchistan
Ferozsons
1990-01-01
[20]
웹사이트
The Regions of Sind, Baluchistan, Multan and Kashmir: the Historical, Social and Economic Setting {{!}} Programme des Routes de la Soie
https://fr.unesco.or[...]
2022-04-21
[21]
웹사이트
Engaged review of contemporary art and thought
http://www.nakedpunc[...]
2022-04-21
[22]
서적
Ethnic Groups of South Asia and the Pacific: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01-01
[23]
웹사이트
Brahui
https://www.iranicao[...]
[24]
웹사이트
Mastung > History of district
https://bhc.gov.pk/d[...]
2021-06-28
[25]
서적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Pakistan: The Baloch, Sindhi and Mohajir Ethnic Move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1-01
[26]
웹사이트
Gale – Institution Finder
https://galeapps.gal[...]
2022-04-21
[27]
웹사이트
History – Government of Balochistan
https://balochistan.[...]
2022-04-21
[28]
서적
Colonial Governors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A Comprehensive Li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0-01-01
[29]
서적
Pakistan: History and Politics 1947-1971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1-01
[30]
서적
Partition of India: Postcolonial Legacies
Taylor & Francis
2018-01-01
[31]
웹사이트
Asian Disaster Reduction Center(ADRC)
https://www.adrc.asi[...]
2023-06-05
[32]
웹사이트
Balochi Culture
https://www.pakpedia[...]
2022-04-21
[33]
웹사이트
Baloch
https://www.britanni[...]
2022-04-21
[34]
웹사이트
Balochi culture dress
https://aboutpakista[...]
2022-04-21
[35]
웹사이트
The Baloch race. A historical and ethnological sketch
https://archive.org/[...]
1904-01-01
[36]
웹사이트
CULTURE: BUDDING LOVE FOR MUSIC
https://www.dawn.com[...]
2023-05-21
[37]
웹사이트
Zahirok: The Musical Base of Baloch Minstrelsy
https://www.academia[...]
[38]
논문
Music of Makran: Traditional Fusion from Coastal Balochistan
https://sites.ualber[...]
University of Texas Press
2024-01-05
[39]
웹사이트
BALUCHISTAN iv. Music of Baluchistan
https://www.iranicao[...]
2016-06-21
[40]
웹사이트
Regional Music
https://pakistanstud[...]
2024-01-05
[41]
웹사이트
Zahirok: The Musical Base of Baloch Minstrelsy
https://www.academia[...]
[42]
웹사이트
Baloch music through history and time
https://tribune.com.[...]
2024-01-06
[43]
논문
Is There an Ethno-religious Aspect in Balochi Identity?
https://brill.com/vi[...]
2022-04-21
[44]
뉴스
Iran's Baloch insurgency and the IS
http://www.atimes.co[...]
2015-06-26
[45]
웹사이트
Ex-president Pervez Musharraf: From Pakistan military ruler to fugitive in murder cases
https://indianexpres[...]
2023-05-20
[46]
뉴스
Who are Baloch Liberation Army? Insurgents who killed 30 in Pakistan in last one week
https://theprint.in/[...]
2020-02-20
[47]
뉴스
US declares Pakistan's separatist Baluchistan Liberation Army as terrorist group
https://indianexpres[...]
2019-07-03
[48]
뉴스
The battle for Balochistan
http://www.dawn.com/[...]
2015-06-22
[49]
논문
PAKISTAN'S BALOCH INSURGENCY: History, Conflict Drivers, and Regional Implications
http://www.iar-gwu.o[...]
2015-06-24
[50]
뉴스
Balochistan's Separatist Insurgency On The Wane Despite Recent Attack
https://gandhara.rfe[...]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9-04-18
[51]
웹사이트
The untold story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Balochistan: Unveiling the historical context
https://www.dnaindia[...]
2023-06-02
[52]
웹사이트
How Serious Is the Baluch Insurgency?
http://www.asiantrib[...]
Asian Tribune
2011-12-02
[53]
웹사이트
3 police officers killed in attacks in southeastern Iran
https://www.voanews.[...]
2024-10-21
[54]
서적
明治改正大日本国名尽・世界国名尽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近八郎右衛門
2017-12-20
[55]
서적
新案世界地図 : 教科適用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いろは書房、文陽堂
2017-12-20
[56]
웹사이트
New Light on the Pāratarājas
http://people.bu.edu[...]
[57]
웹사이트
【巨竜むさぼる 中国式「資源」獲得術】第3部 真珠の首飾り(1)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0-05-16
[58]
서적
In Afghanistan's Shadow: Baluch Nationalism and Soviet Temptation
[59]
웹사이트
The Friday Times:Caught! (But what?) by Shahid Saeed
http://www.thefriday[...]
Thefridaytimes.com
2014-10-14
[60]
서적
Inside Baluchistan, a Political Authorbiography by Mir Ahmad Khan Baluch
[61]
뉴스
Obituary: Sher Mohammed Marri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3-05-18
[62]
뉴스
Iraq's shadow on Balochistan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63]
뉴스
Anatomy of Baloch Liberation Army
https://www.dawn.com[...]
dawn.com
2006-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