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한 회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한 회랑은 파미르고원 남쪽의 피얀지 강 남쪽에 위치한 아프가니스탄 바다흐샨주에 있는 좁고 긴 계곡이다. 길이는 약 350km이며, 파미르인, 와키인, 키르기스인 등 약 12,000명이 거주한다. 역사적으로 무역로로 이용되었으며, 영국과 러시아의 '그레이트 게임'에서 완충 지대로 기능했다. 현재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2021년 탈레반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지키스탄-파키스탄 관계 - 경제 협력 기구
    경제협력기구(ECO)는 1985년 이란, 파키스탄, 튀르키예가 설립한 사회·경제 발전 목표의 지역 정부기구로, 1992년 7개국 추가 가입 후 회원국 경제 개발 지원, 역내 무역 증진, 무역 장벽 철폐, 세계 경제 통합 등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서 회원국 간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
  • 소련-파키스탄 관계 - 3234고지 전투
    3234고지 전투는 1988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소련 공수부대가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과 격전을 벌인 사건으로, 소련군은 고지를 사수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 소련-파키스탄 관계 - U-2기 사건
    U-2기 사건은 1960년 5월 1일 미국 U-2 정찰기가 소련 영공에서 격추되어 미국의 첩보 활동이 드러나면서 미·소 관계가 악화되고 국제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바다흐샨주의 지형 - 힌두쿠시산맥
    힌두쿠시산맥은 "힌두교도의 살인자"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으로, 파미르 고원, 카라코람 산맥,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부분을 형성하며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고,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가로지르며 높은 고봉들을 포함하고 있고, 기후 변화로 빙하가 감소하고 있어 미래 개발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바다흐샨주의 지형 - 파미르고원
    파미르고원은 중앙아시아의 고원 지대로 주요 산맥들이 교차하는 "세계의 지붕"이라 불리며 실크로드의 통로였고 양 방목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와한 회랑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개요
위치아프가니스탄 북동부
길이약 350km
너비13~65km
인접 국가북쪽: 타지키스탄
남쪽: 파키스탄
서쪽: 아프가니스탄
동쪽: 중국
산맥북쪽: 파미르 산맥
남쪽: 카라코람 산맥
기타 명칭와한 파미르
아프가니스탄 회랑
역사
경계 획정1963년 11월 비밀 조약으로 중국과 아프가니스탄 간 국경이 확정
언어
파슈토어(다흘레즈 와한)
페르시아어دالان واخان (달란 와한)
타지크어Долони Вахон (돌로니 바혼)
중국어瓦罕走廊 (와한 저우랑)
로마자 표기
파슈토어wāxān dahléz
페르시아어dâlân vâxân
중국어Wǎhǎn Zǒuláng
기타
해발고도4923m

2. 지리

와한 회랑은 파미르고원 남쪽 끝자락을 동서로 흐르는 피얀지 강 바로 남쪽에 있는 바다흐샨주에 위치하며, 파미르인, 와키인, 키르기스인 등 약 12,000명이 거주하고 있다.[46]

회랑의 북쪽은 파미르 강과 조르쿨 호, 파미르 산맥의 높은 봉우리들로, 남쪽은 힌두쿠시 산맥과 카라코람 산맥의 높은 산들로 경계 지어진다. 남쪽에는 이웃 지역과 연결하는 브로골 고개(파키스탄 카이버 푸크툰크와 연결), 이르샤드 고개(길기트-발티스탄 연결), 사용되지 않는 딜리상 고개 등의 산길이 있다.[10]

중국 국경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이 있으며, 찰라치구 계곡은 와칸 회랑의 일부로 간주된다. 이 계곡은 길이가 약 100km이고, 폭은 3km~5km이며, 가장 좁은 곳은 1km 미만이다.[12] 이 계곡은 방문객에게 금지되어 있지만, 지역 주민과 목동들은 출입이 허용된다.[13]

2009년 초, NATO군은 안전한 수송로 확보를 위해 중국에 국경 개방을 요구했지만, 중국 측의 답변이 없었고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 측에서 도로 공사 일부를 시작했으나, 최종적으로 개방에는 이르지 못했다.[43]

2. 1. 지형

와한 회랑은 파미르고원의 남쪽 끝자락을 동서로 흐르는 피얀지 강(Pyanji) 바로 남쪽에 있는 바다흐샨주에 위치한다. 회랑의 길이는 약 350km이다. 회랑 서쪽 3분의 1은 너비가 13km~30km이며 Wakhan 중심부에서 65km로 넓어진다.[4] 동쪽 끝에서는 회랑이 두 갈래로 갈라져 중국 영토의 돌출부를 감싸며 두 국가 간 92km의 경계를 형성한다.[4]



와칸 회랑의 범람원


1874년 5월 2일, 토마스 에드워드 고든이 수채화로 그린 ''조르쿨 호(Lake Victoria), 대 파미르''
[9]

아프가니스탄의 이시카심 마을 근처 서쪽 입구에서 와칸 회랑의 너비는 약 18km이다.[4] 남동쪽 갈래의 가장 동쪽 지점인 와크지르 고개는 이시카심에서 약 300km 떨어져 있다.[4] 북동쪽 갈래의 가장 동쪽 지점은 이시카심에서 약 350km 떨어진 이름 없는 황야 지역이다.[4]

회랑의 북쪽 경계는 서쪽의 파미르 강과 조르쿨 호, 동쪽의 파미르 산맥의 높은 봉우리들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에는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 가 있다. 남쪽으로는 회랑은 힌두쿠시 산맥과 카라코람 산맥의 높은 산들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

회랑은 서쪽보다 동쪽이 더 높다. 와크지르 고개의 고도는 4923m이며, 이시카심에서는 약 3037m까지 내려간다.[11]

2. 2. 주요 고개

고개 이름설명
와크지르 고개중국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유일한 국경 연결 지점, 해발 4923m[10]
브로골 고개파키스탄의 카이버 푸크툰크와 지역으로 연결[10]
이르샤드 고개길기트-발티스탄과 연결[10]
딜리상 고개길기트-발티스탄과 연결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10]



중국 국경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도의 국경 중 하나로 여겨지는 와후지르 고개(4923m)가 있다.[43]

2. 3. 수계

와크지르 강은 와크지르 고개 아프가니스탄 쪽의 얼음 동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른다. 보자이 굼바즈 마을 근처에서 보자이 다리아와 합류하여 와칸 강을 형성한다. 와칸 강은 칼라-이-판지 근처에서 파미르 강과 합류하여 판지 강을 형성하고, 이시카심에서 와칸 회랑을 빠져나간다.[11]

2. 4. 주민

파미르고원 남쪽 끝자락을 동서로 흐르는 피얀지 강 바로 남쪽에 있는 바다흐샨주에 위치한 와한 회랑에는 파미르인, 와키인, 키르기스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는 약 12,000명 정도이다.[46] 와한 회랑의 인구는 드물고, 와한족을 중심으로 키르기스인이 소수 거주하고 있다.

3. 역사

와한 회랑은 지형이 매우 험준하지만, 역사적으로 바다흐샨과 야르칸트 사이의 무역로로 이용되었다.[14] 마르코 폴로도 이 길을 지나간 것으로 보인다.[15] 1602년에서 1606년 사이에는 포르투갈 예수회 사제 벤토 드 고이스가 와칸에서 중국으로 건너갔다. 1906년 5월, 오렐 스타인 경은 와칸을 탐험하고 당시 연간 100마리의 조랑말에 실은 물품이 중국으로 건너갔다고 보고했다.[16] 19세기에는 영국군의 T.E. 고든 대위(1874년),[17] 프랜시스 영허스밴드(1891년),[18] 커즌 경(1894년)이 이 지역을 통과했다.[19]

초기 여행자들은 다음 세 가지 경로 중 하나를 이용했다.


  • 북쪽 루트: 파미르 강 계곡을 따라 조르쿨 호수까지 이어진 후, 산맥을 동쪽으로 가로질러 바르탕 강 계곡으로 향하고, 사리콜 산맥을 넘어 중국으로 향했다.
  • 남쪽 루트: 와칸 강 계곡을 따라 와크지르 고개를 넘어 중국으로 이어졌다. 이 고개는 1년에 최소 5개월 동안 폐쇄되며, 나머지 기간에도 불규칙적으로만 개방된다.[20]
  • 중앙 루트: 남쪽 루트에서 갈라져 리틀 파미르를 지나 무르가브 강 계곡으로 이어졌다.


이 지역은 외딴 위치에 있어 1970년대 후반 이후 계속된 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전쟁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주로 파미르인키르기스인으로 구성된 많은 지역 주민들은 자국의 전쟁을 알지 못한다.[25]

제이콥 타운센드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중국으로 와칸 회랑과 와크지르 고개를 통해 마약 밀수가 이루어질 가능성에 대해 추측했지만, 여행의 어려움과 국경 횡단 문제로 인해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또는 파키스탄을 통한 경로에 비해 미미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4]

2009년 12월에는 미국이 중국에 회랑 개방을 요청했다는 보도가 있었다.[28] 2021년 7월, 이 지역은 2021년 탈레반 공세 중 처음으로 탈레반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29] 수백 명의 키르기스족 유목민들이 가축과 함께 타지키스탄 북쪽으로 피신하려 했다는 보도가 있었다.[30]

2024년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실시된 독립적인 분석에서는 오픈소스 정보를 바탕으로 회랑이 "주로 흙길과 오솔길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경에 도달하기 전에 갑자기 끝난다"고 밝혔다.[35]

3. 1. 고대

아주 오래 전부터 타클라마칸 사막을 통해 동서를 잇는 실크로드 ('비단길')의 일부를 이루는 중요한 통로였다.[14] 고구려 출신 당나라 장수 고선지가 지휘하는 당나라군과 동맹군 카를루크가 아바스 왕조, 티베트 연합군의 동쪽 진출을 막기 위해 탈라스 전투 때 지나간 길목이었다. 지형이 매우 험준하지만, 와칸 회랑은 역사적으로 바다흐샨과 야르칸트 사이의 무역로로 이용되었다.[14]

3. 2. 19세기: 그레이트 게임

영국러시아 제국 간의 그레이트 게임의 주요 무대였다. 1893년, 영국은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막기 위해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국경인 듀랜드 라인을 설정했고, 와칸 회랑은 이 라인의 일부가 되었다.[47] 이 듀랜드 라인은 영국과 러시아 사이 분쟁의 완충제 역할을 했지만, 민족과 지역에 대한 고려 없이 설정되어 현재까지 분쟁의 원인이 되고있다.[48]

1873년, 영국과 러시아 제국 간의 협정으로 판지 강과 파미르 강이 아프가니스탄과 러시아 제국 간의 국경으로 설정되어 역사적인 와칸 지역이 분할되었다.[4] 1893년 듀랜드 라인 협정으로 영국령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의 경계가 표시되면서, 아프가니스탄이 지배하는 좁은 지역이 두 제국의 완충지대로 남게 되었고, 이것이 20세기에 와칸 회랑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1]

3. 3. 20세기

이 회랑은 1세기 이상 일반 교통에 폐쇄되었고,[11] 현대식 도로는 없다. 1960년대에 이시카심에서 사르하드에 브로길까지 거친 도로가 건설되었지만,[22][23] 그 너머로는 험한 길만 존재한다. 이 길들은 도로 끝에서 와크지르 고개의 중국 국경까지 약 100km 뻗어 있으며, 리틀 파미르의 훨씬 끝까지 이어진다.

3. 4. 21세기: 현재

와한 회랑은 중국과 맞닿아 있어 최근 중국과의 관계에서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 주도의 현대판 실크로드 전략의 일부로 와한 회랑이 포함되어 있다.[49]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국은 신장 독립운동 세력이 와한 회랑을 통해 침투하거나, 와한을 거점으로 신장 분리 독립을 전개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50]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경제적 이유 또는 탈레반 반란과 싸우기 위한 대체 보급로 확보를 위해 와칸 회랑의 국경 개방을 중화인민공화국에 여러 차례 요청했다. 그러나 중국은 와칸 회랑과 접경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신장 분쟁을 이유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26][27]

2021년 7월, 탈레반의 공세로 이 지역은 탈레반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29] 이전 NATO 훈련을 받은 아프가니스탄 국가 안보군으로부터 책임을 넘겨받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의 군대가 이 지역을 순찰하고 있다.[31][32]

2023년 6월, 베이징과 카불 사이의 무역 관계 강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중요한 회랑 개방에 관한 중국과 아프가니스탄 외교부 장관 간의 논의가 있었다. 아미르 칸 무타키 아프가니스탄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 장관은 국제 협력을 위한 제3차 트랜스 히말라야 포럼에서 회담을 갖고 무역 관계 개선 가능성을 논의했다.[33] 탈레반 정부는 중국 국경에 도달하기 위해 회랑을 통해 50km의 도로를 완공했지만, 중국은 안보 우려로 인해 국경 개방에 소극적인 것으로 보인다.[34]

4. 주요 인물

이름설명
고선지고구려 출신의 당나라 장군으로, 탈라스 전투 당시 와칸 회랑을 통과했다는 기록이 있다.
마르코 폴로와칸 회랑을 지나간 것으로 추정되는 탐험가이다.[15]
벤토 드 고이스1602년에서 1606년 사이에 와칸에서 중국으로 건너간 포르투갈 예수회 사제이다.
오렐 스타인1906년 와칸을 탐험한 고고학자이다.[16]
T.E. 고든1874년 와칸 회랑을 통과한 영국군 대위이다.[17]
프랜시스 영허즈번드1891년 와칸 회랑을 통과했으며,[18] 1890년에는 러시아 제국 군인들에게 체포될 뻔한 사건이 있었다.
커즌 경1894년 와칸 회랑을 통과한 정치가이다.[19]
브로니슬라프 그롬브체프스키1890년 와항 회랑의 보자이 궁바즈에서 프랜시스 영허즈번드를 체포할 뻔했던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다.


5. 희귀 동물

눈표범의 서식이 확인되고 있다.[44]

참조

[1] 서적 Beijing's Power and China's Borders: Twenty Neighbors in Asia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5-05-18
[2] 서적 Pakistan's Defence Policy 1947-58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1990-08-22
[3] 서적 Pakistan: A Global Studies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4] 간행물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of the Afghanistan–USSR Boundary (1983) http://www.law.fsu.e[...] US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5] 학술지 The Strategic Wakhan https://www.jstor.or[...] 2023-04-04
[6] 웹사이트 Wakhan Corridor travel guide https://caravanistan[...] 2018-10-29
[7] 서적 Afghanistan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1986
[8]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1-1400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Lake Victoria, Great Pamir, May 2nd, 1874 - Lake Victoria, Great Pamir, May 2nd, 1874 https://www.sphinxfi[...] 2021-12-11
[10] 웹사이트 J.Mock and K. O'Neil: Expedition Report http://www.mockandon[...]
[11] 뉴스 FACTBOX-Key facts about the Wakhan Corridor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6-12
[12] 웹사이트 新疆边境行:记者抵达瓦罕走廊中方最西端(图)_新闻中心_新浪网 http://news.sina.com[...] Global Times 2011-07-07
[13] 웹사이트 A new road to an inaccessible land https://www.bbc.com/[...] 2021-07-03
[14] 학술지 Ancient Khotan http://dsr.nii.ac.jp[...]
[15]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Book 1, Chapter 32 s:The Travels of Mar[...]
[16] 서적 1979 and 2002
[17] 서적 When Men and Mountains Meet 1983
[18] 서적 The Heart of a Continent 1896, republished 2000
[19] 학술지 Geographical Journal 1896-07-09
[20] 서적 China and Afghan Opiates: Assessing the Risk https://web.archive.[...]
[21] 뉴스 A Few Salient Points https://opinionator.[...] 2011-12-05
[22] 웹사이트 2004 Mock & O'Neil Wakhan Expedition Report http://www.mockandon[...] 2021-12-11
[2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3) Wakhan Mission Report http://postconflict.[...]
[24] 간행물 China and Afghan Opiates: Assessing the Risk (Chapter 4) http://www.silkroads[...] 2005-06
[25] 뉴스 Wakhan Corridor: The Afghanistan Province Untouched by Government, War or Terror https://www.news18.c[...] 2018-02-10
[26] 뉴스 Afghanistan tells China to open Wakhan corridor route http://www.hindu.com[...] The Hindu 2009-06-11
[27] 뉴스 China mulls Afghan border request http://news.bbc.co.u[...] BBC News Online 2009-06-12
[28] 웹사이트 Southasiaanalysis.org http://www.southasia[...] 2021-12-11
[29] 뉴스 The Taliban conquest of a thin strip of land could change Afghanistan https://www.smh.com.[...] 2021-07-23
[30] 뉴스 These Herders Lived in Peaceful Isolation. Now, War Has Found Them. https://www.nytimes.[...] 2021-07-29
[31] 뉴스 Cabinet orders military deployment, services in Wakhan valley https://pajhwok.com/[...] 2022-11-20
[32] 뉴스 Wakhan: The Corridor of Complication between Taliban, Pakistan and China https://www.indiatod[...] 2022-08-01
[33] 웹사이트 Chinese, Afghan foreign ministers discuss opening of strategic Wakhan Corridor https://www.aa.com.t[...]
[34] 뉴스 China fails to strike connectivity goal with Taliban amid security threats in Xinjiang: Report https://www.wionews.[...] 2024-01-27
[35] 웹사이트 Chinese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Taliban https://www.tearline[...]
[36] 웹사이트 戦火さえ来ない最果ての地、アフガニスタンのワハン回廊 https://www.afpbb.co[...] AFP 2018-03-15
[37] 뉴스 Report: China Building Military Base on Afghan-Tajik Border http://www.eurasiane[...] EurasiaNet 2018-01-08
[38] 뉴스 У границы с Таджикистаном появится новая военная база афганской армии http://www.ferganane[...] Ferghana Information Agency 2018-01-08
[39] 뉴스 China to fund base in Afghanistan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8-01-10
[40] 웹사이트 China’s Military Base in Afghanistan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8-01-17
[41] 웹사이트 China is helping Afghanistan set up mountain brigade to fight terrorism https://www.scmp.com[...] 사우스차이나 모닝 포스트 2018-08-30
[42] 웹사이트 In Central Asia’s forbidding highlands, a quiet newcomer: Chinese troops https://www.washingt[...] 워싱턴 포스트 2018-08-30
[43] 뉴스 NATOが中国にアフガン国境の開放を要請か―インド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레코드 차이나 2014-06-06
[44] 웹사이트 生息多数、アフガンのユキヒョウ https://natgeo.nikke[...] 2023-11-29
[45] 서적 아프가니스탄, 왜?
[46] 논문 아프가니스탄-소련 경계에 대한 국제 경계 연구 미국정보 연구국 2021-10-02
[47] 서적 아프가니스탄, 왜?
[48] 웹인용 세계 역사를 바꾼 그레이트 게임과 아프가니스탄의 비극 https://www.youtube.[...]
[49] 웹인용 일대일로 https://terms.naver.[...]
[50] 뉴스 中, 아프간 '와칸 회랑'에 촉각…신장 분리독립 불씨 되나 https://www.yonhap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