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장 독립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장 독립운동은 중국 신장 지역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운동으로, 이 지역의 역사적, 민족적, 종교적 이질성을 배경으로 한다. 청나라, 중화민국 시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독립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독립 운동이 이어졌다. 독립 지지자들은 위구르족의 원주민적 지위와 문화적 독자성을 강조하며, 중국 정부의 인권 탄압, 경제적 차별, 문화 말살 정책에 반발한다. 중국 정부는 신장 독립운동을 분리주의, 테러, 극단주의로 규정하며 강하게 탄압하고 있다. 주요 사건으로는 1990년 바린 향 사건, 1997년 굴자 사건, 2009년 우루무치 소요 등이 있으며, 관련 단체로는 세계 위구르 회의,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등이 있다. 국제 사회는 신장 독립운동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이며, 미국은 일부 과격 단체를 테러 조직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은 1933년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건국된 독립 국가로, 자디드 운동의 영향과 중국의 억압에 대한 반발로 건국되었으나, 내부 갈등과 외부 세력의 개입으로 1934년에 멸망했다.
  •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세계 위구르 회의
    세계 위구르 회의는 위구르족의 권익 보호와 자치권 확대를 목표로 하는 국제적인 비정부기구로, 중국 내 위구르족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적 인식 제고와 옹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분리주의 활동을 조장하는 단체로 간주하는 반면, 세계 위구르 회의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위구르족의 권리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중국의 학살 - 안사의 난
    안사의 난은 당나라 말기에 안록산이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당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으며,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학살 - 4·12 사건
    4·12 사건은 1927년 4월 12일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이 상하이에서 중국 공산당을 비롯한 좌파 세력을 무력으로 탄압한 사건으로, 국공합작 결렬과 국공 내전의 본격화, 중국 공산당의 농촌 근거지 이동 및 무장 투쟁 전개, 그리고 마오쩌둥의 부상과 홍군 창설에 영향을 미쳤다.
  • 위구르족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위구르족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신장 독립운동
개요
쾨크 바이락은 동튀르키스탄 독립 운동의 상징이다.
쾨크 바이락은 동튀르키스탄 독립 운동의 상징임
중국어 간체东突厥斯坦独立运动
중국어 정체東突厥斯坦獨立運動
한어 병음Dōng Tūjuésītǎn Dúlì Yùndòng
위구르어شەرقىي تۈركىستان مۇستەقىللىق ھەرىكىتى
위구르어 로마자 표기Sherqiy Türkistan Musteqilliq Herikiti
목표
목표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독립
관련 단체
주요 단체동튀르키스탄 망명 정부
세계 위구르 회의
동튀르키스탄 이슬람 운동(현재 튀르키스탄 이슬람당으로 알려짐)
기타 단체동튀르키스탄 해방 기구
동튀르키스탄 국민회의
위구르 청년 연합
기타 정보
관련 정보신장의 역사
신장 독립
범튀르크주의
범이슬람주의

2. 역사

동투르키스탄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인종, 민족, 종교적으로 중국과 매우 이질적이며, 오랫동안 독립적 혹은 자치적으로 정치, 경제적 독자성을 지켜왔다. 문화 및 언어적으로도 중국 문화권에 쉽게 동화되기 어려웠다. 2~3세기 동안 지속된 반자치적 부족 단위의 유목 생활은 변화가 어려웠고, 이는 청나라 붕괴와 중화민국 수립으로 이어져 새로운 독립 공화국 수립의 배경이 되었다.[1] 그러나 여러 차례에 걸친 군벌의 침략과 중화민국의 재정복 시도, 정정 불안으로 독립은 좌절되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중국 인민해방군의 침략으로 이어졌다.

청 제국 시대에 동투르키스탄이 신장으로 불리게 되었고, 1912년 신해혁명으로 건국된 중화민국에서 신장성이 설치되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은 덩리췬을 파견하여 신장 접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했고, 마오쩌둥은 일리 정부 수뇌진을 베이징정치협상회의에 초청했다. 그러나 8월 25일 일리 수뇌진이 탑승한 비행기가 소련 영내에서 추락하면서[35] 일리 정부는 혼란에 빠졌고, 세이푸딘 에이지즈 등 남은 간부들이 공산당에 복속을 표명했다. 9월 26일 부르한 샤히디 등 신장성 정부 간부도 국민정부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공산당 정부에 복속했다. 12월까지 인민해방군이 신장 전역에 전개되어 동투르키스탄은 완전히 중화인민공화국에 통합되었다.[36] (위구르 침공). 1955년 민족구역자치가 적용되어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설치되었다.

현재 중국 전체 면적의 1/6을 차지하는 신장은 막대한 지하자원과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분리 독립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구 소련에 속했던 이슬람 공화국들의 독립은 이 지역의 독립 운동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이 자치구에 파급될 것을 우려하여 강력하게 경계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신장에서는 심각한 폭동이 많이 발생했으며, 1997년 2월 우루무치 연쇄 버스 폭발 사건과 카자흐스탄 국경 근처 이닝 시 충돌 등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9·11 테러 이후 탈레반에게 군사 훈련을 받은 위구르족 청년들이 있다는 정보가 있어 단속이 강화되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현재도 신장을 신장성으로 칭하며 공산당 통치를 인정하지 않고 중공의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불만을 바탕으로 중국 내외 운동 조직은 튀르크계 주민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며, 중국 통치 내 민족 자치 확대 및 인권 개선을 목표로 하는 활동도 광의의 독립 운동으로 언급된다. 중국 정부는 서부 대개발로 대표되는 대규모 경제 지원을 통해 주민 생활 수준을 향상시켜 독립 열기를 진정시키려 하는 한편, 분리주의와 결부되는 민족주의 고취 움직임은 엄격하게 단속하고 있다.

2. 1. 청나라 이전

이 지역은 인종, 민족, 종교적으로 중국과 매우 이질적인 곳이며, 오랜 옛날부터 독립적 혹은 자치적으로 정치, 경제적 독자성을 지켜온 곳이었다. 문화적, 언어적으로도 중국 문화권에 쉽게 동화되기 어려운 곳이었다.

약 2~3세기 지속된 반자치적 부족 단위의 유목 생활은 변화가 어려웠고, 이는 청나라 붕괴와 중화민국 수립으로 이어져 새로운 독립 공화국 수립의 배경이 되었다.[1]

2. 2. 청나라 시기

18세기 청나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신장(新疆, 새로운 영토)'으로 불리게 되었다.[14] 청나라는 이 지역을 직접 통치하기보다는 간접적인 지배 방식을 택했다.

2. 3. 중화민국 시기

청나라가 붕괴된 후, 이 지역은 중화민국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났다. 1912년 신해혁명으로 건국된 중화민국은 신장성을 설치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했다.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존속했던 단명한 제1 동투르키스탄 공화국(동투르키스탄 투르크 이슬람 공화국)은 동투르키스탄 독립을 위한 초기 시도였다. 이 공화국은 중화민국 시대 20년 동안의 군벌 시대 이후 카슈가르에 대한 통제를 확립하려던 중화민국에 대한 카슈가르 반란 이후 형성되었다. 중국 후이족 무슬림 36사 (국민혁명군)는 카슈가르 전투 (1933)와 카슈가르 전투 (1934)에서 중화민국이 승리한 후 제1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진압했다.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육군 장교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 내전에서 대립하며 중화민국 치하 후반기에,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의 소련은 신장을 침공하여 일리(이닝시)에서 지역 반란을 지원했다. 이 반란은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1944–1949)의 설립으로 이어졌으며, 신장의 세 북부 지역(일리, 타르바가타이, 알타이)에서 소련의 은밀한 지원을 받으며 존재했다.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은 짧은 기간 존속했던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부 신장의 승인받지 못한 공화국이었다.


소련은 일리 반란에서 중화민국에 맞서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지원했다. 레비야 카디르의 자서전 『드래곤 파이터: 한 여성의 중국과의 평화를 위한 장대한 투쟁』에 따르면, 그녀의 아버지는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일리 반란(삼구 혁명)에서 소련의 지원과 원조를 받아 장제스 휘하의 중화민국 정부에 맞서 싸운 친소련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의 위구르 반군과 함께 복무했다.[14] 카디르와 그녀의 가족은 신장에 거주하는 백계 러시아 망명자와 친밀한 관계였으며, 카디르는 많은 위구르인들이 러시아 문화가 위구르 문화보다 "더 발전했다"고 생각했으며 러시아인들을 매우 "존경"했다고 회상했다.

신장 일리 지역의 많은 튀르크계 민족들은 러시아와 이후 소련과 밀접한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들 중 다수가 소련에서 교육을 받았고, 러시아 정착민 공동체가 이 지역에 거주했다. 그 결과, 많은 튀르크계 반군들이 소련으로 도망쳐 1943년 일리 반란 동안 중국 국민당 통치에 반란을 일으키기 위해 신장 튀르크 민족 해방 위원회(STPNLC)를 설립하는 데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나중에 반란과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의 지도자가 된 친소련 위구르인 아흐메트잔 카시미는 소련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스탈린의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소련은 선전을 통해 신장 자치 활동을 선동하여 카자흐족이 소련으로 도망가도록 부추기고 중국을 공격했다. 중국은 특히 한족 빈퇀 민병대와 농부들을 배치하여 신장-소련 국경 지역을 강화함으로써 대응했다. 소련은 위구르 민족주의 선전과 중국에 대한 위구르 분리주의 운동을 지원했다. 소련 역사가들은 위구르인의 고향이 신장이라고 주장했으며, 위구르 민족주의는 튀르크학에 대한 소련식 역사 버전에 의해 조장되었다. 동투르키스탄 인민당은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1970년대에 소련은 중국과 싸우기 위해 URFET를 지원했다.

2. 4.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49년, 중국 공산당은 신장을 접수하기 위해 덩리췬을 파견하여 일리 정부와 협상을 벌였다.[35] 마오쩌둥은 일리 정부에 서한을 보내 일리 수뇌진을 베이징정치협상회의에 초청했다.[35] 그러나 8월 25일, 베이징으로 가기 위해 일리 수뇌진이 탑승한 비행기는 소련 영내에서 추락했다.[35] 수뇌부를 잃은 일리 정부는 혼란에 빠졌고, 남겨진 일리 정부 간부 세이푸딘 에이지즈가 급히 정치협상회의에 참석하여 공산당에 복속을 표명했다.

9월 26일에는 부르한 샤히디 등 신장성 정부 간부도 국민정부와의 관계를 끊고 공산당 정부에 복속할 것을 표명했다. 12월까지 인민해방군이 신장 전역에 전개되어, 동투르키스탄은 완전히 중화인민공화국에 통합되었다(위구르 침공).[36] 1955년에는 민족구역자치의 적용을 받아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설치되었다.

1955년에 설립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1957년 반우파 투쟁으로 인해 소수 민족 출신 당 간부의 다수가 숙청되었다. 1958년부터 시작된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주민들에게 많은 아사자를 발생시켰다. 1966년에는 신장에도 문화 대혁명이 파급되어, 중국 본토에서 파견된 홍위병에 의해, 구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진 모스크종교 지도자에 대한 박해가 이루어졌다. 1967년에는 홍위병 간의 무장 투쟁에 소수 민족이 동원되어, 많은 사상자를 내는 등, 신장의 사회 정세는 대혼란에 빠졌다.

1982년 4월, 중국 정부는 신장의 종교 문제와 민족주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민족 정책의 전환을 꾀했다. 1980년대에는 언론 통제가 완화되었고, 중국 정부에 의해 문화 대혁명 중에 파괴된 모스크의 수복이나 아랍 문자를 사용한 위구르어 정자법의 제정 등 민족 문화의 진흥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슬람에 대한 금압도 해제되어, 문화 대혁명 중에 박해받은 종교 지도자가 복권되었다.

1980년대 신장에서의 분쟁은 한족의 대량 이주나 중국 정부에 의한 핵실험에 대한 항의를 한 1985년의 12·12 사건, 1988년의 6·15 사건등의 폭동과 반란이 빈번하게 발생했다.[38] 천안문 사건이 일어나기 직전인 1989년 5월에는 우루무치 시내에서 위구르인, 회족 수천 명의 데모대가 정부 청사에 난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7]

1996년 8월, 중국 정부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대한 대규모 경제 투자를 발표했다.[45]

1999년에는 전국정치협상회의에서 중국 정부의 민족 정책을 비판한 라비아 카디르가 국가 기밀 누설죄로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조지 W. 부시미국 대통령과 어깨동무를 한 라비아 카디르세계위구르회의 대표 (2008년 백악관)


중국 정부는 1996년에는 상하이 파이브, 2001년에는 상하이 협력 기구를 설립하여 국내의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의 신장을 경계하는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와 함께 분리주의, 이슬람 과격주의에 대한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2003년에는, 소수 민족 고유 언어의 사용이 공인되어 온 고등 교육에서 중국어 사용이 중국 정부에 의해 의무화되었다.

2005년,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을 앞두고 미국으로부터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을 것을 우려한 중국 정부는 2005년3월 14일에 "외국에서의 병 치료"를 이유로 라비아 카디르를 석방했다. 라비아는 미국으로 망명했고, 이후 세계위구르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06년에는 노벨 평화상 후보에도 올랐다.

2008년 3월에는 신장 남부의 호탄 시에서 600명이 넘는 당국에 대한 항의 시위가 발생했다.[57]

2010년대 말에는 신장 재교육 캠프가 들어서 위구르족과 카자흐족을 탄압하고 있다.

3. 명칭 문제

청나라 시기에 '신장'이라는 명칭이 붙여졌으며, 이는 '새로운 영토'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독립 운동가들은 '동투르키스탄'(동쪽 튀르크인의 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위구르스탄'이라는 명칭도 사용되는데, 이는 민족 자결주의적 관점을 반영한다.[12] '동투르키스탄'이라는 명칭은 역사적으로 두 번의 독립 국가 시도(동투르키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된 바 있다.[13]

4. 독립 운동

이 지역은 인종, 민족, 종교적으로 중국과 매우 이질적이며, 오랜 옛날부터 독립적 혹은 자치적으로 정치, 경제적 독자성을 지켜온 나라이며, 문화적-언어적으로도 중국 문화권에 쉽게 동화되기 어려운 곳이었다.

청나라 붕괴와 중화민국 수립은 이 지역의 독립 공화국 수립 시도로 이어졌으나, 군벌의 침략과 중화민국의 재정복 시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의 침략으로 좌절되었다.

현재 중국 전체 면적의 1/6을 차지하는 이 지역은 막대한 지하자원과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분리독립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구 소련 이슬람 공화국들의 독립은 유사한 민족적, 문화적, 종교적 기원을 가진 이 지역의 독립 운동을 더욱 강화시켰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이 이 지역에 파급되는 것을 경계하며, 1990년대 이후 발생한 여러 폭동과 충돌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이 신장 독립운동가 중 과격 그룹을 테러 조직으로 인정하면서 단속이 강화되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직전에는 카스 지구에서 테러가 발생하여 경찰 16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2009년 7월 우루무치 폭동은 광둥성에서 일어난 위구르족 구타 사건이 원인이었으며, 이 충돌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후진타오 주석은 G8 확대정상회의 참석을 중단하고 급거 귀국해야 했다. 이러한 사건의 배경에는 한족 인구 증가, 경제 격차, 차별 등이 자리 잡고 있다.[80]

2010년대 말에는 신장 재교육 캠프가 들어서 위구르족과 카자흐족을 탄압하고 있다는 국제적인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전략 정책 연구소(ASPI)는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강제 수용 시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1991년 소련의 붕괴는 위구르인의 정치적 독립 요구를 증폭시켰고,[43][44] 중국 정부는 지식인과 민족 엘리트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같은 해 위구르인 작가 투르군 알마스의 저서 『위구르인』이 발매 금지되고 저자가 연금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각 도시에서 반정부 시위와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45] 1993년에는 반정부로 추정되는 폭파 사건도 발생했다.[45]

4. 1. 주장

위구르족 독립 지지자들은 위구르족이 신장 지역의 원주민이며, 오랜 역사와 독자적인 문화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18] 이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신장을 식민주의적으로 군사 점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청나라중화민국의 국가 승계를 부정한다.[19]

1924년 중국 국민당 지도자 쑨원은 중국 내 모든 민족의 자기 결정권을 인정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3] 1931년 중국 공산당 역시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헌법을 통해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 민족의 자결권을 명시했다.[24][25] 2022년에는 여러 대만 NGO들이 위구르족의 자기 결정권을 지지했다.[26]

중국 정부의 인권 탄압, 경제적 차별, 문화 말살 정책에 대한 반발은 독립 운동의 주요 동력이다. 1980년대 이후 언론 통제 완화와 이슬람 금압 해제는 민족 자치 확대와 독립 요구를 증폭시켰다. 1991년 소련의 붕괴는 이러한 움직임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다.[43][44]

독립 운동은 민족 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독립 국가를 수립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4. 2. 반론

중국 정부는 신장이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며, 독립 운동을 분리주의와 테러리즘으로 규정한다.[3][4] 중국은 기원전 60년에 서역도호부를 설치한 한나라(기원전 220년 – 서기 206년) 시대부터 신장이 중국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며,[20] 역사적으로 다양한 중국 정부가 신장 침략을 한나라와 당나라(618–907) 시대부터 잃어버린 영토를 수복하는 것으로 묘사해 왔다고 주장한다.

중국 역사가들은 위구르 민족주의 주장에 반박하며 신장에 2000년의 한족 정착 역사를 지적하고, 몽골, 카자흐, 우즈베크, 만주, 회족, 시보의 신장 토착민 역사를 기록하며, 9세기 몽골에서 비교적 늦게 "서쪽으로 이주"해온 것을 강조한다.(중국 정부는 "위구르"와 동일시). "위구르"라는 이름은 9세기 타림 분지의 불교도와 관련되었지만, 15세기까지 완전히 사라졌고, 20세기 소련에 의해 부활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에 대한 모든 지지가 "테러, 극단주의, 분리주의"의 정의에 해당한다고 간주한다.[3][4]

중국 공산당 시진핑은 소련의 해체가 경제 발전만으로는 신장 지역의 분리주의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몇 년 동안 신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했고 생활 수준도 지속적으로 상승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 분리주의와 테러 폭력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제 발전이 자동적으로 지속적인 질서와 안보를 가져다주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라고 설명했다.[21]

4. 3. 주요 사건

1990년 4월 5일부터 6일까지 카슈가르에서 30km 정도 떨어진 신장 서부 크즐러스 키르기스 자치주의 아투스 현 바린 향에서 바린 향 사건이 발생했다. 4월 5일 새벽, 향 정부를 습격한 230여 명의 위구르인 주민들이 코란을 외치며 데모를 벌였다. "성전을 통한 한족 몰아내기"라는 반 한족적인 슬로건도 나왔다.[37] 설득에 응하지 않은 데모대에 대해 향 정부 소속 중국 인민 무장 경찰이 출동하여 총격을 가해 총격전이 벌어졌다. 데모를 지도한 체딘 유수프 등 15명이 사살되었다.[39] 국제 앰네스티는 사망자 50명, 6000명이 "반혁명죄"로 기소되었다고 보고했다.[40][41] 데모의 중심이 된 것은 키르기스인으로, "우리는 투르키스탄인이다"라고 주장하며, 이주한 한족의 추방, 신장에서의 핵실험 및 산아 제한에 대한 반대, 자치의 추가 확대를 요구했다.[42] 이 대규모 무장 봉기는 인민 해방군과 무경, 신장 생산 건설 병단 소속 민병이 동원되었으며, 양측 모두 다수의 희생자를 냈다.

1997년 2월 5일에는 일리 카자흐 자치주의 굴자(이닝) 시내에서 대규모 데모가 발생하여 진압에 나선 군대와 충돌하여 많은 사상자를 낸 굴자 사건(이닝 사건)이 발생했다.[49] 중국 측은 "공산당 정권 전복을 목적으로 한 민족 분열주의자의 파괴 활동"이라고 했다. 국제 앰네스티는 굴자 사건 이후 1,000명 이상이 체포되었고, 30명이 처형된 것으로 보고했다.[50]

2009년 7월 광둥성에서 일어난 위구르족 구타사건에 반발하여, 우루무치 시 등에서 위구르족에 의한 대규모 폭동이 발발하여, 이 충돌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이탈리아에서의 G8확대수뇌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후진타오 주석이 급거 귀국하였다. 배경에는 한족 인구의 증가, 경제 격차, 차별 등이 있다.[80]

2010년대 말에는 신장 재교육 캠프가 들어서 위구르족과 카자흐족을 탄압하고 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에 따르면 최근 위성사진 분석 결과, 지난 2년 동안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거주하는 위구르족을 포함한 소수민족 이슬람교도들을 재교육한다는 목적으로 만든 강제 수용시설이 기존의 400여 개에서 수십 개 더 늘어났다고 주장한다.

4. 4. 관련 단체


역사적으로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을 지지했던 단체

  • 동투르키스탄 인민혁명당(ETPRP) - 위구르 공산당이었으며, 당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가장 큰 무장 분리주의 단체였다. 소련은 1968년 중국에 대한 폭력적인 봉기를 시작하기 위해 ETPRP에 자금과 지원을 제공했다.
  • 동투르키스탄 연합 혁명 전선(URFET) -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 민족주의 단체로, 무장 분리주의 세력으로서 신장 분쟁에 참여했다. 소련(1970–1989)과 미국(1990년대)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여겨졌다.
  • 동투르키스탄 해방 기구 - 신장에 독립적인 위구르 국가를 옹호했던 분리주의 무장 위구르 조직이었다. 탈레반 및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운동과의 연관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34]
  • 민족 혁명 위원회 - 1932년부터 1934년까지 존재했던 범튀르크주의 튀르크 민족주의 위구르 정당이었다. 제1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건립을 도왔다.
  • 젊은 카슈가르당 -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존재했던 범튀르크주의 튀르크 민족주의 위구르 정당이었다. 제1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건립을 도왔다.

5. 국제 관계

신장 독립운동은 단순한 내정 문제를 넘어 국제적인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 지역은 인종, 민족, 종교적으로 중국과 매우 이질적이며, 오랜 기간 독립적 혹은 자치적으로 정치, 경제적 독자성을 지켜온 곳이다. 문화적, 언어적으로도 중국 문화권에 쉽게 동화되기 어려운 지역이다.[80]

청나라 붕괴 이후 중화민국 수립으로 독립공화국 수립이 시도되었으나, 군벌의 침략과 중화민국의 재정복 시도, 정정불안으로 실패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중국 인민해방군의 침략으로 이어졌다.

현재 신장은 중국 전체 면적의 1/6을 차지하며, 막대한 지하자원과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분리독립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구 소련에 속했던 이슬람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유사한 민족적, 문화적, 종교적 기원을 가진 독립 정치체들이 등장하면서 독립 운동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이 신장에 파급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심각한 폭동이 많이 발생했으며, 1997년 2월 우루무치에서 연쇄버스폭발사건, 카자흐스탄 국경 근처 이닝 시에서 충돌이 있었다. 탈레반에게 군사훈련을 받은 위구르족 청년들도 있어, 9·11 테러 이후 단속이 강화되었다.

2002년 8월, 미국은 신장 독립운동가 중 이슬람 원리주의 성향의 과격 그룹을 테러 조직으로 인정하였다. 2008년 봄 이후, 베이징 올림픽을 표적으로 한 독립활동이 활발해져, 8월 4일 카스 지구에서 테러로 경찰 16명이 사망했다.

2009년 7월 광둥성에서 일어난 위구르족 구타사건에 반발하여, 우루무치 시 등에서 대규모 폭동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후진타오 주석이 G8 확대수뇌회의 참석을 중단하고 귀국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

2010년대 말에는 신장 재교육 캠프가 들어서 위구르족과 카자흐족을 탄압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강제 수용시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 정부는 1996년 상하이 파이브, 2001년 상하이 협력 기구를 설립하여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와 함께 분리주의, 이슬람 과격주의에 대한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중국 정부는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 지지를 표명하며, 위구르 민족 운동과 신장에서의 테러를 연결하여 그 위협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구금된 굴자 사건 관계자는 쿠바의 관타나모 만 수용소에 수감되었다.[53] 수감 중 중국 당국자가 관타나모를 방문하여 심문에 참여했으며[53], 미국 법무부 감찰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당국자와 미군 심문관은 협력하여 인권 침해를 했다고 한다.[54][55]

2003년, 고등 교육에서 중국어 사용이 의무화되었다.

2005년,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 방중을 앞두고, 라비아 카디르를 석방하여 미국으로 망명하도록 하였다.

2006년부터 2009년에 걸쳐 14세부터 25세까지의 미혼 위구르 여성 30만 명이 강제 이송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6]

2008년 3월에는 신장 남부 호탄 시에서 600명이 넘는 항의 시위가 발생했다.[57]

5. 1. 관련 국가 및 기구

중국 정부는 신장 지역의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독립 운동을 강력하게 억압하고 있다. 서부 대개발로 상징되는 경제적 지원을 통해 주민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켜 독립 기운을 진정시키려 하지만, 분리주의와 결부되는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움직임에는 엄격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80] 특히 2010년대 말에는 신장 재교육 캠프를 설치하여 위구르족과 카자흐족을 탄압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위성사진 분석 결과, 강제 수용시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소련은 과거 일리 반란에서 중화민국에 맞서 제2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지원했다. 아흐메트잔 카시미와 같은 친소련 위구르인은 소련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소련은 선전을 통해 신장 자치 활동을 선동하고 위구르 민족주의 운동을 지원했다. 동투르키스탄 인민당도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 러시아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상하이 협력 기구를 통해 분리주의, 이슬람 과격주의에 대한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위구르족과 민족적, 문화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으나,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 등을 고려하여 공식적인 지지는 자제하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에는 5만 명의 위구르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1989년에는 키르기스 위구르인 협회(Ittipak)가 창설되었다. 그러나 키르기스스탄은 2001년 상하이 협력 기구에 가입하여 중국 정부의 위구르 민족주의 단속을 강화했다.

미국은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제기하며 중국을 비판하고 있다. 2002년 8월에는 신장 독립운동가 중 이슬람 원리주의 성향의 과격 그룹을 테러 조직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9·11 테러 이후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구금된 굴자 사건 관계자들은 쿠바의 관타나모 만 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 중국 당국자가 심문에 참여하기도 했다. 미국 법무부 감찰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당국자와 미군 심문관은 협력하여 인권 침해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은 관타나모에 수감된 위구르인 포로의 중국 송환 요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2005년에는 라비아 카디르를 석방하여 미국으로 망명하도록 하였고, 이후 세계위구르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06년에는 노벨 평화상 후보에도 올랐다.

터키는 범튀르크주의적 연대감을 바탕으로 위구르족 문제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나,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

유엔은 신장 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나, 중국의 영향력으로 인해 적극적인 개입은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민국은 인권과 민족 자결주의를 존중하는 입장에서 위구르족 문제를 주시하고 있으나,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인권 문제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문제를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new great game : China and South and Central Asia in the era of reform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6
[2]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03-10
[3] 뉴스 Turkmenistan: President Ends China Visit After Forming Front Against Uyghurs https://www.rferl.or[...] 2024-05-17
[4] This is an interview published by the news channel Al Jazeera on the video-sharing website YouTube.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etween the presenter of the show (named Mehdi Hasan), the chairman of the Uyghur Human Rights Project at the time (named Nury Turkel), and the vice president of the Center for China and Globalization at the time (named Victor Gao) Has China detained a million Uighur Muslims? https://www.youtube.[...] 2019-06-18
[5] 간행물 Governance Asia-Pacific Watch http://unpan1.un.org[...] United Nations 2007-08-23
[6] 웹사이트 هؤلاء انغماسيو أردوغان الذين يستوردهم من الصين – عربي أونلاين http://3arabionline.[...] 3arabionline.com 2017-08-29
[7] 웹사이트 Turkey lists "E. Turkestan Islamic Movement" as terrorists – People's Daily Online http://en.people.cn/[...] En.people.cn 2017-08-29
[8] 뉴스 Britain adds Chinese militant group to terror list https://www.reuters.[...] 2016-07-20
[9] 웹사이트 U.S.Department of State Terrorist Exclusion List https://2009-2017.st[...] 2014-07-29
[10] 웹사이트 About the ETGE https://east-turkist[...] 2021-03-16
[11] 서적 Community Matters in Xinjiang, 1880–1949: Towards a Historical Anthropology of the Uyghur Brill
[12] 학술지 China's Secret Separatists: Uyghuristan's Ever-Lengthening Path to Independence http://www.prospect.[...] 2011-02-05
[13] 학술지 East Turkestan Terrorism and the Terrorist Arc: China's Post-9/11 Anti-Terror Strategy http://www.silkroads[...] Central Asia-Caucasus Institute and Silk Road Studies Program
[14] 서적 Accounts and papers of the House of Commons https://books.google[...] Ordered to be printed 2010-06-28
[15] 웹사이트 China: Human Rights Concerns in Xinjiang https://www.hrw.org/[...] 2016-12-04
[16] 웹사이트 China's Secret Separatists http://prospect.org/[...] 2001-12-19
[17] 웹사이트 China battles to convince terror sceptics http://www.theage.co[...] 2005-11-12
[18] 웹사이트 Who are the Uyghurs? http://www.etaa.org.[...] 2019-06-13
[19] 웹사이트 East Turkestan; Brief History https://www.uyghurco[...] 2019-06-13
[20] 웹사이트 About Xinjiang http://www.sinkiang.[...] 2019-06-12
[21] 웹사이트 The Soviet Origins of Xi's Xinjiang Policy https://thediplomat.[...] 2021-06-13
[22] 웹사이트 Justifying Forced Labor in Xinjiang? A Review of the White Paper "Employment and Labor Rights in Xinjiang" https://www.research[...] 2020-09
[23] 문서 National and Minority Policies,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Report of China 277
[24] 웹사이트 China, the Uyghurs and the left http://isj.org.uk/ch[...] 2022-01-25
[25] 서적 A Documentary History of Chinese Communism
[26] 웹사이트 Taiwanese NGOs voice support for Uyghurs' independence https://focustaiwan.[...] 2022-11-18
[27] 서적 Routledge Resources Online – Chinese Studies Routledge
[28] 서적 The Uyghur Lobby Routledge
[29] 학술지 Changing the Guard at the World Uyghur Congress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21-03-26
[30] 뉴스 China Protests Establishment of Uighur Government-in-Exile in Washington – 2004-09-21 http://www.voanews.c[...] 2011-12-25
[31] 뉴스 US Drops ETIM From Terror List, Weakening China's Pretext For Xinjiang Crackdown https://www.rfa.org/[...] 2020-11-05
[32] 뉴스 China demands that Albania return ex-U.S. detainees https://www.washingt[...] 2017-08-26
[33]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9-05-25
[34] 웹사이트 Eastern Turkistan Liberation Organization http://www.tkb.org/G[...] MIPT Terror Knowledge Base 2006-01-27
[35] 항공사고 CCCP-L1844 2016-11-12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간행물 国際人権救援機構1991年報告 アムネステ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 1991
[41] 논문
[42] 뉴스 読売新聞1991年7月11日記事。朝日新聞1990年9月10日記事。 読売新聞, 朝日新聞 1991-07-11,1990-09-10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학술지 中国共産党が放置するシルクロード核ハザードの恐怖 産業経済新聞社
[48] 뉴스 中国核実験46回 ウイグル人医師が惨状訴え https://megalodon.jp[...] 2008-08-11
[49] 논문
[50] 웹사이트 Xinjiang: Trials after recent ethnic unrest http://www.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1997-03-21
[51] 논문
[52] 서적 对手与盟友 社会科学文献出版社
[53] 웹사이트 The Guantanamo 22 https://www.aljazeer[...] 2019-02-21
[54] 청문회 House Foreign Affairs 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uman Rights, and Oversight, hearing on the FBI’s role at Guantanamo Bay prison 2008-06-04
[55] 웹사이트 「180時間断眠も無問題」:米政府の拷問実態が明らかに https://wired.jp/200[...] 2009-05-01
[56] 뉴스 「ウイグル人1万人が消えた」=ラビア・カーディル氏、日本記者クラブで会見 http://www.epochtime[...] 2009-07-31
[57] 웹사이트 Uyghurs Protest in China's Remote Xinjiang Region http://www.rfa.org/e[...] RFA 2008-04-01
[58] 웹사이트 广东汉族维族工人械斗百多伤二亡 http://www.voanews.c[...] VOA 2009-06-27
[59] 웹사이트 汪洋要求依法公正处理旭日玩具厂群体斗殴事件 http://news.xinhuane[...] 新華網 2009-06-28
[60] 뉴스 【ウイグル暴動】ウイグル族が漢族襲撃、140人死亡 http://sankei.jp.msn[...] 2009-07-06
[61] 웹사이트 ウルムチ大虐殺事件、ウイグル人1500人以上が射殺 http://www.uyghurcon[...] 世界ウイグル会議 2012-05-20
[62] 뉴스 中国が日本に「強い不満」、世界ウイグル会議・カーディル議長訪日で https://www.recordch[...] 2009-07-30
[63] 논문
[64] 논문
[65] 뉴스 スウェーデン、亡命ウイグル人へのスパイ活動で中国外交官を追放 https://web.archive.[...] 2009-06-25
[66] 학술지 Uyghur Diaspora Faces Government Pressure in Kyrgyzstan http://www.jamestown[...] 2009-08-13
[67] 웹사이트 UYGHUR LIBERATION ORGANIZATION STRIKES AGAINST COLLABORATORS http://www.cacianaly[...] CACI Analyst 2000-08-05
[68] 논문
[69] 웹사이트 SOSトーチャーNo.3257 キルギス http://blhrri.org/ko[...] 社団法人部落解放人権研究所 2002-01-10
[70] Youtube 【Rabiye Qadir】世界ウイグル会議 第4回代表大会開会式&懇親会 https://www.youtube.[...] 2012-05-17
[71]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7
[72]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4
[73] 뉴스 “东突”恐怖势力难脱罪责 http://www.people.co[...] 人民網 2002-01-21
[74]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4
[75]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Committee adds Name of an Individual and an Entity to Its List, Press Release SC/7502 https://press.un.org[...] UN Press 2002-09-11
[76] 웹사이트 The Consolidated List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s al-Qaida and Taliban Sanctions Committee http://www.un.org/sc[...]
[77] 뉴스 中国のバス爆破、ウイグル独立組織が犯行声明 五輪施設攻撃も予告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08-07-26
[78] 뉴스 ウイグル国境警備隊施設襲撃、警官ら32人死傷 五輪妨害テロか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08-08-04
[79] 뉴스 五輪妨害テロか? 中国新疆で爆発、2人死亡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08-08-10
[80] 서적 현대용어의 기초지식(現代用語の基礎知識) 지유고쿠민샤(自有国民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