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미르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미르고원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산악 지대로, 여러 산맥이 교차하며 "세계의 지붕"으로 불린다. 파미르라는 명칭은 여러 언어로 불리며, 지질학적 용어로서 산으로 둘러싸인 고원이나 U자곡을 의미하기도 한다. 최고봉은 타지키스탄에 있는 이스모일소모니봉(7,495m)이며, 톈산산맥, 쿤룬산맥, 히말라야산맥 등이 파미르고원 주변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무역로였으며, 파미르 하이웨이가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관광지로도 부상하고 있으며, 종교적으로는 수미산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산맥 - 톈산산맥
톈산산맥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중국에 걸쳐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이며 주요 강들의 발원지이고, 고대 실크로드 통과지이자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키르기스스탄의 산맥 - 총알라이산맥
총알라이산맥은 톈산산맥의 일부로서 파미르 고원과 톈산산맥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국경을 따라 뻗어 있고 크즐수강 북쪽에 자리하며 레닌봉(이븐 시나 봉)이 최고봉이다. - 파키스탄의 산맥 - 카라코람산맥
카라코람산맥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거대한 산맥으로,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인 지역이며 6,000m 이상의 고봉들이 솟아 있고, 넓은 면적이 빙하로 덮여 있으며, 주요 고개들이 위치해 지정학적 중요성을 갖는다. - 파키스탄의 산맥 - 힌두쿠시산맥
힌두쿠시산맥은 "힌두교도의 살인자"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으로, 파미르 고원, 카라코람 산맥,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부분을 형성하며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고,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가로지르며 높은 고봉들을 포함하고 있고, 기후 변화로 빙하가 감소하고 있어 미래 개발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신장의 산맥 - 톈산산맥
톈산산맥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중국에 걸쳐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이며 주요 강들의 발원지이고, 고대 실크로드 통과지이자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신장의 산맥 - 쿤룬산맥
쿤룬 산맥은 타지키스탄의 파미르 고원에서 시작하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칭하이 성까지 뻗어 있으며, 도교 신화에서 서왕모가 거주하는 성산이자 중국 신화에서 중화 민족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파미르고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중앙아시아 |
국가 |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아프가니스탄 중국 파키스탄 |
지역/주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오시 주 와칸 치트랄 길기트발티스탄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최고봉 | 콩구르 타그 |
해발고도 | 7,649m |
지질 | 해당사항 없음 |
조산 운동 | 해당사항 없음 |
![]() | |
지리 정보 | |
아무다리야 발원지 | 파미르 산맥 북쪽, 힌두쿠시 산맥 인근 |
헬만드 강 발원지 | 아프가니스탄 최장 강 |
어원 | |
어원 | 페르시아어 "pay-I-mehr" (세계의 지붕) |
중국어 | 葱嶺 (총령) |
2. 명칭 및 어원
파미르 지역은 여러 다른 문화, 민족, 언어의 고향이다. 이들 언어 중 일부에서 파미르 산맥은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인도유럽어족에서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 پامیر غرونه|Pāmīr Ghrūnaps - 파슈토어
- رشته کوههای پامیر|Rishta Kūhhoi Pomirfa, Ришта Кӯҳҳои Помир|Rishta Kūhhoi Pomirtg - 타지크어
- پامیر کوهستان|Pāmīr Kohistānur - 우르두어
- सुमेरु|Sumerusa - 산스크리트어
튀르크어족에서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 , Памир Тоолору|Pamir Tooloruky - 키르기스어
- پامىر ئېگىزلىكى|Pamir Ëgizlikiug, Памир Егизлики|Pamir Ëgizlikiug - 위구르어
중국어에서는 "파 령"(葱嶺, 蔥嶺|Cōnglǐng중국어)이라고 불리며, 이 이름은 이 지역에서 자라는 야생 양파에서 유래되었다.[5][6] 둥간어에서는 키릴 문자로 Памир / Цунлин|dng으로 표기하고, 샤오얼징으로는 / 로 표기한다. "파미르"라는 이름은 현대 중국어에서 더 흔하게 사용되며, 帕米尔|Pàmǐ'ěr중국어로 차용되었다.
3. 지리
파미르고원은 북동쪽으로 톈산산맥, 동쪽으로 타클라마칸 사막, 남동쪽으로 쿤룬산맥과 티베트고원, 카라코람산맥, 남쪽으로 힌두쿠시산맥이 있다. 카라코람산맥과 힌두쿠시산맥은 히말라야산맥의 일부이다.
파미르고원에는 많은 빙하가 있는데, 그중 72km의 페드첸코 빙하가 가장 길다. 파미르고원은 동파미르, 중부 파미르, 서파미르로 나뉜다. 동파미르의 중국령에는 최고봉인 콩구르산(7719m)과 무즈타그아타산(7546m)이 있고, 서파미르의 최고봉은 타지키스탄령의 이스모일 소모니 봉(7495m)이다.
이 고원에서 북동쪽으로 톈산 산맥, 남쪽으로 쿤룬 산맥, 카라코람 산맥, 히말라야 산맥, 서남쪽으로 힌두쿠시 산맥이 뻗어 있으며, "세계의 지붕"이라고 부르기에 걸맞은 지형을 이루고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을 지나는 실크로드는 이 고원을 넘어 동서를 연결했다.
타지키스탄 동부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에는 이란계의 파미르인과 튀르크계의 키르기스인이 살고 있다. 중국 카슈가르 지구에 속하는 일부는 2019년에 중국 5A급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3. 1. 산
파미르고원에서 가장 높은 산은 타지키스탄의 이스모일소모니봉으로 높이는 7495m이다. 이 봉우리는 1932년부터 1962년까지는 스탈린봉으로, 1962년부터 1998년까지는 콤무니즘봉으로 불렸다. 그 외 레닌봉(7134m)과 코르제넵스카야봉(7105m)이 있다.[8] 동파미르 지역에서는 중국의 콩구르 산이 7649m로 가장 높다.파미르 산맥의 주요 봉우리로는 다음이 있다:[9]
이름 | 높이 (미터) | 좌표 | 산군 | 국가 | |
---|---|---|---|---|---|
콩구르 산 | 7,649 | 콩구르 산 | |||
콩구르 지우비에 | 7,530 | 콩구르 산 | |||
무즈타그 아타 산 | 7,509 | 무즈타그 아타 산괴 | |||
이스모일 소모니 봉 (이전 명칭: 공산주의 봉, 스탈린 봉) | 7,495 | 과학 아카데미 산맥 | |||
레닌 봉 (새로운 명칭: 아부 알리 이븐 시노 봉; 이전 명칭: 카우프만 봉) | 7,134 | 트란스알라이 산맥 | , | ||
코르제네프스카야 봉 | 7,105 | 과학 아카데미 산맥 | |||
독립 봉 (별칭: Qullai Istiqlol, 이전 명칭: 혁명 봉, 드라이슈피츠) | 6,940 | 야즈굴렘 산맥 | |||
러시아 봉 | 6,875 | 과학 아카데미 산맥 | |||
모스크바 봉 | 6,785 | 페터 1세 산맥 | |||
카를 마르크스 봉 | 6,726 | 샤흐다라 산맥 | |||
고라 쿠룸디 | 6,614 | 트란스알라이 산맥 | , | ||
가르모 산 | 6,595 | 과학 아카데미 산맥 | |||
엥겔스 봉 | 6,510 | 샤흐다라 산맥 | |||
코히 파미르 | 6,320 | 와칸 산맥 | |||
소비에트 장교 봉 | 6,233 | 무즈콜 산맥 | |||
마야콥스키 봉 | 6,095 | 샤흐다라 산맥 | |||
파트호르 봉 | 6,083 | 루샨 산맥 | |||
라이프치히 봉 | 5,725 | 트란스알라이 산맥 | , | ||
스칼리스티 봉 (슈그난 산맥) | 5,707 | 슈그난 산맥 | |||
키실당기 봉 | 5,704 | 남부 알리추르 산맥 |
''비고'': 콩구르 산과 무즈타그 아타 산군의 정상은 일부 자료에서 쿤룬산맥의 일부로 간주되는데, 이 경우 이스모일 소모니 봉이 파미르의 가장 높은 봉우리가 된다.
3. 2. 빙하
파미르고원에는 많은 빙하가 있는데, 그중 가장 긴 것은 77km 길이의 페드첸코 빙하이다.[10] 이 빙하는 옛 소련에서 가장 긴 빙하이면서 극지방 밖에서 가장 긴 빙하이다. 파미르 지역의 약 12500km2 (약 10%)가 빙하로 덮여 있다.[11] 남부 파미르의 빙하는 빠르게 후퇴하고 있으며, 연간 유출량의 10%가 남부 파미르의 후퇴하는 빙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1] 북서 파미르의 빙하는 거의 안정적인 질량 평형을 유지하고 있다.[11]3. 3. 파미르
미들턴과 토머스에 따르면, "파미르"는 지질학적 용어이기도 하다.[15] 파미르는 산으로 둘러싸인 평평한 고원 또는 U자곡이다. 빙하나 얼음 지대가 녹아 암석 평원을 남길 때 형성된다. 파미르는 침식이 토양을 형성하고 일반적인 계곡을 깎아내기 전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유형의 지형은 와칸 동쪽과 북쪽,[7] 고르노-바다흐샨 동쪽과 남쪽에서 발견되며, 서쪽의 계곡과 협곡과는 대조를 이룬다. 파미르는 여름 목초지로 사용된다.[15][7]대파미르는 조르쿨 호 주변에 있다. 소파미르는 와칸의 극동에 위치하며 대파미르 동쪽에 있다.[7] 타그둠바쉬 파미르는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과 카라코람 하이웨이 서쪽의 와칸 사이에 있다. 알리추르 파미르는 군트 강의 야실 쿨 주변에 있다. 사레즈 파미르는 무르가브 (타지키스탄) 마을 주변에 있다. 카르구쉬 파미르는 카라쿨 호 남쪽에 있다. 이 외에도 여러 파미르가 있다.
파미르 강은 파미르 남서부에 위치해 있다.
4. 기후
파미르는 일 년 중 대부분이 눈으로 덮여 있으며, 길고 혹독하게 추운 겨울과 짧고 서늘한 여름을 가지고 있어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툰드라 기후(빙모 기후는 설선 위)에 해당한다. 연간 강수량은 약 130mm로 초원을 유지하지만 나무는 거의 없다.
4. 1. 고기후
일 년 내내 눈이 덮여 있으며, 혹독한 겨울과 짧은 여름이 있다. 연중 강수량은 130mm이며, 풀과 나무가 자라기 힘든 기온이다.동파미르는 무즈타그 아타 산(7620m)와 콩구르 산(7578, 7628 또는 7830m)이 위치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림 분지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동서 방향으로 약 200km 뻗어 있다. 킹 아타 산에서 북서쪽 쿤룬 산기슭까지의 남북 방향 길이는 약 170km에 이른다. 현재 최대 21km 길이의 계곡 빙하는 해발 5600m가 넘는 산괴에 국한되어 있지만, 마지막 빙하기에는 빙하가 무즈타그 아타 산과 콩구르 산 서쪽까지 이어진 고원 지대를 덮었다. 이 빙하 지역에서 출구 빙하가 게즈 계곡을 통해 북동쪽으로 해발 약 1850m까지 흘러 타림 분지 가장자리까지 도달했다. 이 출구 빙하는 콩구르 산 북사면에서 카이아야일락 빙하로부터 유입되었다. 북쪽에 인접한 카라 박 토르(차크라길, 약 6800 또는 6694m) 산괴에서 같은 방향의 오이타그 계곡 빙하 또한 해발 약 1850m까지 흘러내렸다. 빙하기에 빙하의 설선(빙하의 공급 지역과 소멸 구역을 구분하는 고도로, 위쪽은 눈, 아래쪽은 설빙(1년 된 눈) 또는 맨 빙하 얼음으로 이루어진 선을 평형선 고도(ELA)라고 한다[12])은 오늘날보다 약 820~1250m 낮았다.[13][14] 비슷한 강수량 조건에서 이는 최소 5~7.5°C의 빙하기 온도 강하를 초래한다.
5. 경제
6. 역사
727년 혜초가 파미르고원과 톈산산맥을 건너 카슈가르에 도착했다.[15]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된 청금석은 아프가니스탄 바다흐샨 지방의 파미르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38년경 장건은 파미르 북서쪽의 페르가나 계곡에 도달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지역을 통과하는 무역로를 막연하게 묘사하고 있다. 서기 600년경부터 불교 순례자들은 중국에서 인도로 가기 위해 파미르 양쪽을 여행했다. 747년에는 당나라 군대가 와칸 강에 주둔했다. 다양한 아랍과 중국의 기록이 존재한다. 마르코 폴로는 판지 강을 따라 여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1602년 벤토 데 고이스는 카불에서 야르칸드로 여행했으며 파미르에 대한 빈약한 보고서를 남겼다. 1838년 존 우드 중위는 파미르 강의 발원지에 도달했다.
1868년부터 1880년경까지 영국군 소속의 여러 인도인들이 판지 지역을 비밀리에 탐험했다. 1873년 영국과 러시아는 판지 강을 따라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설정하는 데 합의했다. 1871년부터 1893년경까지 여러 차례의 러시아 군사-과학 탐험대(알렉세이 파블로비치 페드첸코, 니콜라이 세베르초프, 드미트리 푸탸타 대위 등. 나중에는 니콜라이 코르제네프스키)가 파미르 대부분을 지도화했다. 여러 지역 집단이 아프가니스탄 침략자로부터 러시아의 보호를 요청했다. 러시아인 뒤에는 네이 엘리아스, 조지 리틀데일, 던모어 백작, 빌헬름 필히너 그리고 아마도 옥수스 강의 와칸 발원지에 처음 도달한 커즌 경을 포함한 여러 비 러시아인들이 따랐다.
1891년 러시아는 프랜시스 영허즈번드에게 그가 자국 영토에 있다고 알렸고, 이후 데이비드슨 중위를 그 지역에서 내쫓았다('파미르 사건'). 1892년 미하일 이오노프 휘하의 러시아 대대가 그 지역에 진입하여 현재의 무르가브 근처에 캠프를 세웠다. 1893년 그들은 그곳에 제대로 된 요새(''파미르스키 포스트'')를 건설했다. 1895년 그들의 기지는 아프가니스탄을 마주보는 호로그로 옮겨졌다.
1928년 빌리 릭머 릭머스가 이끄는 독일-소련 탐험대가 페드첸코 빙하 주변의 마지막 미개척 지역을 지도화했다.
7. 교통
파미르 하이웨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국제 도로로, 타지키스탄의 두샨베에서 키르기스스탄의 오쉬까지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를 관통하며, 이 고립된 지역의 주요 보급로 역할을 한다. 과거 실크로드는 파미르 산맥 여러 곳을 지나갔다.[17]
8. 관광
2009년 12월, 뉴욕 타임스는 타지키스탄 파미르 지역 관광의 가능성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2013년은 이 지역 관광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해였으며, 관광 개발은 계속해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부문으로 자리 잡고 있다.
9. 전략적 위치
역사적으로 파미르 고원은 카슈가르와 코칸드 사이의 전략적 무역로로 여겨졌으며, 선사 시대의 길이었던 북실크로드를 통해 수많은 영토 정복의 대상이 되었다. 북실크로드(약 2600km 길이)는 고대 중국의 수도 장안과 파미르 고원을 넘어 서쪽의 카슈가르를 연결했으며, 거기에서 고대 파르티아까지 이어졌다.[18] 20세기에는 이 산맥이 타지키스탄 내전, 중국과 소련 간의 국경 분쟁, 미국, 러시아, 인도의 군사 기지 건설, 무역 개발 및 자원 탐사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는 등 격변의 무대가 되었다.[19][20] 중국 정부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대부분의 분쟁을 해결했다고 발표했다.[21]
10. 종교적 상징성
일부 연구자들은 파미르 고원을 수미산 또는 메루 산과 동일시한다.[22][23][24][25][26][27][28] 수미산은 불교와 자이나교에서 신성한 5개의 봉우리를 가진 산으로, 모든 물리적, 형이상학적, 그리고 영적 우주의 중심이라고 여겨진다.[29]
참조
[1]
웹사이트
Big Soviet Encyclopedia
http://bse.sci-lib.c[...]
[2]
백과사전
Pamirs summa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0-05-02
[3]
학술지
High cooling and denudation rates at Kongur Shan, Eastern Pamir (Xinjiang, China)
1993
[4]
서적
Social and Economic Change in the Pamirs (Gorno-Badakhshan, Tajikistan): Translated from German by Nicola Pacult and Sonia Guss with support of Tim Sharp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2-06-01
[5]
위키소스
水經注
[6]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Chinese name "Onion Range" for Pamir
http://depts.washing[...]
Depts.washington.edu
2002-04-14
[7]
웹사이트
Aga Khan Development Network (2010): Wakhan and the Afghan Pamir
http://www.akdn.org/[...]
[8]
간행물
Tajikistan: 15 Years of Independence
Dushanbe
2006
[9]
웹사이트
Dominance
https://www.8000ers.[...]
[10]
문서
Siachen, Biafo, Baltoro, Bruggen (Pio XI), and South Inylchek Glaciers
[11]
학술지
Bridging Glaciological and Hydrological Trends in the Pamir Mountains, Central Asia
2017-06-13
[12]
웹사이트
Mendenhall Glacier Facts
http://www.uas.alask[...]
University of Alaska Southeast
2011-04-29
[13]
간행물
New findings concerning the Ice Age (LGM) glacier cover of the East Pamir, of the Nanga Parbat up to the Central Himalaya and of Tibet, as well as the Age of the Tibetan Inland Ice
1997
[14]
간행물
The High Glacial (Last Ice Age and LGM) glacier cover in High- and Central Asia. Accompanying text to the mapwork in hand with detailed references to the literature of the underlying empirical investigations
Elsevier B.V.
2004
[15]
서적
Tajikistan and the High Pamirs
Odyssey Books
2008
[16]
학술지
The origins of cannabis smoking: Chemical residue evidence from the first millennium BCE in the Pamirs
2019-06-07
[17]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Pamir Travel
http://www.travel-pa[...]
Pamir Travel
[18]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Megalithic.co.uk
[19]
웹사이트
The West Is Red
http://www.time.com/[...]
Time
[20]
웹사이트
Huge Market Potential at China-Pakistan Border
http://www.china.org[...]
China Daily
[21]
웹사이트
China's Territorial and Boundary Affairs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3-06-30
[22]
서적
The Geopolitics of South Asia: From Early Empires to the Nuclear Ag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03
[23]
서적
The Hindu World: An Encyclopedic Survey of Hinduism
1968
[24]
서적
Hinduism; Ancient Indian Tradition & Mythology: Purāṇas in Translation
1969
[25]
서적
Oriental literature; Journal of the K.R. Cama Oriental Institute
1928
[26]
서적
History; Geographical Concepts in Ancient India
1967
[27]
서적
India; Geographical Data in the Early Purāṇas: A Critical Study
1972
[28]
서적
India; Studies in the Proto-history of India
1971
[29]
서적
India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Publication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30]
웹사이트
パミール
https://www.weblio.j[...]
weblio辞書
[31]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1 アジアの砂漠を越えて(上)
白水社
1964
[32]
웹사이트
新疆维吾尔自治区喀什地区帕米尔旅游区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