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건조는 당나라 말기에 활동한 인물로,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매우 부족하다. 887년 조덕인 휘하에서 경남을 지켰으나 888년 곽유에게 쫓겨났다. 이후 무태절도사가 되었으나 896년 곽유의 공격을 받아 왕건에게 항복한 이후의 행적은 알려진 바 없다.
왕건조의 가계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는 당나라 말기 군벌 조덕인 휘하의 장수로 처음 역사 기록에 등장하며, 조덕인이 형남도를 점령한 후 강릉부를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888년 곽우(후에 성예로 개명)의 공격을 받아 형남도를 잃고 검주로 도주하였다.
2. 생애
이후 왕건조는 당나라 조정에 투항하여 검중도관찰사로 임명되었고, 890년에는 무태군 절도사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896년 성예의 재침공으로 근거지인 검주마저 함락당하고 풍도로 후퇴하였다. 결국 계속되는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고 허존과 함께 검남서천 절도사 왕건에게 투항하였다. 왕건에게 투항한 이후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2. 1. 가세(家世) 및 형남도(荊南道) 통치
왕건조의 가세(家世)에 관해서는 전혀 알 수 없으며, 이십사사 중 어떤 정사에도 그의 열전이 없다. 광계 3년(887년), 그는 당시 산남동도(山南東道, 본부는 지금의 호북성 양양시에 위치) 유후(留後)를 자칭하며 군벌 봉국군(奉國軍, 본부는 지금의 하남성 주마점시에 위치) 절도사 진종권에게 충성을 다하던 조덕인 휘하의 장수였다. 이것이 정사에서 그를 최초로 언급한 기록이다. 원래 당나라의 장군이었던 진종권은 이때 이미 당 희종을 배반하고 봉국군의 군부인 채주에서 황제를 자칭한 상태였다.
같은 해 12월 25일(888년 2월 10일), 조덕인은 형남도를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절도사 장괴를 죽였다. 이후 조덕인은 당시 비장(裨將)이었던 왕건조를 형남도의 군부인 강릉부에 남겨 성을 지키게 한 후 떠났다. 당시 강릉부에는 전쟁 후 겨우 수백 가구만이 남아 있었다고 전해진다.
문덕 원년(888년) 4월, 당나라의 귀주(歸州, 현재 이창시) 자사 곽우(원래 이름은 성예였으나, 살인사건 후 망명하여 개명)가 형남도를 공격하여 왕건조를 몰아냈다. 왕건조는 검주(黔州, 현재 충칭시)로 도망쳤다. 이 무렵 왕건조는 당나라 조정에 투항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달(888년 4월), 조정은 곽우를 형남절도사에, 왕건조를 검중도관찰사에 각각 임명하였다.
대순 원년(890년), 검중도관찰사는 절도사로 승격되었고, 조정으로부터 무태군(武泰軍)이라는 군호(軍號)를 받았다. 왕건조는 무태군절도사로 승진·유임되었다.
2. 2. 무태군(武泰軍) 절도사(節度使) 시기
왕건조가 무태군을 통치하였다는 기록은 드물어, 그의 통치에 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건녕 3년(896년) 5월, 당시 곽유라는 이름에서 본명인 성예로 다시 바꾼 그는 자신의 장수 허존과 함께 장강을 따라 서쪽으로 진군하여 왕건조의 영토를 공격했다. 성예 군대는 장강 기슭의 주와 현들을 모두 점령하였다.
이에 저항하지 못한 왕건조는 검주를 포기하고 달아났다. 성예의 장수 조무(趙武)가 허존 등과 함께 왕건조를 추격하자, 왕건조는 패잔병을 수습하여 풍도(현재 중경시 펑두현)로 철수하여 그곳을 지켰다. 이어서 허존은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더 나아가 무태군 관할 아래에 있던 渝|유중국어주와 涪|부중국어주(모두 현재의 중경시 내에 위치)를 점령하였다.
같은 해 5월 10일(896년 6월 24일)에 검주를 점령한 성예는 조무를 무태군 유후(留後, 임시 책임자)로 삼고, 허존을 만주(萬州) 자사에 임명하였다. 그러나 허존은 성예로부터 의심을 사게 되어 성예가 보낸 군사들에게 습격을 당했다. 허존은 성을 버리고 왕건조가 있는 풍도로 도망쳤다.
이후 조무의 계속되는 공격으로 풍도를 지키기 어렵게 된 왕건조는 허존과 함께 검남서천(劍南西川, 본부는 현재 사천성 성도시에 위치) 절도사인 왕건에게 투항하였다. 이것이 정사에 기록된 왕건조의 마지막 행적으로, 이후 그가 왕건 휘하에서 어떤 작전에 참여했는지, 언제 사망했는지 등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Bo Yang Edition of the Zizhi Tongjian
0888
[3]
서적
Zizhi Tongj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