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십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십사사는 중국의 24개 정사(正史)를 통칭하는 말로, 기원전 100년경 사마천의 《사기》부터 청나라 시대의 《명사》까지, 약 2천 년에 걸친 중국 역사를 담고 있다. 초기에는 사마천의 《사기》와 반고의 《한서》를 포함한 몇몇 역사서가 중요하게 여겨졌고, 당나라 때부터는 황제가 직접 관료에게 명하여 역사서를 편찬하는 관찬 방식이 도입되었다. 송나라 이후에는 십칠사에 《송사》 등을 더하여 십팔사, 이십일사 등으로 불리다가, 청나라 건륭제 때 24사로 확정되었다. 이십사사는 기전체, 단대사 등 다양한 편찬 방식을 보여주며, 중화서국에서 교점본으로 출판되었고, 현대 중국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24 - 절기
    절기는 태양 황경을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한 것으로,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계절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농업 사회에서 농사 시기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었으나, 기후변화로 절기와 실제 날씨 차이가 커져 현대적 재해석이 요구된다.
  • 명수 24 - 칠십이후
    칠십이후는 24절기를 5일 간격으로 세분화하여 각 절기마다 세 가지 현상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식물의 생태 변화와 연관 지어 묘사한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 기전체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기전체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이십사사
개요
유형정사
언어한문
구성
24개
역사
최초 편찬사마천의 사기
최종 편찬장정옥 등의 명사
목록
첫 번째사기 (사마천)
두 번째한서 (반고)
세 번째후한서 (범엽)
네 번째삼국지 (진수)
다섯 번째진서 (방현령)
여섯 번째송서 (심약)
일곱 번째남제서 (소자현)
여덟 번째양서 (요사렴)
아홉 번째진서 (요사렴)
열 번째위서 (위수)
열한 번째북제서 (이백약)
열두 번째주서 (영호덕분)
열세 번째수서 (위징)
열네 번째남사 (이연수)
열다섯 번째북사 (이연수)
열여섯 번째구당서 (유후)
열일곱 번째신당서 (구양수, 송기)
열여덟 번째구오대사 (설거정)
열아홉 번째신오대사 (구양수)
스무 번째송사 (토토)
스물한 번째요사 (토토)
스물두 번째금사 (토토)
스물세 번째원사 (송렴)
스물네 번째명사 (장정옥)

2. 성립 배경 및 발전 과정

사마천의 『사기』를 통해 기전체 사서 형식이 나타났고, 반고의 『한서』를 통해 단대사 개념이 생겨났다. 남북조 시대에는 『동관한기』를 포함한 삼사를 언급했다. 이후 『동관한기』를 수정하여 만들어진 후한서와 삼국지는 역사가 개인의 저작(사찬)이었으나, 사후 왕조에 의해 정사로 공인되었다.[17] 시대에는 황명이 관찬으로 정사를 편찬하게 되면서 이전 왕조들의 정사를 보완하여 "십사"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관찬 방식은 역사 기록의 보존에는 기여했지만, 여러 관리들에 의한 저술로 일관성을 잃고 편찬자의 사상이 약해져 사서로서의 완성도는 낮아졌다는 평가를 받는다.[17]

북송 시대에는 송서 등 남북조 시대 정사가 산일되었으나, 북사남사의 자료를 통해 복원되었다. 이후에도 왕조가 새로 성립될 때마다 이전 왕조의 역사서를 편찬하는 것이 국가적 사업으로 이어졌다. 원나라요사금나라 멸망 때까지 완성되지 못하고, 금사, 송사와 함께 편찬되었다.

청나라 건륭제1739년(건륭 4년) 명나라의 21사에 《명사》, 《구당서》, 《영락대전》에서 발췌한 《구오대사》를 추가하여 흠정 24사를 확정했다. 이십사사는 1784년(건륭 49년)까지 무영전에서 간행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신원사》가 정사에 추가되어 《이십오사》가 되었으나, 《청사고》를 추가하여 이십육사로 부르는 경우도 있어 명칭이 통일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은 《청사》를 편찬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2016년 자체적인 《청사》를 편찬했다.

역사서 편찬은 주로 한 명의 역사학자에 의해 시작되어 다음 세대에 의해 완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역사서상속 관계
사기사마담에서 사마천
한서반표, 반고에서 반소
양서, 진서요찰에서 요사련
북제서이덕림에서 이백약
남사, 북사이대사에서 이연수


2. 1. 초기 역사서와 기전체의 확립

초기에는 역사가 개인의 저작물 형태로 기록되었다. 사마천의 『사기』는 본기, 표, 서, 세가, 열전으로 구성된 기전체 형식을 확립하여 이후 역사서의 표준이 되었다.[17] 반고의 『한서』는 특정 왕조의 역사를 다루는 단대사 형식을 확립했다.[17]

육조 시대 무렵까지 사기, 한서, 동관한기는 삼사(三史)로 불렸다.[27] 이후 동관한기를 고쳐 쓴 후한서와 삼국지까지는 역사가의 개인적인 저작물(사찬)이었으나, 역사가 사후에 역대 왕조가 공인하여 정사로 삼았다.[17]

역사서저자형식특징
사기사마천기전체본기, 표, 서, 세가, 열전으로 구성
한서반고단대사특정 왕조의 역사 기록
동관한기(여러 명)(형식 불분명)후한서의 모태
후한서(여러 명)동관한기를 개수
삼국지(여러 명)


2. 2. 당나라의 관찬 사서 편찬

당나라 때부터 황제가 관료에게 명하여 공식 역사서를 편찬하는 관찬 방식이 도입되었다. 당나라 이전 왕조들의 정사가 보완되어 "십사"가 편찬되었다.[17] 다만, 이로 인해 역사 기록은 두텁게 보존되었지만, 다수의 관리가 따로 쓰기 때문에 저술에 일관성을 잃고, 편자의 사상이 약해져 사서로서의 완성도는 낮아졌다고 여겨진다.[17]

2. 3. 송나라 이후의 역사 편찬

북송 시대에는 송서와 같은 남북조 시대의 정사가 한 번 흩어졌으나, 보존 상태가 좋았던 북사남사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복원하는 등 이전 시대의 정사들이 복원되었다. 새로운 왕조가 성립될 때마다 이전 왕조의 역사서를 편찬하는 전통이 이어졌다. 원나라에서는 요사가 그 후의 금나라 멸망 때까지 완성되지 못하고, 다음 왕조인 원나라에서 금사, 송사와 함께 편찬되었다.[17]

2. 4. 청나라의 이십사사 확정

청나라 건륭제 때인 1739년(건륭 4년), 명나라 때의 표준이었던 21사(史)에 《명사》, 《구당서》, 《영락대전》에서 수집한 《구오대사》를 더하여 흠정 24사로 삼았다. 이십사사는 건륭 4년부터 1784년(건륭 49년)까지 무영전에서 간행되었다.[18]

3. 이십사사 목록

순번제목제작 국가저자제작 시기권수비고
1사기전한사마천기원전 100년대 ~ 기원전 80년130권전4사(민간 저술)
2한서후한반표, 반고, 반소50년대 ~ 100년120권(100편)전4사(민간 저술)
3후한서유송범엽432년 ~ 450년130권전4사(민간 저술)
4삼국지서진진수280년대 ~ 290년65권전4사(민간 저술)
5진서방현령620년대 ~ 636년130권당초팔사(唐初八史)
6송서남량심약500년대 ~ 510년100권
7남제서남량소자현500년대 ~ 510년60권1권 소실
8양서요찰, 요사렴620년대 ~ 636년56권당초팔사(唐初八史)
9진서요사렴620년대 ~ 636년36권당초팔사(唐初八史)
10위서북제위수550년 ~ 559년114권
11북제서이백약620년대 ~ 636년50권당초팔사(唐初八史)
12주서영호덕분620년대 ~ 636년50권당초팔사(唐初八史)
13수서위징620년대 ~ 636년85권당초팔사(唐初八史)
14남사이연수643년 ~ 659년80권당초팔사(唐初八史)
15북사이연수643년 ~ 659년100권당초팔사(唐初八史)
16구당서후진유후940년 ~ 945년200권
17신당서북송구양수1044년 ~ 1060년225권
18구오대사북송설거정973년 ~ 974년150권
19신오대사북송구양수1036년 ~ 1053년74권
20요사토크토아1343년 ~ 1344년116권원말삼사(元末三史)
21송사토크토아1343년 ~ 1345년496권원말삼사(元末三史)
22금사토크토아1343년 ~ 1345년135권원말삼사(元末三史)
23원사송렴1368년 ~ 1370년210권북원 멸망 전에 완성
24명사장정옥1679년 ~ 1735년332권


4. 이십사사의 속편 및 관련 역사서

청나라 건륭제가 이십사사를 결정한 이후에도 여러 역사서가 편찬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신원사》가 편찬되어 정사에 추가되면서 《이십오사》가 되었으나, 《신원사》 대신 《청사고》를 포함하여 이십육사라고 부르기도 하는 등 그 호칭이 일정하지 않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1년 중화민국 정부는 《청사고》를 개정하여 《청사》를 편찬하였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2002년부터 자체적인 《청사》를 편찬하고 있다.

4. 1. 신원사

커샤오민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역사서이다. 원나라의 역사를 다룬다. 1919년에 편찬되었으며, 본기 26권, 표 7권, 지 70권, 열전 154권으로 구성된다.

4. 2. 청사고

자오얼쉰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청나라의 역사서이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신원사》와 함께 이십오사로 불리기도 했다.[26] 1927년에 완성되었으며, 본기 25권, 지 142권, 표 53권, 열전 316권, 총 53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 3. 청사 (중화민국)

1961년 중화민국 정부(중국 국민당)는 《청사고》를 개정하여 《청사》를 편찬하였다.[3] 이 판본은 중화인민공화국을 불법 정권으로 비난하고, 신해혁명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을 삭제하는 등 중국 국민당의 사관이 반영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3] 또한, 서둘러 제작되어 《청사고》의 오류를 대부분 수정하지 못했다는 한계도 지적된다.[4]

타이완에서는 1988년부터 2000년까지 《신청사》 편찬이 시도되었으나, 범록 연맹의 부상으로 타이완이 중국 본토의 역사를 편찬할 의무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중단되었다.[4]

4. 4. 청사 (중화인민공화국)

2002년 중화인민공화국은 국가 정사 편찬위원회를 발족하여 자체적인 《청사》 편찬을 시작했다.[6][7] 이 프로젝트는 역사가 다이이가 지휘했으며,[8] 초기에는 10년 내 완료를 목표로 했다.[9] 그러나 여러 차례 지연되어 2016년에 초고가 완성되었고,[10] 2020년 4월에는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있었다.[11] 2023년에는 원고가 거부되었다는 보도와 함께[12] 프로젝트가 무기한 중단되었다는 소문도 있다.[13]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국민당의 역사관에 의해 《청사고》가 왜곡되었다고 비판하며, 자체적인 《청사》 편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5. 이십사사의 판본 및 번역

사마천의 『사기』에 의해 기전체 사서라는 형식이 생겨났고, 반고의 『한서』가 쓰여짐으로써 단대사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남북조 시대에는 여기에 『동관한기』를 더한 것을 삼사라고 불렀다. 『동관한기』를 고쳐서 성립된 후한서와 삼국지까지는, 역사가의 개인적인 저작물(사찬)이었던 것을 역사가의 사후에 역대 왕조가 공인하여 정사로 삼았다.[17]

송서 등 남북조 시대의 정사는 북송 시대 이전에 한 번 흩어졌으나, 북송 시대에 보존 상황이 좋았던 북사·남사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복원했다.

건륭 4년 (1739년), 명나라 시대의 표준이었던 21사에 『명사』, 『구당서』, 그리고 『영락대전』에서 수집한 『구오대사』를 더하여 흠정 24사로 삼았다. 24사는 건륭 4년부터 건륭 49년 (1784년)까지 무영전에서 간행되었다.

1930년대에 상하이상무인서관은 장원제의 "지금까지의 정사는 오류가 많아 읽을 수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좋은 판본(선본)을 일본 등에서 구하여 간행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선본을 수집하여 영인한 백납본 24사를 출판했다. 이 당시, 이미 삼국지의 선본은 중국 대륙에 없고, 일본의 제실이 소장하고 있던 송나라 시대의 판본을 영사하여 간행했다.[18]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1959년부터 1965년까지 전사사(사기·한서·후한서·삼국지)의 교점본이 중화서국에서 출판되었다.[19] 그 후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24사 출판 사업은 일단 정지되지만, 1977년까지 24사와 『청사고』 교점본의 출판이 완료되었다. 2007년부터 수정 사업이 시작되었다.[20]

5. 1. 중화서국 교점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서국에서 출판한 교점본은 중국 전문가들에 의해 교정, 편집, 구두점 처리가 이루어져 가장 권위 있는 판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4]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쉬자루를 비롯한 학자들에 의해 문언문에서 현대 구어체 문어로 번역되었다.[15]

5. 2. 현대어 번역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쉬자루를 비롯한 학자들에 의해 문언문에서 현대 구어체 문어로 번역되었다.[15]

5. 3. 외국어 번역

사기는 윌리엄 니엔하우저(William Nienhauser)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총 9권으로 출간되었다.[16] 한국어와 베트남어로는 《사기》만이 번역되었다. 대부분의 다른 역사서들은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참조

[1] 서적 Chinese History: A New Manu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Harvard-Yenching Institute Monograph Series 2012
[2] 문서 Xu Elina-Qian
[3] 웹사이트 台灣版《清史》一年速成 筆墨官司幾上幾下 http://big5.huaxia.c[...] 2018-04-12
[4] 논문 Last chapter unfinished: The making of the official Qing History and the crisis of Traditional Chinese Historiography https://phaidra.univ[...]
[5] 서적 Chinese history: a new manual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6] 뉴스 新修《清史》已进入稿件通读阶段,预计今年出版问世 https://www.thepaper[...] 2019-04-03
[7] 논문 "Writing History in the Digital Age": The New Qing History Project and the Digitization of Qing Archives
[8] 뉴스 戴逸先生与清史纂修前的准备工作 https://epaper.gmw.c[...] 2021-01-03
[9] 뉴스 两岸学者聚京共商清史纂修大计 预计10年完成 http://mil.news.sina[...] 2003-08-26
[10] 뉴스 国家清史编纂工程已完成初稿 http://www.chinanews[...] 2013-12-18
[11] 뉴스 Dai Yi speaks on Qing history national compilation project http://www.csstoday.[...] 2020-04-21
[12] 웹사이트 中國觀察:未通過政審 《清史》觸礁 https://www.singtaou[...] 2023-11-18
[13] 웹사이트 清史編纂紛擾持續 傳未通過中國政審 https://news.ltn.com[...] Freedom Times 2023-11-24
[14] 문서 Xu Elina-Qian
[15] 웹사이트 二十四史全译 https://m.douban.com[...]
[16] 문서 The Grand Scribe's Record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17] 문서 支那史学史〈2〉 平凡社「東洋文庫」 1992
[18] 문서 百衲本二十四史校勘記
[19] 서적 “二十四史”校点缘起存件 http://www.cnpubg.co[...] 中国出版集团 2017-03-21
[20] 뉴스 点校本“二十四史”迎来大修 http://news.sina.com[...] 新浪网 2007-05-17
[21] 문서 司馬彪の撰
[22] 문서 魏志倭人伝 ミネルヴァ書房 2011
[23] 문서 五胡の単于・天王・皇帝に関する記述
[24] 문서 四庫全書総目提要
[25] 문서 蕭子顕の自叙
[26] 문서 一部の巻の削除・追加
[27] 서적 中国名数辞典 国書刊行会 1980
[28] 논문 説“別史” 香港大学中文学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