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본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본명은 철학, 종교, 민속, 문학,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개념이다.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는 신의 참된 이름을 아는 것이 권력을 의미했으며, 플라톤은 이름의 본질에 대해 고찰했다. 유대교와 도교에서는 신성한 존재의 참된 이름이 강력한 힘을 지닌다고 여겨졌으며, 민속에서는 이름을 아는 것이 마법적 영향을 미치는 수단으로 묘사된다. 문학 작품에서는 등장인물이 자신의 진짜 이름을 숨기거나, 반대로 이름을 드러내는 것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이름의 중요성을 다루는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2. 철학 및 종교적 맥락

철학 및 종교적 맥락에서 '참된 이름'은 다양한 의미와 중요성을 지닌다.

여러 문화권에서 참된 이름은 단순한 호칭을 넘어선 존재의 본질, 권력, 신성과의 관계 등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여겨졌다. 특히 이름을 안다는 것은 대상을 지배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하기도 했다.


  •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는 이시스의 참된 이름을 알아내어 그를 지배하고 아들 호루스를 왕위에 앉혔다.
  •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플라톤은 크라튈로스를 통해 이름과 대상의 관계를 고찰했다.
  •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는 하나님의 참된 이름이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야곱은 천사와의 씨름에서 이름을 얻었다.
  • 도교에서는 부적을 통해 악마와 영의 참된 이름을 묘사하여 통제하고자 했다.


로마 여신 앙게로나는 로마의 참된 이름을 지켰다고 알려져 있다.

2. 1. 고대 이집트 신화

이집트의 태양신 의 참된 이름은 이시스가 정교한 속임수를 써서 밝혀냈다. 이로 인해 이시스는 라에 대한 완전한 권력을 얻었고, 아들 호루스를 왕위에 앉힐 수 있었다.[3]

2. 2. 고대 그리스 철학

플라톤의 ''크라튈로스''에서 소크라테스는 이름이 "관습적"인지 아니면 "자연적"인지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여기서 "자연적"이라는 것은 "참된 이름"(τῇ ἀληθείᾳ ὄνομαgrc)을 의미한다. 즉, 언어가 임의적인 기호 체계인지, 아니면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과 본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4] 이러한 반관습주의 입장을 크라튈로스주의라고 부른다.

2. 3. 유대교 및 기독교 전통

이집트 신화에서 의 진짜 이름은 교묘한 속임수를 통해 이시스에게 밝혀졌다. 이로 인해 이시스는 라에 대한 완전한 지배력을 얻었고, 아들 호루스를 왕위에 올릴 수 있었다.[3]

헬레니즘 유대교는 신성한 본질의 ''로고스''를 강조했으며, 이는 나중에 요한 복음에 의해 채택되었다. 카발라(게마트리아, 테무라, YHWH [테트라그라마톤 참조)와 수피즘(하나님의 100번째 이름 참조)에서 하나님의 참된 이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대

2. 4. 도교

도교 전통 (예: 삼황경)은 부적, 차트, 다이어그램이 악마와 영의 진정한 형태 () 및 참된 이름 ()을 묘사하는 능력을 강조한다.[9] 이러한 부적 표시는 사물의 형이상학적 본질과 불변의 본질, 즉 형태가 없는 영원한 의 이미지를 엿볼 수 있는 창으로 여겨진다.[9] 부적에 새겨진 영의 참된 형태 또는 이름은 초자연적 존재만이 읽을 수 있으며, 이름이나 형태가 있는 존재에 대해 일시적인 "통제"를 제공한다.[10]

3. 민속 및 문학

유대교 전통에서는 한 가족에서 여러 아이가 사망했을 경우, 다음에 태어난 아이에게는 이름을 붙이지 않고 "알터"라고 불렀다. 이는 죽음의 천사가 아이의 이름을 알지 못해 아이를 데려가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호메로스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는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혔을 때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으려고 "Οὖτις"라고 답했다.[11] 그러나 탈출 후 자신의 진짜 이름을 밝혀 포세이돈의 분노를 사게 된다.

'이름의 법칙'에 따르면, 진짜 이름을 아는 것은 다른 사람이나 존재에게 마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12] 이 효과는 ''럼펠슈틸츠킨''과 같은 많은 이야기에서 사용된다.[13]

성 올라프 전설에서는 트롤의 이름을 알아내어 그로부터 벗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5] 이처럼, 출생 시 세례를 받지 않은 아이들은 요정에게 납치될 위험이 있다는 믿음[16], 스칸디나비아 발라드 ''얼 브란트''에서 이름을 부르기 전까지 모든 적을 물리칠 수 있었다는 이야기[17] 등이 전해진다.

스칸디나비아의 믿음에서, 넥스와 같은 마법적 존재는 그들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물리칠 수 있었다.[18] 잉글랜드 북부 민간 전승에는 보가트에게 이름을 붙이면 안 된다는 믿음이 있었다. 자코모 푸치니는 오페라 ''투란도트''에서 비슷한 주제를 사용했다.

3. 1. 유대교 전통

유대교 전통에서, 한 가족에서 여러 아이가 사망했을 경우, 다음에 태어난 아이에게는 이름을 붙이지 않고 "알터"(אלטער|알터yi) 또는 (애칭)라고 부른다. 이는 죽음의 천사가 아이의 이름을 알지 못해 아이를 데려가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에 기인한다. 이러한 아이가 결혼 적령기에 도달하면 일반적으로 족장 중 한 명의 이름으로 새로운 이름을 부여한다.

3. 2.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호메로스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는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혔을 때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으려고 주의했다. 이름을 묻는 질문에 오디세우스는 거인에게 자신이 "Οὖτις"(Οὖτις|우티스grc)라고 답했는데, 이는 '아무도'를 의미한다.[11]

하지만 폴리페모스를 눈멀게 한 후 탈출에 성공하고, 자신이 폴리페모스의 힘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한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진짜 이름을 자랑스럽게 밝히는 오만을 저지른다. 이는 나중에 엄청난 문제를 일으킨다. 폴리페모스는 자신의 아버지인 바다의 신 포세이돈에게 복수를 요청했고, 오디세우스는 포세이돈의 끊임없는 적대에 직면하게 된다. 만약 오디세우스가 자신의 진짜 이름을 계속 숨겼다면 이러한 상황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3. 3. 럼펠슈틸츠킨

"이름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민간 전승 관습에 따르면, 진짜 이름을 아는 것은 다른 사람이나 존재에게 마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한다.[12] 누군가 또는 무언가의 진짜 이름을 아는 것은 그 이름을 아는 사람에게 그들을 지배할 힘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 효과는 독일 동화 ''럼펠슈틸츠킨''과 같이 많은 이야기에서 사용된다.[13] 럼펠슈틸츠킨과 그 변형에서 소녀는 아이를 요구하는 초자연적인 조력자의 이름을 알아냄으로써 그 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14]

3. 4. 기타 민속 및 전설

유대교 전통에서는 한 가족에서 여러 아이가 사망했을 경우, 다음에 태어난 아이에게는 이름을 붙이지 않고 "알터"(אלטער|알테르yi) 또는 (애칭)라고 불렀다. 이는 죽음의 천사가 아이의 이름을 알지 못해 아이를 데려가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이러한 아이가 결혼 적령기에 도달하면 일반적으로 족장 중 한 명의 이름으로 새로운 이름을 부여했다.

호메로스오디세이아에서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힌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으려고 주의했다. 이름을 묻자 오디세우스는 거인에게 자신이 "Οὖτις"(Οὖτις|우티스grc)라고 말했는데, 이는 "아무도"를 의미한다.[11] 그러나 폴리페모스를 눈멀게 한 후 탈출에 성공하고 자신이 폴리페모스의 힘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한 오디세우스는 나중에 엄청난 문제를 일으키는 오만을 저지르며 자신의 진짜 이름을 자랑스럽게 밝힌다. 이제 그의 진짜 이름을 알게 된 폴리페모스는 아버지인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복수를 오디세우스에게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 이후의 많은 ''오디세이아'' 에피소드는 오디세우스가 포세이돈의 끊임없는 적대감에 직면하는 모습을 묘사하는데, 만약 그가 자신의 진짜 이름을 계속 숨겼다면 모두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름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민간 전승 관습에 따르면, 진짜 이름을 아는 것은 다른 사람이나 존재에게 마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한다.[12] 누군가 또는 무언가의 진짜 이름을 아는 것은 그 사람(진짜 이름을 아는 사람)에게 그들을 지배할 힘을 부여한다는 것이다.[13] 이 효과는 독일 동화 ''럼펠슈틸츠킨''과 같이 많은 이야기에서 사용된다.[14] 럼펠슈틸츠킨과 그 변형에서 소녀는 아이를 요구하는 초자연적인 조력자의 힘으로부터 그 이름을 알아냄으로써 벗어날 수 있다.

성 올라프의 전설은 트롤이 성인을 위해 놀라운 속도와 가격으로 교회를 지었지만, 성인이 숲 속을 산책하는 동안 트롤의 이름을 알아내어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15] 마찬가지로, 출생 시 세례를 받지 않은 아이들은 특히 요정에게 납치되어 체인지링으로 대체될 위험이 있다는 믿음은 이름이 없는 상태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16] 스칸디나비아 발라드 ''얼 브란트''의 변형에서 영웅은 자신과 함께 도망치는 여주인공이 그녀의 막내 동생을 살려달라고 그의 이름을 부르기 전까지 모든 적을 물리칠 수 있다.[17]

스칸디나비아의 믿음에서, 넥스와 같은 더 많은 마법적 존재는 그들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물리칠 수 있었다.[18] 같은 이유로, 어떤 종류의 내재적 개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게르만 신화의 중요한 물건들도 그들만의 이름을 가지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전설적인 검 발뭉이 있다.

잉글랜드 북부의 민간 전승에는 보가트는 결코 이름을 붙여서는 안 된다는 믿음이 있었는데, 보가트에게 이름이 붙여지면 이성적인 대화나 설득이 불가능해지고 통제할 수 없게 되어 파괴적인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자코모 푸치니는 오페라 ''투란도트''에서 비슷한 주제를 사용했다. 줄거리는 투란도트 공주가 자신의 원치 않는 구혼자의 이름을 알아낼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만약 그녀가 이름을 알아낸다면 그를 처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와 결혼해야 한다.

4. 대중문화 및 픽션

판타지 세계관에서는 마법이 진정한 이름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가 많다. 등장인물들은 자신의 진정한 이름을 숨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는 어슐러 K. 르 귄의 ''어스시''처럼 모든 존재에게 적용되기도 하고, 래리 니븐의 ''마법은 사라진다''처럼 마법적인 존재에게만 적용되기도 한다. 진정한 이름을 알아내는 과정은 ''어스시''에서처럼 마법사가 직접 알려주는 등 특별한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다양한 작품에서 진정한 이름은 중요한 소재로 활용된다.


  • J. R. R. 톨킨의 ''호빗''에서 빌보 배긴스는 용 스마우그에게 자신의 이름을 들키지 않으려고 여러 속임수를 쓴다.[19]
  • 미야자키 하야오의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마녀 유바바는 부하들의 이름을 빼앗아 복종시킨다. 주인공 치히로는 하쿠의 본명을 기억해냄으로써 그를 속박에서 풀어준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스노트》에서는 사신에게 보이는 진정한 이름과 얼굴을 사용하여 사람을 죽일 수 있다.
  • 사이버펑크 장르에서는 버너 빈지의 ''진정한 이름''과 윌리엄 깁슨의 작품에서처럼, 해커의 현실 세계 이름, 즉 "진정한 이름"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 외에도 아서 C. 클라크의 《신의 아홉 개의 이름》, 글렌 쿡의 《블랙 컴퍼니》, 크리스토퍼 파올리니의 《유산》, 패트릭 로스퍼스의 《킹킬러 연대기》 등 많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진정한 이름이라는 개념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4. 1. 어스시 시리즈

어슐러 K. 르 귄의 ''어스시'' 세계관에서 마법은 진정한 이름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 세계관에서는 모든 존재에게 진정한 이름이 있으며, 이 이름을 아는 것은 그 존재에 대한 힘을 부여한다.[20] 예를 들어, ''어스시의 마법사''와 ''아투안의 무덤''에서는 마법사가 영웅에게 진정한 이름을 듣고 말해주는 장면이 나온다.

이와 유사한 설정은 다른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래리 니븐의 ''마법은 사라진다''에서는 마법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만 진정한 이름이 적용되며, 마법사는 자신의 이름을 찾은 다른 사람에 의해서만 죽음에서 부활할 수 있다.

4. 2. 기타 작품


  • 아서 C. 클라크의 《신의 아홉 개의 이름》에서 티베트 승려들이 신의 모든 이름을 발견했을 때, 우주는 종말을 맞이한다.
  • 글렌 쿡의 《블랙 컴퍼니》 연작에서 마법사의 진정한 이름을 큰 소리로 말하면 마법의 힘을 소멸시킬 수 있다. 이 시리즈의 모든 마법 사용자들은 가명으로 불리며, 그들 중 많은 이들은 자신의 원래 이름을 아는 사람을 죽이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 크리스토퍼 파올리니의 《유산》에서 마법사들은 진정한 이름을 배우는 것으로 누군가를 조종할 수 있으며, 주문에 무생물의 진정한 이름을 사용한다.
  • 패트리샤 래드는 소설 《백설공주와 장미꽃》에서 주문 시전자가 그가 세례받은 이름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주문에 굴복하지 않는 등장인물을 등장시킨다.
  • 패트리샤 맥킬립은 소설 《엘드의 잊혀진 짐승》에서 주인공 시벨을 포함한 마법사들이 진정한 이름을 사용하여 사람과 생물을 부를 수 있다.
  • 폴 앤더슨의 《오퍼레이션 카오스》에서 아기를 낳는 의사가 일반 출생 증명서뿐만 아니라 신생아의 이름이 적힌 비밀 출생 증명서를 발급한다. 이러한 예방 조치가 일상화되기 전에 태어난 영웅은 딸의 진정한 이름을 숨기게 되어 기뻐한다.
  • 조나단 스트라우드의 《바르티마우스 삼부작》에서 악마가 마법사의 진정한 이름을 알면 마법사가 악마를 완전히 조종할 수 없다. 그 결과 모든 마법사들은 어린 시절에 자신의 진정한 이름에 대한 기록이 파기되고, 청소년기에 새로운 이름을 사용한다.
  • 릭 라이어던의 《케인 연대기》에서도 모든 사람과 신들은 또한 그들에 대한 크지만 완전하지 않은 힘을 부여하는 진정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라이어던의 이전 소설인 《번개 도둑》 또한 이름, 특히 신들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J. R. R. 톨킨《호빗》에서 빌보 배긴스는 용 스마우그가 그의 이름을 배우지 못하도록 많은 속임수를 사용한다. 심지어 보호받는 호빗조차도 자신의 이름을 밝히는 것이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깨닫는다.[19]
  • 어슐러 K. 르 귄의 어스시 세계관, 특히 그녀의 획기적인 단편 소설 "이름의 규칙"에서 사물의 진정한 이름을 아는 것은 그 사물에 대한 힘을 부여한다.[20]
  • 진정한 이름과 말은 다이앤 듀안의 《영 위저드》 시리즈에서 마법의 기초이다.
  • 《델토라 퀘스트》의 용들은 자신의 진정한 이름을 아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그들에 대한 힘을 부여한다고 믿으며, 따라서 신뢰하는 측근이나 절실한 필요가 있을 때만 이름을 공개한다.
  • 이 개념은 또한 패트릭 로스퍼스의 《킹킬러 연대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1]
  • 로이드 알렉산더의 《프리데인의 연대기》도 이 개념을 활용한다.
  • 진정한 이름의 힘을 활용하거나 기반으로 하는 마법의 여러 변형이 《던전 & 드래곤》 롤플레잉 게임에 등장했지만, 게임의 핵심 요소로 등장한 적은 없다. 예를 들어, 대상의 진정한 이름을 알면 특정 주문이 더 강력해진다.[22]
  • 월드 오브 다크니스 롤플레잉 설정을 보면, 진정한 이름의 개념은 매우 광범위하다. 존재의 진정한 이름은 생물에 대한 플라톤적인 청사진과 같다. 인간의 진정한 이름은 인생을 바꿀 만한 사건 이후에도 변경될 수 있다. 그것은 내부 장기에서부터 영혼에 이르기까지 존재에 대한 묘사이다. 모든 생물은 하나를 가지고 있지만, 더 지능적인 생물은 더 복잡한 진정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타락한 존재는 신으로부터 직접 주어진 진정한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전통적인 의미의 단어나 이름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언어로 발음할 수 없다. 오히려 수백 명의 아이들이 한 번에 웃는 소리나 동굴 입구 위로 바람이 휘파람 부는 소리와 같은 추상적인 소리와 개념의 집합체이다. 타락한 존재의 천상의 이름은 다른 존재에 대한 진정한 이름이 가지는 힘을 채우기에 충분하다. 마법은 또한 진정한 이름이 알려진 대상에게 더 쉽게 시전되고 더 강력하다.
  • 짐 버처의 《드레스덴 파일》에서 마법사 또는 다른 마법적 존재는 자신의 주인이 그것을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면 이름을 아는 것으로 누구에게나 힘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이름은 그들의 본성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그들의 마법력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쇠퇴한다.
  • 닥터 후 에피소드 "셰익스피어 코드"에서 캐리언나이트는 마법의 힘의 형태로 단어를 사용하는 마녀와 같은 존재의 일종이다. 특히 누군가의 이름은 강력하지만, 한 번만 작동한다. 닥터는 한때 그들의 이름을 사용하여 캐리언나이트를 격퇴했다.[23] 닥터의 진정한 이름은 절대로 말해서는 안 되며 "침묵이 찾아올 것이다"라고 한다.
  • 만화 시리즈 《블리치》에서 사신은 자신의 칼의 진정한 이름, 즉 참백도를 배워야 한다.
  • 텔레비전 시리즈 《원스 어폰 어 타임》에서 반복되는 적대자 럼플스틸스킨 (배우 로버트 칼라일)은 누군가 또는 무언가의 적절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엘리자베스 헤이든의 책 시리즈 The Symphony of Ages에서 주인공 랩소디는 진정한 이름의 선물을 발견한 음유시인으로, 사람의 본성을 바꾸거나, 마법적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키거나, 새로운 초자연적 능력을 부여하거나, 심지어 암살자와 무법자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모험가 그룹을 식물로 위장하는 등 많은 놀라운 일을 할 수 있다.
  • 데릭 랜드리의 책 시리즈 《스컬더거리 플레전트》에서 모든 사람은 자신의 다른 이름을 보호하기 위해 선택하는 이름이 있다. 즉, 출생 시 주어져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람을 조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이름과, 무제한으로 사람을 조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진정한 이름이 있다.
  • 슈퍼맨 코믹스에서 5차원 임프 미스터 믹시즈피틀릭은 자신의 이름을 거꾸로 읊조리도록 속이면 (Kltpzyxm) 우리 차원에서 추방될 수 있다.
  • SCP 재단 객체 "Taboo"는 이름이 언급될 때 나타나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훔칠 수 있는 객체와 존재가 포함된 위치로 묘사된다.[24]
  •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스노트》의 전제는 자신의 진정한 이름과 얼굴(사신이라고 불리는 존재에게 보이는)을 사용하여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또한 가명을 사용할 수 있지만, 데스노트는 작동하려면 실제 이름만 있어야 한다.
  • 자신의 진정한 이름을 기억하는 것은 자신의 삶을 통제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목욕탕을 운영하는 마녀 유바바는 부하들의 이름을 훔쳐 충성을 확보한다. 예를 들어, 유바바의 가장 충실한 부하 중 한 명인 코하쿠 강 유령은 이름을 빼앗기고 노예 이름인 하쿠를 받는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잊어버렸고, 이런 식으로 그에게서 '빼앗겼다'. 그는 치히로에게 자신의 이름을 잊어버리는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 그녀는 그를 알아보고 그가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고 '되찾아' 마녀의 손아귀에서 풀려났을 때 그를 해방시킨다.
  • 사이버펑크 장르에서는 버너 빈지의 1981년 《진정한 이름》과 윌리엄 깁슨의 작품을 따라, 많은 줄거리가 사이버 공간에서 사람들의 가상 자아 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했다. 다른 해커의 실제 세계 이름(즉, 그들의 "진정한 이름")을 배우면 그들을 정부에 넘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협박할 수 있으며, 신화와 전설의 개념에 상응하는 종류의 힘을 전달한다.
  • R.J. 앤더슨의 Faery Rebels 삼부작에서 요정의 진정한 이름을 알고 말하는 것은 그 요정에 대한 완전한 힘을 부여한다. 그들의 진정한 이름은 또한 희생자의 혈액을 사용한 어두운 의식을 통해 강제로 드러낼 수 있다. 요정의 진정한 이름은 오직 하나뿐인 명명석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 패트릭 로스퍼스의 《킹킬러 연대기》에서는 네이머가 등장한다. 네이머는 생물을 불문하고 모든 것의 진짜 이름을 부르고, 그것을 지배하는 방법을 아는 강력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태어났을 때 주어진 이름은 진짜 이름이 아니다. 그 대신, 진짜 이름, 즉 "딥 네임"은 그 이름이 붙여진 것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다. 또한 "이름 없는" 존재나 물질에 대해서도 다양한 억측이 있다.

5. 한국 사회와 진명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수정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agical Name http://paganwiccan.a[...]
[2] 웹사이트 Finding Your Wiccan Name http://www.wicca-spi[...]
[3] 서적 Gods & Pharaohs from Egyptian Mythology Eurobook Limited 1981
[4] 간행물 Plato's Cratylus http://asset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Myths and Legends Headline Book Publishing 1993
[6] 성경 Genesis 32:22-31
[7] 서적 The Rise of Network Christianity: How Independent Leaders Are Changing the Religious Landscape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4-27
[8] 학위논문 Spiritual Mapping: The Turbulent Career of a Contested American Missionary Paradigm, 1989–2005 https://dspace.libra[...] Utrecht University 2008
[9] 논문 Paratextuality, Materiality, and Corporeality in Medieval Chinese Religions https://online.ucpre[...]
[10] 학위논문 The Three Sovereigns Traditions: Talismans, Elixirs, and Meditation in Early Medieval China Stanford University 2010
[11] 사전 οὔτις and Οὖτις
[12] 서적 The Writer's Guide to Fantasy Literature: From Dragon's Lair to Hero's Quest
[13]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W. W. Norton & company 2004
[14]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15]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1965
[16] 서적 The Fairies in English Tradition and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17]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1965
[18]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1965
[19]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W.W. Norton & Company
[20] 서적 Ursula K. Le Guin Twayne Publishers
[21] 서적 The Name of the Wind https://archive.org/[...] DAW Books Hardcover 2007-03-27
[22] 웹사이트 Trap the Soul http://www.d20srd.or[...]
[23] 서적 The Language of Doctor Wh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05
[24] 웹사이트 "[REDACTED PER PROTOCOL 4000-ESHU] - SCP Foundation" http://www.scp-wiki.[...] 2018-10-11
[25] 웹사이트 Finding Your Wiccan Name http://www.wicca-spi[...]
[26] 서적 Gods & Pharaohs from Egyptian Mythology Eurobook Limited 1981
[27] 간행물 Plato's Cratylus http://asset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8] 서적 The Encyclopedia of Myths and Legends Headline Book Publishing 1993
[29] 성경 Genesis 32:22-31
[30] 논문 Paratextuality, Materiality, and Corporeality in Medieval Chinese Religions https://online.ucpre[...]
[31] 학위논문 The Three Sovereigns Traditions: Talismans, Elixirs, and Meditation in Early Medieval China Stanford University 2010
[32] 서적 "Tabooed Words" Mentor 1959
[33] 사전 οὔτις and Οὖτις
[34] 서적 The Writer's Guide to Fantasy Literature: From Dragon's Lair to Hero's Quest
[35]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W. W. Norton & company 2004
[36]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37]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38] 서적 The Fairies in English Tradition and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40]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41]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W.W. Norton & Company
[42] 서적 Ursula K. Le Guin Twayne Publishers
[43] 서적 The Name of the Wind https://archive.org/[...] DAW Books Hardcover 2007-03-27
[44] 웹사이트 Trap the Soul http://www.d20srd.or[...]
[45] 서적 The Language of Doctor Wh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05
[46] 웹사이트 "[REDACTED PER PROTOCOL 4000-ESHU] - SCP Foundation" http://www.scp-wiki.[...] 2018-10-11
[47] 뉴스 '개명광풍' 전국 강타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9-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