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효는 후한 초기의 인물로, 젊어서 지방 관리를 지내고 왕망 정권에서 일하다가, 경시제가 즉위한 후 상장군으로 추대되어 한실 부흥을 내세워 독립 세력을 구축했다. 경시제에게 투항하여 우장군이 되었으나, 이후 경시제와 갈등을 겪고 독립하여 서주상장군을 칭하며 세력을 키웠다. 광무제와 협력하여 공손술을 견제했으나,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려는 외효와 광무제 간의 불화로 인해 광무제에게 반기를 들었다. 공손술에게 복종하여 삭녕왕에 봉해졌으나, 결국 광무제에게 패배하여 병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3년 사망 -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법학자)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는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소설 등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등장하거나 언급되는 인물이다. - 간쑤성 출신 - 리시 (정치인)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 리시는 서북사범대학교 졸업 후 간쑤성 당위원회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지역의 주요 당직을 거쳐 현재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로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며 중국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간쑤성 출신 - 동탁
동탁은 후한 말 군벌로, 폭정과 권력 찬탈을 시도했으며,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상국에 올랐으나 여포에게 암살당했으며, 독재와 폭정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신나라의 반란자 - 후한 광무제
후한 광무제는 전한 경제의 후손으로 신나라 멸망 후 후한을 건국하여 중국을 통일했으며, 검소한 통치와 유교 진흥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고 주변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 신나라의 반란자 - 여모
여모는 신나라 말기 아들의 복수를 위해 반란을 일으킨 중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반군 지도자로, 재산을 털어 군대를 일으켜 현령을 처단하며 왕망 정권에 대한 저항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고, 비록 병사했지만 그녀의 추종자들은 후한 건국에 기여했다.
외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외효 |
원어 이름 | 隗囂 |
자 | 계맹 |
출생지 | 양주천수군 성기현 |
사망 | 33년 |
작위 | 성가의 삭녕왕 |
후임자 | 외순 |
재위 | 31년 ~ 33년 |
관직 | |
왕망 시기 | 불명 |
경시제 시기 | 우장군 어사대부 |
독립 시기 | 서주상장군 (자칭, 추대) |
후한 시기 | 서주대장군 |
주요 인물 관계 | |
주군 | 왕망 경시제 광무제 공손술 |
가족 | 숙부: 외최 형: 외의 아들: 외심, 외순 |
2. 생애
외효는 젊어서 지방 관리를 지냈고, 이후 왕망의 밑에서 국사공(國師公) 유흠의 속관이 되었다.[1] 지황 4년(23년), 남양에서 유인이 완(宛)을 포위하자[2] 왕망은 사자를 보내 사면령을 내렸는데, 외효는 이들 중 한 사람이 되어 장안을 출발하였다.[2] 도사(道士) 서문군혜(西門君惠)의 도참설에 현혹되어 유흠과 대사마 동충(董忠), 위장군 왕섭(王涉)이 반란을 일으키려 한 것이 사중대췌(司中大贅) 손급(孫及)의 고변으로 드러나, 유흠이 스스로 목숨을 끊자 외효는 이를 알고 곧바로 고향으로 돌아갔다.[2]
경시제 즉위 후 왕망이 패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거병하여, 상장군으로 추대되었다.[2] 이후 연호를 한복이라 하고, 주변 지역을 공략하여 농서, 무도, 금성, 무위, 장액, 주천, 돈황을 지배하였다.[2]
경시 3년(25년), 국삼로(國三老) 유량에게 정치를 맡길 것을 경시제에게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 고향으로 돌아간 외효는 스스로 서주상장군(西州上將軍)을 칭하였고, 경시제가 피살되자 삼보의 많은 사대부들이 외효에게 의지하였다. 하서(河西)의 두융에게도 장군의 인수를 내려 자신의 세력하에 두었다.[2]
광무제에게 서간을 보내자, 광무제는 외효를 자로 부르고 대등한 나라의 군주와 대면하는 예의를 갖추는 등 파격적으로 대우하였다.[4] 그러나 광무제가 공손술 공략에 외효를 부르니, 소극적으로 임하였다. 외효의 본심은 천하 통일이 아니라 광무제와 공손술을 양립시킨 후 자신이 실익을 차지하는 것이었다.[1]
건무 6년(30년), 광무제에게 반기를 들었다. 처음에는 경감 등을 물리치는 등 선전하였으나, 부장 왕원·행순(行巡)의 삼보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1]
건무 7년(31년), 공손술에게 복종하여 삭녕왕(朔寧王)에 봉해졌다. 한편 외효에게 복속되어 있던 두융은 외효가 내린 장군의 인수를 버리고 광무제에게 갔다.[1]
마원·내흡은 외효의 세력을 차례차례 격파해 나갔다. 약양(略陽)을 기습하여 빼앗고, 광무제가 친히 정벌에 나서자 외효 수하의 대장 13명과 16개 현, 십수만의 병력이 모두 투항하였다.[2]
隗囂|외효중국어는 건무 9년(33년) 여름, 병으로 몸져 누웠고, 건량으로 허기를 달래며 지내다가 홧병으로 죽었다.[1]
2. 1. 거병
젊어서 지방 관리를 지냈고, 이후 왕망의 밑에서 일한 국사공(國師公) 유흠의 속관이 되었다.[1] 지황 4년(23년), 남양에서 유인이 완(宛)을 포위하였다.[2] 왕망은 사자 72명을 보내 사면령을 내렸는데, 외효는 이들 중 한 사람이 되어 장안을 출발하였다.[2] 도교의 도사(道士) 서문군혜(西門君惠)의 도참설에 현혹되어, 유흠과 대사마 동충(董忠), 위장군 왕섭(王涉)이 반란을 일으켜 왕망을 죽이려 한 것이 사중대췌(司中大贅) 손급(孫及)의 고변으로 인하여 드러나자, 유흠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데, 외효는 이를 알고 나서 곧바로 고향으로 돌아갔다.[2]경시제가 즉위한 후, 왕망이 패하였다는 소식을 듣고는 숙부 외최(隗崔)·형 외의(隗義)는 상규(上邽)의 양광(楊廣)·기(冀)의 주종(周宗)과 함께 거병하려 하였다.[2] 외효는 이에 반대하였으나, 외최 등은 듣지 않고 바로 평양(平襄)을 공격하여 진융대윤을 물리쳤다.[2] 이후 외효의 명성은 높아졌고, 또 글을 잘하였기 때문에 외최와 양광에게 상장군으로 추대되었다.[2] 외효는 이를 거듭 사양하였으나, 결국 받아들였다.[2]
두령이 된 외효는 방망을 군사로 초빙하였다.[2] 방망은 한실 부흥의 뜻을 품었었는데, 외효는 방망의 진언을 받아들여 동쪽을 향하여 사당을 짓고 고제·문제·무제의 제사를 지냈다.[2] 곧 연호를 한복이라고 하고, 한복 원년(23년) 7월에 한실 부흥을 알리는 격문을 전국에 돌렸다.[2]
곧 10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주변 지역을 공략하였고, 옹주목 진경(陳慶)·안정대윤 왕향(王向)을 물리쳤다.[2] 9월에 왕망이 멸망하였을 때, 외효는 농서·무도·금성·무위·장액·주천·돈황을 지배하였다.[2]
2. 2. 경시제 수하 시절
한복 2년(24년), 장안의 경시제가 사자를 보내 외효·외최·외의를 불렀다. 방망은 이를 간하였으나 외효는 듣지 않고 장안으로 갔고, 방망은 편지를 남기고 외효의 곁을 떠났다. 장안에 들어간 외효는 경시제에게 우장군에 임명되었다.같은 해 겨울, 적미군이 관중에 침략하였다. 외최·외의는 고향에 돌아가 반란을 일으키려 하였는데, 외효는 몸소 이를 경시제에게 보고하여 그들이 주살되게 하였다. 경시제는 외효의 충의를 높게 사 어사대부에 임명하였다.[2]
경시 3년(25년), 외효는 정치를 국삼로(國三老) 유량에게 맡길 것을 경시제에게 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곧 위위대장군 장앙 등이 경시제를 협박하여 형주로 돌아가려 하였고, 외효 또한 여기에 찬동하였다. 그러나 일이 발각되었고, 경시제는 집금오 등엽으로 하여금 외효의 집을 포위하게 하였다. 외효는 간신히 장안을 빠져나갔다.
고향으로 돌아간 외효는 스스로 서주상장군(西州上將軍)을 칭하였고, 같은 해 9월 경시제가 피살되니 삼보의 많은 사대부들이 외효를 의지하였다. 하서(河西)에 할거하고 있었던 두융에게도 장군의 인수를 내려, 자신의 세력하에 두었다.[2]
2. 3. 광무제와의 협력
건무 2년(26년), 후한 대사도 등우의 부장 풍음(馮愔)이 반란을 일으켜 천수로 왔는데, 외효는 이를 고평(高平)에서 물리쳤다. 등우는 보답으로 외효에게 부절을 주어 서주대장군에 임명하고 양주·삭방을 위임하였다. 장안을 점령하고 있던 적미군이 서쪽으로 나아가니, 외효는 부장 양광을 보내 이를 물리쳤다.[4]건무 3년(27년), 외효는 광무제에게 서간을 보냈다. 광무제는 외효를 자로 부르고, 대등한 나라의 군주와 대면하는 예의를 갖추는 등 파격적으로 대우하였다. 같은 해에 공손술의 지원을 받은 여유가 삼보를 공격하니, 외효는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 풍이와 협력하여 이를 물리쳤다. 또 공손술이 자신에게 대사공 겸 부안왕(扶安王)의 인수를 보내니, 외효는 그 사자를 베고 공손술을 끊임없이 공격하였다.[4]
2. 4. 독립
그러나 광무제가 공손술 공략에 외효를 부르니, 외효는 소극적으로 임하였다. 외효의 본심은 천하 통일이 아니라 광무제와 공손술을 양립시킨 후, 자신이 실익을 차지하는 것이었다. 광무제 또한 이를 알아채고 점차 외효를 냉대하였고, 군신의 예로 격을 낮추었다. 외효는 자신과 친밀한 내흡·마원의 종용으로 아들 외순(隗恂)을 광무제에게 인질로 보냈으나, 심복 왕원의 권유로 점차 자립의 의지를 키워나갔다.[1]건무 6년(30년), 공손술이 남군으로 진격하였다. 광무제는 외효에게 공손술의 본거지인 촉 공략을 명하였으나, 외효는 이러저러한 핑계를 대며 거절하였다. 결국 광무제는 건위대장군(建威大將軍) 경감 등 7명을 촉 공략에 동원하였고, 외효의 본거지인 농서를 경유하게 하였다. 그러나 외효는 이것마저 거절하였고, 결국 광무제에게 반기를 들었다. 처음에 외효는 경감 등을 물리치는 등 선전하였으나, 부장 왕원·행순(行巡)의 삼보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 외효는 곧 광무제와 화친하려 하였으나, 이마저도 결렬되었다.[1]
외효와 광무제의 마지막 화평 교섭도 결렬되자, 외효는 공손술에게 복종의 사자를 보내 건무 7년(31년), 삭녕왕(朔寧王)에 봉해졌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광무제에 대한 경향을 강화하고 있던 하서의 두융 등은 외효로부터 수여받은 장군 인장을 파기하는 등, 외효 진영에서 이탈해 갔다.[1]
2. 5. 공손술에게 복종
건무 7년(31년), 외효는 공손술에게 복종하여 삭녕왕(朔寧王)에 봉해졌다. 한편 외효에게 복속되어 있던 두융은 외효가 내린 장군의 인수를 버리고 광무제에게 갔다.[1]마원·내흡은 외효의 세력을 차례차례 격파해 나갔다. 모략으로 외효의 심복 왕준(王遵)과 고준을 빼내고, 건무 8년(32년) 약양(略陽)을 기습하여 빼앗았다. 이후 광무제가 두융·양통(梁統)과 함께 친히 정벌에 나섰고, 왕준은 옛 동료 우감을 투항시켰다. 이를 계기로 외효 수하의 대장 13명과 16개 현, 십수만의 병력이 모두 투항하였다.[2]
그럼에도 외효는 광무제의 항복 권고를 무시하였고, 광무제가 외순을 죽였음에도 거리낌없이 항전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패배를 거듭하여 결국 서성(西城)에서 농성하는 처지가 되었다. 포위한 지 석 달 째에 왕원이 공손술의 원군을 이끌고 왔고, 외효는 포위망을 뚫고 기(冀) 땅으로 달아났다. 한편 광무제는 군량이 떨어져 돌아갔고, 외효는 다시 양주의 군국들을 차지하였다.[3]
2. 6. 죽음
隗囂|외효중국어는 건무 9년(33년) 여름, 병으로 몸져 누웠고, 건량으로 허기를 달래며 지내다가 홧병으로 죽었다.[1] 왕원 등은 외효의 아들 외순(隗純)을 옹립하고 계속 싸웠으나, 이듬해에 내흡에게 토벌되어 외순은 후한에 항복하고 왕원은 공손술에게 달아났다.[1]3. 평가
외효는 평소 겸손하고 공손한 인품으로 선비를 아끼고 친우처럼 대했다고 한다. 광무제 또한 외효가 잠시 신종했을 때 "장자"(덕망 있는 인물)로 칭찬했다.
참조
[1]
문서
中国の北西部で、隴山の西部(南面して隴山の右手側にあるので隴右)。隴西県・隴西郡はあるが、隴右県や(宋代のわずかな例を除いて)隴右郡は無いように、通称である。
[2]
문서
中国の北西部で、黄河が内陸を北東に流れる領域において、その西部。
[3]
문서
囂는 '들렐 효'와 '많을 오' 두 가지 음훈이 있는데, 후한서의 주석에서는 오(五)와 고(高)의 반절이라 하므로, 실은 '''외오'''가 옳다. 외효로 읽는 관습이 지배적이므로 이후로는 외효로만 표기한다.
[4]
문서
운대 28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