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군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가 초나라를 정복한 후 설치되었다. 진나라 멸망 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존속되었으며, 전한 시대에는 18개 현으로 구성되었고, 왕망 시대에는 남순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후한 시대에는 17개 현을 관할했으며, 삼국 시대에는 위, 촉, 오로 분할되면서 행정 구역이 재편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11개의 현을 관할했고, 남북조 시대에는 유송, 서위, 북주를 거치며 규모가 축소되었다. 수나라 때는 형주총관부를 거쳐 다시 남군으로 부활했으며, 당나라 초기에 형주로 흡수되면서 남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역대 남군수 및 태수로는 강, 소육, 무장륭, 신백, 적선, 곽흠, 유륭, 법웅, 잠예, 이숙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후베이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남군 (중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별칭 | 강릉, 형주 |
위치 | 현재 후베이성 남부 |
시대 | 진나라 ~ 남조 |
폐지 시기 | 수나라 |
행정 구역 등급 | 군 (郡) |
역사 | |
설치 시기 | 기원전 278년 |
비고 | 진 소양왕 웅직에 의해 설치 |
역대 태수 | |
주요 인물 | |
인물 | 주유 노숙 여몽 제갈량 관우 조인 이통 환계 양호 두예 왕준 위준 웅직 |
2. 역사
기원전 206년, 항우가 공오를 임강왕으로 봉하면서 남군은 임강국으로 바뀌었다.[21] 기원전 202년 (한 고제 5년), 임강왕 공위가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임강국이 멸망하고, 한나라는 임강국의 이름을 다시 남군으로 고쳤다.[22] 기원전 155년(전한 경제 2년), 유알우가 임강왕에 봉해지면서 임강국으로 바뀌었다가, 기원전 148년(경제 중2년) 임강민왕 유영이 아들 없이 죽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남군으로 되돌려졌다.[22][23][24] 또한 한나라에서는 남군의 일부를 분할해 강하군을 신설했다.[22]
형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25,579호, 718,514명이 있었다. 18개의 현을 두었다.[22][2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강릉현 | 江陵縣 | 징저우시 장링 현 | 군 치소가 있었다. 옛 초나라의 수도 영이었다. |
임저현 | 臨沮縣 | 이창시 위안안 현 북서 | |
이릉현 | 夷陵縣 | 이창시 동 | 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
화용현 | 華容縣 | 첸장시 남서 | 운몽택이 남쪽에 있었다. |
의성현 | 宜城縣 | 샹양시 이청 시 남 | 본래 이름은 언(鄢)이었으나, 전한 혜제 3년(기원전 192년)에 개칭되었다. |
영현 | 郢縣 | 징저우시 장링 현 북동 | 초나라의 별읍(別邑) 고영(故郢)으로, 초나라 서울 영(곧 한나라의 강릉현)과는 다른 곳이다. |
기현 | 邔縣 | 샹양시 이청 시 북 | 황극충의 후국이었다. |
당양현 | 當陽縣 | 징먼시 남 | |
중려현 | 中廬縣 | 샹양시 샹저우 구 남서 | |
지강현 | 枝江縣 | 이창시 즈장 시 북동 | 예전에 나(羅)나라가 있었다. |
양양현 | 襄陽縣 | 샹양시 샹저우 구 | 양수의 북쪽이다. |
편현 | 編縣 | 징먼시 북 | 운몽궁이 있었다. |
자귀현 | 秭歸縣 | 이창시 쯔구이 현 | 이 현의 귀향(歸鄕)에는 옛 귀(歸)나라가 있었다. |
이도 | 夷道 | 이창시 | |
주릉현 | 州陵縣 | 징저우시 훙후 시 북동 | |
약현 | 若縣 | 샹양시 이청 시 남동 | |
무현 | 巫縣 | 충칭시 우산 현 북 | |
고성후국 | 高城侯國 | 징저우시 쑹쯔 시 남 |
2. 1. 진나라
기원전 278년, 진 소양왕이 초를 정복한 후 남군을 설치했다. 백기가 초나라의 수도 영을 점령하고 남군을 설치했다.[17][18] 치소는 강릉현(지금의 장링현)이다.다음은 문헌과 유물에서 밝혀낸 속현의 목록이다.[19]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강릉 | 江陵 | 징저우시 경내 | 상서 이야진간 52간문에 “소에서 강릉에 이르니 240리, 강릉에서 잔릉에 이르니 114리...”라고 적혀있다. |
안륙 | 安陸 | 윈멍현 운몽초성(雲夢楚城) | 후베이 운몽 수호지 14호 진묘에서 출토된 도옹상에 “안륙시정”(安陸市亭)이라고 찍혀있다. |
지강 | 芰江[20] | 즈장시 북동 | 시안 상가항(相家巷)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에 “지강승인”(芰江丞印)이라고 적혀있다. |
당양 | 當陽 | 당양시 동 | 1979년 6월, 섬서성 우궁현 유펑진(游風鎮) 유펑촌(游風村)의 일수혈고묘에서 출토된 진나라 청동기 “당양”작(當陽勺)에 “당양칠량”(當陽七兩)이라고 새겨져 있다. |
사이 | 沙羡 | 우한시 우창구 서 진커우 | 후베이에서 출토된 윈멍 룽강 진나라 간독문에 “9월 병신, 사이승(沙羡丞) 갑(甲), 사(史) 병(丙)이 사형[벽사(辟死)]을 면하고 서인이 되게 명령하다”라고 적혀있다. |
영 | 郢 | 징저우시 영성고성(郢城古城) | 시안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에 “영채금승”(郢采金丞)이라고 적혀있다. |
언 | 鄢 | 이청시 “초황성”(楚皇城) | 상서 이야진간 52간문에 “언에서 소에 이르니 84리”라고 적혀있다. |
소 | 銷 | 톈먼시 북동 소성유지(笑城遺址) 또는 그 부근 | 상서 이야진간 52간문에 “언에서 소에 이르니 184리, 소에서 강릉에 이르니 240리”라고 적혀있다. |
이도 | 夷道 | 이두시 | 후베이 운몽 수호지 진묘 죽간 《어서》에 “남군수 등이 현과 도의 색부에게 이르다”라고 적혀있다. |
좌운몽 | 左雲夢 | 시안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에 “좌운몽승”(左雲夢丞), “우운몽승”(右雲夢丞)이라고 적혀있다. | |
우운몽 | 右雲夢 | ||
임저 | 臨沮 | 위안안현 북서 | 서한 장가산한간 《질률》에 “임저”라고 적혀있다. |
이릉 | 夷陵 | 이창시 | 서한 장가산한간 《질률》에 “이릉”이라고 적혀있다. |
주릉 | 州陵 | 훙후시 대성호고성(大城濠古城) | 포산초간에 “주막오”(州莫囂)라고 적혀있다. |
경릉 | 竟陵 | 첸장시 북서 | |
약 | 鄀 | 이청시 남동 | |
이려 | 伊廬 | 샹양시 남서 | |
기 | 邔 | 이청시 북쪽 경계 |
2. 2. 진한 교체기
진(秦) 멸망 후 부활한 초(楚)의 상주국 공오 등이 남군을 공격했고, 항우는 이 공으로 기원전 206년 공오를 임강왕(臨江王)으로 삼아 남군을 다스리게 했다.[21]2. 3. 전한
기원전 206년, 항우가 공오를 임강왕으로 봉하면서 남군은 임강국으로 바뀌었다.[21] 기원전 202년(한 고제 5년), 임강왕 공위가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임강국이 멸망하고, 한나라는 임강국의 이름을 다시 남군으로 고쳤다.[22] 기원전 155년(전한 경제 2년), 유알우가 임강왕에 봉해지면서 임강국으로 바뀌었다가, 기원전 148년(경제 중2년) 임강민왕 유영이 아들 없이 죽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남군으로 되돌려졌다.[22][23][24] 또한 한나라에서는 남군의 일부를 분할해 강하군을 신설했다.[22]형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5,579호, 718,514명이 있었다. 18개의 현을 두었다.[22][2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강릉현 | 江陵縣 | 징저우시 장링 현 | 군 치소가 있었다. 옛 초나라의 수도 영이었다. |
임저현 | 臨沮縣 | 이창시 위안안 현 북서 | |
이릉현 | 夷陵縣 | 이창시 동 | 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
화용현 | 華容縣 | 첸장시 남서 | 운몽택이 남쪽에 있었다. |
의성현 | 宜城縣 | 샹양시 이청 시 남 | 본래 이름은 언(鄢)이었으나, 전한 혜제 3년(기원전 192년)에 개칭되었다. |
영현 | 郢縣 | 징저우시 장링 현 북동 | 초나라의 별읍(別邑) 고영(故郢)으로, 초나라 서울 영(곧 한나라의 강릉현)과는 다른 곳이다. |
기현 | 邔縣 | 샹양시 이청 시 북 | 황극충의 후국이었다. |
당양현 | 當陽縣 | 징먼시 남 | |
중려현 | 中廬縣 | 샹양시 샹저우 구 남서 | |
지강현 | 枝江縣 | 이창시 즈장 시 북동 | 예전에 나(羅)나라가 있었다. |
양양현 | 襄陽縣 | 샹양시 샹저우 구 | 양수의 북쪽이다. |
편현 | 編縣 | 징먼시 북 | 운몽궁이 있었다. |
자귀현 | 秭歸縣 | 이창시 쯔구이 현 | 이 현의 귀향(歸鄕)에는 옛 귀(歸)나라가 있었다. |
이도 | 夷道 | 이창시 | |
주릉현 | 州陵縣 | 징저우시 훙후 시 북동 | |
약현 | 若縣 | 샹양시 이청 시 남동 | |
무현 | 巫縣 | 충칭시 우산 현 북 | |
고성후국 | 高城侯國 | 징저우시 쑹쯔 시 남 |
2. 4. 신
新중국어나라 때 남군은 남순(南順)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 주요 현들의 이름도 바뀌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전한 | 신 |
---|---|
강릉 | 강륙 |
이릉 | 거리 |
영 | 영정 |
양양 | 상양 |
편 | 남순 |
이도 | 강남 |
주릉 | 강하 |
고성 | 언정 |
2. 5. 후한
南郡중국어은 후한 시기 17개 현, 162,570호, 747,604명을 거느렸다.[26] 후한말인 207년(헌제 건안 13년), 형주를 점령한 조조가 남군 북부와 남양군 남부를 분할해 양양군을, 지강현 이서 지역을 임강군으로 신설했다.[2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강릉현 | 江陵縣중국어 | 변화 없음 | |
무현 | 巫縣중국어 | 207년 임강군으로 분리되었다. | |
자귀현 | 秭歸縣중국어 | 207년 임강군으로 분리되었다. | |
중로후국 | 中盧候國중국어 | 207년 양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
편현 | 騙縣중국어 | ||
당양현 | 當陽縣중국어 | ||
화용후국 | 華容候國중국어 | ||
양양현 | 襄陽縣중국어 | 207년 양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
기후국 | 邔候國중국어 | 207년 양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
의성후국 | 宜城候國중국어 | 207년 양양군으로 분리되었다. 촉한의 정치가였던 마량의 출생지이다. | |
약후국 | 鄀候國중국어 | 207년 양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
임저후국 | 臨沮候國중국어 | 207년 양양군으로 분리되었다. | |
지강후국 | 枝江候國중국어 | ||
이릉현 | 夷陵縣중국어 | 207년 임강군으로 분리되었다. | |
주릉현 | 州陵縣중국어 | ||
항산현 | 很山縣중국어 | 이창 시 창양 투자족 자치현 | 본래 무릉군에 속했으나 후한 시기 본군에 내속되었다. 207년 임강군으로 분리되었다. |
2. 6. 오, 서진
서진 무제 태강 원년(280년), 남군의 이름을 일신(日新)군으로 고쳤으나, 원래대로 되돌렸다. 또한 일부 지역이 남평군으로 분리되었다. 익주에서 거병한 이웅이 성한을 건국하자 군의 일부가 성도군으로 분리되었고, 그 군에 '''영국(穎國)'''의 왕이 제후로 봉해졌다.[27]당시 남군은 11개 현, 5만 5천 호를 거느렸다.
강릉현 | 江陵縣 | colspan="2" | | |
편현 | 騙縣 | colspan="2" | | |
당양현 | 當陽縣 | colspan="2" | | |
화용현 | 華容縣 | 서진 말기 성도군으로 분리되었고 성도군의 치소가 되었다. 영왕(穎王)의 치소 또한 본현에 있었다. | |
약현 | 鄀縣 | colspan="2" | | |
지강현 | 枝江縣 | 이창 시 즈장 시 남쪽 호가하(胡家河) 일대 | 동진 건무 원년(317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
정양현 | 旌陽縣 | 이창 시 당양 시 동남쪽 | | |
주릉현 | 州陵縣 | 셴닝 시 자위 현 동북쪽 패주만진(簰洲灣鎭) 하신주촌(下新洲村) 일대 | 서진 말기 성도군으로 분리되었다. |
감리현 | 監利縣 | 징저우 시 젠리 현 애화촌(愛化村) 동북쪽 | 서진 말기 성도군으로 분리되었다. |
송자현 | 松滋縣 | 징저우 시 쑹쯔 시 노성진(老城鎭) | 동진대에 하동군이 본현에 설치되었다. |
석수현 | 石首縣 | 징저우 시 스서우 시 |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신설되었다. |
2. 7. 남조 (송)
유송 원가 16년(439년) 감리현과 주릉현이 신설된 파릉군으로 이관되었고, 원가 18년(441년) 정양현이 지강현에 통폐합되면서 6개 현을 통치하게 되었다. 6개 현에서 14,544호, 75,087명을 거느렸다.[28][29]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강릉현 | 江陵縣 | 공상(公相) | ||
화용현 | 華容縣 | 공상(公相) | ||
당양현 | 當陽縣 | 이창시 당양시 | 남상(男相) | 영초 원년(420년) 징먼시 남쪽에서 지금의 위치로 교치되었다. |
임저현 | 臨沮縣 | 백상(伯相) | 원가 24년(447년), 임저현과 당양현의 남만들이 반란을 일으켜 임저현령 부승기(傅僧驥)를 생포했다. 이에 형주자사 남초왕(南譙王) 유의선(劉義宣)이 중병참군(中兵參軍) 왕심(王諶)을 파견해 토벌했다. | |
편현 | 騙縣 | 남상(男相) | ||
지강현 | 枝江縣 | 후상(候相) | 441년 정양현이 본현에 통폐합되었다. |
2. 8. 서위, 북주
554년(서위 효민제 3년), 후경의 난 이후 옹주자사 악양왕 소찰이 반란을 일으키고 서위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서위는 우근, 우문호, 양충 등이 지휘하는 5만 병력을 형주 일대에 보냈고, 양나라 군대를 격파하면서 남군을 비롯한 형주 300여 개 성을 점령하여 서위로 편입시켰다.[30][31]2. 9. 수
수 문제는 기존에 설치된 총관부를 폐지했고 587년(수 문제 개황 7년), 강릉총관을 설치했다. 600년(수 문제 개황 20년), 형주총관으로 바뀌었다. 수 양제 시기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남군이 복구되었다. 11개 현, 58,836호를 거느렸다.[3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강릉현 | 江陵縣 | 징저우 시 형주고성 | |
장양현 | 長楊縣 | 이창 시 창양투자족자치현 | 588년(수 문제 개황 8년), 신설되어 목주(睦州)에 속했지만 597년 목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의양산(宜陽山)이 현내에 있었다. |
의창현 | 宜昌縣 | 이창 시 쯔구이 현 서남 삼두평(三頭坪) | 589년, 송주(松州)가 설치되면서 귀화현, 수릉현이 통폐합되었다. 591년 송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에 내속되었고 의도현(宜都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단산(丹山), 황우산(黃牛山)이 있었다. |
지강현 | 枝江縣 | 이창 시 즈장 시 남 호가하(胡家河)일대 | |
당양현 | 當陽縣 | 이창 시 당양 시 | 북주 시기 평주(平州)로 분리되어 장천군(漳川郡)과 안원군(安遠郡)의 2개 군을 통치했다. 587년, 평주는 옥주(玉州)로 개명되었고 589년 주가 폐지되면서 남군의 속현이 되었다. 598년, 양나라 때 설치된 안거현(安居縣)이 소구(昭丘縣)으로 개명되었다가 대업초 형태현(荊台縣)으로 개명되었다. 이 형태현은 대업연간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청계산(淸溪山)이 있었다. |
송자현 | 松滋縣 | 징저우 시 쑹쯔 시 노성진 | |
강좌현 | 江左縣 | 본래 영가의 난 이후 교치된 하동군이 있었지만 통일 이후 폐지되었다. 현내에 잠수(涔水)가 흘렀다. | |
장림현 | 長林縣 | 징먼 시 서북 | 591년 장림현을 통폐합하면서 장녕현(長寧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징먼 시에서 징먼 시 서북으로 현의 치소가 옮겨졌다. |
공안현 | 公安縣 | 징저우 시 궁안 현 | 589년 잔릉현(孱陵縣)과 영안현(永安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황산(黃山), 영계수(靈溪水)가 있었다. |
안흥현 | 安興縣 | 징저우 시 사스구 나장진(鑼場鎭) 동 | 591년 광목현(廣牧縣)에 안흥현이 통폐합되었고 인수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대업초 정양현(定襄縣)이 통폐합되었다. |
자릉현 | 紫陵縣 | 징저우 시 사스구 신태촌(新台村) 동북 | 현성 남쪽면에 양나라가 도주(都州)와 운택현(雲澤縣)을 신설했다. 대업초기 도주, 운택현을 폐지하면서 남군의 속현이 되었다. 현내에 협석산(硤石山)이 있었다. |
왕망 때는 남군을 남순(南順)이라고 칭했으며, 아래와 같이 현의 이름을 고쳤다.
3. 장관
전한 신 강릉(江陵) 강륙(江陸) 이릉(夷陵) 거리(居利) 영(郢) 영정(郢亭) 양양(襄陽) 상양(相陽) 편(編) 남순(南順) 이도(夷道) 강남(江南) 주릉(州陵) 강하(江夏) 고성(高城) 언정(言程)
3. 1. 전한
수문제는 기존에 설치된 총관부를 폐지하고 587년(수문제 개황 7년)에 강릉총관을 설치했다. 600년(수문제 개황 20년)에는 형주총관으로 바뀌었다. 수양제 시기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남군이 복구되었다. 남군은 11현 58,836호를 거느렸다.[32]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강릉현 | 江陵縣 | 징저우시 형주고성 | |
장양현 | 長楊縣 | 이창시 창양투자족자치현 | 588년(수문제 개황 8년) 신설되어 목주(睦州)에 속했지만, 597년 목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의양산(宜陽山)이 현 내에 있었다. |
의창현 | 宜昌縣 | 이창시 쯔구이현 서남 삼두평(三頭坪) | 589년 송주(松州)가 설치되면서 귀화현, 수릉현이 통폐합되었다. 591년 송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에 내속되었고 의도현(宜都縣)이 통폐합되었다. 단산(丹山), 황우산(黃牛山)이 현 내에 있었다. |
지강현 | 枝江縣 | 이창시 즈장시 남 호가하(胡家河) 일대 | |
당양현 | 當陽縣 | 이창시 당양시 | 북주 시기 평주(平州)로 분리되어 장천군(漳川郡)과 안원군(安遠郡)의 2개 군을 통치했다. 587년 평주는 옥주(玉州)로 개명되었고, 589년 주가 폐지되면서 남군의 속현이 되었다. 598년 양나라 때 설치된 안거현(安居縣)이 소구(昭丘縣)으로 개명되었다가 대업 초 형태현(荊台縣)으로 개명되었다. 이 형태현은 대업 연간에 통폐합되었다. 청계산(淸溪山)이 현 내에 있었다. |
송자현 | 松滋縣 | 징저우시 숭쯔시 노성진 | |
강좌현 | 江左縣 | 영가의 난 이후 교치된 하동군이 있었지만, 통일 이후 폐지되었다. 잠수(涔水)가 현 내에 흘렀다. | |
장림현 | 長林縣 | 징먼시→징먼시 서북 | 591년 장림현을 통폐합하면서 장녕현(長寧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징먼시에서 징먼시 서북으로 현의 치소가 옮겨졌다. |
공안현 | 公安縣 | 징저우시 궁안현 | 589년 잔릉현(孱陵縣)과 영안현(永安縣)이 통폐합되었다. 황산(黃山), 영계수(靈溪水)가 현 내에 있었다. |
안흥현 | 安興縣 | 징저우시 사스구 나장진(鑼場鎭) 동 | 591년 광목현(廣牧縣)에 안흥현이 통폐합되었고, 인수 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대업 초 정양현(定襄縣)이 통폐합되었다. |
자릉현 | 紫陵縣 | 징저우시 사스구 신태촌(新台村) 동북 | 현성 남쪽면에 양나라가 도주(都州)와 운택현(雲澤縣)을 신설했다. 대업 초기 도주, 운택현을 폐지하면서 남군의 속현이 되었다. 협석산(硤石山)이 현 내에 있었다. |
3. 1. 1. 남군수
강 (기원전 200년 당시)[33]3. 1. 2. 남군태수
- 이상 (? ~ 기원전 12년)
- 소육 (한애제 시기)
- 무장륭 (기원전 2년? 1년? ~ 기원전 1년)[34]
- 신백(辛伯) (? ~ 3년)
- 적선 (한평제 시기?)
- 곽흠 (한평제 시기 ~ 거섭 연간)
3. 2. 후한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2]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5]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6]
서적
Book of Song
https://zh.wikisourc[...]
[7]
서적
Book of Sui
https://zh.wikisourc[...]
[8]
서적
史記』秦本紀
[9]
서적
漢書』地理志第八上
筑摩書房
[10]
서적
漢書』地理志第八上
筑摩書房
[11]
서적
後漢書』郡国志四
[12]
서적
晋書』地理志下
[13]
서적
宋書』州郡志三
[14]
서적
南斉書』州郡志下
[15]
서적
隋書』地理志下
[16]
서적
旧唐書』地理志二
[17]
서적
사기 권5 진본기
https://zh.wikisourc[...]
[18]
서적
권78 춘신군열전
[19]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20]
문서
본래 芰의 음은 기이나, 枝와 통자로 쓰인 것이므로 '지강'으로 읽어 둔다.
[21]
서적
권7 항우본기
https://zh.wikisourc[...]
[22]
서적
한서 권28상 지리지 제8 상
https://zh.wikisourc[...]
[23]
서적
전게서, 권8 고조본기
https://zh.wikisourc[...]
[24]
서적
권53 경십삼왕전제23
https://zh.wikisourc[...]
[25]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6]
서적
《후한서》112권 지 제22 군국지 4 형주 남군
https://zh.wikisourc[...]
[27]
서적
《진서》15권 지 제5 지리지 下 형주 남군
https://zh.wikisourc[...]
[28]
서적
《송서》37권 지 제27 주군지 3 형주 남군태수
https://zh.wikisourc[...]
[29]
서적
《송서》97권 열전 제 57 이만열전 형주만
https://zh.wikisourc[...]
[30]
서적
《주서》 49권 열전 제 41 이역전 만
https://zh.wikisourc[...]
[31]
서적
《주서》 15권 열전 제 7 우근
https://zh.wikisourc[...]
[32]
서적
《수서》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형주 남군
https://zh.wikisourc[...]
[33]
서적
《장가산한간》(張家山漢簡) 주언서(奏讞書) 15
[34]
문서
공광이 대사도일 때 파면됨.
[35]
서적
후한서 권7, 권86, 속한서 천문지 下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