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군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에 의해 설치된 중국의 행정 구역이다. 한수 북쪽의 초나라 영토를 기반으로 하며, 전한 시대에는 형주에 속해 난양시 일대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 전한 시대 36개 현을 거느렸으며,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전수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시대에 남양군으로 복귀했다. 후한 시대에는 37개 현을 관할했으며, 조조가 형주를 점령한 후 남향군이 분리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14개 현을 관할했으며, 영가의 난 이후 유랑민들이 정착하면서 혼란을 겪었다. 이후 유송,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고, 당나라 건원 연간에 등주로 개칭되면서 남양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후베이성의 군 - 장사군
진나라가 초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장사군은 전한 시대에 장사국으로 존속하며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래 유지되었으나, 손오 시대에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나라 때 폐지, 당나라 때 잠시 부활했다.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남양군 (중국) | |
---|---|
개요 | |
유형 | 중국의 군 |
존속 기간 | 기원전 4세기 ~ 620년 |
역사 | |
설치 | 기원전 4세기 (추정) 초(楚)에 의해 설치됨 |
주요 시기 | 진(秦) 시기: 전국시대 통일 후 군으로 개편 한(漢) 시기: 중요한 군 중 하나 삼국시대 시기: 위(魏)의 지배 하에 놓임 서진(西晉), 동진(東晉) 시기: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겪음 수(隋) 시기: 행정 구역 재편 당(唐) 시기: 620년 폐지 |
위치 및 관할 | |
중심지 | 완(宛) (현재 하남성 남양시) |
관할 지역 | 전성기: 36개 현 현재 위치: 허난성, 호북성 북부 일대 |
행정 및 인구 | |
주요 관리 | 태수 |
인구 | 후한(後漢) 시기: 1,974,882명 (394,768호) |
문화적 중요성 | |
중요성 | 경제 중심지 교통 요충지 군사적 요충지 |
관련 인물 | 장량(張良) 제갈량(諸葛亮) 장중경(張仲景) |
2. 역사적 배경
진나라 소왕 35년(기원전 272년)에 남양군(南陽郡)이 설치되었으며, 치소는 완(宛)으로, 현재의 난양이었다.[1] 이 군은 한수 북쪽, 이전 초나라에서 정복한 땅으로 구성되었다.
전한 시대 남양군은 36개 현을 관할했으며, 서기 2년 총 인구는 1,942,051명, 가구 수는 359,116호였다.[2] 140년에는 인구가 2,439,618명, 가구 수는 528,551호로 증가했다.[3]
삼국 시대에는 여러 개의 새로운 군이 설치되었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280년에 남양군의 현 수는 14개, 인구는 24,400호였다.[4] 유송 시대에는 군에 7개의 현만 남았고, 5세기 중반 인구는 38,132명, 4,727호로 감소했다.[5]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남양군은 같은 지역의 등주의 다른 이름이었다. 742년, 군은 6개의 현을 관할했고, 인구는 165,257명, 가구 수는 43,055호였다.[6]
2. 1. 진나라
기원전 292년 (진나라 소양왕 25년) 백기가 초나라를 공격하여 완(宛)을 점령하였다.[13][7] 기원전 272년(소양왕 35년) 남양군이 설치되었다.[13][7] 치소는 완(宛)으로, 현재의 난양이었다.[1]2. 2. [[전한]]
형주자사부 소속으로 36개 현, 35만 9316호, 194만 2051명을 관할했다. 현대의 난양 시 중부와 동부, 샹양 시 북부, 쑤이저우 시 일대 영역이었다.[18]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완현 | 宛縣 | 난양시 | 옛 신백국(申伯國)이다. 굴신성(屈申城)이 있다. 군의 치소였다. |
주현 | 犫縣 | 핑딩산시 루산 현 남동 | |
두연현 | 杜衍縣 | 난양시 남서 | |
찬후국 | 酇侯國 | 샹양시 라오허커우 시 북서 | 소하의 후손 소경의 후국이다. |
육양현 | 育陽縣 | 난양시 남 | 남서취(南筮聚)가 북동쪽에 있다. 응소에 따르면 육수(育水)는 홍농군 노씨현에서 나와 남으로 면수로 들어간다. |
박산후국 | 博山侯國 | 난양시 시촨 현 남 | 공광의 후국이다. 애제 때 설치했다. |
열양현 | 涅陽縣 | 난양시 전핑 현 남 | 여등과 최의 후국이었다. 응소에 따르면 열수(涅水)의 북쪽[陽]이다. |
음현 | 陰縣 | 샹양시 라오허커우 시 북 | |
자양현 | 堵陽縣 | 난양시 팡청 현 동 | |
이현 | 雉縣 | 난양시 난자오 현 남동 | 형산(衡山)에서 예수(澧水)가 나와서 동으로 옥(𨜘)[14]에 이르러 여수(汝水)로 들어간다. |
산도현 | 山都縣 | 샹양시 샹저우 구 북서 | |
채양현 | 蔡陽縣 | 샹양시 짜오양 시 남서 | 왕망의 어머니 공현군(功顯君)의 읍이다. 응소에 따르면 채수(蔡水)가 나와서 동으로 회수로 들어간다. |
신야현 | 新野縣 | 난양시 신예 현 | |
축양현 | 筑陽縣 | 샹양시 구청 현 북동 | 응소에 따르면 축수(筑水)가 방릉에서 나와서 동으로 면수로 들어간다. |
극양현 | 棘陽縣 | 난양시 신예 현 북동 | 응소에 따르면 극수(棘水)의 북쪽[陽]이다. |
무당현 | 武當縣 | 스옌시 단장커우 시 북서 | |
무음현 | 武陰縣 | 주마뎬시 비양 현 북 | 중음산(中陰山)에서 친수(瀙水)[15]가 나와 동으로 채[16]에 이르러 여수로 들어간다. |
서악현 | 西鄂縣 | 난양시 북 | |
양현 | 穰縣 | 난양시 덩저우 시 | |
척현 | 酈縣 | 난양시 북서 | 육수가 북서에서 나와서 남으로 한수로 들어간다. |
안중후국 | 安衆侯國 | 난양시 덩저우 시 북동 | 장사정왕의 아들 유단의 후국이다. 옛 완현의 서향(西鄕)이다. |
관군후국 | 冠軍侯國 | 난양시 덩저우 시 북서 | 곽거병의 후국이다. 무제가 양현의 노양향(盧陽鄕)과 완현의 임조취(臨駣聚)를 나누어 설치했다. |
비양현 | 比陽縣 | 주마뎬시 비양 현 | |
평씨현 | 平氏縣 | 난양시 퉁바이 현 북서 | 《우공》의 동백대복산(桐柏大復山)이 남동쪽에 있어, 회수가 나와 남동으로 회포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니, 남양·여남·육안·구강·패·사수·임회 7군을 지나 3,240리를 가니, 청주천(靑州川)이다. |
수현 | 隨縣 | 쑤이저우시 | 옛 수(隨)나라가 있었으며, 또 나향(厲鄕)에는 나(厲)나라가 있었다. |
섭현 | 葉縣 | 핑딩산시 예 현 남 | 초나라 섭공(葉公)의 읍으로, 장성이 있어 방성(方城)이라 했다. |
등현 | 鄧縣 | 샹양시 샹저우 구 북서 | 옛 등(鄧)나라가 있었다. |
조양현 | 朝陽縣 | 난양시 덩저우 시 남동 | |
노양현 | 魯陽縣 | 핑딩산시 루산 현 | 노산(魯山)이 있는데 옛 노현(魯縣)으로 어룡씨(御龍氏)가 여기로 옮겼다. 노산에서 치수(滍水)가 나와 북동으로 정릉에 이르러 여수로 들어간다. 또 곤수(昆水)가 있어 남동으로 정릉에 이르러 여수로 들어간다. |
용릉후국 | 舂陵侯國 | 샹양시 짜오양 시 남 | 옛 채양현의 백수향(白水鄕)이다. 상당향(上唐鄕)은 옛 당나라다. 본래 영릉군 관할의 영도현(零道縣)의 일부였는데, 유인의 청원으로 초원 4년(기원전 45년)에 이곳으로 옮겨졌다.[17] |
신도후국 | 新都侯國 | 난양시 신예 현 동 | 왕망의 후국이다. |
호양현 | 湖陽縣 | 난양시 탕허 현 남 | 옛 유(廖)나라가 있었다. |
홍양후국 | 紅陽侯國 | 핑딩산시 예 현 남 | 왕립(王立)의 후국이다. |
악성후국 | 樂成侯國 | 난양시 텅저우 시 남서 | 허연수의 후국이다. |
박망후국 | 博望侯國 | 난양시 북동 | 장건과 허순의 후국이다. |
복양후국 | 復陽侯國 | 난양시 퉁바이 현 북서 | 옛 호양현의 악향(樂鄕)이다. |
남양태수를 역임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의종(무제 시기)
- 현(? ~ 기원전 60년)
- 정홍(선제 시기)[25]
- 소신신(선제 시기[25] ~ 원제 시기)
- 왕창(? ~ 기원전 30년)
- 진함(? ~ 기원전 16년)
- 설명(薛明, 성제 시기?)[26]
- 원(原) 아무개(애제 시기): 원섭의 아버지다.[27]
- 손총(기원전 3년? ~ 기원전 1년)
2. 3. [[신나라]]
前隊중국어는 왕망이 남양군의 이름을 고친 것이다. 신나라 말기에는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는데, 녹림군이 이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녹림군은 역병으로 인해 흩어졌는데, 이들 중 전수군(前隊郡)에 자리를 잡은 무리를 신시병(新市兵)이라고 불렀다.유인은 용릉병을 일으켜 녹림군에 합류했고, 전수대부 진부와 전수속정 양구사를 격파하고 한 경시제를 추대했다. 경시제 정권이 몰락한 후, 연잠이 광무제에게 패퇴하였다.[25]
다음은 왕망이 이름을 변경한 현의 목록이다.
전한 | 신 |
---|---|
완 | 남양(南陽) |
두연 | 윤연(閏衍) |
찬 | 남경(南庚) |
열양 | 전정(前亭) |
자양 | 양성(陽城) |
축양 | 의화(宜禾) |
양 | 농양(農穰) |
평씨 | 평선(平善) |
조양 | 여신(厲信) |
신도 | 신림(新林) |
홍양 | 홍유(紅兪) |
박망 | 의악(宜樂) |
2. 4. [[후한]]
37성, 52만 8551호, 243만 9618명이 있었다.[19]현명 | 종류 | 비고 |
---|---|---|
완 | 현 | 군의 치소였다. |
관군 | 읍 | |
섭 | 현 | |
신야 | 현 | 전한의 신도현은 후한의 신야현 동향(東鄕)이다. |
장릉 | 현 | 전한의 용릉으로, 광무제가 개명했다. |
서악 | 현 | |
이 | 현 | |
노양 | 현 | |
추 | 현 | |
자양 | 현 | |
박망 | 후국 | |
무음 | 읍 | |
비양 | 현 | |
복양 | 후국 | |
평씨 | 현 | |
동백 | 현 | |
극양 | 현 | |
호양 | 읍 | |
수 | 현 | |
서 | 현 | |
육양 | 읍 | |
열양 | 현 | |
음 | 현 | |
찬 | 후국 | |
등 | 현 | |
산도 | 후국 | |
척 | 후국 | |
양 | 현 | |
조양 | 현 | |
채양 | 후국 | |
안중 | 후국 | |
무당 | 현 | |
순양 | 후국 | 전한의 박산이다. |
성도 | 현 | |
양향 | 현 | |
남향 | 현 | |
단수 | 현 | 원래는 홍농군의 속현이었다. |
석 | 현 | |
융 | 현 | 《누수비》(婁壽碑)에만 보이며, 다른 사료에서는 찾을 수 없다. |
건안(建安) 13년(208년) 조조가 형주를 점령하고 남군의 서쪽을 분할하여 남향군을 설치하였다.[19]
개편 이전 | 개편 이후 | ||
---|---|---|---|
남양군 | 완, 관군, 섭, 신야, 장릉, 서악, 이, 노양, 주, 도양, 박망, 무음, 비양, 복양, 평씨, 동백, 극양, 호양, 수, 서, 육양, 열양, 등, 산도, 역, 양, 채양, 성도, 양향 | 남양군 | 완, 관군, 섭, 신야, 장릉, 서악, 이, 노양, 주, 도양, 박망, 무음, 비양, 복양, 평씨, 동백, 극양, 호양, 수, 서, 육양, 열양, 등, 산도, 역, 양, 채양, 성도, 양향 |
찬, 순양, 남향, 단수, 무당, 음, 축양, 석 | 남향군 | 찬, 순양, 남향, 단수, 무당, 음, 축양, 석 |
2. 5. [[서진]]
영가의 난 시기 전조의 창업자 유연의 원정으로 평양군, 하동군, 홍농군, 상당군의 주민들이 고향을 떠나 하남군, 영천군, 양성군, 여남군과 남양군에 정착했다.[21] 그러나 이들은 토착민들에게 멸시를 받았고, 이에 불만을 품은 유랑민들이 남양군, 영천군, 양성군, 여남군, 하남윤에서 반란을 일으켜 왕미의 반란에 호응했다.[21]서진 시대 남양군은 14현, 24,400호를 거느렸다.[20]
이름 | 종류 | 비고 |
---|---|---|
완(宛) | 현 | 군의 치소(治所, 지방 관청 소재지)였다. |
서악(西鄂) | 후상 | |
이(雉) | 현 | |
노양(魯陽) | 공국상 | |
추(犨) | 현 | |
육양(淯陽) | 공국상 | |
박망(博望) | 공국상 | |
자양(堵陽) | 현 | |
섭(葉) | 후상 | 장성산(長城山)이 있다. |
무음(武陰) | 공국상 | |
비양(比陽) | 공국상 | |
열양(涅陽) | 현 | |
관군(冠軍) | 현 | |
척(酈) | 현 |
동오 멸망 후, 남양군을 분할하여 의양군을 설치했다.
개편 이전 | 개편 이후 | ||
---|---|---|---|
남양군 | 완, 서악, 이, 노양, 주, 육양, 박망, 도양, 섭, 무음, 비양, 열양, 관군, 역 | 남양군 | 완, 서악, 이, 노양, 주, 육양, 박망, 도양, 섭, 무음, 비양, 열양, 관군, 역 |
신야, 양, 등, 채양, 수, 안창, 극양, 궐, 서, 평씨, 의양, 평림, 조양 | 의양군 | 신야, 양, 등, 채양, 수, 안창, 극양, 궐, 서, 평씨, 의양, 평림, 조양 |
2. 6. [[유송]]
유유가 후진을 정복하고 얻었던 중원, 관중 지역을 포기하면서, 그 지역 주민들이 남양군 일대에 정착했다. 이로 인해 관중, 중원에 있던 여러 군현들이 이 지역에 설치되면서 군의 규모가 축소되었고, 형주에서 옹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22][23]한편, 강하군 등지에 살던 남만족이 영가의 난 이후 혼란한 시기를 틈타 남양군 지역으로 이주했다. 이들은 새로운 정착지에서 여러 차례 남조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다.[22][23]
유송 말 기준으로 남양군은 7개 현, 4,727호, 38,132명을 거느렸다.[22][23]
현명 | 한자 | 현급 | 비고 |
---|---|---|---|
완현 | 宛縣 | 령(令) | |
열양현 | 涅陽縣 | 451년 (유송 문제 원가 28년), 치수(雉水)의 남만이 본현을 약탈하자 남양태수 주담소(朱曇韶)가 토벌대를 보냈으나 큰 소득을 얻지 못했다. 병력을 증원하자 남만이 퇴각했다. | |
운양현 | 雲陽縣 | 남상(男相) | 효무제 시기 육양현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
관군현 | 冠軍縣 | 령(令) | 무제 시기 양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척현 | 酈縣 | ||
무음현 | 舞陰縣 | ||
허창현 | 許昌縣 | 남상 | 영천군 주민들이 이주하면서 신설된 것으로 보인다. |
2. 7. [[수나라]]
개황 초기에는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등주(鄧州)'''가 설치되었고, 양제 시기에는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등주가 남양군으로 변경되었다. 남양군은 8현, 77,520호를 거느렸다.[24]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양현 | 穰縣 | 난양 시 덩저우 시 | 백수(白水)가 흐른다. |
신야현 | 新野縣 | 난양 시 신예 현 | 과거 신야군에 속했고 극양현(棘陽縣)이라 불렸다. 한광군(漢廣郡)이 있었으나 서위 때 황강군(黃岡郡)으로 불렸다. 남극양현(南棘陽縣)·백녕현(百寧縣)이 있었는데, 북주때 모두 폐지되었고 남극양현이 극양현에 통폐합되었으며 개황 초기 신야현으로 개명되었다. |
남양현 | 南陽縣 | 난양 시 | 북주 때 완현(宛縣)에 상맥현(上陌縣)이 통폐합되었고, 상완현(上宛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 초기 남양군이 폐지되고 등주가 설치되었을 때 남양현으로 개명되었다. |
과양현 | 課陽縣 | 난양 시 덩저우 시 동북 | 개황 초기 열양현(涅陽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과수(課水)·열수(涅水)가 현내에 흐른다. |
순양현 | 順陽縣 | 난양 시 덩저우 시 서북 문거진(文渠镇)일대 | 서위 때 순양군에서 정현(鄭縣)이 신설되었고, 얼마 뒤 청향현(淸鄕縣)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때 청향현에 순양현이 흡수되었고, 개황 초기 순양현으로 개명되었다. |
관군현 | 冠軍縣 | 난양 시 덩저우 시 관촌진 관군촌(冠军村) | |
국담현 | 菊潭縣 | 난양 시 네이샹 현 북 | 개황초기 역현(酈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홍농군은 서위 때 무관군(武關郡)으로 개명되었다가 역현에 통폐합되었다. 매계(梅溪)·단수(湍水)가 현내에 있었다. |
신성현 | 新城縣 | 난양 시 네이샹 현 남 | 서위에서 임단현(臨湍縣)으로 개명되었는데, 개황 초기 원래 이름으로 돌아갔다. |
2. 8. [[당나라]]
南陽郡중국어은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같은 지역의 등주의 다른 이름이었다.[6]619년(무덕 2년), 남양군은 당나라의 등주가 되었다.[12] 742년(천보 원년), 등주는 남양군으로 개칭되었다.[12] 758년(건원 원년), 남양군은 등주로 개칭되었고, 이로써 남양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2]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2]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5]
서적
Book of Song
https://zh.wikisourc[...]
[6]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7]
서적
史記
[8]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晋書
[11]
서적
隋書
[12]
서적
旧唐書
[13]
서적
사기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후한서
[18]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9]
서적
진서
[20]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1]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2]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4]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한서
[26]
서적
한서
[27]
서적
한서
[28]
서적
삼보결록
[29]
서적
후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