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나단 마카베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나단 마카베오는 마타티아스의 아들로,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4세의 유대교 탄압에 맞서 일어난 마카베오 항쟁에 참여했다. 형 유다 마카베오가 전사한 후 유대인의 지도자가 되어 게릴라전을 펼치며 셀레우코스 군대에 대항했다. 그는 바키데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대제사장으로 즉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의 분열을 틈타 외교적 활동을 펼쳤으나, 디오도토스 트리폰의 배신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2. 이름

H.J. 울프는 마타티아스의 모든 아들들이 이중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한다. 즉, 요한은 가디, 시몬은 타시, 유다는 마카베오, 엘르아자르는 아바란, 그리고 요나단은 압푸스라고 불렸다.[1] 유대 역사가 우리엘 라파포트는 "마타티아스 아들들의 별명에 대한 설명은 없다"고 썼다.[2] 울프는 그 이름이 마타티아스에 의해 붙여졌으며 "압푸스"라는 단어의 일반적인 설명이 시리아어의 ''초푸스''(choppus), 즉 "위선자"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국제 표준 성경 백과사전의 마카베오에 대한 기사에서는 그 의미가 "신중한 자"라고 제안하지만,[3] 토리(''백과사전 비블리카''의 "마카베오" 기사에서)는 그 단어가 어떤 구개음으로 시작했는지, 또는 그리스어 "s"가 어떤 셈어 자음을 나타내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이 이름의 형태와 의미는 여전히 설명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1]

3. 초기 생애와 마카베오 항쟁

요나단은 제사장 가문 출신인 마타티아스의 다섯 아들 중 막내였다. 마카베오기 상에 따르면, 기원전 167년, 그의 아버지 마타티아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유대교를 탄압하는 정책을 펼치자 이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마타티아스는 반란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2]

마타티아스는 아들들인 엘르아자르 아바란, 요하난, 유다, 시몬, 그리고 요나단에게 아버지의 반란을 계속할 것을 맹세하게 하였고, 유다가 그들의 지도자이자 반란의 군사 지도자가 되었다.[2]

요나단은 형제들과 함께 셀레우코스 군대에 맞서 적극적으로 싸웠다. 엘라사 전투 (기원전 161/160년)에서 유다가 데메트리우스 1세 소테르 휘하의 셀레우코스 장군 바키데스에 의해 전사하자, 유대 반군은 새로운 지도자로 요나단을 선택했다.[1]

요나단은 바키데스가 자신을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형제 시몬과 요한, 그리고 그의 추종자들과 함께 요르단 강 동쪽의 사막 지역으로 물러나 아스파르라는 늪 근처에 진영을 세웠다. 그러나 바키데스는 안식일에 그들을 따라잡았다. 요나단은 모든 짐을 그의 형제 요한에게 맡기고, 요한은 소규모 병력을 이끌고 우호적인 나바테아인들에게 가서 짐을 맡기려 했으나, "메데바의 잠브리 자손"이라는 적대적인 부족에게 매복당하여 요한과 그의 동료들은 살해당하고 화물은 약탈당했다. 이후 요나단은 잠브리 자손 중 한 명이 귀족 신부를 데리고 귀가한다는 소식을 듣고, 마카베오 형제들은 메데바를 향해 진군하여 신부 행렬을 매복하여 300명이나 되는 일행을 모두 죽이고 모든 보물을 탈취했다.[1]

요나단과 그의 동료들은 요르단 강에서 바키데스와 전투를 벌였다. 요나단은 바키데스를 만나 그를 죽이려고 했으나, 바키데스는 공격을 피했다. 유대인들은 패배하여 요르단 강을 헤엄쳐 건너 동쪽 둑으로 피신했다. 이 전투에서 바키데스는 1,000명 또는 2,000명의 병력을 잃었고, 다시는 강을 건너지 않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요나단과 그의 군대는 요르단 강 동쪽의 에 머물렀다. 얼마 후 알키무스가 예루살렘의 대제사장으로 사망한 후, 바키데스는 그 나라를 떠났다.[1]

요나단은 아버지 마타티아와 형제 유다 마카베오, 시몬, 요하네스, 엘르아자르와 함께 셀레우코스 왕조에 대한 봉기에 나섰고(기원전 167년), 유다의 전사(기원전 160년) 후 요나단이 지도자가 되었다.

압도적인 전력 차이 속에서도 요나단은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의 독립 전쟁을 치렀고, 벳바시 전투에서 시리아의 장군 바키데스를 격파하여 귀국하게 했다. 예루살렘 근교의 미크마스에 본거지를 두고 세력을 굳혔다.

4. 유대인의 지도자

마카베오기 상에 따르면, 요나단 아푸스는 마타티아스의 다섯 아들 중 막내였다. 그의 아버지인 제사장 마타티아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에 대항한 마카베오반란을 시작한 인물이다. 그러나 마타티아스는 반란이 시작된 지 얼마 안 된 기원전 167년에 사망했다.[1]

그는 요나단, 그의 형제들인 엘르아자르 아바란, 요하난(존 가디), 유다 마카비, 그리고 시몬 타시를 남겨두었다. 그들은 아버지의 반란을 계속할 것을 맹세했다. 유다는 곧 그들의 지도자가 되었고 반란의 군사 지도자가 되었다.[1]

요나단은 그의 형제 밑에서 복무하며 셀레우코스 군대에 대항하는 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유다는 엘라사 전투 (기원전 161/160년)에서 데메트리우스 1세 소테르 휘하의 셀레우코스 장군 바키데스에 의해 전사했다. 바키데스는 마카베오 당에 대해 잔혹하게 진압하는 동시에 그 땅에 기근이 발생했다. 유대인 반군들은 새로운 지도자가 필요했고, 요나단이 선택되었다.[1]

요나단은 바키데스가 그를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형제 시몬과 요한, 그리고 그의 추종자들과 함께 요르단 강 동쪽의 사막 지역으로 물러났다. 그들은 아스파르라는 이름의 늪 근처에 진영을 세웠다. 그러나 바키데스는 그를 쫓아 안식일에 그들을 따라잡았다. 요나단은 모든 짐을 그의 형제 요한의 손에 맡겼고, 요한은 소규모 병력을 이끌고 우호적인 나바테아인들을 향해 갔다. 그 계획은 그곳에서 그들의 짐을 확보하는 것이었지만, 적대적인 부족인 "메데바의 잠브리 자손"이 그들의 여정 중에 그들을 매복했다. 요한과 그의 동료들은 살해당하고 그들의 화물은 약탈당했다. 그 후, 요나단은 잠브리 자손 중 한 명이 웅장하게 귀족 신부를 데리고 귀가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고, 마카베오 형제들은 메데바를 향해 진군하여 신부 행렬을 매복하여 300명이나 되는 일행을 모두 죽이고 모든 보물을 탈취했다.[1]

요나단과 그의 동료들은 요르단 강에서 바키데스와 전투를 벌였다. 요나단은 바키데스를 만나 그를 죽이려고 손을 들었으나, 바키데스는 그 공격을 피했다. 유대인들은 패배하여 요르단을 헤엄쳐 건너 동쪽 둑으로 피신했다. 이 전투에서 바키데스는 1,000명 또는 2,000명의 병력을 잃었다고 전해지며, 그는 다시 강을 건너려고 시도하지 않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요나단과 그의 군대는 요르단 강 동쪽의 에 머물렀다. 얼마 후 알키무스가 예루살렘의 대제사장으로 사망한 후, 바키데스는 그 나라를 떠났다.[1]

그러나 요나단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그는 헬레니즘 문명의 영향을 받은 유대인들을 상대로 활동을 계속했다. 바키데스가 유대에서 떠난 지 2년 후, 아크라는 데메트리오스에게 연락하여 바키데스의 귀환을 요청할 정도로 위협을 느꼈다.[1]

요나단은 이제 게릴라전에 더 능숙해졌는데, 이는 마카베오 군대가 사용하는 주요 전술이었으며, 적군과의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면서도 적대적인 작전을 계속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계했다. 분노한 바키데스는 헬레니스트들에게 분풀이를 했고, 분노로 그들의 지도자 50명을 살해했다고 전해진다. 요나단과 시몬은 더 멀리 후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베트호글라라는 사막의 장소를 요새화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바키데스에 의해 며칠 동안 포위되었다.[1]

요나단은 바키데스가 출발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했다. 그는 라이벌 장군에게 평화 조약과 포로 교환을 제안하며 연락했다. 바키데스는 흔쾌히 동의했고, 요나단에 대해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맹세까지 했다. 그와 그의 군대는 유대를 떠났다. 승리한 요나단은 이제 미스마스의 옛 도시에 거주했다. 그곳에서 그는 "무신론자와 배교자"로부터 땅을 정화하려고 노력했다.[1]

요나단은 아버지 마타티아와 형제 유다 마카베오, 시몬, 요하네스, 엘르아자르와 함께 셀레우코스 왕조에 대한 봉기에 나섰다(기원전 167년). 유다의 전사(기원전 160년) 후 요나단이 지도자가 되었다.[4]

압도적인 전력 차이가 있는 상황에서 요나단은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의 독립 전쟁을 치렀고, 벳바시 전투에서 시리아의 장군 바키데스를 격파하여 귀국하게 했다. 예루살렘 근교의 미크마스에 본거지를 두고 세력을 굳혔다.[4]

5. 대제사장 즉위와 정치적 활동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와 알렉산드로스 발라스 사이의 왕위 다툼이 벌어지자, 요나단은 알렉산드로스 발라스를 지지했다. 기원전 153년, 요나단은 알렉산드로스 발라스에 의해 대제사장으로 임명되었다.[10] 이는 하스몬 왕조가 대제사장직을 세습하는 계기가 되었다. 요나단은 초막절에 대제사장의 의복을 입고 처음으로 제사를 집전했다.[10]

요나단은 알렉산드로스 발라스와 프톨레마이오스 6세의 딸 클레오파트라 테아의 결혼식에 참석하여 두 왕에게 선물을 바치고 그들 사이에 동등하게 앉는 영예를 얻었다. 발라스는 요나단을 스트라테고스와 "메리다르크"(지방의 민간 총독)로 임명하기도 했다.[12]

기원전 147년,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가 왕위를 주장하며 나타나자, 요나단은 셀레 시리아의 총독 아폴로니우스와 맞서 싸워 아스돗을 불태우는 승리를 거두었다.[13]

구스타브 도레의 작품, 다곤 신전을 파괴하는 요나단
알렉산드로스 발라스는 요나단에게 에크론 도시와 그 주변 영토를 하사했다.[14] 이후 요나단은 프톨레마이오스 6세를 엘레우테루스 강까지 호송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14]

5. 1. 데메트리오스 2세와의 관계

안티오크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발라스가 패배한 후,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가 셀레우코스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15] 그러나 요나단은 데메트리오스 2세에게 온전히 충성하지 않고, 예루살렘에 있는 셀레우코스 요새를 포위하여 군사적 압박을 가했다. 이 요새는 셀레우코스 군대가 주둔하고 유대 헬레니스트들의 피난처 역할을 하는 곳이었다.[15]

이에 데메트리오스 2세는 군대를 이끌고 프톨레마이스로 와서 요나단에게 자신을 만나러 오라고 명령했다. 요나단은 포위를 풀지 않고 장로들과 제사장들을 데리고 왕에게 가서 선물을 바쳐 그를 진정시켰다.[16] 데메트리오스 2세는 요나단을 대제사장 직위에 유지하고, 사마리아의 세 토파르키아 (에브라임 산, 로드, 라마다임-소빔)를 주었다. 또한 은 300 탈렌트를 대가로 온 나라에 세금 면제 특권을 부여했다.[16]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발라스의 어린 아들 안티오코스 6세 디오니소스가 새로운 왕위 주장자로 나타났고, 장군 디오도토스 트리폰이 그를 이용하여 왕좌를 노렸다. 데메트리오스 2세는 요나단에게 군대를 요청하며 예루살렘 수비대 철수를 약속했고, 요나단은 3,000명의 군사를 보내 안티오크에서 데메트리오스 2세를 보호하게 했다.[17]

하지만 데메트리오스 2세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고, 이에 요나단은 디오도토스 트리폰과 안티오코스 6세를 지원하게 되었다. 요나단은 하솔 평원에서 데메트리오스 군대와 맞서 싸워 한 번 패배했지만, 기도 후 반격하여 승리했다.

6. 외교 정책

요나단은 이 시기에 외국과 동맹을 모색했다. 그는 로마 공화국과의 조약을 갱신하고 스파르타 및 다른 곳들과 우호적인 메시지를 교환했다.[19] 이러한 외교적 노력은 셀레우코스 왕조에 대항하기 위한 국제적 지지를 확보하려는 목적이었다.

7. 디오도토스 트리폰의 배신과 죽음

기원전 142년, 요나단은 셀레우코스 왕조의 장군 디오도토스 트리폰의 계략에 의해 프톨레마이스에서 체포되었다.[20] 형 시몬이 후임 지도자가 되었다. 트리폰은 몸값과 요나단의 아들 2명을 인질로 요구했고, 시몬은 이를 승인했지만, 트리폰은 요나단을 석방하지 않았다. 트리폰은 예루살렘 포위를 목표로 했지만 폭설에 막혀 단념하고 귀국했다. 트리폰은 갈릴리 호수 북동쪽 바스카마에서 요나단을 살해하고 매장했다.[21] 시몬은 유해를 수습하여 모딘에 장례를 치렀다. 시몬은 부모와 형제 4명을 위해 피라미드를 건설하고 헬레니즘풍 장식을 했다.

143년, 디오도토스 트리폰은 군대를 이끌고 유대 땅으로 가서 요나단을 스퀴토폴리스로 초청하여 우호적인 회담을 제안했고, 프톨레마이성과 다른 요새들을 주겠다고 약속하며 4만 명의 군대를 해산하도록 설득했다. 요나단은 함정에 빠져 1,000명의 군사를 데리고 프톨레마이스로 갔는데, 그들은 모두 살해당했고, 요나단 자신은 포로로 잡혔다.[20]

트리폰이 하디드에서 유대 땅으로 진입하려 할 때, 그는 전투 준비를 마친 시몬과 마주쳤다. 트리폰은 교전을 피하면서 요나단을 풀어주는 대가로 은 100 탈렌트와 요나단의 두 아들을 인질로 요구했다. 시몬은 트리폰을 믿지 않았지만, 형의 죽음에 대한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요구에 응했다. 그러나 트리폰은 포로를 풀어주지 않았다. 시몬이 어디든 그의 길을 막고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하게 하자 분노한 그는 바스카마에서 요나단을 처형했다.[21] 요나단은 시몬에 의해 모딘에 묻혔다. 그의 두 아들 인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의 딸 중 한 명은 요세푸스의 조상이었다.[22]

참조

[1] 간행물 APPHUS http://net.bible.org[...]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2]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 웹사이트 MACCABAEUS; MACCABEES https://biblehub.com[...]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2020-12-25
[4] 문서 I Macc. 9.32-36;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1.2
[5] 문서 I Macc. 9.37-49 places this before the battle with Bacchides; Josephus, 13.1.4 places it after.
[6] 문서 I Macc. 9.43-53;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1.3
[7] 문서 I Macc. 9.54-57
[8] 문서 ("Bet Ḥoglah" for Βηθαλαγά in Josephus; I Macc. has Βαιδβασὶ, perhaps = Bet Bosem or Bet Bassim ["spice-house"], near [[Jericho]] or Beth-basi (Βαιθβασί - 1 Maccabees 9:62, 64) meaning "house of marshes." Per https://www.biblicaltraining.org/library/bethbasi "According to G. A. Smith there is a Wady el-Bassah East of Tekoa in the wilderness of Judea. The name means "marsh," which Dr. Smith thinks impossible, and really 'an echo of an ancient name.'" - See more at: http://www.biblicalcyclopedia.com/B/bethbasi.html )
[9] 문서 I Macc. ix. 55-73; Josephus, l.c. xiii. 1, §§ 5-6). The chief source, the First Book of the Maccabees, says that with this "the sword ceased in Israel"; and in fact nothing is reported for the five following years (158 - 153 BCE
[10] 문서 van der Water, 2003, p. 397.
[11] 문서 I Macc. x. 1-46; Josephus, "Ant." xiii. 2, §§ 1-4
[12] 문서 I Macc. x. 51-66; Josephus, "Ant." xiii. 4, § 1
[13] 웹사이트 Jonathan Maccabeus http://www.jewishenc[...] 2017-03-03
[14] 문서 I Macc. x. 67-89, xi. 1-7; Josephus, l.c. xiii. 4, §§ 3-5
[15] 문서 I Macc. 11.20;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4.9
[16] 문서 I Macc. 11.30-11.37;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4.9
[17] 문서 I Macc. 11.21-52;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4.9; 13.5.2-3; "R. E. J." 45.34
[18] 문서 I Macc. 11.53-74;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5.3-7
[19] 문서 I Macc. 12.1-12.23
[20] 문서 I Macc. 12.33-38, 41-53;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5.10; 13.6.1-3
[21] 문서 I Macc. 13.12-30;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3.6.5
[22] 문서 Josephus, "Vita,"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