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반 블라디미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반 블라디미르는 1000년경 두클랴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1016년에 살해당한 성인이다. 그는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 사이의 전쟁 시기에 통치했으며, 불가리아 차르 사무엘에게 항복하여 투옥되었다가 그의 딸과 결혼하여 두클랴로 돌아왔다. 이후, 블라디슬라프의 명령으로 살해당했으며, 순교 후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그의 유물은 기적적인 치유 능력으로 유명해졌으며, 몬테네그로 바르의 수호 성인으로, 5월 22일에 기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세르비아 사람 -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드라자 미하일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체트니크를 결성하여 추축국에 저항했으나, 파르티잔과의 갈등 및 추축국과의 협력으로 연합군의 지원을 잃었고, 전후 반역죄와 전쟁 범죄로 처형되었으나 2015년 명예가 회복되었다.
  • 사형된 세르비아 사람 - 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
    알렉산다르 1세는 오브레노비치 왕조 출신으로 세르비아 국왕(1889년~1903년)으로 재위하며 친정 시작 후 전제군주제를 선포하고 왕권 강화, 드라가 마신과의 결혼으로 왕실 권위 실추, 친 오스트리아-헝가리 정책, 잦은 쿠데타 등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다 1903년 5월 쿠데타로 암살당해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종말을 맞았다.
  • 1016년 사망 - 에드먼드 2세
    에드먼드 2세는 잉글랜드의 왕 애설레드 2세의 아들로, 1016년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으며 덴마크의 크누트 대왕과 싸우다 패배 후 잉글랜드를 분할하는 평화 협정을 맺었으나 그해 사망했다.
  • 1016년 사망 - 애설레드 2세
    애설레드 2세는 978년부터 1016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앵글로색슨족의 왕으로, 데인족 침략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준비되지 않은 왕"이라는 뜻의 'Unræd'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데인겔드를 지불하고 에마 오브 노르망디와 결혼했지만 성 브라이스 날 학살로 스벤 1세의 침공을 초래했다.
  • 10세기 유럽의 통치자 - 바츨라프 1세 (보헤미아 공작)
    바츨라프 1세는 10세기 보헤미아 공작으로, 기독교를 장려하고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동생 볼레슬라프 1세에게 암살당한 후 성인으로 추앙받아 체코 민족의 영웅으로 숭배받는다.
  • 10세기 유럽의 통치자 - 미에슈코 1세
    미에슈코 1세는 963년 폴란드 공에 즉위하여 폴란드 국가를 건설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포메라니아 등을 정복하여 폴란드 왕국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요반 블라디미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두클랴의 군주
통치 기간1000년경 – 1016년
전임자페트리슬라브
후임자드라기미르 (삼촌)
배우자테오도라 코사라
아버지페트리슬라브
출생일990년경
사망일1016년 5월 22일
사망 장소불가리아 제1제국 프레스파
매장 장소프레스파
이미지
요반 블라디미르 왕자의 종교적인 그림
요반 블라디미르 왕자의 세르비아 정교 이콘. 사후 곧 성인으로 인정받았다.
이름
세르비아어
그리스어Ἰωάννης ὁ Βλαδίμηρος (Iōannīs o Vladimīros)
불가리아어Йоан Владимир (Yoan Vladimir) 또는 Иван Владимир (Ivan Vladimir)
알바니아어Gjon Vladimiri 또는 Joan Vladimiri

2. 생애

요반 블라디미르는 아버지 페트리슬라프를 이어 1000년경 두클랴의 통치자가 되었다.[5] 페트리슬라프는 1차 사료를 통해 존재가 확인된 두클랴의 초기 통치자로, 비잔티움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5][6][7][8] 두클랴는 남쪽의 젠타와 북쪽의 포드고리아 두 주로 구성되었으며, 현지 전설에 따르면 블라디미르의 궁정은 스카다르 호수 근처 코슈타니차 마을의 크랄리치 언덕에 있었다.[9][10]

두클랴 사제 연대기와 11세기 비잔틴 역사가 존 스킬리체스는 블라디미르를 현명하고 경건하며 정의롭고 평화로운 통치자로 묘사했다.[15][16] 그의 통치는 비잔틴 황제 바실 2세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 사무엘 간의 전쟁과 겹쳤다. 바실 2세는 사무엘에 대항하기 위해 다른 발칸 통치자들의 지원을 구했고, 두클랴와 외교적 접촉을 강화했다.[17]

1004년 또는 1005년, 바실은 사무엘로부터 두라키움을 탈환했고,[18] 1005년부터는 달마티아 테마의 일부인 두라키움 북쪽과 남쪽 해안 지역도 통제했다. 비잔티움은 블라디미르 공의 두클랴와 영토적 접촉을 확립했고, 두클랴는 비잔틴 달마티아 테마와 연결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 크로아티아, 블라디미르의 두클랴는 두라키움을 통해 비잔티움과 연결된 친 비잔틴 블록을 형성했다.[18]

그러나 비잔티움과의 긴밀한 관계는 블라디미르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다. 사무엘은 1009년 또는 1010년에 두클랴를 공격했고,[18] 블라디미르는 오블릭 언덕의 요새로 후퇴했다.[5] 그는 결국 항복하여 프레스파 감옥으로 보내졌다.[5] 사무엘은 두클랴, 트라부니아, 자클루미아, 보스니아, 라슈카(즉, 세르비아)를 점령했다.[5]

테오도라 코사라는 블라디미르와 사랑에 빠져 결혼을 요청했고, 사무엘은 이를 허락하여 블라디미르를 두클랴의 왕좌에 복귀시켰다.[21][22] 블라디미르는 사무엘의 봉신으로서 두클랴와 드라키움 영토, 그리고 라슈카(즉, 세르비아)의 일부 영토를 다스렸다.[5][16]

1014년 사무엘이 사망하고,[17][24] 가브릴 라도미르를 거쳐 1015년 이반 블라디슬라프가 통치하게 되었다.[17] 블라디슬라프는 블라디미르를 프레스파로 불렀으나, 코사라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나무 십자가를 받고 간 블라디미르는 1016년 5월 22일 교회에서 나온 후 참수당했다.[5][25] 블라디슬라프는 블라디미르가 두클랴와 비잔티움의 동맹을 회복할 것을 의심했을 가능성이 있다.[5][24]

1018년, 블라디슬라프는 드라키움 공격 중 사망했고,[24] 비잔틴 군대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을 종식시켰다.[17] 블라디미르의 후계자는 삼촌 드라기미르였으나, 코토르 주민들에게 살해당했다.[27][28] 두클랴는 1030년대까지 다시 언급되지 않으며,[1] 비잔틴 제국의 직접 지배를 받았거나 봉신 국가로 남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유산

요반 블라디미르는 두클랴와 세르비아 지역에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그는 초기 중세 세르비아 공국이 붕괴된 후 두클랴의 세력을 크게 키웠으며, 비잔틴 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그의 통치 기간은 비잔틴 황제 바실 2세와 사무엘 간의 전쟁과 겹쳤으며, 이 과정에서 그는 불가리아에 포로로 잡혔다가 사무엘의 딸 테오도라 코사라와 결혼하여 두클랴로 돌아오기도 했다.

블라디미르는 경건하고 정의로운 통치자로 묘사되며, 그의 이야기는 두클랴 사제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그는 1016년 이반 블라디슬라프에게 살해당했으며, 이후 성인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4. 성인으로서의 요반 블라디미르

요반 블라디미르는 동방 정교회에서 5월 22일을 축일로 기념하는 성인이다. 그는 사망 직후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인정받았는데, 당시에는 시성식 없이도 성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블라디미르는 세르비아 국가의 첫 번째 통치자로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5] 그의 유물은 기적적인 치유 능력으로 유명해져 많은 사람들이 그의 무덤으로 몰려들었다.[22]

1215년경, 유물은 미하일 1세의 군대에 의해 디라키움으로 옮겨졌고, 1381년에는 알바니아 중부 엘바산 근처의 성 요반 블라디미르 교회에 안치되었다.[22][35] 이 교회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 숭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95년경부터 유물은 알바니아의 수도 티라나의 정교회 대성당에 보관되어 있으며, 성인의 축일에만 엘바산 근처의 수도원으로 가져온다.[37][40]

매년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에는 많은 신자들이 수도원으로 몰려오며,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싱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성인의 유물 앞에서 기도한 후 치유되었다는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42] 성 요반 블라디미르는 현대 도시 바르의 수호 성인이기도 하다.[47] 그의 축일에는 교회 깃발과 성상을 들고 도시의 거리를 지나는 종교 행렬이 열린다.[48]

4. 1. 시성

요반 블라디미르는 그가 순교한 교회 앞 프레스파에 묻혔다.[22] 그의 유물은 곧 기적적인 치유 효험으로 유명해져 많은 사람들이 그의 무덤으로 몰려들었다. 그는 사망 직후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인정받아 축일인 5월 22일에 기념되었다.[25][29][30] 당시에는 성인으로 추대되는 공식적인 의식인 시성식 없이도 성인으로 인정받았다.[31] 블라디미르는 세르비아 국가의 첫 번째 통치자이자 성인으로 추대된 인물이다.[5]

몇 년 후, 코사라는 유해를 두클랴로 옮겨 스카다르스카 크라이나 지역의 법정 근처 ''프레치스타 크라진스카'' 교회에 안치했다. 1215년경, 유물은 미하일 1세의 군대에 의해 디라키움으로 옮겨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반 블라디미르는 그리스 전례 텍스트에서 디라키움의 수호 성인으로 언급되었다.[22][33]

1381년, 카를로 토피아는 쿠샤 계곡의 지진으로 파괴된 교회를 비잔틴 양식으로 재건했다. 재건된 교회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에게 헌정되었으며, 토피아는 남쪽 입구 위에 그리스어, 라틴어, 세르비아어로 이를 새긴 비문을 남겼다. 성인의 유물은 성해함에 보관되었다.[35]

15세기 후반, 현재의 알바니아 영토는 오스만 제국에 통합되었고, 이슬람교가 특권 종교가 되었다. 1690년, 수도원에서는 성인의 전기와 그를 위한 교회 예배가 그리스어로 쓰여졌다.[59] 1967년, 성인의 유해가 있는 성해함은 엘바산의 성 마리아 교회로 옮겨졌다.[38] 1995년경부터 유물은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의 정교회 대성당에 보관되어 오다가 성인의 축일에만 수도원으로 옮겨진다.[37][40]

매년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에는 많은 신자들이 수도원으로 몰려오며,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싱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기독교인과 무슬림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성인의 유물 앞에서 기도한 후 치유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2]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 전날 밤에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에게 헌정된 교회에서 철야 기도가 행해진다.[43] 블라디미르 축일의 전례 기념은 5월 21일 저녁에 시작된다. 엘바산 근처 성 요반 블라디미르 교회에서는 오후 9시부터 오전 3시까지 철야 기도가 진행된다.[45] 요반 블라디미르 또는 5월 22일에 기념되는 다른 성인에 대한 찬송가는 그 전례일에 모든 정교회 예배 중 정해진 시점에 불린다.[46]

성 요반 블라디미르는 현대 도시 몬테네그로 바르의 수호 성인이다.[47]

4. 2. 유물

요반 블라디미르는 그가 순교한 교회 앞 프레스파에 묻혔다.[22] 그의 유물은 곧 기적적으로 치유하는 것으로 유명해져 많은 사람들이 그의 무덤으로 몰려들었다. 그는 사망 직후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인정받아 그의 축일인 5월 22일에 기념되었다.[25][29][30]

몇 년 후, 코사라는 유해를 두클랴로 옮겼다. 그녀는 스카다르스카 크라이나 지역의 법정 근처에 있는 ''프레치스타 크라진스카'' 교회에 그를 안치했다. 유물들은 많은 신봉자들을 교회로 끌어들였고, 교회는 순례의 중심지가 되었다.[22] 1215년경, 크라이나가 세르비아 대공 스테판 네마니치의 통치를 받게 되었을 때, 유물들은 아마도 이 교회에서 미하일 1세의 군대에 의해 디라키움으로 옮겨졌을 것이다.[22]

1368년, 디라키움은 앙주 왕가로부터 카를로 토피아라는 알바니아인 영주에게 넘어갔다.[34] 1381년, 그는 좁은 쿠샤 계곡에 있는 지진으로 파괴된 교회를 비잔틴 양식으로 재건했다. 쿠샤 계곡은 알바니아 중부 엘바산 마을 근처 슈쿰빈 강의 지류이다(15세기에 건설됨). 이 교회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에게 헌정되었는데, 토피아가 남쪽 입구 위에 그리스어, 라틴어, 세르비아어로 새겨놓은 비문에 그렇게 적혀있다. 성인의 유물은 성해함(높이 3m) 안에 있는 나무 상자에 보관되었다.[35]

세르비아 학자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블라디미르가 사망 직후 엘바산 근처에 묻혔다고 이론화했다. 노바코비치는 오래된 교회를 파괴한 지진이 토피아의 통치 기간 동안 발생했고, 토피아가 재건된 교회에 유물을 복원했다고 추측했다. 블라디미르가 이전에 두클랴에 묻혔다면, 노바코비치는 그가 1186년부터 1371년까지 두클랴(나중에 제타라고 불림)를 통치했던 네마니치 왕조 시대에 쓰여진 세르비아 자료에서 누락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노바코비치는 유물이 1215년경 두클랴에서 디라키움으로 옮겨졌을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았다.[35]

엘바산 근처의 교회 주변에 정교회 수도원이 생겨났고, 수도원 주변 지역으로 제한된 성 요반 블라디미르의 숭배 중심지가 되었다. 1690년 수도원에서 성인에 대한 전기와 그를 위한 교회 예배가 그리스어로 쓰여졌다.[59] 18세기 후반 새로 설립된 디라키움 대주교의 관할지가 되었다.[33] 더 최근에는 그 수도원이 쇠퇴했고, 1960년대 알바니아 공산 정권에 의해 폐쇄되었다;[37] 1967년 성인의 유물이 있는 성해함은 엘바산의 성 마리아 교회로 옮겨졌다.[38] 황폐된 수도원은 1990년대에 교회로 반환되었다. 교회와 다른 건물들의 복원은 2005년에 완료되었다.[37][39] 1995년경부터 유물은 알바니아의 수도 티라나의 정교회 대성당에 보관되어 있으며, 성인의 축일에만 수도원으로 가져온다.[37][40]

매년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에 많은 신봉자들이 수도원으로 몰려오며,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싱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침에 성해함은 문을 열기 전에 교회의 중앙에 캐노피 아래 놓인다. 아침 예배가 끝난 후, 성가를 부르는 사제들이 성해함을 교회 주변으로 세 번 운반하고, 신봉자들이 따라가면서 켜진 초를 들고 간다. 그 후 성해함은 교회의 앞에 놓여 신자들이 키스할 수 있게 한다. 사제들은 전 축제 이후 성해함 안에 보관해 온 솜 조각을 신자들에게 나눠준다. 기독교인과 무슬림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성인의 유물 앞에서 기도한 후 치유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42]

4. 3. 축일

요반 블라디미르는 순교 직후 성인으로 인정받았으며, 축일은 5월 22일이다.[25][29][30] 당시에는 시성식 없이도 성인으로 인정받았다.[31] 블라디미르는 세르비아 국가의 첫 번째 통치자이자 성인이었다.[5]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 전날 밤에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에게 헌정된 교회에서 철야 기도가 행해진다.[43] 블라디미르 축일의 전례 기념은 5월 21일 저녁에 시작된다.[44] 알바니아 엘바산 근처의 성 존 블라디미르 교회에서는 오후 9시부터 오전 3시까지 진행된다.[45] 요반 블라디미르 또는 5월 22일에 기념되는 다른 성인에 대한 찬송가는 그 전례일에 모든 동방 정교회에서 예배 중에 정해진 시점에 불린다.[46]

매년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에 많은 신봉자들이 엘바산 근처의 성 요반 블라디미르 교회 수도원으로 몰려오며,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싱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침에 성해함은 문을 열기 전에 교회의 중앙에 캐노피 아래 놓인다. 아침 예배가 끝난 후, 성가를 부르는 사제들이 성해함을 교회 주변으로 세 번 운반하고, 신봉자들이 따라가면서 켜진 초를 들고 간다. 그 후 성해함은 교회의 앞에 놓여 신자들이 키스할 수 있게 한다. 사제들은 전 축제 이후 성해함 안에 보관해 온 솜 조각을 신자들에게 나눠준다. 기독교인과 무슬림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성인의 유물 앞에서 기도한 후 치유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42]

성 요반 블라디미르는 현대 도시 바르의 수호 성인이며,[47] 성인의 축일에는 교회 깃발과 성상을 들고 도시의 거리를 지나는 종교 행렬이 열린다. 행렬은 일반적으로 세르비아 정교회 몬테네그로 및 해안 메트로폴리탄이 이끈다.[48]

4. 4. 수호성인

요반 블라디미르는 동방 정교회에서 5월 22일을 축일로 기념하는 성인이다.[25][29][30] 그는 사망 직후 순교자이자 성인으로 인정받았는데,[25] 당시에는 시성식 없이도 성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31] 블라디미르는 세르비아 국가의 첫 번째 통치자로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5]

그의 유물은 기적적인 치유 능력으로 유명해져 많은 사람들이 그의 무덤으로 몰려들었다.[22] 1215년경, 유물은 디라키움으로 옮겨졌고, 1381년에는 알바니아 중부 엘바산 근처의 성 요반 블라디미르 교회에 안치되었다.[22][35] 이 교회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 숭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95년경부터 유물은 알바니아의 수도 티라나의 정교회 대성당에 보관되어 있으며, 성인의 축일에만 엘바산 근처의 수도원으로 가져온다.[37][40]

매년 성 요반 블라디미르 축일에는 많은 신자들이 수도원으로 몰려오며,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싱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42] 성인의 유물 앞에서 기도한 후 치유되었다는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42]

성 요반 블라디미르는 현대 도시 바르의 수호 성인이기도 하다.[47] 그의 축일에는 교회 깃발과 성상을 들고 도시의 거리를 지나는 종교 행렬이 열린다.[48]

4. 5. 요반 블라디미르의 십자가

전통적으로 요반 블라디미르가 이반 블라디슬라프에게 받았고 순교했을 때 그의 손에 들고 있었던 십자가는 매우 귀중한 유물로 여겨진다. 이 십자가는 바르 근처의 벨지 미쿨리치의 안드로비치 가문이 관리하고 있으며, 안드로비치 가문에 따르면 수세기 동안 그랬다.[51][52] 십자가는 주목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은으로 도금되었고, 아래쪽 팔에는 황동 공이 부착되어 있으며, 십자가를 운반할 때 막대기가 삽입된다. 십자가의 높이는 45cm이고, 너비는 38cm이며, 두께는 2.5cm이다.[51][52]

러시아 학자 이반 야스트레보프와 파벨 로빈스키에 따르면, 십자가는 원래 코사라가 블라디미르를 안치했던 ''프레치스타 크라이인스카'' 교회에 보관되어 있었다.[53][54] 크라이나 지역의 이슬람화는 18세기 말에 정점에 달했다.[53] 교회는 헐렸지만, 언제 누구에 의해 헐렸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십자가는 지역 주민들에 의해 보존되었다.[54] 그들은 십자가가 악으로부터 보호하고 풍성한 수확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슬람으로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신성하게 유지했다.[51] 이후 십자가는 인근의 씨족인 므르코예비치에게서 빼앗겼다. 그들 역시 이슬람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십자가를 정교회 기독교 이웃인 안드로비치 가문에 맡겼다.[53][54] 므르코예비치는 십자가가 무슬림의 집보다는 기독교인의 집에 보관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했다.[54]

십자가는 매년 오순절 축일에 벨지 미쿨리치에서 루미야 산 정상까지 종교 행렬을 따라 운반된다. 행렬에 앞서 벨지 미쿨리치 교회의 성 니콜라스 교회에서 자정 전례가 거행된다. 전례 후, 루미야 산의 1593m 정상까지 가파른 길을 따라 등반이 시작된다. 안드로비치 가문의 일원이 들고 있는 십자가가 행렬을 이끌고, 정교회 사제와 다른 참가자들이 뒤를 따른다. 이 지역의 가톨릭 신자와 무슬림은 전통적으로 이 행렬에 참여해왔다. 십자가보다 앞서 가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을 주의 깊게 지켜본다. 그렇게 하는 것은 불길한 징조로 여겨진다. 등반하는 신자들은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부른다:[51]



거의 나무가 없는 바위 산의 정상과 주변 지역의 사진.
루미야 산 정상에 있는 성 삼위일체 교회가 지평선에서 밝은 점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므르코예비치 씨족의 기수였던 한 무슬림이 십자가 옆을 걸으며 왼손에는 깃발을, 오른손에는 칼을 들고 십자가를 빼앗으려는 사람이 있으면 사용하려 했다. 특히 씨족은 크라이나에서 온 참가자들이 이 성스러운 물건을 되찾으려 할까 봐 두려워했다. 19세기 말, 종교 및 정치 지도자들이 이 행렬에의 참여를 반대하면서 행렬에 참여하는 무슬림의 수가 줄어들었다.[5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정부는 대중 종교 행사를 억제했고, 1959년과 1984년 사이에는 행렬이 열리지 않았다.[51]

전통에 따르면 성 삼위일체 교회는 정상에 있었으나 오스만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다. 또 다른 버전에서는 소년과 소녀가 그 안에서 죄를 지은 후 교회가 무너졌다고 한다. 2005년 이전에는 정상에서 일정 거리에 있는 돌을 집어 들어 교회가 재건될 만큼 충분한 양의 돌이 모이면 교회가 스스로 재건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교회의 추정 위치까지 운반하는 관습이 있었다.[51] 세르비아 정교회는 2005년 7월 31일에 성 삼위일체 교회를 그 자리에 봉헌하였다.[56]

행렬은 새벽 전에 정상에 도착하고, 해가 뜨면 아침 전례가 시작된다. 기도를 드린 후, 행렬은 다시 십자가를 따라 벨지 미쿨리치로 돌아간다. 참가자들은 이전에는 정상에서 300m 떨어진 평평한 지역에 모여[51] 즐거운 축하 행사와 스포츠를 즐기고 공동 식사를 하며 5~6시간을 보냈다.[55] 돌아오는 길에 일부 사람들은 루미야의 허브(''Onosma visianii'')라고 불리는 식물을 채취하는데, 그 뿌리는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렬은 성 니콜라스 교회에서 끝나고, 벨지 미쿨리치에서는 민속 축제가 밤늦도록 이어진다. 다음 오순절 축제까지 십자가는 비밀 장소에 보관된다. 이전에는 안드로비치 가문의 가장 나이 많은 두 남성에게만 알려졌고,[51] 2000년경부터 안드로비치 가문은 십자가를 보관하기 위해 위원회를 임명했다.[52]

4. 6. 성화와 도상학

성 요반 블라디미르의 도상학적 모델은 1690년판 그리스어 아콜루티아에 실린 판화이다. 베네치아 조각가 이사벨라 피치니의 작품으로, 턱수염과 짧은 수염을 기르고 백합이 새겨진 왕관과 망토를 걸친 성인이 오른손에는 십자가를, 왼손에는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59] 시나이 반도의 성 카테리나 수도원에 있는 1700년경의 휴대용 이콘에는 말을 탄 성인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36]

1711년에 제작된 성 마리나와 요반 블라디미르의 이콘은 서마케도니아 오흐리드 근처 성 나움 수도원 이코노스타시스의 일부이다. 이콘의 위치는 블라디미르가 이 지역에서 중요한 숭배 대상임을 보여준다.[36] 그는 마케도니아 교회에서 종종 성 오흐리드의 클레멘트와 성 나움과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32] 18세기 알바니아 중남부의 여러 화가들이 이 지역, 특히 모스코폴레 지역의 교회에서 성인을 그렸다.[66] 1739년 알바니아 남서부 아르데니카 수도원에서 제작된 휴대용 이콘은 왕좌에 앉은 성인과 그의 생애와 기적을 묘사한 12개의 패널을 보여준다.[36] 성 요반 블라디미르는 아토스 산의 힐란다르 수도원, 조그라프 수도원, 필로테우 수도원과 불가리아의 릴라 수도원, 트라얀 수도원, 로젠 수도원의 프레스코에 묘사되어 있다.[32]

마케도니아 출신 예술가 흐리스토포르 제파로비치는 1737년 바치카 지역(당시 헝가리 왕국의 일부)의 세르비아 보쟈니 수도원의 재건된 교회에 프레스코를 그렸다. 그는 요반 블라디미르를 왕관과 , 전신 튜닉, ''로로스''(일종의 스톨), 클라미스를 착용한 여섯 명의 세르비아 성인 중 한 명으로 묘사했다. 같은 열에는 현재 몬테네그로 출신의 또 다른 세르비아 성인 스테판 슈틸랴노비치가 서 있다.[67] 보쟈니의 제파로비치의 프레스코는 바로크적 특징을 보여주는 세르비아 미술의 가장 초창기 작품으로 여겨진다.[68] 제파로비치는 1742년 비엔나에서 성인의 생애와 기적의 장면이 담긴 동판화를 만들었다. 이 판화는 발칸 반도의 많은 정교회 기독교 가정에 배포되었다. 그는 ''스템마토그래피아''에서 그를 삽화를 그린 통치자와 성인들 사이에 포함시켰다.

그리스어 아콜루티아 1858년 판의 석판화에는 성인이 이중 백합 화환이 달린 왕관을 쓰고, 오른발은 칼 위에 놓여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는 오른손에는 십자가, 홀, 올리브 가지를 들고 있으며, 잘린 머리에 왕관을 씌워 왼손에 들고 있다. 그는 담비 망토와 꽃무늬가 새겨진 로브를 입고 있으며, 진주로 둘러싸인 큰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다. 삽화 아래의 그리스어 텍스트는 성인을 모든 알바니아와 불가리아의 경건한 황제인 요반 블라디미르, 우아한 기적 행위자이자 위대한 순교자이자 진정한 몰약 분출자로 칭한다.[59][69] 니코데모스 하기오리테의 시낙사리온에 포함된 그의 성인전에서, 성인은 세르비아 황제(τῶν Σέρβων βασιλεύς)로 언급된다.[32]

5. 전설

서마케도니아에서는 요반 블라디미르에 관한 여러 전설이 기록되었다. 그중 하나는 그가 참수된 후 자신의 머리를 성 요한 비고르 수도원으로 가져왔다는 이야기이다.[35] 데바르차 시 페소차니 마을 위 언덕에는 블라디미로보라는 지역이 있는데, 그곳에는 몇몇 폐허가 보인다. 지역 주민들은 그곳이 블라디미르가 태어나고 나중에 참수된 머리를 가져온 곳이라고 주장한다.[35] 페소차니 근처의 성 아타나시우스 교회는 블라디미르가 지었다고 전해지며, 지역 사람들은 매년 그의 축일 전날 그곳에 모여 촛불을 켜고 성자에게 기도했다.[70] 성 나움 수도원에는 성인의 이름을 딴 종탑이 있었고, 그 기초에 그의 유물 일부가 보관되었다고 한다.[71]

알바니아 서부에서는 요반 블라디미르가 성스러운 통치자로 기억되었다. 그는 아내가 바람을 피운다는 모함에 빠져 장인인 황제에게 살해되었다. 황제는 스트루가와 엘바산을 잇는 카페 타네(드르벤)라는 산길에서 블라디미르를 발견하고 칼을 휘둘렀지만 베지 못했다. 블라디미르가 자신의 칼을 건네주자 황제는 그의 머리를 벨 수 있었다. 블라디미르는 참수된 머리를 들고 미래의 교회가 세워질 곳으로 향했고, 그곳에 있던 참나무 아래에 쓰러졌다. 성인은 그곳에 지어진 교회에 안치되었다.[71]

(아르데니카 수도원의 아이콘에 있는 열두 장면 중 두 장면)

그리스 성인전에 따르면 요반 블라디미르는 엘바산 근처 숲 속에 교회를 지었다. 빛나는 십자가를 든 독수리가 그에게 교회를 지을 장소를 보여주었다. 참수된 후, 그는 자신의 머리를 교회로 가져와 묻혔다. 프랑크족이 그의 유물을 담은 상자를 훔쳤으나, 상자가 너무 무거워 슈쿰빈 강에 두었다. 그러자 강이 범람했고 상자는 빛을 발하며 강을 거슬러 교회로 돌아갔다. 지역 주민들은 상자를 물에서 꺼내 축제 행렬을 벌여 교회로 돌려보냈다.[59]

어느 여름날, 도둑들이 성 요반 블라디미르 수도원의 말들을 훔쳤다. 그들이 쿠샤 강에 이르렀을 때, 강은 거대해 보였다. 두려워 멀어졌지만, 멀리서 보니 강은 작아 보였다. 다시 접근하자 강은 거대해졌다. 여러 번 시도한 후, 도둑들은 이것이 성자의 기적임을 깨닫고 말들을 풀어주고 도망쳤다.[42]

19세기, 브라니슬라프 누시치는 코르차에서 블라디미르 공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을 기록했다. 코르차 위 언덕의 폐허는 정교회 황제와 인접한 라틴 왕의 궁궐 잔해라고 전해졌다. 왕은 황제의 딸에게 청혼했고, 그녀는 정교회 교회를 지으면 결혼하겠다고 했다. 왕은 그렇게 했지만, 결혼 첫날 밤에 살해당했다. 그녀는 수녀가 되었고, 왕의 시신은 어딘가로 옮겨졌다.[35] 프레스파 호수 성 아킬리우스 섬의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은 미르체라는 황제가 사촌에게 살해되어 오흐리드를 거쳐 알바니아로 옮겨졌다고 전한다.[35]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Стефан Војислав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Ἰωάννης ὁ Θαυματουργός τοῦ Βλαδιμήρου http://www.synaxario[...] Synaxarion.gr 2011-10-07
[30] 웹사이트 Мученик Иоанн-Владимир, князь Сербский http://days.pravosla[...] Pravoslavie.Ru 2011-10-07
[31] 웹사이트 Canonization https://web.archive.[...] 2011-06-07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Drakopoulou 2006
[37] 서적 Maksimov 2009
[38] 서적 Velimirović|Stefanović 2000
[39] 웹사이트 Konakët e Manastirit (të rikonstruktuar) https://www.webcitat[...] Orthodox Autocephalous Church of Albania
[40] 서적 Milosavljević 2009
[41] 서적 Koti 2006
[42] 서적 Velimirović|Stefanović 2000
[43] 서적 Averky 2000
[44] 서적 Averky 2000
[45] 서적 Koti 2006
[46] 서적 Averky 2000
[47] 서적 Milosavljević 2009
[48] 웹사이트 Procession through the streets of Bar in glory and honour of St. Jovan Vladimir https://web.archive.[...]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2011-10-07
[49] 서적 Mustafić 2001
[50] 서적 Milović 2001
[51] 서적 Milović|Mustafić 2001
[52] 서적 Mustafić 2001
[53] 서적 Yastrebov 1879
[54] 서적 Rovinsky 1888
[55] 서적 Jovićević 1922
[56] 웹사이트 Serbian Orthodox Church https://web.archive.[...]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2005-08-01
[57] 서적 Dukić 2005
[58] 서적 Kačić Miošić 1839
[59] 서적 Novaković 1893
[60] 서적 Nicodemus 1868
[61] 서적 Yanich|Hankey 1921
[62] 서적 Cosmas 1858
[63] 서적 Milosavljević 2009
[64] 서적 Stojčević 1986
[65] 서적 Popruzhenko 1928
[66] 서적 Rousseva 2005–2006
[67] 서적 Mirković|Zdravković 1952
[68] 서적 Mirković|Zdravković 1952
[69] 서적 Cosmas 1858
[70] 서적 Velimirović|Stefanović 2000
[7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