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오케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플랑드르 악파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1410년에서 1430년 사이에 현재 벨기에 생지슬랭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프랑스 궁정 악장으로 활동하며 유럽 전역에 명성을 떨쳤으며, 1497년 투르에서 사망했다. 오케겜은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미사 프로 데푼크티스'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다성 레퀴엠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음악은 조스캥 데 프레 등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노주 출신 - 장고 라인하르트
벨기에 출신의 집시 재즈 기타리스트 장고 라인하르트는 화재로 인한 신체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독창적인 연주법을 개발, 스테판 그라펠리와 함께 핫 클럽 드 프랑스 퀸텟을 결성하여 유럽 재즈의 선구자로서 집시 음악과 재즈 융합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노주 출신 - 아르투르 그뤼미오
아르투르 그뤼미오는 벨기에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브뤼셀 왕립 음악원에서 수학하고 파리에서 조르주 에네스쿠에게 사사했으며,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데뷔하여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그뤼미오 트리오를 결성하여 실내악에도 헌신했다. - 1497년 사망 - 베아트리체 데스테
페라라 공작 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딸이자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부인인 베아트리체 데스테는 뛰어난 지성과 미모로 밀라노 궁정에서 문화적,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며 르네상스 문화에 기여했으나 22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 1497년 사망 - 쇼니 마사스케
쇼니 마사스케는 무로마치 시대 쇼니 씨의 당주로, 오닌의 난에 참전하여 가문 재건을 시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히젠에서 자결한 인물이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앙리 비외탕
앙리 비외탕은 1820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치고 러시아 궁정 음악가로 활동하며 7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요하네스 오케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요하네스 오케겜 |
프랑스어 이름 | Johannes Ockeghem |
출생 | 1410년경 |
출생지 | 에노 생길랭 |
사망 | 1497년 2월 6일 |
사망지 | 프랑스 투르 |
직업 | 작곡가 가수 |
음악 활동 | |
장르 | 르네상스 음악 |
학교 | 프랑코-플랑드르 악파 |
작품 목록 | 작품 목록 |
영향 | 르네상스 음악 |
참고 정보 | |
위키포털 | 클래식 음악 |
2. 생애
최근 연구에 의해 오케겜(Johannes Ockeghem)의 출생지는 현재 벨기에 에노주 생지슬랭(Saint-Ghislain)임이 밝혀졌다. 이전 전기에서는 오케겜이 부르고뉴 공국 출신으로, 플랑드르 동부(현 벨기에)의 오케헴 또는 그 인근 마을 테르몬덴 출신이라고 여겨져 왔다. 유년 시절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생몰연도도 불명확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시인 크레탱(Crétin)이 오케겜의 서거에 대해 남긴 “참으로 유감스럽다. 그와 같은 재능의 작곡가가 100세도 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다니”라는 논평으로 추정해왔다. 당시 많은 작곡가들처럼 오케겜도 교회 악장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오케겜의 이름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앤트워프 노트르담 대성당 문서(1443년~1444년 채용)이다. 1446년부터 1448년까지는 프랑스의 부르봉 공작 샤를 1세 휘하에서 물랭에서 봉직했다. 1452년경 파리로 이주하여 프랑스 궁정 악장 및 투르 생 마르탱 수도원의 회계관에 취임했다. 프랑스 궁정에서의 봉직 - 샤를 7세와 루이 11세 휘하 - 외에도 노트르담 대성당과 생브누아 수도원에서도 일했다. 1470년에는 기옌 공작 샤를(루이 11세의 동생)의 카스티야 공주 이사벨에 대한 구혼 사절로 이베리아 반도를 방문했다. 루이 11세가 1483년에 사망한 후 오케겜의 행적은 불분명해지지만, 브뤼헤와 투르를 방문했고, 투르에서 유언을 남긴 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곳에서 사망했을 것이다. 생전부터 "우리의 좋은 아버지"라 불리며 사람들의 존경과 신뢰를 얻었던 오케겜의 죽음은 많은 사람들에게 슬픔을 안겨주었다. 당시 많은 저명한 작곡가들이 오케겜을 위해 애도곡을 작곡한 것이 그 증거이다.
오케겜은 뱅슈아에게 사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부르고뉴 공국에서 두 사람의 관계는 매우 사소한 것이었다. 앙투안 뒤 부아가 1467년 이전에 오케겜을 찬양하는 모테트를 작곡했으므로, 두 사람이 서로 알고 지냈을 가능성도 있다. 오케겜의 작곡 양식은 구세대와는 상당히 다르지만, 작곡 기법의 근본은 구세대에 뿌리를 두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오케겜은 부르고뉴 악파와 차세대 네덜란드 악파, 예를 들어 야코프 오브레흐트와 조스캥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존재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요하네스 오케겜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략 1410년에서 1430년 사이로 추정된다.[1] 그는 현재 벨기에 에노주에 속하는 생지슬랭 출신으로, 피카르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2] 이전에는 동플랑드르의 오케겜(Okegem)이나 덴더몬데(Dendermonde) 출신으로 추정되기도 했다.[1]오케겜의 초기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당시 많은 작곡가들처럼 성가대에서 음악 경력을 시작했을 것으로 보이며,[1] 몽스(Mons) 지역의 성가대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 1443년 안트베르펜 성모 대성당에서 성가대원으로 활동한 기록이 있으며,[2], 그는 요하네스 풀로이스(Johannes Pullois)의 지휘 아래 노래를 불렀을것으로 보인다.[2] 이곳에서 오케겜은 영국의 작곡 스타일을 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2. 2. 부르고뉴 궁정에서의 활동
오케겜은 질 뱅슈아에게서 음악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되며, 적어도 부르고뉴 궁정에서 뱅슈아와 긴밀히 교류했던 것으로 보인다. 앙투안 뷔스누아가 1467년 이전 어느 시점에 오케겜을 기리는 모테트를 작곡한 것으로 보아, 두 사람이 알고 지냈을 가능성이 크다. 당시 작가들은 종종 뒤파이, 뷔스누아, 오케겜을 함께 언급하곤 했다. 오케겜의 음악 스타일은 구세대와 상당히 다르지만, 그들에게서 기본적인 기교를 익혔을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부르고뉴 양식에서 오브레히트와 조스캥 등 차세대 네덜란드 작곡가들에게 이어지는 직접적인 연결고리로 볼 수 있다.
오케겜은 1446년에서 1448년 사이에 가수이자 작곡가인 장 쿠쟁과 함께 현재 프랑스 중부에 있는 물랭의 샤를 1세 드 부르봉 궁정에서 봉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궁정 기록에 등장하는 성가대 사제 중 첫 번째 인물이 되었다.
2. 3. 프랑스 왕실에서의 활동
오케겜은 1452년경 파리로 이주하여 프랑스 왕실의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maestro di cappella)로 봉직했으며, 투르의 생 마르탱 대성당의 재무관직도 맡았다. 샤를 7세와 루이 11세 프랑스 궁정에서 봉직한 것 외에도, 노트르담 드 파리와 생 베누아에서도 직책을 역임했다.1446년에서 1448년 사이에는 장 쿠쟁과 함께 현재 프랑스 중부에 있는 물랭의 샤를 1세 드 부르봉 궁정에서 봉직했다. 1470년에는 왕을 위한 외교 사절단의 일원으로 스페인을 방문하여, 스페인이 잉글랜드와 부르고뉴와의 동맹에 가담하는 것을 막고,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와 기옌 공작 샤를(루이 11세의 동생)의 결혼을 주선하려는 복잡한 사건에 관여했다.
루이 11세 사후(1483년)에는 오케겜의 행적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브뤼헤와 투르를 방문했으며, 유언을 남긴 곳으로 미루어 투르에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1497년 2월 6일 오케겜의 사망을 애도하는 작품의 수는 그가 동시대인들 사이에서 얼마나 존경받았는지를 보여준다.
2. 4. 사망
오케겜은 1497년 2월 6일 투르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당시 많은 음악가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으며, 조스캥 데 프레를 비롯한 여러 작곡가들이 그를 위한 추모곡을 작곡했다. 수많은 추모시 중 조스캥 데 프레의 ''숲의 님프''가 가장 유명한 음악적 배경으로 알려져 있다. 요하네스 루피도 추모곡을 작곡했다.3. 작품
오케겜의 작품 수는 그의 긴 경력과 명성에 비해 적었으며, 일부 작품은 유실되었다. 과거 그의 작품으로 여겨졌던 많은 작품들은 현재 다른 작곡가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의 작품 중 확실히 그의 것으로 인정되는 작품으로는 약 14개의 미사곡(레퀴엠 포함), 단독 크레도("Credo sine nomine"), 5개의 모테트, 모테트-샹송(뱅슈아 사망을 애도하는 "deploration"), 21개의 샹송이 있다. 오케겜의 미사곡 13곡은 1500년경의 플랑드르 사본인 키지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그의 "Missa pro Defunctis"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다성 레퀴엠이다. 그의 작품들 중 일부는 오타비아노 페트루치의 "Harmonice musices odhecaton"(1501)에 수록되었는데, 이것은 가변 활자를 사용하여 출판된 최초의 악보집이다.
오케겜은 그의 미사곡 중 약 절반에 칸투스 피르무스 기법을 사용했다. "Missa Caput"과 같이 차용된 자료를 최저 성부에 배치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영국 사럼 의식의 성가 단편을 바탕으로 15세기 중반에 작곡된 세 곡의 미사곡 중 하나이다. 그의 작곡 기법의 다른 특징으로는 성부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성부의 리듬적 특성의 변화가 있다.
15세기의 주목할 만한 대위법적 업적 두 가지는 전적으로 측정 캐논으로 구성된 "Missa prolationum"과 모든 다른 음악 모드로 연주될 수 있도록 고안된 "Missa cuiusvis toni"를 포함한다. 오케겜의 광범위하고 리듬이 활동적인 베이스 라인 사용은 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들 사이에서 독특했으며, 이것이 그의 음역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조스캥 데 프레는 장 몰리네의 시 "숲의 요정들아 ''Nimphes des bois''"에 기반하여 《오케겜 추모곡 ''La déploration de la mort de Johannes Ockeghem''》을 작곡했다.
; 미사곡
- ''미사 시네 노미네(Missa sine nomine)'' 3성부 (작곡자 미확인)
- ''미사 시네 노미네(Missa sine nomine)'' 5성부 (미완성: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만 존재)
- ''미사 오 트라바이 쉬(Missa Au travail suis)'' 4성부
- ''미사 카푸트(Missa Caput)''
- ''모든 조(음계)를 위한 미사곡(Missa cuiusvis toni)''
- ''미사 드 플뤼스 앙 플뤼(Missa De plus en plus)''
- ''미사 에케 안칠라 도미니(Missa Ecce ancilla Domini)''
- ''미사 포르 슐르망(Missa Fors seulement)'' 5성부 (미완성: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만 남음)
- ''무장한 사람(L'homme armé) 미사곡(Missa L'homme armé)'' 4성부
- ''미사 마 메스트레스(Missa Ma maistresse)'' (키리에와 글로리아만 전해짐)
- ''미-미 미사곡(Missa Mi-mi)'' 4성부 (''미사 콰르티 토니(Missa quarti toni)''로도 알려짐)
- ''프롤라티오 미사곡(Missa prolationum)'' 4성부 (약 1470년)
- ''미사 퀸티 토니(Missa quinti toni)'' 3성부
- ''미사 프로 데푼크티스(Missa pro defunctis)'' (레퀴엠) 4성부 (미완성, 아마도 1461년 샤를 7세의 장례식을 위해 작곡됨)
- ''크레도 시네 노미네(Credo sine nomine)'' (미사곡의 일부, ''크레도 "드 빌라주(De village)"''로도 알려짐)


; 모테트
; 마리아 반주곡
- ''알마 레뎀토리스 마테르(Alma Redemptoris Mater)''
- ''아베 마리아(Ave Maria)''
- ''살베 레지나(Salve Regina)''
; 기타
- ''순결한 하느님의 어머니(Intemerata Dei mater)'' 5성부 (아마도 1487년 작곡)
- ''웃 헤레미타 솔루스(Ut heremita solus)'' (기악 연주를 위해 의도된 것으로 추정)
- ''데오 그라티아스(Deo gratias)'' 36성부 (작곡자 미확인)
- ''가우데 마리아(Gaude Maria)'' (작곡자 미확인)
; 모테트-샹송
- ''모르 투 아 나브레/미세레레(Mort tu as navré/Miserere)'' (질 뱅슈아(Gilles Binchois)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 아마도 1460년 작곡)
; 샹송
; 2성부
- ''오 아름다운 장미(O rosa bella)'' (발라타) (''아이 라소 미(Ai lasso mi)'' – 존 베딩험(John Bedyngham)/존 던스터플(John Dunstaple)?)
; 3성부
- ''올트르 베뉘스 에테스(Aultre Venus estes)''
- ''오 트라바이 쉬(Au travail suis)'' (작곡자: 아마도 바르빙강(Barbingant))
- ''바이지에 모이 돈 포르(Baisiés moy dont fort)''
- ''덩 올트르 아메르(D'ung aultre amer)''
- ''포르 슐르망 꽁뜨르(Fors seulement contre)''
- ''포르 슐르망(Fors seulement) 랑탕트(l'attente)''
- ''일 느 망 샹 플뤼(Il ne m'en chault plus)''
- ''라 데스푸르뷔 에 라 바니(La despourveue et la bannie)''
- ''로트르 랑탕(L'autre d'antan)''
- ''레 데즐로 옹 라 세종(Les desléaux ont la saison)''
- ''마 부쉬 릿(Ma bouche rit)''
- ''마 메스트레스(Ma maistresse)''
- ''프르네 쉬르 모이(Prenez sur moi)''
- ''프레스크 트랑지(Presque transi)''
- ''깡 드 뷔 슐(Quant de vous seul)''
- ''케스 미 비다 프레귄타이스(Qu'es mi vida preguntays)''
- ''세 보스트르 퀴에르 엘롱느(Se vostre cuer eslongne)''
- ''탕 퓔 젠뜨망 르주아이(Tant fuz gentement resjouy)''
- ''엉 올트르 라(Ung aultre l'a)''
; 3성부 또는 4성부
- ''장 에이 듀엘(J'en ay dueil)''
; 4성부
- ''셀 메라메라/쁘띠뜨 카뮤제뜨(S'elle m'amera/Petite camusette)''
3. 1. 주요 특징
오케겜의 현존하는 작품은 14곡의 미사곡, 레퀴엠, 9곡의 모테트, 방쇼아 추모 샹송 모테트, 21곡의 샹송 정도로 매우 적다. 오케겜의 미사곡 중 13곡은 15세기 후기 필사 악보집인 「키지 사본(Chigi codex)」을 통해 전해지며, 《죽은 자를 위한 미사곡 Missa pro Defunctis》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다성 레퀴엠이다. 정교한 기법의 36성부 《데오 그라티아스(주님께 감사하나이다) ''Deo gratias''》는 다른 사람이 작곡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진위 여부는 미궁 속에 있다.오케겜은 조스캥 드프레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풍부한 표현력과 숙련된 작곡 기법으로 유럽 전역에 명성을 떨쳤다. 그의 뛰어난 기량은 비례 카논을 사용한 《미사 프로라치오눔(다양한 비율의 미사곡) ''Missa Prolationum''》, 모든 선법으로 연주할 수 있는 《미사 쿠이우스비스 토니(임의의 선법에 따른 미사곡) ''Missa cuiusvis toni''》 등에서 두드러진다. 그는 저명한 베이스 가수였으며, 그의 베이스 선율은 복잡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다른 플랑드르 악파 작곡가들과 구별되는 점이다.
조스캥 드프레는 장 몰리네의 시 "숲의 요정들아 ''Nimphes des bois''"를 바탕으로 《오케겜 추모곡 ''La déploration de la mort de Johannes Ockeghem''》을 작곡했다.
3. 2. 미사곡
오케겜은 14개의 미사곡을 작곡했으며, 그 중 13개는 키지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모든 조(음계)를 위한 미사곡(Missa cuiusvis toni)', '프롤라티오 미사곡(Missa prolationum)', '미-미 미사곡(Missa Mi-mi)', '레퀴엠' 등이 있다. '레퀴엠'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다성 레퀴엠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오케겜의 미사곡은 다음과 같다.
- ''미사 시네 노미네(Missa sine nomine)'' 3성부 (작곡자 미확인)
- ''미사 시네 노미네(Missa sine nomine)'' 5성부 (미완성: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만 존재)
- ''미사 오 트라바이 쉬(Missa Au travail suis)'' 4성부
- ''미사 카푸트(Missa Caput)''
- ''모든 조(음계)를 위한 미사곡(Missa cuiusvis toni)''
- ''미사 드 플뤼스 앙 플뤼(Missa De plus en plus)''
- ''미사 에케 안칠라 도미니(Missa Ecce ancilla Domini)''
- ''미사 포르 슐르망(Missa Fors seulement)'' 5성부 (미완성: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만 남음)
- ''무장한 사람(L'homme armé) 미사곡(Missa L'homme armé)'' 4성부
- ''미사 마 메스트레스(Missa Ma maistresse)'' (키리에와 글로리아만 전해짐)
- ''미-미 미사곡(Missa Mi-mi)'' 4성부 (''미사 콰르티 토니(Missa quarti toni)''로도 알려짐)
- ''프롤라티오 미사곡(Missa prolationum)'' 4성부 (약 1470년)
- ''미사 퀸티 토니(Missa quinti toni)'' 3성부
- ''미사 프로 데푼크티스(Missa pro defunctis)'' (레퀴엠) 4성부 (미완성, 아마도 1461년 샤를 7세의 장례식을 위해 작곡됨)
- ''크레도 시네 노미네(Credo sine nomine)'' (미사곡의 일부, ''크레도 "드 빌라주(De village)"''로도 알려짐)
3. 3. 모테트
오케겜은 '알마 레뎀토리스 마테르', '아베 마리아', '살베 레지나' 등 여러 마리아 반주곡 모테트를 작곡했다. 이 외에도 ''순결한 하느님의 어머니(Intemerata Dei mater)'', ''웃 헤레미타 솔루스(Ut heremita solus)'' 등의 모테트를 작곡했다.3. 4. 샹송
오케겜은 '덩 올트르 아메르(D'ung aultre amer)', '마 부쉬 릿(Ma bouche rit)', '프레스크 트랑지(Presque transi)' 등 다양한 샹송을 작곡했다.3. 5. 영향
오케겜은 조스캥 데 프레를 비롯한 후대 플랑드르 악파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표현력 있는 음악과 기술적 기량으로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음악은 르네상스 음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받고 있다.오케겜의 작품 수는 그의 긴 경력과 명성에 비해 제한적이며, 일부는 유실되었다. 과거 그의 작품으로 여겨졌던 많은 작품들은 현재 다른 작곡가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확실히 그의 것으로 인정되는 작품으로는 약 14개의 미사곡(레퀴엠 포함), 단독 크레도("Credo sine nomine"), 5개의 모테트, 모테트-샹송(뱅슈아 사망을 애도하는 "deploration"), 21개의 샹송이 있다. 오케겜의 미사곡 13곡은 1500년경의 플랑드르 사본인 키지 사본에 보존되어 있다. 그의 "Missa pro Defunctis"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다성 레퀴엠이다. 그의 작품들 중 일부는 오타비아노 페트루치의 "Harmonice musices odhecaton"(1501)에 수록되었는데, 이것은 가변 활자를 사용하여 출판된 최초의 악보집이다.
오케겜은 그의 미사곡 중 약 절반에 칸투스 피르무스 기법을 사용했다. "Missa Caput"과 같이 차용된 자료를 최저 성부에 배치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영국 사럼 의식의 성가 단편을 바탕으로 15세기 중반에 작곡된 세 곡의 미사곡 중 하나이다. 그의 작곡 기법의 다른 특징으로는 성부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성부의 리듬적 특성의 변화가 있다.
15세기의 주목할 만한 대위법적 업적 두 가지는 전적으로 측정 캐논으로 구성된 "Missa prolationum"과 모든 다른 음악 모드로 연주될 수 있도록 고안된 "Missa cuiusvis toni"를 포함한다. 오케겜의 광범위하고 리듬이 활동적인 베이스 라인 사용은 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들 사이에서 독특했으며, 이것이 그의 음역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조스캥 데 프레는 장 몰리네의 시 "숲의 요정들아 ''Nimphes des bois''"에 기반하여 《오케겜 추모곡 ''La déploration de la mort de Johannes Ockeghem''》을 작곡했다.
참조
[1]
서적
Les artistes tourangeaux
http://gallica.bnf.f[...]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1885
[2]
웹사이트
Starr
[3]
서적
Unknown
[4]
웹사이트
Perkins
[5]
웹사이트
Perkins
[6]
웹사이트
Perkins
[7]
서적
Unknown
[8]
웹사이트
Perkins
[9]
서적
Unknown
[10]
서적
Unknown
[11]
서적
Unknown
[12]
서적
Unknow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