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프베르트 도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프베르트 도검은 "+VLFBERH+T" 또는 "+VLFBERHT+" 명각이 새겨진 고대 검으로, 바이킹 검과 중세 기사검 사이의 과도기적 형태를 보인다. 1000년경 유럽에서 접쇠 방식이 주류이던 시기에 도가니강으로 제작되었으며, 높은 탄소 함량과 낮은 불순물로 인해 강하고 유연하여 전투에서 유리했다. 프랑크 왕국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스칸디나비아와 발트해 지역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울프베르트 도검은 뛰어난 내구성과 절삭력으로 인해 정예 전사나 족장들이 주로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울프베르트 도검 | |
---|---|
개요 | |
![]() | |
유형 | 검 |
생산 | |
생산 시기 | 9세기 ~ 11세기 |
특징 | |
무게 | 평균 1.2 kg (2.7 lb) |
길이 | 평균 91 cm (36 in) |
너비 | 5 cm (2 in) |
칼날 형태 | 양날, 직선 칼날, 약간의 테이퍼 |
손잡이 형태 | 폼멜이 있는 한손 검, 다양한 가드 |
칼집 형태 | 해당 없음 |
칼끝 형태 | 급격한 원추형 테이퍼 및 뾰족한 끝 |
자루 형태 | 해당 없음 |
사용 | |
사용 국가 | 데인족 노르웨이 스웨덴 바랑인 |
사용 시기 | 약 800년 ~ 1000년 |
관련 전쟁 | 바이킹의 침략 |
기타 정보 | |
제작자 | 불명, "Ulfberht" 가문 또는 제조소일 가능성 |
발견 개수 | 171개 |
2. 명칭
프랑크족풍의 느낌을 주는 이름이지만, 그 정확한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7] 검에는 "+VLFBERH+T"라는 라틴 문자가 새겨져 있다. 가장 유력한 가설은 이 명칭이 검을 만든 장인 개인의 이름이거나, 특정 제작자 집단의 이름이며 이것이 제자나 일족에게 계승되었을 것이라는 설이다. 어원적으로는 "Ulfr"(고대 노르드어로 '늑대'를 의미)와 "beraht"(고대 고지 독일어 및 고대 작센어로 '빛' 또는 '광휘'를 의미)가 합쳐진 단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울프베르트 도검은 바이킹 도검과 고중세 기사검 사이 전환 시점에 있는 검이다.[5] 대부분의 칼날은 오크쇼트 X형에 해당한다.[5] 또한, 이는 훨씬 다양했던 고중세 검날 명각 전통의 시작점이기도 하다.[5]
울프베르트 검은 가장 순도가 높은 철인 도가니 강철로 만들어졌다. 다마스쿠스 강은 "우츠 강"이라고도 불리는 도가니 강철을 이차 가공한 것이다.[19] 중세 시대 유럽의 무기 대부분은 탄소 함유량이 낮은 무른 철로 만들어졌지만, 울프베르트 검에 사용된 강철은 이와 비교하여 탄소 함유량이 매우 높고 불순물인 강재도 적었다.
총 167자루의 울프베르트 도검이 발견되었으며,[9][10] 대부분 스칸디나비아와 발트해 주변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특히 노르웨이에서 44자루가 발견되어 가장 많고, 핀란드에서는 14자루(다른 기록에서는 31자루[11][23])가 확인되었다. 다만, 발견된 검의 정확한 수에 대해서는 일부 유물의 상태가 파편적이고, 새겨진 명문 중 일부는 울프베르트 유형을 직접 지칭하기보다 느슨하게 관련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23][31][3][12]
울프베르트 검은 뛰어난 성능 덕분에 주로 정예 전사나 족장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이 검의 주된 용도는 적의 사슬 갑옷이나 방패를 관통하는 것이었다. 당시 다른 무기들에 비해 칼날이 훨씬 유연했기 때문에, 나무나 철 같은 단단한 물체에 부딪혀도 잘 부러지거나 박히지 않았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사용자는 적을 쓰러뜨린 후에도 지체 없이 다음 행동을 취할 수 있어 전투에서 유리했다.[17]
최근, TV 프로그램 기획으로 리처드 퍼러(Richard Furrer)가 당시 제조법을 유추하여 복제품을 제작했다.[20]
[1]
간행물
Treasures of German Art and History in the Germanisches Nationalmuseum
Germanisches Nationalmuseum
2001
3. 묘사
검의 특징적인 부분은 자루 근처, 검의 평면에 금속으로 상감된 "+VLFBERH+T"라는 명각이다.[17] 이 명각은 울프베르트 검의 상징처럼 여겨지지만, "+VLFBERHT+"와 같이 철자가 다른 변형도 존재하는데, 이는 비교적 저품질의 철로 만들어진 "모조품"일 가능성이 제기된다.[17] 검날의 반대면에는 주로 수직의 획 사이에 끈 모양의 무늬와 같은 기하학적인 무늬가 상감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5][25] 이러한 기하학적 무늬만 있고 명각은 없는 칼날들도 다수 발견되었다.[5][25]
울프베르트 도검은 유럽의 검들이 여전히 접쇠("인조적인 다마스쿠스강") 방식으로 주로 제작되던 시기에 만들어졌다.[6][7][26][27] 그러나 서기 1000년 이후 점차 더 큰 강철 블룸(bloom)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고품질의 검들은 도가니강으로 만들어진 검날을 갖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7] 실제로 울프베르트 검들은 넓은 범위의 강철과 생산 방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라비아 네밀라니의 10세기 무덤에서 발견된 검은 접쇠 방식으로 만든 심재(core)에 담금질된 절단면을 결합한 형태를 보여준다.[28] 또 다른 예시로는 중앙아시아에서 수입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품질의 아공석강으로 만들어진 검도 있다.[8][28]
울프베르트에 사용된 강철은 당시 일반적인 무기들이 탄소 함유량이 낮은 무른 철로 만들어진 것과 비교하여, 탄소 함유량이 매우 높고 슬래그도 적었다.[17] 도가니강(Crucible steel)은 순도가 높은 철이며,[19] 이러한 고품질 강철 덕분에 울프베르트 검은 동시대 다른 검들보다 훨씬 강하고 유연했다. 이로 인해 전투 중 부러지는 일이 적었고, 적의 방패나 갑옷에 박혔을 때 쉽게 뽑아낼 수 있었다.[17]
이러한 뛰어난 성능 때문에 울프베르트 검은 주로 정예 전사나 족장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크기와 형태는 일반적인 바이킹 검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17] 훨씬 뛰어난 내구성과 관통력을 지녀 적의 사슬 갑옷이나 방패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었다.[17] 검의 유연성은 나무 방패나 철제 갑옷을 타격할 때 부러지거나 걸리는 위험을 줄여주어, 사용자가 적을 쓰러뜨린 후 즉시 다음 행동으로 이어갈 수 있게 했다.[17]
이러한 고급 제강 기술은 볼가 강(Volga River)의 볼가 무역로(Volga trade route)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교류했던 바이킹들에 의해 유럽으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7]
4. 제작
이러한 특징 덕분에 울프베르트 검은 강하면서도 유연하여 잘 부러지지 않았고, 적의 방패에 박히더라도 쉽게 뽑아낼 수 있었다. 이 뛰어난 제련 기술은 중앙아시아를 여행했던 바이킹에 의해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볼가 강을 따라 형성된 볼가 무역로를 통해 기술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7]
최근 한 TV 프로그램 기획에서는 리처드 퍼러(Richard Furrer)가 당시 제조법을 추정하여 복제품을 제작하기도 했다.[20]
5. 기원 및 분포
울프베르트 도검의 가장 유력한 제작지는 라인란트 지역, 즉 프랑크 왕국의 중심지였고 이후 프랑켄 공국의 일부가 된 아우스트라시아로 추정된다. 'Ulfberht'라는 이름의 형태 자체가 프랑크족식 이름이어서 오랫동안 프랑크족 기원설이 제기되어 왔다. 2012년 니더작센에서 발견된 검 자루의 성분 분석 결과, 타우누스산맥 지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프랑크 왕국 제작설에 힘을 실어주었다.[35]
프랑크족 기원설에도 불구하고 실제 검의 대다수는 북유럽의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이 검들이 프랑크 왕국보다 북유럽에서 더 널리 사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당시 북유럽 지역에는 전사의 무덤에 무기를 함께 묻는 이교적 매장 풍습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고고학적으로 검이 발견될 확률이 높았다. 실제로 노르웨이에서 발견된 울프베르트 도검 대부분은 전사의 무덤에서 출토된 것이다.[32][13] 반면, 7세기 이후 기독교화된 유럽 대륙이나 잉글랜드에서는 이러한 매장 풍습이 사라져, 강바닥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32][13] 이러한 지리적 분포의 차이는 후기 바이킹 시대에 유럽의 상당 부분이 기독교화되면서 더욱 뚜렷해진다. 노르웨이에서 발견된 울프베르트 검 중 11세기 초중반 이후의 것은 거의 없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이교도 매장 의식이 끝난 시기와 일치한다.
당시 카롤링거 칙령은 바이킹과 같은 외국인에게 무기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북유럽에서 발견된 울프베르트 도검은 정식 교역품이라기보다는 전쟁 중 획득한 전리품, 몸값으로 지불된 물건, 혹은 밀수품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볼가 불가리아(당시 볼가강 무역로의 일부)처럼 멀리 떨어진 동유럽 지역에서도 세 자루의 표본이 발견되어,[22][2] 당시 넓은 범위에 걸친 교역 및 교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아래는 현재까지 알려진 울프베르트 도검의 발견 위치와 추정 연대를 정리한 표이다.국가 초기 바이킹 시대 (8-9세기) 중기 바이킹 시대 (10세기) 후기 바이킹 시대 (10-11세기) 연대 미상 총계 노르웨이 17 19 5 3 44 스웨덴 9 3 1 4 17 핀란드 2 3 2 7 14 에스토니아 2 3 1 3 9 라트비아 1 1 4 1 7 리투아니아 - 1 - 1 2 벨라루스 - 1 - - 1 우크라이나 1 5 - - 6 러시아 4 5 1 1 11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2 4 2 4 12 폴란드 - 3 3 1 7 체코 - 1 1 - 2 크로아티아 2 - - - 2 이탈리아 - - - 1 1 스위스 - - 1 - 1 독일 2 2 9 - 13 덴마크 - 3 - - 3 네덜란드 2 - - 1 3 벨기에 - - 2 - 2 잉글랜드 1 1 2 - 4 아일랜드 2 - - - 2 아이슬란드 - 2 - - 2 스페인 - - 1 - 1 프랑스 - - 1 - 1 총계 47 57 36 27 167
6. 용도
7. 현대의 재현
참조
[2]
간행물
Armies of the Volga Bulgars & Khanate of Kazan, 9th–16th centuries
Osprey Men-at-Arms 491
2013
[3]
서적
Viikinkimiekat Suomessa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4]
문서
[5]
문서
[6]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Part 1: Pattern-Welding
1960-02
[7]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Part 2: The Damascene Process
1960-05
[8]
문서
Some early medieval swords in the Wallace Collection and elsewhere
http://gladius.revis[...]
2003
[9]
문서
[10]
문서
Marks of Fire, Value and Faith, Swords with Ferrous Inlays in Finland during the Late Iron Age (ca. 700 AD1200 AD)
https://www.utupub.f[...]
[11]
웹사이트
Marks of Fire, Value and Faith
https://www.utupub.f[...]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Corpus archäologischer Quellen zur Frühgeschichte auf dem Gebiet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7.-12. Jahrhundert)
Akademie-Verlag, Berlin
1985
[16]
문서
Altdeutsches Namenbuch
https://archive.org/[...]
1856
[17]
TV series
Nova
[18]
서적
Swords of the Viking Age
https://books.google[...]
2002
[19]
뉴스
1,000 years on, perils of fake Viking swords are revealed
The Guardian
2008-12-26
[20]
웹사이트
NOVA
http://www.doorcount[...]
Doorcountyforgeworks.com
2012-10-10
[21]
간행물
Treasures of German Art and History in the Germanisches Nationalmuseum
Germanisches Nationalmuseum
2001
[22]
간행물
Armies of the Volga Bulgars & Khanate of Kazan, 9th–16th centuries
Osprey Men-at-Arms 491
2013
[23]
서적
Viikinkimiekat Suomessa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4]
문서
[25]
문서
[26]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Part 1: Pattern-Welding
1960-02
[27]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Part 2: The Damascene Process
1960-05
[28]
문서
Some early medieval swords in the Wallace Collection and elsewhere
http://gladius.revis[...]
2003
[29]
문서
[30]
문서
Marks of Fire, Value and Faith, Swords with Ferrous Inlays in Finland during the Late Iron Age (ca. 700 AD1200 AD)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Corpus archäologischer Quellen zur Frühgeschichte auf dem Gebiet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7.-12. Jahrhundert)
Akademie-Verlag, Berlin
1985
[34]
문서
Altdeutsches Namenbuch
https://archive.org/[...]
1856
[35]
웹인용
Hannover University (2015)
https://www.uni-hann[...]
2020-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