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대-기독교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1821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을 지칭하거나, 유대교 전통을 따르는 교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1930년대 미국에서는 파시즘과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통일된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시도에서 사용되었고, 냉전 시대에는 공산주의 무신론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는 데 활용되었다. 21세기에는 이슬람 혐오의 매개체로 비판받기도 한다. 유대-기독교 개념에 대한 유대교 공동체의 반응은 엇갈리며, 두 종교 간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대-기독교 | |
---|---|
개요 | |
유형 | 종교적 개념, 윤리적 틀, 문화적 영향 |
기원 | 유대교와 기독교의 공유 유산 |
관련 용어 | 서구 문명,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정의 및 범위 | |
핵심 내용 | 유대교와 기독교의 공통된 윤리적, 도덕적 가치 및 신념 체계 |
강조점 | 개인의 존엄성, 사회 정의, 법치주의, 자선, 도덕적 책임 |
논쟁점 | 두 종교 간의 신학적 차이, 역사적 관계, 정치적 이용 |
역사적 맥락 | |
용어 사용 시작 | 20세기 초 미국 (주로 정치적, 사회적 담론에서 사용) |
주요 영향 | 미국 보수주의 운동, 냉전 시기 반공주의 이념 |
비판적 시각 | 역사적 부정확성, 문화적 제국주의, 정치적 도구화 |
윤리적 가치 | |
공통 요소 | 십계명, 황금률, 예언자적 이상 |
세부 가치 | 정의, 자비, 사랑, 용서, 겸손 |
실천 | 사회 봉사, 자선 활동, 도덕적 행동 |
문화적 영향 | |
서구 문화 | 법률, 정치, 예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 |
사회적 규범 | 결혼, 가족, 교육, 노동 등에 대한 가치관 형성 |
윤리적 딜레마 | 낙태, 안락사, 동성애 등 윤리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 제시 |
정치적 의미 | |
미국 정치 | 종교적 우파의 영향력, 정치적 수사, 정책 결정 |
국제 관계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종교 자유, 인권 문제 |
비판 | 정치적 도구화, 종교적 편향, 사회 분열 심화 |
학문적 논쟁 | |
역사적 정확성 | 유대교-기독교 전통의 실제 존재 여부, 역사적 연속성 |
개념의 유용성 | 사회 현상 분석 도구로서의 가치, 설명력 |
대안적 용어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서구 윤리, 종교 윤리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다양한 서적, 논문, 웹사이트 |
관련 단체 | 종교 단체, 학술 기관, 시민 단체 |
추가 연구 | 유대교-기독교 개념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심층 연구 필요 |
2. 역사
"유대-기독교"라는 용어는 1821년 10월 17일자 알렉산더 맥콜의 편지에 처음 등장한다.[2] 이 용어는 이 경우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을 지칭했다.[3] 1829년에는 요제프 볼프에 의해 유대인을 개종시키기 위해 일부 유대교 전통을 준수하는 유형의 교회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4] 19세기 초에는 "예수의 메시지를 유대인에게만 제한하고 유대교 율법과 의식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사도 바울의 뜻에 반대하는 예수의 초기 추종자들"을 지칭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5]
프리드리히 니체는 독일어 용어 유덴크리스트리히/Judenchristlichde("유대-기독교")를 사용하여 유대교와 기독교 세계관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성의 간과된 측면이라고 믿었던 것을 묘사하고 강조했다. 이 표현은 1895년에 출판되었지만 몇 년 전에 쓰여진 ''반그리스도''에 등장하며, 니체의 주장에 대한 더 완전한 전개는 앞선 작품인 ''도덕의 계보에 관하여''에서 찾을 수 있다.
유대-기독교 윤리 또는 유대-기독교 가치관이라는 개념은 조지 오웰에 의해 1939년에 윤리적 의미로 "유대-기독교 도덕 체계"라는 문구와 함께 사용되었다.[6] 리처드 L. 루빈스타인에 따르면, "역사에 대한 규범적 유대-기독교적 해석"은 역병과 같은 인간의 고통을 인간의 죄에 대한 벌로 취급하는 것이다.[7]
역사가 K. 힐란 개스턴에 따르면, 이 용어는 미국이 유럽의 파시즘과 공산주의와 구별하기 위해 통일된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하려 했던 1930년대에 미국의 지칭어가 되었다. 1940년대에 미국 시민 종교의 일부가 되면서, 이 용어는 냉전 기간 동안 더욱 두드러지게 사용되었으며, 특히 공산주의 무신론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 이 용어는 특히 미국의 기독교 우파와 연관되었으며, 때때로 이민과 LGBT 권리를 제한하려는 정치적 시도에서 별도의 맥락으로 사용된다.[8]
=== 미국에서의 발전 ===
1930년대 반유대주의의 부상은 개신교, 가톨릭교, 유대교 신자들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미국의 반유대주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독교인과 유대인 전국 회의의 전신들은 사제, 랍비, 목사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전국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더 이상 기독교 국가로 정의되지 않고 "세 가지 숭고한 전통, 즉 개신교, 가톨릭 및 유대교에 의해 길러진" 보다 다원적인 미국을 만들었다. '유대-기독교'라는 문구는 서구적 가치가 유대인을 포함하는 종교적 합의에 기반한다는 생각을 나타내는 표준적인 자유주의적 용어로 현대 어휘에 들어왔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이후 "미국 기독교 신학에 혁명이 일어났다. [...]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 이후 기독교가 유대인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크게 바뀐 것이다."[9] 기독교 시오니즘의 부상, 종교적으로 동기 부여된 기독교의 관심,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지지는 미국 복음주의 내에서 유대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관심은 특히 유대교의 가르침과 그들 자신의 믿음 사이의 공통점에 집중되어 있다.
1940년대 후반, 새로운 유대-기독교적 접근 방식의 복음주의 지지자들은 워싱턴에 새로운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외교적 지원을 로비했다. 1990년대부터 21세기 초 20년 동안, 미국의 유대-기독교 전통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태도는 복음주의와 (어느 정도까지) 미국의 정치 보수 운동 사이에서 주류가 되었다.[10]
반대로, 1970년대에 이르러 주류 개신교 교파와 전미 교회 협의회는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에 더 우호적이었다.[11] 나탄 샤란스키는 2019년에, 처음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충분한 정부 지원이 있지만 유대인 대중의 무관심과 심지어 노골적인 적대감이 있는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유대인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긍정적 태도의 성경적 근거는 창세기 12:3절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축복하는 자를 축복하고 그를 저주하는 자를 저주하겠다고 약속하신다. 복음주의적 해석에서 이 약속은 아브라함의 후손을 포함한다. 새로운 친유대주의의 다른 요인으로는 기독교의 신학적 기반에 기여하고 예언자와 기독교의 예수의 근원이 된 유대인에 대한 감사,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의 역사에 대한 후회, 그리고 종말에 하나님이 유대인을 어떻게 대했는지에 따라 국가를 심판하실 것이라는 두려움 등이 있다. 더욱이 많은 복음주의자들에게 이스라엘은 종말론의 예언이 실현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12]
=== 유럽에서의 사용 ===
유럽에서의 "유대-기독교" 용어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에 명시된 관련 도서 목록을 참고하여 내용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 밥릭, 벤슨(Bobrick, Benson). ''Wide as the Waters : The Story of the English Bible and the Revolution It Inspired''. 사이먼 & 슈스터(Simon & Schuster) 2001.
- 폴라 프레드릭센(Paula Fredriksen). From Jesus to Christ: The Origins of the New Testament Images of Christ, Yale University Press.
- 헥스터, J. H.(Hexter, J. H.). ''The Judaeo-Christian Tradition'' (Second Edition). Yale University Press, 1995.
- 맥그래스, 앨리스터(McGrath, Alister). ''In the Beginning: The Story of the King James Bible and How It Changed a Nation, a Language, and a Culture''. Anchor Books, 2002.
친유대주의는 유럽에서 유대-기독교 전통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2. 1. 용어의 기원과 초기 사용
"유대-기독교"라는 용어는 1821년 10월 17일자 알렉산더 맥콜의 편지에 처음 등장한다.[2] 이 용어는 이 경우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을 지칭했다.[3] 1829년에는 요제프 볼프에 의해 유대인을 개종시키기 위해 일부 유대교 전통을 준수하는 유형의 교회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4] 19세기 초에는 "예수의 메시지를 유대인에게만 제한하고 유대교 율법과 의식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사도 바울의 뜻에 반대하는 예수의 초기 추종자들"을 지칭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5]프리드리히 니체는 독일어 용어 유덴크리스트리히/Judenchristlichde("유대-기독교")를 사용하여 유대교와 기독교 세계관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성의 간과된 측면이라고 믿었던 것을 묘사하고 강조했다. 이 표현은 1895년에 출판되었지만 몇 년 전에 쓰여진 ''반그리스도''에 등장하며, 니체의 주장에 대한 더 완전한 전개는 앞선 작품인 ''도덕의 계보에 관하여''에서 찾을 수 있다.
유대-기독교 윤리 또는 유대-기독교 가치관이라는 개념은 조지 오웰에 의해 1939년에 윤리적 의미로 "유대-기독교 도덕 체계"라는 문구와 함께 사용되었다.[6] 리처드 L. 루빈스타인에 따르면, "역사에 대한 규범적 유대-기독교적 해석"은 역병과 같은 인간의 고통을 인간의 죄에 대한 벌로 취급하는 것이다.[7]
역사가 K. 힐란 개스턴에 따르면, 이 용어는 미국이 유럽의 파시즘과 공산주의와 구별하기 위해 통일된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하려 했던 1930년대에 미국의 지칭어가 되었다. 1940년대에 미국 시민 종교의 일부가 되면서, 이 용어는 냉전 기간 동안 더욱 두드러지게 사용되었으며, 특히 공산주의 무신론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 이 용어는 특히 미국의 기독교 우파와 연관되었으며, 때때로 이민과 LGBT 권리를 제한하려는 정치적 시도에서 별도의 맥락으로 사용된다.[8]
2. 2. 미국에서의 발전
1930년대 반유대주의의 부상은 개신교, 가톨릭교, 유대교 신자들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미국의 반유대주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독교인과 유대인 전국 회의의 전신들은 사제, 랍비, 목사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전국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더 이상 기독교 국가로 정의되지 않고 "세 가지 숭고한 전통, 즉 개신교, 가톨릭 및 유대교에 의해 길러진" 보다 다원적인 미국을 만들었다. '유대-기독교'라는 문구는 서구적 가치가 유대인을 포함하는 종교적 합의에 기반한다는 생각을 나타내는 표준적인 자유주의적 용어로 현대 어휘에 들어왔다.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이후 "미국 기독교 신학에 혁명이 일어났다. [...]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 이후 기독교가 유대인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크게 바뀐 것이다."[9] 기독교 시오니즘의 부상, 종교적으로 동기 부여된 기독교의 관심,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지지는 미국 복음주의 내에서 유대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관심은 특히 유대교의 가르침과 그들 자신의 믿음 사이의 공통점에 집중되어 있다.
1940년대 후반, 새로운 유대-기독교적 접근 방식의 복음주의 지지자들은 워싱턴에 새로운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외교적 지원을 로비했다. 1990년대부터 21세기 초 20년 동안, 미국의 유대-기독교 전통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태도는 복음주의와 (어느 정도까지) 미국의 정치 보수 운동 사이에서 주류가 되었다.[10]
반대로, 1970년대에 이르러 주류 개신교 교파와 전미 교회 협의회는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에 더 우호적이었다.[11] 나탄 샤란스키는 2019년에, 처음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충분한 정부 지원이 있지만 유대인 대중의 무관심과 심지어 노골적인 적대감이 있는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유대인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긍정적 태도의 성경적 근거는 창세기 12:3절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축복하는 자를 축복하고 그를 저주하는 자를 저주하겠다고 약속하신다. 복음주의적 해석에서 이 약속은 아브라함의 후손을 포함한다. 새로운 친유대주의의 다른 요인으로는 기독교의 신학적 기반에 기여하고 예언자와 기독교의 예수의 근원이 된 유대인에 대한 감사,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의 역사에 대한 후회, 그리고 종말에 하나님이 유대인을 어떻게 대했는지에 따라 국가를 심판하실 것이라는 두려움 등이 있다. 더욱이 많은 복음주의자들에게 이스라엘은 종말론의 예언이 실현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12]
2. 3. 유럽에서의 사용
유럽에서의 "유대-기독교" 용어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에 명시된 관련 도서 목록을 참고하여 내용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밥릭, 벤슨(Bobrick, Benson). ''Wide as the Waters : The Story of the English Bible and the Revolution It Inspired''. 사이먼 & 슈스터(Simon & Schuster) 2001.
- 폴라 프레드릭센(Paula Fredriksen). From Jesus to Christ: The Origins of the New Testament Images of Christ, Yale University Press.
- 헥스터, J. H.(Hexter, J. H.). ''The Judaeo-Christian Tradition'' (Second Edition). Yale University Press, 1995.
- 맥그래스, 앨리스터(McGrath, Alister). ''In the Beginning: The Story of the King James Bible and How It Changed a Nation, a Language, and a Culture''. Anchor Books, 2002.
친유대주의는 유럽에서 유대-기독교 전통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3. 종교 간 관계
1930년대 반유대주의의 부상은 개신교, 가톨릭교, 유대교 신자들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미국의 반유대주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독교인과 유대인 전국 회의의 전신들은 사제, 랍비, 목사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전국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더 이상 기독교 국가로 정의되지 않고 "세 가지 숭고한 전통, 즉 개신교, 가톨릭 및 유대교에 의해 길러진" 보다 다원적인 미국을 만들었다. '유대-기독교'라는 문구는 서구적 가치가 유대인을 포함하는 종교적 합의에 기반한다는 생각을 나타내는 표준적인 자유주의적 용어로 현대 어휘에 들어왔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이후 "미국 기독교 신학에 혁명이 일어났다. [...]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 이후 기독교가 유대인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크게 바뀐 것이다."[9] 기독교 시오니즘의 부상, 종교적으로 동기 부여된 기독교의 관심,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지지는 미국 복음주의 내에서 유대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1940년대 후반, 새로운 유대-기독교적 접근 방식의 복음주의 지지자들은 워싱턴에 새로운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외교적 지원을 로비했다. 1990년대부터 21세기 초 20년 동안, 미국의 유대-기독교 전통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태도는 복음주의와 (어느 정도까지) 미국의 정치 보수 운동 사이에서 주류가 되었다.[10] 반대로, 1970년대에 이르러 주류 개신교 교파와 전미 교회 협의회는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에 더 우호적이었다.[11]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유대인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긍정적 태도의 성경적 근거는 창세기 12:3절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축복하는 자를 축복하고 그를 저주하는 자를 저주하겠다고 약속하신다. 복음주의적 해석에서 이 약속은 아브라함의 후손을 포함한다. 새로운 친유대주의의 다른 요인으로는 기독교의 신학적 기반에 기여하고 예언자와 기독교의 예수의 근원이 된 유대인에 대한 감사,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의 역사에 대한 후회, 그리고 종말에 하나님이 유대인을 어떻게 대했는지에 따라 국가를 심판하실 것이라는 두려움 등이 있다. 더욱이 많은 복음주의자들에게 이스라엘은 종말론의 예언이 실현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12]
21세기 담론에서 "유대-기독교"라는 용어의 사용은 두 개의 다른 종교를 동일시하고 배제를 통해 이슬람 혐오의 매개체가 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3][14][15]
=== 유럽 ===
유럽에서의 유대-기독교 |
3. 1. 미국
1930년대 반유대주의의 부상은 개신교, 가톨릭교, 유대교 신자들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미국의 반유대주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독교인과 유대인 전국 회의의 전신들은 사제, 랍비, 목사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전국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더 이상 기독교 국가로 정의되지 않고 "세 가지 숭고한 전통, 즉 개신교, 가톨릭 및 유대교에 의해 길러진" 보다 다원적인 미국을 만들었다. '유대-기독교'라는 문구는 서구적 가치가 유대인을 포함하는 종교적 합의에 기반한다는 생각을 나타내는 표준적인 자유주의적 용어로 현대 어휘에 들어왔다.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이후 "미국 기독교 신학에 혁명이 일어났다. [...]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 이후 기독교가 유대인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크게 바뀐 것이다."[9] 기독교 시오니즘의 부상, 종교적으로 동기 부여된 기독교의 관심,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지지는 미국 복음주의 내에서 유대교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1940년대 후반, 새로운 유대-기독교적 접근 방식의 복음주의 지지자들은 워싱턴에 새로운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외교적 지원을 로비했다. 1990년대부터 21세기 초 20년 동안, 미국의 유대-기독교 전통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태도는 복음주의와 (어느 정도까지) 미국의 정치 보수 운동 사이에서 주류가 되었다.[10] 반대로, 1970년대에 이르러 주류 개신교 교파와 전미 교회 협의회는 이스라엘보다 팔레스타인에 더 우호적이었다.[11]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유대인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긍정적 태도의 성경적 근거는 창세기 12:3절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축복하는 자를 축복하고 그를 저주하는 자를 저주하겠다고 약속하신다. 복음주의적 해석에서 이 약속은 아브라함의 후손을 포함한다. 새로운 친유대주의의 다른 요인으로는 기독교의 신학적 기반에 기여하고 예언자와 기독교의 예수의 근원이 된 유대인에 대한 감사,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의 역사에 대한 후회, 그리고 종말에 하나님이 유대인을 어떻게 대했는지에 따라 국가를 심판하실 것이라는 두려움 등이 있다. 더욱이 많은 복음주의자들에게 이스라엘은 종말론의 예언이 실현되는 수단으로 여겨진다.[12]
21세기 담론에서 "유대-기독교"라는 용어의 사용은 두 개의 다른 종교를 동일시하고 배제를 통해 이슬람 혐오의 매개체가 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3][14][15]
3. 2. 유럽
wikitable유럽에서의 유대-기독교 |
4. 유대교의 반응
유대교 공동체에서 유대-기독교 개념에 대한 태도는 엇갈려 왔다. 1930년대에는 전 세계적인 반유대주의에 맞서, 영향력 있는 미국의 기독교인들과 유대인들이 유대교를 미국 종교 생활의 핵심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유대교 군종 장교들은 가톨릭 사제 및 개신교 목사들과 협력하여 선의를 증진시켰다. 무명 용사 장례식에서 랍비들은 다른 군종 장교들과 함께 히브리어로 기도를 올렸으며, 침몰 사건에서는 다종교 군종 장교들이 구명조끼를 포기하고 배가 가라앉는 동안 함께 기도하는 모습이 1948년 우표로 기념되기도 했다.
1950년대에는 홀로코스트의 영향으로 미국 유대인 사회에 영적, 문화적 부흥이 일어났고, 이들은 자신들이 다른 존재로 인식되기를 바라는 데 더욱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아바 힐렐 실버의 ''유대교가 다른 점''과 레오 바에크의 ''유대교와 기독교''는 유대-기독교 용어가 두 종교 간의 중요한 차이점을 모호하게 만든다는 인식 하에 유대교의 독특성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였다. 랍비 엘리에제르 베르코비츠는 "유대교는 기독교를 거부하기 때문에 유대교이고, 기독교는 유대교를 거부하기 때문에 기독교이다"라고 주장했다.[16] 신학자 아서 A. 코헨은 ''유대-기독교 전통의 신화''에서 이 개념이 미국 정치의 발명품이라고 비판했고, 제이콥 뉴스너는 ''유대인과 기독교인: 공통된 전통의 신화''에서 두 종교가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한다고 주장했다.[17]
법학 교수 스티븐 M. 펠드먼은 "유대-기독교 전통"이라는 개념이 대체 신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대교가 기독교로 발전하여 완성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비판한다. 이는 유대교와 기독교 사이의 실질적인 차이를 모호하게 만든다.[18]
5. 한국의 관점
참조
[1]
서적
Abrahamic Religions: On the Uses and Abuse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Extract of a Letter From Mr. M'Caul
https://books.google[...]
[3]
문서
Judæo-, Judeo-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8-07-21
[4]
서적
Missionary Journal of the Rev. Joseph Wolff, Missionary to the Jews
https://books.google[...]
James Duncan
[5]
웹사이트
Mark Silk on the history of the term 'Judeo-Christian'
https://www.ncronlin[...]
2019-04-15
[6]
서적
George Orwell: An age like this, 1920-1940
https://books.google[...]
David R. Godine Publisher
2017-02-04
[7]
서적
After Auschwitz: Radical Theology and Contemporary Judaism
The Bobbs-Merrill Company
[8]
간행물
The Problem With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https://www.theatlan[...]
2020-08-05
[9]
문서
Standing With Israel
[10]
문서
Christian Attitudes Towards the State of Israe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1]
문서
The Fervent Embrace: Liberal Protestants, Evangelicals, and Israel
[12]
문서
Evangelicals and Israel: The Story of Christian Zionism
[13]
웹사이트
The Right's "Judeo-Christian" Fixation
https://newrepublic.[...]
The New Republic
2023-07-10
[14]
웹사이트
What Do We Mean by 'Judeo-Christian'?
https://religiondisp[...]
Religious Dispatches.
2011-02-15
[15]
웹사이트
The term 'Judeo-Christian' has been misused for political ends – a new 'Abrahamic' identity offers an alternative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20-12-24
[16]
문서
Disputation and Dialogue: Readings in the Jewish Christian Encounter
Ktav
[17]
문서
Jews and Christians: The Myth of a Common Tradition
Trinity Press International and SCM Press
[18]
문서
Please Don't Wish Me a Merry Christmas: A Critical History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19]
웹인용
Dr. Richard Lee on 7 Principles of a Judeo-Christian Ethic - SermonCentral.com
https://www.sermonce[...]
[20]
서적
George Orwell: An age like this, 1920-1940
https://books.google[...]
2017-02-04
[21]
서적
Abrahamic Religions: On the Uses and Abuse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