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성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원은 문화 유씨 출신으로, 1444년 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학사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계유정난 당시 수양대군의 협박으로 정난공신 교서를 작성한 후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려다 발각되어 자결했다. 사후 거열형을 당했으나, 숙종 때 복관되고 영조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여러 서원과 사당에 배향되었다. 드라마 파천무, 한명회, 왕과 비 등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육신 - 사육신공원
    사육신공원은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임을 당한 사육신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조성된 공원이며, 사육신 묘, 의절사, 사육신역사관 등의 시설이 있다.
  • 사육신 - 하위지
    하위지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38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으며, 세조 즉위 후 육조 직계제를 반대하다가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하여 처형된 사육신 중 한 명이다.
  • 효수된 사람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효수된 사람 - 최시형
    최시형은 1827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나 동학의 제2대 교주를 지냈으며, 최제우의 제자로서 동학 경전을 편찬하고 교세를 확장하다가 갑오농민전쟁에 참여하여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사후 신원되어 손병희가 그의 뒤를 이어 천도교로 개명했다.
  • 1456년 사망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1456년 사망 - 순평군
    순평군은 조선 정종의 서자로 순평군에 봉해졌으며, 순창 설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고 유배, 파면, 복권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학문을 시작하여 효경을 배우고 사망하여 시호는 충간이다.
유성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이름유성원
한자 이름柳誠源
로마자 표기Yu Seong-won
태초(太初)
낭간(琅玕)
정치
직위조선의 집현전 직제
재임 기간1455년 ~ 1456년
임금조선 세조
개인 정보
국적조선
성별남성
사망일1456년
본관문화
학문
분야성리학

2. 생애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사인(舍人) 유사근(柳士根)의 아들이다. 1444년(세종 26년) 문과에 급제하고 1447년(세종 29년) 중시(重試)에도 합격하여 집현전 학사로 활동하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문종이 일찍 세상을 떠나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1453년 수양대군(훗날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 황보인 등 원로대신들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수양대군이 자신의 공훈을 기록하는 교서 작성을 명하자 다른 집현전 학사들은 모두 피했으나, 유성원은 홀로 남아 수양대군의 협박으로 어쩔 수 없이 정난공신의 공적을 기록하는 글을 써야 했다. 그는 집에 돌아와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통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456년(세조 2년)에는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유응부 등 동료들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면서 실패로 돌아갔고, 유성원은 집으로 돌아가 아내와 이별의 술잔을 나눈 뒤 조상의 사당에서 칼로 자결하여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사인(舍人) 벼슬을 지낸 유사근(柳士根)의 아들이다.[1] 1444년(세종 26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1447년(세종 29년)에는 중시(重試)에도 합격하여 특별히 선발된 인재들이 학문을 연마하던 호당(湖堂)에 들어갔다.[1][2]

이후 집현전 학사로 활동하면서 세종의 깊은 신임과 총애를 받았다.[1][2] 문종이 즉위한 지 불과 2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오르자, 1453년 수양대군(훗날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1][2] 이때 수양대군은 김종서, 황보인 등 조정의 주요 대신들을 무력으로 제거하고 스스로 영의정부사·이조판서·호조판서·내외병마도통사 등 핵심 관직을 독차지하였다.[1]

수양대군은 자신의 쿠데타를 정당화하고 그 공훈을 기록하는 교서(敎書) 작성을 집현전에 명하였는데, 다른 학사들은 모두 자리를 피하거나 도망쳤으나 유성원만은 홀로 남아 있다가 붙잡히고 말았다.[1][2] 그는 수양대군의 강압과 협박에 못 이겨 결국 정난공신의 공로를 찬양하는 글을 써야 했으며, 집에 돌아와서는 분하고 원통한 마음에 크게 통곡했다고 전해진다.[1][2]

2. 2. 계유정난과 정난공신 교서 작성

1452년 문종이 즉위 2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오르자, 1453년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을 일으켰다. 이 정변으로 김종서, 황보인 등 조정의 핵심 대신들이 살해되었고, 수양대군은 스스로 영의정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내외병마도통사 등 주요 관직을 독차지하며 권력을 장악했다. 수양대군은 자신의 정변을 정당화하고 공신들의 공로를 기록하기 위해 교서(敎書) 작성을 지시했다. 당시 집현전 학사들은 모두 수양대군의 위세에 눌려 도망쳤으나, 유성원만은 홀로 남아 자리를 지켰다. 결국 그는 수양대군의 협박에 못 이겨 정난공신의 공적을 기록하는 교서를 작성해야만 했다. 교서를 완성하고 집에 돌아온 유성원은 분노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통곡했다고 전해진다.

2. 3. 단종 복위 운동과 자결

1453년 수양대군(훗날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 황보인 등 조정의 주요 대신들을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수양대군은 스스로 영의정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내외병마도통사 등 여러 중요 관직을 겸하며 자신의 공적을 기록하는 교서를 만들고자 했다. 이때 다른 집현전 학사들은 모두 도망쳤으나, 유성원은 홀로 붙잡혀 수양대군의 협박에 못 이겨 정난공신의 공로를 기록하는 교서를 작성해야만 했다. 그는 집에 돌아와 통곡하며 괴로워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 후 1456년(세조 2), 유성원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유응부 등 동료들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위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실행에 옮기기 전에 발각되고 말았다. 거사가 실패로 돌아가자 유성원은 집으로 돌아와 아내와 마지막 술잔을 나누며 이별하고, 조상의 사당에서 칼로 자결하여 생을 마감했다.

3. 사후

유성원은 자결한 이후에도 시신이 거열형에 처해지는 비극을 겪었으며, 그의 가족 또한 노비로 전락하는 수난을 당했다.[6][3][7][4] 그러나 시간이 흘러 그의 충절이 인정받아 숙종 대에 복권되고 영조 대에는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고종 대에는 충신정려(忠臣旌閭)가 내려졌다.[8][5] 현재 여러 서원사당에서 제향되고 있으며[8][5], 《가곡원류》에는 그가 지은 시조 한 수가 전해진다.[8][5]

3. 1. 처벌과 복권

자결한 후 시신은 1456년(세조 2) 6월 7일 거열형(車裂刑, 사지를 수레에 묶어 찢어 죽이는 형벌)을 당하였고[6][3], 같은 해 9월 7일에는 아내 미치(未致)와 딸 백대(百代)가 좌승지(左承旨) 한명회(韓明澮)에게 분배되었다.[7][4]

1691년(숙종 17)에 복관(復官)되었으며, 영조 때 이조판서에 추증(追贈)되었다.[8][5] 1902년에는 충신정려(忠臣旌閭)가 내려졌다.[8][5] 현재 과천의 민절사(愍節祠), 연산의 팔현서원(八賢書院), 홍주의 녹운서원(綠雲書院), 대구의 낙빈서원(洛濱書院), 의성의 학산 충렬사(鶴山 忠烈祠),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등 여러 서원사당에서 제향되고 있다.[8][5]가곡원류》에 시조 1수가 전한다.[8][5]

3. 2. 배향

자결 후, 그의 시신은 1456년(세조 2년) 6월 7일 거열형을 당하였다.[6] 같은 해 9월 7일에는 부인 미치(未致)와 딸 백대(百代)가 좌승지 한명회에게 노비로 분배되었다.[7]

시간이 흘러 그의 충절이 인정받아 1691년(숙종 17년)에 복관(復官)되었고, 영조 때에는 이조판서로 추증(追贈)되었다. 1902년에는 나라에서 충신임을 기리는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현재 유성원은 다음의 서원과 사당에서 제향되고 있다.[8]

유성원이 제향된 곳
명칭소재지
민절사(愍節祠)과천
팔현서원(八賢書院)연산
녹운서원(綠雲書院)홍주
낙빈서원(洛濱書院)대구
학산 충렬사(鶴山 忠烈祠)의성
창절사(彰節祠)영월


4. 가족 관계


  • 할아버지 : 유호(柳滸)
  • * 아버지 : 유사근(柳士根)
  • * 어머니 : 윤임의 딸
  • ** 동생 : 유승순(柳承順)
  • ** 아내 : 미치(未致)[7][4]

딸 : 백대(百代)[7][4]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간행물 Authors of the 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 http://medhist.kams.[...] 2006-04-09
[2] 웹사이트 Welcome to Dongjak-gu http://www.dongjak.g[...]
[3] 역사기록 "이미 죽은 박팽년·유성원·허조와 연좌된 자들의 처벌규정을 정하다" http://sillok.histor[...] 세조 4권,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6월 7일(을사) 2번째기사
[4] 역사기록 "의금부에 난신에 연좌된 부녀를 대신들에게 나누어 주게 하다" http://sillok.histor[...] 세조 5권,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9월 7일(갑술) 4번째기사
[5] 문화대전 "유성원 검색결과" http://eumseong.gran[...] 디지털음성문화대전
[6] 역사기록 "이미 죽은 박팽년·유성원·허조와 연좌된 자들의 처벌규정을 정하다" http://sillok.histor[...] 세조 4권,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6월 7일(을사) 2번째기사
[7] 역사기록 "의금부에 난신에 연좌된 부녀를 대신들에게 나누어 주게 하다" http://sillok.histor[...] 세조 5권,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9월 7일(갑술) 4번째기사
[8] 문화대전 "유성원 검색결과" http://eumseong.gran[...] 디지털음성문화대전 2014-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