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팽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팽년은 조선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학사로 활동하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문종과 단종을 보필했다. 계유정난 이후 세조가 즉위하자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고문을 받았다. 그는 세조에게 굴복하지 않고 죽음을 맞이했으며, 사육신 중 한 명으로 추앙받는다. 사후 숙종 때 관작이 복구되고 충정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고문 피해자 - 유관순
    유관순은 3·1 운동 당시 서울과 천안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하고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을 이끌었으며, 옥중에서도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지만, 삶과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한국의 고문 피해자 - 김익훈
    김익훈은 광산 김씨 가문 출신으로 음서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 어영대장, 전라도병마절도사 등 요직을 지냈지만, 숙종 시대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남인 제거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며 경신대출척을 주도하여 보사공신에 책록되었으나 기사환국으로 인해 역모 혐의를 받고 사망 후 복권과 추탈을 거듭, 충헌공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생애는 숙종 시대 당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나 사회 혼란에 기여했다는 비판도 있다.
  • 1417년 출생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1417년 출생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 조선의 언어학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조선의 언어학자 - 황윤석
    황윤석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기론 관련 저서 『理藪新編』과 『頤齋遺稿』, 『頤齋亂藁』 등 다수의 저술을 남겼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 학문 연구에 전념했고, 그의 저서들은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頤齋亂藁』는 시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박팽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팽년 선생 유허비
이름박팽년
한자 이름朴彭年
출생일1417년
출생지한성부
사망일1456년 (40세)
사망지한성부 노량진
본관순천
인수
취금헌(醉琴軒)
시호충정(忠正)
관직 및 직책
주요 직책형조참판, 좌부승지
형조참판 임기1448년 2월 29일 ~ 1453년 10월 1일
좌부승지 임기1453년 10월 1일 ~ 1454년 2월 15일
섬긴 임금세종, 문종, 단종
가족 관계
아버지박중림
배우자초배 낙안 김씨, 계배 천안 전씨
자녀3남 3녀
친인척박일산(손자), 영풍군 이전(셋째 사위), 김미(장인), 전염(장인)
학문
분야성리학
기타 정보
관련 인물김종서, 수양대군 이유

2. 생애

박팽년은 조선 세종 때인 1434년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학사로 활동하며 세종의 신임을 얻었다. 그는 성삼문, 신숙주 등과 함께 『고려사』, 『고려사절요』, 『훈민정음』, 『동국정운』 등 중요한 편찬 사업에 참여하며 학문적 역량을 발휘했다. 문종과 단종 대에는 황보인, 김종서 등과 함께 왕실을 보필했다.

1453년 10월 계유정난 이후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박팽년은 충청도 관찰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면서도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1456년 성삼문, 이개, 하위지, 유성원, 김문기 등 동지들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였으나, 김질의 밀고로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세조는 박팽년의 능력을 아껴 회유하려 했으나, 그는 끝까지 세조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나으리' 등으로 칭하며 단종에 대한 충의를 굽히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세조의 신하임을 인정하는 '신(臣)' 자 대신 '거(巨)' 자를 사용하고 녹봉을 받지 않는 등 저항의 뜻을 분명히 했다. 결국 혹독한 고문 끝에 1456년 6월 7일 옥중에서 사망하였다.[1]

박팽년은 뛰어난 필법으로도 유명하여 종요, 왕희지에 버금간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

2. 1. 초기 생애와 활동

조선 세종 때인 143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삼문 등과 함께 집현전 학사가 되어 여러 편찬 사업에 참여하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황보인·김종서 등과 함께 문종과 단종을 보필하였다. 세종 말년에는 신숙주, 성삼문, 윤기견, 윤회, 김종서 등과 함께 『고려사절요』와 『고려사』의 편찬과 간행에 참여했다. 또한 1446년에 발표된 『훈민정음』, 1448년에 발표된 『동국정운』 편찬에도 관여하였는데, 이는 해당 서문에 기록되어 있다.

1453년 10월 계유정난을 전후해서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다. 1454년에는 좌승지(左承旨)를 거쳐 1455년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수양대군황보인, 김종서, 안평대군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후, 박팽년을 형조참판에 임명하였다. 그러나 세조가 즉위한 다음 해인 1456년, 형조참판의 자리에 있으면서 성삼문, 이개, 하위지, 유성원, 김문기 등과 함께 단종 복위를 모의하였다.

이 계획은 김질의 밀고로 발각되어 6월 2일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 박팽년은 혹독한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세조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아 '상감'이나 '주상' 대신 '진사(進賜)', '나으리'라고 불렀다.[1] 결국 의금부에서 세조의 친국을 받던 중 고문의 여독으로 6월 7일 사망하였다.[1]

박팽년은 필법이 뛰어나 종요, 왕희지에 버금간다는 평을 받았으며, 집대성의 칭호를 받을 정도로 명문가였으나, 반역자로 몰려 죽었기에 관련 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다.[1]

2. 2. 계유정난과 단종 복위 운동

1453년 10월 계유정난을 전후하여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다.[1] 1454년에는 좌승지(左承旨)를 거쳤다.[1] 수양대군황보인, 김종서, 안평대군 등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른 후에도 박팽년은 관직에 머물렀다. 1455년에는 충청도 관찰사로 임명되었으며, 세조는 그를 형조참판으로 삼기도 했다.[1]

그러나 1455년 단종이 세조에 의해 왕위에서 물러나게 되자[1] 박팽년은 이에 분개하였다. 1456년 형조참판의 자리에 있으면서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김문기 등과 함께 단종 복위를 비밀리에 모의하였다.[1] 하지만 공모자 중 한 명이었던 김질이 이를 밀고하면서 계획은 발각되었고, 박팽년은 그해 6월 2일 체포되어 의금부로 압송되었다.[1]

세조는 박팽년의 능력을 아껴 회유하려 했다. 그가 계획 참여를 부인하고 자신을 왕으로 인정한다면 용서하겠다고 제안했지만, 박팽년은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1] 혹독한 고문 속에서도 그는 세조를 '전하'나 '주상'이라 부르지 않고, '진사(進賜)' 또는 '나으리'라고 칭하며 끝까지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1] 세조가 이미 자신을 '신하(臣)'라 칭하고 녹봉(왕의 곡식)을 받지 않았느냐고 추궁하자, 박팽년은 보고서에 '신하 신(臣)' 자 대신 일부러 '클 거(巨)' 자를 써왔으며[1], 받은 녹봉 역시 한 번도 사용하지 않고 창고에 그대로 쌓아두었음을 밝혔다.[1]

결국 박팽년은 1456년 6월 7일, 세조의 친국(親鞫)을 받던 중 고문 후유증으로 옥중에서 사망하였다.[1] 사후 그의 가문은 멸족되었는데, 남성들은 모두 처형당하고 여성들은 노비가 되었다.[1]

2. 3. 사후

박팽년은 고문으로 옥사했으며, 그의 아버지와 동생, 아들까지 모두 사형당했다.[7][1][2] 일족의 여성들은 노비가 되었다.[1]

사육신하위지와 함께 유일하게 친후손이 존재한다. 그의 며느리이자 차남 박순(朴珣)의 아내였던 이씨[6]는 사육신 사건에 연좌되어 경상도 관노비가 되었으나, 당시 임신 중이었다. 그녀는 아버지의 고향인 성주로 피신하여 아들을 낳았고, 한 여종의 딸과 바꾸어 키워 아들을 무사히 살렸다고 전해진다. 이 아이는 박비(朴婢|박비한국어)라는 이름으로 숨어 지내다가 성종 때 자수하였고, 성종으로부터 박일산(朴壹珊, 박일산한국어)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숙종 대에 이르러 그의 관작이 복구되고 절개가 표창되었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충정(忠正)이라는 시호를 받았다.[7][2]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에는 박팽년의 사당이 세워져 있다. 이 사당은 18세기에 박팽년과 그의 동료들이 모범적인 신하로 재평가되면서 건립되었다. 또한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의 옛 관저 터에는 1688년 송시열이 세운 박팽년 선생 유허비가 있으며, 이는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1]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에는 이름 없는 묘가 있었다고 전해지며, 그 자리에 1978년 사육신공원이 조성되었다.[1] 박팽년이 지은 시조 몇 편도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3. 저서 및 작품

4. 가족 관계

wikitext

구분관계이름생몰년비고
부모아버지박중림(朴仲林)1390 ~ 1456
어머니 (친모)안동 김씨(安東 金氏)1392 ~ ?김익생(金益生)의 딸. 1415년 결혼.
어머니 (계모)신평 이씨(新平 李氏)1400 ~ ?1420년 결혼.
형제남동생박인년(朴引年)1419 ~ 1456
남동생박기년(朴耆年)1421 ~ 1456
남동생박대년(朴大年)1423 ~ 1456
남동생박영년(朴永年)1425 ~ 1456
여동생순천 박씨(順天 朴氏)1427 ~ ?
여동생순천 박씨(順天 朴氏)1430 ~ ?
배우자 및 자녀부인낙안 김씨(樂安 金氏)1418 ~ ?김미(金彌)의 딸. 김옥금(金玉今)이라고도 함.
→ 아들 (장남)박헌(朴憲)1437 ~ 1456
→ 아들 (차남)박순(朴珣)1442 ~ 1456
부인천안 전씨(天安 全氏)1417 ~ 1499전미(全彌, 1392–?) 또는 전념(全念, 곡산부사)의 딸.
→ 아들 (삼남)박분(朴苯)1444 ~ 1456
→ 딸 (장녀)순천 박씨(順天 朴氏)1435 ~ ?김자무(金自茂)의 처.
→ 딸 (차녀)순천 박씨(順天 朴氏)1440 ~ 1524이공린(李公麟)의 처.
→ 딸 (삼녀)군부인 순천 박씨(郡夫人 順天朴氏)1440 ~ 1500영풍군(세종의 서자, 혜빈 양씨의 3남)의 처.


5. 관련 작품

(내용 없음)

5. 1. 드라마

6. 기타

왕조실록에 의하면 그의 형 박대년(朴大年)의 아내 윤씨(尹氏)는 해평(海平)의 유력 가문 출신이었다.[8] 형수 윤씨는 진무부위(進武副尉) 윤연령(尹延齡)과 고성 박씨(지합천군사를 지낸 박취신(朴就新)의 딸) 사이의 딸[9]로, 윤근수, 윤두수의 증대고모가 된다. 또한 중종 반정을 일으킨 박원종의 할아버지 박거소는 그와 8촌 관계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박팽년(朴彭年)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11-28
[2]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서울특별시/서울의 사회·문화#박팽년 글로벌 세계대백과
[3] 웹사이트 朴彭年草書千字文 [ASIA0003] https://da.dl.itc.u-[...] 東京大学学術資産等アーカイブズポータル / 東京大学 2020-11-28
[4] 서적 세조실록 권4, 세조 2년(1456년) 6월 18일(병진) 2번째 기사; 기정진, 《노사집》 권18, 하음봉씨족보 서문
[5] 서적 서사원, 《낙재집》 권5, 朴同知忠後墓碣銘
[6] 서적 이름은 옥덕(玉德)이다(《세조실록》 권5, 세조 2년(1456년) 9월 7일(갑술) 4번째 기사).
[7] 백과사전 박팽년 글로벌 세계대백과
[8]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9] 웹사이트 오음선대고성박씨묘표(梧陰先代固城朴氏墓表) http://gsm.nricp.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