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성군은 충청남도 중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서산시, 예산군, 청양군, 보령시 등과 인접해 있다. 봉수산, 백월산, 오서산 등을 중심으로 구릉성 지형을 이루며, 삽교천, 상지천, 와룡천 등이 천수만으로 흘러들면서 평야를 형성한다. 서해안에 인접하여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백제 시대부터 조선 시대 홍주목을 거쳐 1914년 홍성군으로 통합되었으며, 3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기준 인구는 약 10만 명으로, 농업, 축산업, 수산업이 발달했으며, 최근에는 상업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홍성한우, 남당항의 대하, 새조개 등이 유명하며, 홍성역사인물축제, 홍성남당항대하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최영, 성삼문, 한용운, 김좌진 등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으며, 울진군, 오부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성군의 행정 구역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홍성군의 행정 구역 - 홍성읍
홍성읍은 충청남도 홍성군의 군청 소재지이자 행정 중심지로, 산악 지형과 평야 지대를 아우르며 주요 관공서, 교육기관, 문화재와 철도역을 포함한 교통망을 갖춘 인구 4만 명 이상의 도시이다. - 홍성군 - 충남교통방송
충남교통방송은 충청남도 지역의 교통 정보를 24시간 제공하는 FM 라디오 방송으로, FM 103.9㎒를 통해 서산시, 홍성군, 예산군, 당진시, 태안군 일원에서 청취 가능하며 원효봉 송신소와 흑성산 중계소를 통해 충남 전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고 2025년에는 서산 원효봉 중계소가 내포신도시 부지로 이전될 예정이다. - 홍성군 - 광천공공도서관
광천공공도서관은 1997년 개관하여 2012년 광천복합공공청사로 이전 및 재개관했으며, 종합자료실, 문화강좌실, 문학어린이실, 학습실 등을 운영하고,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는 휴관한다. - 충청남도의 군 - 청양군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청양군은 칠갑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많고 백제 시대부터 역사를 지닌 1읍 9면의 농업 기반 지역으로, 충청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으며 칠갑산 도립공원 등의 관광자원과 충남도립청양대학교가 있다. - 충청남도의 군 - 부여군
부여군은 충청남도 서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가 있던 곳으로, 역사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5면으로 구성되었고, 금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 온대 기후, 풍부한 백제 유적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홍성군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홍성군 |
한자 표기 | 洪城郡 |
로마자 표기 | Hongseong-g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ongsŏng-gun |
유형 | 군 |
위치 | 호서 지방 |
면적 | 443.5 km² |
인구 | 98,866명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201.1 명/km² |
방언 | 충청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3읍 8면 |
정치 | |
군수 | 이용록 (국민의힘) |
지역 번호 | |
지역 번호 | +82-41 |
시간대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상징 | |
군목 | 느티나무 |
군화 | 개나리 |
군조 | 파랑새 |
기타 | |
웹사이트 | 홍성군청 |
![]() | |
![]() | |
![]() | |
![]() |
2. 지리
충청남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천수만과 접한다. 동쪽에는 봉수산(484m), 서쪽에는 백월산(394m), 남쪽에는 오서산(790m), 북쪽에는 용봉산(374m)이 있어 구릉 지형을 이룬다. 오서산에서 발원하여 장항선을 따라 홍성읍, 홍동면, 금마면, 홍북읍의 4개 읍면을 거쳐 북쪽으로 흐르는 삽교천 유역이 군내 최대 평야이자 미곡 산지다. 장항선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상지천과, 오서산에서 발원한 광천천이 합류하는 광천읍 일대와 예산군 덕숭산에서 발원한 와룡천이 천수만으로 흘러드는 유역 일대도 넓은 평야를 이룬다.[1]
2. 1. 인접 지역
서쪽은 서산시, 동북쪽은 예산군, 동남쪽은 청양군, 남쪽은 보령시와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천수만을 사이로 태안군 안면도와 마주한다.[1]3. 기후
서부가 바다에 맞닿아 있어 대체로 따뜻하나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많이 내려간다. 연평균 기온은 11.7°C, 1월 평균 기온은 -3.6°C, 8월 평균 기온은 26.1°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167mm이다.
4. 역사
백제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홍주목이 설치되어 충청도 서북부 지역의 행정과 군사 중심지 역할을 했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홍주부가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홍주군이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 홍주군과 결성군이 통합되어 홍성군이 되었다.
1978년 10월 7일에는 홍성 지진이 발생했다.
1983년 2월 15일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와 결성면 와리가 갈산면에, 결성면 중리가 서부면에 편입되었다. 홍동면 일부(운룡리·월림리·대평리)가 광천읍에, 홍동면 구룡리와 홍북면 내법리가 홍성읍에 편입되었다.[22]
1989년 1월 1일 서산군 안면읍 죽섬리가 서부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부터 2006년까지 4번의 군수 선거가 치러져 각각 이종근, 이상선, 채현병, 이종건이 당선되었다.
2006년 충청남도청 이전 예정지가 내포신도시로 결정되었고, 2012년 충청남도청이 내포신도시로 이전하였다.
4. 1. 행정 구역 변천
- 995년 고려 성종 14년에 운주(運州)라 하였다.
- 1356년 고려 공민왕 5년에 홍주목(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실시된 지방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홍주목과 결성군이 설치되었다.
- 1530년 조선 중종 25년 홍주부(洪州府)를 두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지방 행정 구역이 23부제로 개편됨에 따라 홍주부(洪州府)로 승격되어 인근 22개 군(홍주군, 결성군, 덕산군, 한산군, 서천군, 비인군, 남포군, 보령군, 임천군, 홍산군, 서산군, 해미군, 당진군, 면천군, 태안군, 대흥군, 청양군, 예산군, 신창군, 온양군, 아산군, 정산군)을 관할했다.[23]
- 1896년 8월 4일 13도제에 의해 홍주군(충남 37군 중 공주군(1등군) 다음 2등군(수원군, 대구군 등))으로 개편되었다.[24]
- 1914년 4월 1일 홍주군과 결성군을 통합하여 홍성군으로 개편하였다.[25]
- 1917년 10월 1일 홍양면을 홍주면으로, 용천면을 결성면으로 개칭하였다.[27]
- 1941년 10월 1일 홍주면을 홍성읍으로 승격하였다.[28]
- 1942년 10월 1일 광천면을 광천읍으로 승격하고, 고도면을 갈산면으로 개칭하였다.[29]
- 2017년 8월 1일 홍북면이 홍북읍으로 승격되었다.
5. 행정 구역
홍성군의 행정 구역은 3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44.02 km²로 세종특별자치시, 남양주시, 평택시와 비슷하며, 충청남도 전체 면적의 5.4%를 차지한다.[31]
2021년 5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46,754세대, 99,757명으로, 충청남도 7개 군 지역 중 가장 많다.[31] 1960년 144,741명까지 증가했던 인구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대전광역시에 있던 충청남도청이 홍북읍 일원의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서 다시 증가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시 감소 추세에 있다.
홍성읍에 군 전체 인구의 40%, 홍북읍에 30%, 광천읍에 10%가 거주하여, 이들 3개 읍이 군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한다. 특히 2013년 충청남도청이 내포신도시로 이전할 당시 4,900여 명이었던 홍북면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 1월에는 광천읍의 인구를 추월하기도 했다. 2017년 8월에는 홍북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각 읍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 | 법정리 |
---|---|
홍성읍 | 오관리, 옥암리, 남장리, 대교리, 소향리, 신성리, 내법리, 고암리, 구룡리, 송월리, 월산리, 학계리 |
광천읍 | 가정리, 광천리, 내죽리, 담산리, 대평리, 매현리, 벽계리, 상정리, 소암리, 신진리, 용암리, 운룡리, 월림리 |
홍북읍 | 갈산리, 내덕리, 노은리, 대동리, 대인리, 봉신리, 산수리, 상하리, 석택리, 신경리, 신정리, 용산리, 중계리 |
금마면 | 가산리, 덕정리, 봉서리, 부평리, 송강리, 송암리, 신곡리, 용흥리, 월암리, 인산리, 장성리, 죽림리, 화양리 |
홍동면 | 구정리, 금당리, 금평리, 대영리, 문당리, 수란리, 신기리, 운월리, 원천리, 월촌리, 팔각리, 홍원리, 화신리, 효학리 |
장곡면 | 가송리, 광성리, 대현리, 도산리, 산성리, 상송리, 신동리, 신풍리, 오성리, 옥계리, 월계리, 죽전리, 지정리, 천태리, 행정리, 화계리 |
은하면 | 금곡리, 대곡리, 대천리, 대판리, 덕실리, 목현리, 유송리, 장곡리, 장척리, 학산리, 화봉리 |
결성면 | 교항리, 금곡리, 무량리, 성곡리, 성남리, 성호리, 용호리, 읍내리, 형산리 |
서부면 | 이호리, 광리, 궁리, 상황리, 거차리, 어사리, 남당리, 신리, 양곡리, 판교리, 중리, 죽도리 |
갈산면 | 가곡리, 갈오리, 기산리, 내갈리, 대사리, 동산리, 동성리, 부기리, 상촌리, 신안리, 쌍천리, 오두리, 와리, 운곡리, 취생리, 행산리 |
구항면 | 공리, 남산리, 내현리, 대정리, 마온리, 신곡리, 오봉리, 장양리, 지정리, 청광리, 태봉리, 황곡리 |
5. 1. 읍면별 현황
읍면 | 한자 | 면적 (km²) | 면적 (%) | 인구[31] | 세대 |
---|---|---|---|---|---|
홍성읍 | 洪城邑 | 30.48 | 6.87% | 38,007 | 17,961 |
광천읍 | 廣川邑 | 35.04 | 7.88% | 8,446 | 4,458 |
홍북읍 | 洪北邑 | 44.66 | 10.06% | 28,850 | 11,230 |
금마면 | 金馬面 | 34.16 | 7.69% | 3,497 | 1,872 |
홍동면 | 洪東面 | 37.99 | 8.56% | 3,431 | 1,692 |
장곡면 | 長谷面 | 54.92 | 12.37% | 2,908 | 1,598 |
은하면 | 銀河面 | 30.89 | 6.96% | 2,284 | 1,241 |
결성면 | 結城面 | 29.15 | 6.57% | 2,089 | 1,165 |
서부면 | 西部面 | 55.55 | 12.51% | 3,534 | 1,943 |
갈산면 | 葛山面 | 54.35 | 12.24% | 3,534 | 1,908 |
구항면 | 龜項面 | 36.80 | 8.29% | 3,478 | 1,908 |
홍성군 | 洪城郡 | 444.02 | 100% | 99,757 | 46,754 |
6. 군청
현재 홍성군청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위치하고 있다.
7. 인구
洪城郡중국어의 2019년 2월 28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100,799명이다.[32] 1960년 144,741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내포신도시 개발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행정구역 | 남성 | 여성 | 총계 | 비율 |
---|---|---|---|---|
홍성읍 | 18,979 | 19,313 | 38,292 | 38.33% |
광천읍 | 4,169 | 4,340 | 8,509 | 8.52% |
홍북읍 | 14,300 | 14,262 | 28,562 | 28.59% |
결성면 | 1,782 | 1,722 | 3,504 | 3.51% |
홍동면 | 1,748 | 1,708 | 3,456 | 3.46% |
장곡면 | 1,419 | 1,523 | 2,942 | 2.94% |
은하면 | 1,166 | 1,142 | 2,308 | 2.31% |
결성면 | 1,028 | 1,083 | 2,111 | 2.11% |
서부면 | 1,609 | 1,651 | 3,260 | 3.26% |
갈산면 | 1,753 | 1,764 | 3,517 | 3.52% |
구항면 | 1,736 | 1,712 | 3,448 | 3.45% |
총계 | 49,689 | 50,220 | 99,909 | 100% |
7. 1.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 | 총인구 |
---|---|
1999년 | 97,472명 |
2005년 | 91,432명 |
2007년 | 89,539명 |
2008년 | 88,176명 |
2009년 | 87,631명 |
2010년 | 88,078명 |
2011년 | 88,108명 |
2012년 | 88,415명 |
2013년 | 89,704명 |
2014년 | 91,866명 |
2015년 | 94,553명 |
2016년 | 99,971명 |
2017년 | 101,533명 |
7. 2. 홍성예산권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홍성군, 예산군을 '''홍성예산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서산시, 당진시, 보령시와 연담하여 '''내포권'''의 일부를 형성한다.8. 산업
홍성군은 1차 산업, 즉 농업, 축산업, 수산업이 고루 발달한 지역이다. 3차 산업의 비중이 높으며, 사업 서비스업,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 서비스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8. 1. 지역 내 총생산
1차 산업 위주로, 농업, 축산업, 수산업이 고루 발달해 있다.[33]8. 2. 산업별 종사자 수
2014년 홍성군 총 종사자 수는 33,161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4.1%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 어업(1차 산업)은 294명,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311명(16%),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7,499명(82.9%)이다.[34]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34] 3차 산업 중에서는 사업서비스업(3%), 도소매업(16.1%), 숙박 및 음식점업(10.9%), 교육서비스업(8.4%)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34]8. 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2010년 기준 홍성군의 상주인구는 81,053명이고 주간인구는 85,274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5로 낮다.[35]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999명, 유출인구는 1,695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163명, 유출인구는 246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4,221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35]8. 4. 농업
홍성군은 남쪽 오서산에서 용봉산으로 이어지는 낮은 산지를 기준으로 북동쪽의 금마천 유역과 서쪽의 와룡천, 천수만 간척지(서산 A·B지구)를 중심으로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다. 특히 홍동면 문당리는 대한민국 최초로 오리 농법을 시행한 곳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도 관심을 가졌던 곳이다.8. 5. 축산업
대한민국의 최대 축산 단지 중 하나이며,[36] 한우 브랜드 통합을 통해 홍성한우를 생산하고 있다. 홍성한우는 2012년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대상을 한우 부분에서 수상하였다.[37]8. 6. 수산업
서부면 남당항을 중심으로 대하, 새조개를 비롯한 수산물이 생산된다.[14]8. 6. 1. 어항 시설
남당항, 어사항, 궁리항이 주요 어항이다.9. 교통
장항선 철도가 지나며, 홍성역과 광천역에서 열차가 정차한다. 화양역과 신성역은 현재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무인 간이역이다.[1] 서해선 복선전철이 건설 중이며, 홍성역을 경유할 예정이다.[2]
서해안고속도로 홍성 나들목, 광천 나들목이 있다.[3]
농어촌버스와 고속/시외버스가 운행 중이다. 홍성, 광천, 내포(충남도청사)에서 고속/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4] 남탕항(南塘港)이 있다.[5]
9. 1. 주요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광천 나들목, 홍성 나들목
- 서산영덕고속도로: 예산수덕사 나들목, 고덕 나들목 (예산군 소재)
- 국도 제21호선: 천안, 아산, 예산, 보령, 서천 방면
- 국도 제29호선: 서산, 청양, 부여 방면(청양, 부여 방면으로 현재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 국도 제40호선: 당진(합덕), 예산(덕산), 보령(천북, 오천) 방면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지방도 제602호선(충남대로): 내포신도시의 주 도로(동서방향)이며, 2015년에 새로 신설된 도로이다.
- 지방도 제609호선: 내포신도시의 주 도로(남북방향)이며, 장곡면 이남 구간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 지방도 제616호선
- 지방도 제619호선: 장곡면 아주 일부를 경유
9. 2. 철도

- 장항선: 홍성역, 광천역에서 정차한다. 홍성역과 광천역 사이 신성역을 기준으로 천안 방면 노선은 2008년까지 직선화 개량 사업이 완료되었고, 광천, 청소 방면 노선은 현재 개량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17년 신창역 이남 복선전철화를 발주하였으며, 2022년 신성역 이북 구간 복선전철화 준공 예정이다.
- 화양역, 신성역: 이 역은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무인간이역이다. 2007년 6월 1일 여객영업이 중단되어 전 열차가 통과하게 되었다.
- 서해선: (예산군) ← 홍성역
9. 3. 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주여객이 운행하는 농어촌버스가 있다. 홍성, 광천, 내포(충남도청사)에서 고속/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10. 교육 기관
종류 | 기관명 |
---|---|
국공립대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전충남지역대학 홍성군학습관 |
사립대학교 | 청운대학교, 혜전대학교 |
폴리텍대학 | 한국폴리텍4대학 충남캠퍼스 |
고등학교 | 홍성고등학교(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포함, 2016년 내포신도시 이전), 홍성여자고등학교, 갈산고등학교, 광천제일고등학교, 홍주고등학교(사립), 홍성공업고등학교, 광천고등학교(사립), 서해삼육고등학교(사립) |
중학교 | 홍성중학교, 홍성여자중학교, 홍주중학교(사립), 서해삼육중학교(사립), 내포중학교, 갈산중학교, 광천중학교, 홍동중학교, 금마중학교, 홍성서부중학교 |
초등학교 | 홍성초등학교, 홍주초등학교, 홍남초등학교, 내포초등학교, 한울초등학교, 홍북초등학교, 광천초등학교, 서해삼육초등학교(사립), 홍동초등학교, 금마초등학교, 배양초등학교, 구항초등학교, 대정초등학교, 은하초등학교, 결성초등학교, 장곡초등학교, 금당초등학교, 용봉초등학교, 갈산초등학교, 서부초등학교, 신당초등학교 |
11. 공공기관
홍성군에는 행정, 사법, 기타 공공기관들이 있다.
행정기관으로는 홍성군청, 홍성군의회, 홍성군보건소, 홍성경찰서, 홍성소방서, 홍성세무서, 홍성교도소, 홍성우체국 등이 있다.
사법기관으로는 대전지방법원/대전가정법원 홍성지원,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이 있다.
충청남도청, 충청남도교육청 등 충청남도 관련 기관과 정부충남지방합동청사, 충남도서관, 충청남도청 문예회관 등 공공시설은 내포신도시에 있다.
충남지방경찰청, 충청남도의회는 내포신도시에 있지만, 행정구역상 예산군 삽교읍에 있다.[1]
11. 1. 홍성읍 소재
홍성군청, 홍성군의회, 홍성군보건소, 홍성경찰서, 홍성소방서, 홍성세무서, 홍성교도소, 홍성우체국, 홍주문화회관, 홍주종합경기장, 홍성읍 행정복지센터 및 주민자치센터, 대전지방법원/대전가정법원 홍성지원,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충청남도홍성교육지원청, 국가보훈처 충남서부보훈지청, 충청지방통계청 홍성사무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홍성청양사무소, 한국농어촌공사 홍성지사, 한국부동산원 홍성지사, 한국전력공사 홍성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홍성지사가 있다.[1]11. 2. 홍성읍 외 지역 소재
- 충청남도청 (홍북면)
- 충남가축위생연구소 (금마면)
- 충남보건환경연구원
- 충청남도교육청 (홍북면)
- 충청남도유아교육진흥원 (홍북면, 구 산수초등학교)
- 충청남도평생교육진흥원
- KT&G 내포지점 (홍북면)
- KBS 홍성방송센터 (내포 이전)
- 농협중앙회 충남세종지역본부
- 충청남도개발공사
- 정부충남지방합동청사
- 충남도서관
- 충청남도청 문예회관
- 홍북읍사무소 내포출장소
- 홍성군보건소 내포지소
- 충남도립미술관, 충남도립예술의전당(Art center|아트 센터영어) (2025년 내 개장 목표)
- 대한적십자사 충남지사
- 충청남도보훈회관
- 충남농촌융복합센터
- 충남공공디자인센터
- 한국국토정보공사 대전충남세종지역본부
- 홍성기상대
- 국립서해안기후대기센터
12. 문화 관광
홍성군은 다양한 문화재와 역사적 인물을 기념하는 장소가 많은 곳이다.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홍성 고산사 대웅전,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홍성 홍주읍성, 홍성 홍주의사총 등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김좌진 장군 생가지, 한용운 선생 생가지 등 독립운동 관련 유적지도 있다.
홍성에서는 홍성역사인물축제, 홍성남당항대하축제, 광천토굴새우젓·광천김대축제, 홍성남당항새조개축제 등 다채로운 축제가 열린다. 이 외에도 천수만의 바지락을 주제로 한 남당리 바지락 축제[11][12], 내포 문화를 기념하는 내포 축제[13], 청산리 전투 승전을 기념하는 김좌진 장군 승전 축제[14] 등이 있다.
12. 1. 문화재
-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 홍성 고산사 대웅전
-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 홍성 홍주읍성: 홍성읍 오관리에 있는 성으로 사적 231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동문인 조양문과 동헌인 안회당, 홍주아문과 여하정, 약 800m의 성벽이 남아있다. 최근 군에서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8]
- 홍성 홍주의사총
- 홍주향교
- 결성향교
- 홍성 사운 고택
- 홍성 노은리 고택
- 성삼문 선생 유허지
- 김좌진 장군 생가지
- 한용운 선생 생가지: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이며 시인인 한용운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충청남도 기념물 76호로 지정되어 있다. 1992년에 생가를 중심으로 복원사업을 시작하여 초가, 사당삼문, 관리사, 화장실 등을 건립하고 주변을 정비하였다. 가옥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초가인데 양 옆으로 1칸을 달아내어 광과 헛간으로 사용하고 울타리는 싸리나무로 둘렀으며 바깥에 흙벽돌로 화장실을 만들었다.[39]
-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 홍주성역사관
- 결성농요박물관
- 홍성민속테마박물관
- 홍성조류탐사과학관(서부면)
최영 관련 유적:[5]
- 기봉사: 노은리에 위치, 1995년 중건된 사당; 매년 가을 최영 장군의 넋을 위로하는 제사를 지내는 곳
성삼문 관련 유적:[6]
- 성삼문 선생 묘소: 노은리에 위치, 그의 외가와 출생지; 1676년 폐쇄된 강당이었던 곳
- 성삼문 선생 유허비: 노은리에 위치, 유허비를 보존하는 건물
- 노은단: 노은리에 위치, 매년 10월 10일 제사를 지내는 곳; 성삼문의 신주를 모시는 곳
한용운 관련 유적:[8]
- 만해 한용운 생가: 결성면에 위치한 기념관
- 만해사 사당: 홍북면에 위치, 그의 초상화를 모시기 위해 건립됨
- 만해 한용운 동상: 남장리에 위치, 그의 업적을 민족정신의 표상으로 세움
- 만해 한용운 문화체험관: 결성면에 위치, 2007년 그의 생가 앞에 그의 정신과 철학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됨
김좌진 관련 유적:[9]
- 김좌진 장군 생가: 갈산면 백야공원에 위치, 그가 태어나고 자란 곳; 1991년 복원 시작
- 김좌진 장군 추모비: 갈산면에 위치, 그의 업적을 기리는 비; 1949년 건립
- 김좌진 장군 동상: 고암리에 위치, 31세에 일본군을 토벌한 그의 업적을 기림
- 백야사: 갈산면에 위치, 매년 10월 25일 백야제 때 제사를 지내는 사당
12. 2. 축제
- 홍성역사인물축제
- 홍성남당항대하축제
- 광천토굴새우젓·광천김대축제
- 홍성남당항새조개축제
- 글로벌 바베큐 페스티벌
- 남당리 바지락 축제: 천수만 지역의 해안 지형적 특징은 풍부한 바지락을 제공한다. 바지락은 독특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 지역에서는 쉽게 먹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축제는 점차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태안 부근의 기름 유출로 최근 이 축제를 개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홍성은 기름 유출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았다. 홍성군은 2008년 1월 16일에 주최지로 선정되었다.[11][12]
- 내포 축제: 2004년에 처음 시작된 이 축제는 10월 홍성 전역의 내포 문화를 기념한다. 이는 홍성 주민들의 문화적 충성심을 보여준다. 홍주성 전투에서 목숨을 바친 최영 장군과 그들을 기념하면서 많은 경연 대회와 공연이 포함된다.[13]
- 김좌진 장군 승전 축제: 이 축제는 매년 10월 김좌진 장군의 생가와 사당에서 청산리 대첩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열린다. 볼거리로는 봉산탈춤, 풍물 공연, 군사 학교 행사, 막걸리 시음 등이 있다.[14]
12. 3. 관광지
13. 인물
14.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Greetings
https://www.hongseon[...]
[3]
웹사이트
Flag/Flower/Tree/Bird representing the region
http://www.hongseong[...]
2013-12-26
[4]
웹사이트
Population
https://www.hongseon[...]
[5]
웹사이트
Choi Young
http://www.hongseong[...]
2013-12-26
[6]
웹사이트
Seong Sammun
http://www.hongseong[...]
2013-12-26
[7]
웹사이트
Han Seongjun
http://www.hongseong[...]
2013-12-26
[8]
웹사이트
Han Yongwun
http://www.hongseong[...]
2013-12-26
[9]
웹사이트
Kim Jwajin
http://www.hongseong[...]
2013-12-26
[10]
웹사이트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http://www.hongseong[...]
2013-12-26
[11]
뉴스
홍성 새조개축제 18일 개막
http://news.naver.co[...]
Yeonhap News
2008-01-16
[12]
웹사이트
Namdangli Cockle Festival
http://www.hongseong[...]
2013-12-26
[13]
웹사이트
Naepo Festival
http://www.hongseong[...]
2013-12-26
[14]
웹사이트
Festival of General Kim's victory
http://www.hongseong[...]
2013-12-26
[1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6]
법령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7]
법령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8]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9]
법령
道令第8号
1917-09-25
[20]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53号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09-29
[21]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43号
1942-09-30
[22]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3]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4]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6]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27]
법령
도령 제8호
1917-09-25
[2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41-09-29
[2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30]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1]
기타
[32]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33]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34]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35]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36]
뉴스
“명품 한우·돼지 지켜라” 횡성·홍성 방역 총력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0-05-03
[37]
웹인용
《홍성소식 2012년》 4월호
https://web.archive.[...]
2012-04-26
[38]
웹사이트
홍성군, 천년홍주 역사 되살리는 홍주성 복원 로드맵 구상
http://www.daejeonto[...]
[39]
웹사이트
홍성팔경-만해한용운 생가
http://tour.hongseon[...]
2012-04-28
[40]
웹인용
홍성소식 2013년 12월호
https://web.archive.[...]
2012-04-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흑백요리사’ 박은영·오세득, 홍성바비큐축제 간판 셰프에
‘데이고 눌리고’ 수억년을 견뎠다…신비로운 변성암의 세계
축산분뇨를 재생에너지원으로···홍성에 ‘농촌자원순환 재생에너지마을’ 생긴다
쇠락한 읍내 옛길 ‘홍고통’이 시끌벅적하다고?
“백종원과 협업 안 해” 예산·홍성·금산군, 독자적으로 행사 개최
충남 홍성서 ‘전국 주부가요제’ 열린다
충남 홍성 김 제조공장서 불…소방, 대응 1단계 진화 중
충남 광천 김 공장 2개 동에 ‘불’…인명 피해는 없어
[속보]충남 홍성 김 공장서 큰 불···대응 1단계
복서 출신 배우 조성규, 폭염 속 수해복구 현장 누비는 '숨은 영웅'
폭우로 충남 피해 ‘3664억’ 달해···“특별지원금 지급”
홍성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서 더본 빠진다
산청 복구율 8%…"특별재난지역 서둘러 지정"
폭염 속 복구 구슬땀…"특별재난지역 서둘러 지정"
복구에도 막막…이 대통령 "특별재난지역 서둘러 지정"
지구온난화로 달궈진 한반도 남쪽 바다, ‘괴물 폭우’ 몰고 왔다
200년에 한번 내릴 폭우…닷새간 전국 곳곳에 쏟아졌다
서산, 광주, 홍성, 서청주, 천안…17일 폭우로 관측 이래 가장 많은 비
광주에 하룻동안 426.4㎜ ‘극한호우’…19일까지 비 더 내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