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방울수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방울수선속(Leucojum)은 유럽 원산의 식물 속으로, 봄 또는 여름에 흰색 종 모양의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이 속에는 은방울수선(Leucojum aestivum)과 봄은방울수선(Leucojum vernum) 두 종이 있으며, 좁게 정의된 은방울수선속은 2종으로 구성된다. 은방울수선속은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정원 식물로 재배되기도 한다. 은방울수선속은 구근 파리, 달팽이, 민달팽이, 곰팡이 등에 의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그레이브티 자이언트'와 '포드폴로제'와 같은 품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선화아과 - 수선화속
수선화속은 유럽, 지중해, 북아프리카, 중동, 아시아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구근식물 속으로, 다양한 꽃 색깔과 형태, 나팔 모양 부화관이 특징이며, 원예용으로 재배되지만 멸종 위기종도 있고 유독성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 수선화아과 - 상사화
상사화는 비늘줄기를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8월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잎은 꽃이 진 후에 돋아나고, 리코린을 함유한 유독 식물이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꽃 - 무궁화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여겨지는 낙엽 관목으로, 여름 동안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강한 생명력을 지닌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다. - 꽃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은방울수선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eucojum |
명명자 | L.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목 | 비짜루목 |
과 | 수선화과 |
아과 | 수선화아과 |
족 | 설강화족 |
속 | 은방울수선속 |
속 명명 | L. |
하위 분류 | |
하위 링크 | 종 |
하위 | Leucojum aestivum ssp. aestivum ssp. pulchellum Leucojum vernum var. vernum var. carpathicum |
이명 | |
이명 목록 | Nivaria Heist. ex Fabr. Narcissoleucojum Ortega Erinosma Herb. Polyanthemum Bubani |
2. 특징
피레네산맥에서 루마니아와 서러시아에 이르는 유럽 중남부가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 동해안을 포함한 다른 여러 지역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잎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녹색을 띠며 길고 좁은 편이지만, 근연 속인 ''Acis''에 비해서는 넓은 끈 모양이다. 꽃은 주로 봄에 피며, 흰색의 꽃잎 6장이 종 모양을 이루고 아래를 향해 핀다. 각각의 꽃잎 끝에는 녹색 또는 노란색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약간의 향기가 난다. 꽃은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는 삭과로, 익으면 말라서 3갈래로 갈라지며 안에는 둥글고 까만 씨앗이 들어 있다.
2004년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이전까지 은방울수선속(''Leucojum'')에 포함되었던 일부 종들이 ''Acis''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좁은 의미의 은방울수선속에는 은방울수선(''Leucojum aestivum'')과 봄은방울수선(''Leucojum vernum'') 단 두 종만이 속한다. 두 속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특징 | 은방울수선속 (Leucojum) | Acis 속 |
---|---|---|
꽃줄기(화경) | 속이 비어 있음 | 속이 차 있음 |
꽃잎 무늬 |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 녹색 또는 노란색 점 | 무늬 없음 |
작은꽃자루(소화경) 길이 | 포(苞)와 길이가 거의 같음 | 포(苞)보다 짧음 |
씨앗 크기 | 큼 (5mm 에서 7mm) | 작음 |
잎 모양 | 넓은 끈 모양 (너비 5mm 에서 25mm) | 좁은 실 모양 |
2. 1. 봄은방울수선 (''Leucojum vernum'')
봄은방울수선(''Leucojum vernum'')은 수선화과의 식물로, 흔히 스프링 스노플레이크(Spring snowflake)라고도 불린다. 피레네산맥에서 루마니아와 서러시아에 이르는 유럽 중남부가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 동해안을 포함한 다른 여러 지역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보통 15cm에서 20cm 높이로 자라지만, 때로는 35cm까지 크기도 한다. 잎은 어두운 녹색을 띠며 길고 좁은 모양이지만, 최대 25mm 너비로 비교적 넓은 끈 모양에 속한다. 꽃은 이름처럼 봄에 피는데, 갈란투스(스노드롭)보다는 약 1~2주 늦은 2월 중순에서 3월 사이에 개화하며, 원산지에서는 눈이 녹은 직후에 꽃을 피운다. 일반적으로 한 줄기 끝에 흰색 꽃 한 송이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린다. 꽃잎은 6장이며, 각각의 꽃잎 끝에는 녹색 점(때로는 노란색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에는 약간의 향기가 있으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삭과 형태로, 익으면 말라서 세 갈래로 갈라지며 안에는 둥글고 까만 씨앗이 들어있다. 씨앗의 크기는 약 5mm에서 7mm 정도이다.
몇 가지 변종이 알려져 있다.
변종 | 특징 |
---|---|
L. vernum var. vernum | 기본 변종으로, 꽃잎 끝에 녹색 점이 있다. |
L. vernum var. carpathicum | 기본 변종보다 식물체가 더 크고, 꽃잎 끝의 점이 노란색을 띤다. |
L. vernum var. vernum 'Vagneri' | var. vernum의 품종으로, 보통 한 줄기에 꽃이 두 송이씩 달린다. |
2004년 분류학적 재정의에 따라 은방울수선속(''Leucojum'')은 현재 봄은방울수선(''L. vernum'')과 은방울수선(''L. aestivum'') 두 종만을 포함한다. 이 속의 특징으로는 속이 빈 꽃자루, 꽃잎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 녹색 또는 노란색 무늬가 있는 점, 포를 둘러싸는 꽃차례만큼 긴 꽃자루 등을 들 수 있다.
2. 2. 은방울수선 (''Leucojum aestivum'')
유럽에서 서남아시아, 이란 북부까지 넓게 분포하며, 축축한 삼림 지대를 포함한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및 우루과이 등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봄은방울수선보다 키가 커서 약 60cm까지 자라지만 꽃은 더 작다. 잎의 너비는 5mm 에서 20mm 정도이다. 꽃은 4월에서 5월 사이에 피며, 한 줄기에 3~7송이의 꽃이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달린다. 아종인 ''Leucojum aestivum'' subsp. ''pulchellum'' (Salisb.) Briq.은 지중해 서안이 원산지로, 키가 20cm 정도로 작고 꽃이 3월 중순에 핀다. 흔히 섬머 스노플레이크(summer snowflake) 또는 로던 백합이라고도 불리며, 한국에서는 흰꽃물망초라고 부르기도 한다.3. 분류
은방울수선속(''Leucojum'')은 1753년 칼 폰 린네가 ''Leucojum vernum''과 ''L. autumnale'' 두 종을 포함하여 처음 설정하였다. 이후 1759년에 ''L. aestivum'' 종이 추가되었다.
1807년 리처드 앤서니 샐리버리는 ''L. autumnale''을 기반으로 새로운 속인 ''Acis''를 제안했으나, 이 분류는 오랫동안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04년, 계통발생학적 연구를 통해 기존의 넓은 의미의 은방울수선속이 단계통군이 아님이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Acis'' 속은 좁은 의미의 은방울수선속(''Leucojum'' s.s.) 및 Galanthus 속과 함께 갈란투스족 내에서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계통학적 분석에 따라, 기존 은방울수선속에 속했던 종들 중 좁은 잎, 단단한 줄기, 꽃잎 무늬 부재 등의 특징을 공유하는 9종은 ''Acis''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그 결과 현재 은방울수선속(''Leucojum'')에는 단 두 종만이 남게 되었다.
3. 1. 하위 종
현재 은방울수선속(''Leucojum'')에는 다음 두 종이 포함된다.
- '''봄은방울수선''' (''Leucojum vernum'' L.)
- 피레네산맥에서 루마니아와 서러시아에 이르는 유럽 중남부가 원산지이다. 북아메리카 동해안 등 다른 많은 지역에 귀화하여 분포하기도 한다.
- 잎은 어두운 녹색이며 길고 좁다. 보통 15cm에서 20cm 높이로 자라지만, 35cm까지 자라기도 한다.
- 꽃은 갈란투스(스노드롭)보다 1~2주 늦은 2월 중순에서 3월 사이에 피며, 자생지에서는 눈이 녹은 직후에 핀다. 한 줄기에 보통 한 송이의 꽃이 달린다. 꽃은 흰색의 꽃잎 6장이 종 모양을 이루며 아래를 향해 핀다. 각 꽃잎 끝에는 녹색 점(때로는 노란색)이 있으며 약간의 향기가 난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 열매는 삭과로, 마르면 세 갈래로 갈라지며 안에는 둥글고 까만 씨앗이 들어있다.
- 두 개의 변종이 알려져 있다.
- ''L. vernum'' var. ''vernum'': 꽃잎 끝에 녹색 점이 있다. 이 변종의 재배품종인 'Vagneri'는 보통 한 줄기에 꽃을 두 송이씩 피운다.
- ''L. vernum'' var. ''carpathicum'' Sims: 식물체가 더 크고 꽃잎 끝에 노란색 점이 있다.
- 영명은 '스프링 스노플레이크'(spring snowflake)이다.
- '''은방울수선''' (''Leucojum aestivum'' L.)
- 유럽에서 서남아시아, 이란 북부까지 넓게 분포하며, 축축한 삼림 지대를 포함한 습한 곳에서 자란다.
- 봄은방울수선보다 크기가 커서 약 60cm까지 자라지만, 꽃은 더 작다.
- 꽃은 4월에서 5월 사이에 피며, 한 줄기에 3~7송이의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 아종 ''L. aestivum'' subsp. ''pulchellum'' (Salisb.) Briq.은 지중해 서안이 원산지이며, 키가 20cm 정도로 더 작고, 꽃이 2주 정도 빠른 3월 중순에 핀다.
- 영명은 '서머 스노플레이크'(summer snowflake)이다.
'''분류학적 역사'''
1753년 칼 폰 린네는 ''Leucojum'' 속을 처음 설정하며 ''Leucojum vernum''과 ''L. autumnale'' 두 종을 포함시켰다. 1759년에는 ''L. aestivum''을 추가했다.
1807년 리처드 앤서니 샐리버리는 ''The Paradisus Londinensis''에서 ''L. autumnale''과 ''L. pulchellum''(현재 ''L. aestivum''의 아종으로 분류)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면서, 두 종 간의 차이가 ''L. autumnale''을 새로운 속인 ''Acis''로 옮기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로버트 스위트(1829년) 등 일부 식물학자들은 이 분류를 받아들였으나, 브라이언 매튜(1987년)와 같이 대부분은 모든 종을 여전히 ''Leucojum'' 속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2004년, 계통발생학적 연구 결과 기존의 광범위한 ''Leucojum'' 속이 단계통군이 아님이 밝혀지면서 ''Acis'' 속이 다시 인정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Acis'' 속과 더 좁게 정의된 ''Leucojum'' 속(s.s.)은 Galanthus 속과 함께 갈란투스족 내에서 가까운 관계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좁은 잎, 단단한 줄기, 무늬 없는 꽃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Leucojum'' 속의 9종은 ''Acis'' 속으로 옮겨졌고, 현재 ''Leucojum'' 속에는 위에서 설명한 두 종만이 남게 되었다.
4. 분포 및 서식지
은방울수선속(''Leucojum'')은 북서유럽을 제외한 유럽이 원산지이며, 터키를 거쳐 이란까지 분포한다. 대표적인 종은 다음과 같다.
- '''흰꽃물망초''' (''Leucojum aestivum'' L.) – 여름 눈송이 또는 로던 백합: 유럽, 중동, 코카서스가 원산지이며,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및 우루과이에 귀화했다.
- '''봄맞이수선''' (''Leucojum vernum'' L.) – 봄 눈송이: 스페인에서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남부 및 중부 유럽이 원산지이며, 일본과 미국의 일부 지역에 귀화했다.
두 종 모두, 특히 흰꽃물망초는 유럽의 다른 지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북아메리카 및 우루과이를 포함하여 전 세계에 걸쳐 널리 귀화되었다. 습한 초원과 도랑과 같은 습한 환경과 숲과 같은 그늘진 서식지를 선호한다.
5. 재배
은방울수선속의 두 종은 "습한 토양에 적합한 튼튼한 정원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강수량이 충분하여 여름에도 토양이 완전히 마르지 않는 서유럽의 정원에서 잘 자란다. 특히 여름 은방울수선(''L. aestivum'')은 점토질 토양에서 잘 자라고, 봄 은방울수선(''L. vernum'')은 습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반음지에서 키우기 쉽다. 구근은 캐낸 후 바로 다시 심는 것이 좋으며, 말라버린 구근은 잘 자라지 않거나 자리를 잡는 데 오래 걸릴 수 있다.
구근은 수선 구근 파리(''Merodon equestris'')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며, 꽃은 달팽이나 민달팽이가 먹을 수 있다. 잎이 곰팡이의 일종인 ''Peyronellaea curtisii''(동의어: ''Stagonospora curtisii'')에 감염되면 식물 전체가 죽을 수도 있다.
5. 1. 품종
은방울수선 '그레이브티 자이언트'(''Leucojum aestivum'' 'Gravetye Giant')는 큰 꽃을 피우는 재배 품종이다. 이 품종의 이름은 영국 웨스트서식스 주에 위치한 엘리자베스 시대 저택인 그라베티 매너에서 유래했다. 이 저택은 1884년부터 1935년 사망할 때까지 영향력 있는 정원 작가 윌리엄 로빈슨의 집이었으며, 현재는 호텔로 운영되고 있다.봄은방울수선 '포드폴로제'(''Leucojum vernum'' 'Podpolozje')는 var. ''carpathicum''과 변종 'vagneri'의 특징을 결합한 튼튼한 품종이다. 한 줄기에 꽃이 두 송이씩 피며, 꽃잎(꽃덮이)에 노란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은방울수선속 식물은 "습한 토양에 적합한 튼튼한 정원 식물"로 묘사되어 왔다. 두 종 모두 강수량이 충분하여 여름에도 토양이 완전히 마르지 않는 서유럽 정원에서 잘 자란다. 여름 은방울수선(''L. aestivum'')은 특히 점토질 토양에서 잘 자라며, 봄 은방울수선(''L. vernum'')은 습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반음지에서 키우기 쉽고 설강화와 비슷한 시기에 꽃을 피운다. 구근은 캐낸 후 바로 다시 심는 것이 좋으며, 말라버린 구근은 잘 자라지 않거나 자리를 잡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번식은 분주나 씨앗으로 가능하다. 씨앗은 발아를 위해 일정 기간의 저온 처리가 필요하며, 씨앗으로 심은 경우 꽃을 피울 수 있는 크기까지 자라는 데 4~5년이 걸린다.
구근은 수선 구근 파리(''Merodon equestris'')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꽃은 달팽이나 민달팽이가 먹을 수 있으며, 잎은 곰팡이의 일종인 ''Peyronellaea curtisii''(동의어: ''Stagonospora curtisii'')에 감염될 경우 식물 전체가 죽을 수도 있다.
''은방울수선'' 'Gravetye Giant'와 ''L. vernum''은 모두 왕립원예협회로부터 가든 메리트 상을 수상했다.
6. 문화적 중요성
여름 설앵초(''Leucojum aestivum'')는 야생화 및 식물 보존 자선 단체인 Plantlife가 2002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라 버크셔의 카운티 플라워(county flower)로 지정되었다. 한때 로던 계곡에서 흔하게 발견되어 '로던 릴리(Loddon Lily)'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