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게노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게노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페니키아 왕, 아르고스 왕, 그리고 기타 여러 인물로 묘사된다. 페니키아 왕 아게노르는 포세이돈과 리비아의 아들이자 티로스의 왕으로, 에우로파를 비롯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딸 에우로파가 제우스에게 납치되자 아들들을 보내 찾아오게 했으나, 찾지 못하고 아들들은 각지에서 정착하여 도시를 건설하거나 영토의 이름을 남겼다. 아게노르는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하는 등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카르타고와 가나안의 기원과도 연관된다. 이 외에도 아게노르는 아르고스 왕으로도 등장하며, 플레우론, 페게우스, 안테노르의 아들로도 언급된다.

2. 페니키아 왕 아게노르

'''아게노르'''는 포세이돈리비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벨루스라는 쌍둥이 형제가 있었다.[5] 벨로스는 이집트에 남아 그곳을 통치했고, 아게노르는 페니키아로 건너가 그곳을 통치했다.[6]

아게노르는 텔레파사,[17] 아르기오페,[18][22] 안티오페[19]등 여러 아내를 두었다. 카드모스, 에우로페, 킬릭스, 페닉스, 타소스[14] 등 여러 자녀를 두었다.

제우스가 에우로파를 크레타 섬으로 납치하자, 아게노르는 아들들에게 에우로파를 찾아오도록 명령했고, 찾지 못하면 돌아오지 말라고 엄명을 내렸다. 결국 에우로파를 찾지 못한 아들들은 각지로 흩어졌다.

2. 1. 에우로페 납치와 아들들의 여정

제우스는 아게노르의 딸 에우로파가 꽃을 꺾는 것을 보고 즉시 그녀와 사랑에 빠졌다.[60][55] 제우스는 흰 황소로 변신하여 에우로파를 크레타 섬으로 데려갔다. 그는 그 후 자신의 진정한 정체를 드러냈고, 에우로파는 크레타의 첫 번째 여왕이 되었다.

야코프 요르다엔스의 그림 ''에우로페 강탈''(1615년 버전)


한편, 아게노르는 에우로파의 오빠들인 카드모스킬릭스에게 그녀를 찾도록 보냈고, 그녀 없이는 돌아오지 말라고 했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아게노르가 그녀의 다른 오빠들인 피네우스 또는 타소스도 보냈다.

에우로파를 찾을 수 없었기에, 오빠들은 아무도 돌아오지 않았다.[60][55] 카드모스는 델포이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암소를 만날 때까지 여행하라는 조언을 받았다. 그는 이 암소를 따라가서 암소가 눕는 곳에 도시를 세우라고 했고, 이 도시는 테베가 되었다. 킬릭스는 에우로파를 찾아 소아시아에 정착했다. 이 땅은 그를 기려 킬리키아라고 불렸다.

2. 2. 카드모스와 테베 건국

제우스에우로페크레타로 데려간 후, 아게노르는 딸을 찾기 위해 아들 카드모스킬릭스를 보냈고, 에우로페 없이는 돌아오지 말라고 명령했다.[60][55] 에우로페를 찾지 못한 카드모스는 델포이 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암소를 만날 때까지 여행하라는 신탁을 받았다. 카드모스는 암소를 따라가다 암소가 주저앉는 곳에 도시를 건설했는데, 그 도시가 바로 그리스의 테베가 되었다.

카드무스는 그리스에 페니키아 문자를 전파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62] 이는 그리스 문명의 발전에 페니키아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2. 3. 킬릭스와 킬리키아

킬릭스는 소아시아에 정착하였는데, 그곳은 그의 이름을 따라서 킬리키아로 불렸다.[60][55]

2. 4. 포이닉스와 페니키아

아게노르는 아들들에게 제우스에게 납치당한 에우로페를 찾아올 것을 명하고 찾을 때까지 돌아오지 말라고 했다. 그 때문에 아들들은 에우로페를 찾지 못하고 각지로 흩어졌다. 포이니크스는 페니키아에 남아 왕위를 계승하였고, 페니키아인(포이니족)이라는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60][55]

3. 아르고스 왕 아게노르

일부 문헌에서 아게노르는 아르고스의 왕으로도 등장한다. 그는 아르고스의 왕 에크바소스의 아들이자 아르고스의 아버지이며, 이오의 할아버지로 묘사된다.[38]

다음은 아게노르의 가계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비교한 표이다.

아게노르 가계 비교
관계이름자료
헤시.페레.바클.에우리피데스소포클.헤로.아폴론.디오.발.아폴.디크.히기.파우.논.쩨체스말.
에호이에디티.Sch. Phoe.Sch. Anti.Arg.Sch.Fab.
부모포세이돈과 리비아colspan="2" |
벨로스colspan="2" |
아내담노
아르기오페
안티오페
텔레파사
티로
자녀에우로파
카드모스
페닉스
킬릭스
이사리아
멜리아
에이도테아
피네우스[32]
타예테
타소스
세페우스
시로스



다른 전승에 따르면, 아게노르는 아르고스와 에우아드네의 아들 포르바스의 아들 트리오파스의 아들로, 이오의 아버지 이아소스와 형제이며, 크로토포스의 아버지[39]이다. 혹은 아르고스와 에우아드네의 아들 필란토스의 아들 트리오파스의 아들로, 에우리사베, 안토스, 펠라스고스와 형제이며, 이복 형제에 크산토스와 이아소스가 있으며, 명조(名祖) 아르고스의 아버지라고 한다.[40]

4. 기타 아게노르

아게노르는 여러 문헌에서 다양한 가계와 배경을 가진 인물로 나타난다.


  • 포세이돈의 아들 아게노르: 일부 문헌에 따르면 아게노르는 포세이돈과 리비아의 아들이었으며, 벨루스와 형제였다.[54][55][56][57] 다른 문헌에서는 벨루스와 아키로에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 아이귑토스의 아들 아게노르: 아이귑토스의 자녀 중 한 명이었다.[46]
  • 니오베와 암피온의 아들 아게노르: 니오베와 암피온의 자녀 중 한 명이었다.[47]
  • 안드로메다의 구혼자 아게노르: 안드로메다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다.[48]
  • 살뮈데소스의 왕 피네우스의 아버지 아게노르: 살뮈데소스의 왕 피네우스의 아버지였다.[49]
  • 스파르타 왕 라케다이몬의 후손 아게노르: 스파르타라케다이몬의 7대손인 알레우스의 아들이자 프레라게네스의 아버지, 파트레우스의 할아버지였다.[50]
  • 페넬로페의 구혼자 아게노르: 페넬로페의 구혼자 중 한 명이었다.[51]
  • 아르고스의 왕: 아르고스의 왕으로, 다양한 계보 전설이 존재한다.
  • 아르고스의 아들 에크바소스의 아들이자 백안 거인 아르고스의 아버지이며, 이오의 아버지 이아소스의 할아버지이다.[38]
  • 아르고스와 에우아드네의 아들 포르바스의 아들 트리오파스의 아들로, 이오의 아버지 이아소스와 형제이며, 크로토포스의 아버지이다.[39]
  • 아르고스와 에우아드네의 아들 필란토스의 아들 트리오파스의 아들로, 에우리사베, 안토스, 펠라스고스와 형제이며, 이복 형제에 크산토스와 이아소스가 있고, 아르고스의 아버지이다.[40]


아게노르의 자녀들에 대해서도 문헌마다 차이가 있다. 텔레파사와의 사이에서 카드무스, 에우로페, 킬릭스, 페닉스, 타수스를 낳았다는 기록이 있다.[54][55][56][57] 그러나 일리아스에서는 에우로페가 페닉스의 딸로 명시되어 있다.[58] 카드무스 또는 에우로페는 페닉스의 아이로 확인되기도 한다.[59] 킬릭스피네우스 또한 페닉스의 아들로 언급되기도 한다.[59]

대부분의 후기 자료에서는 페닉스를 언급하지 않고 카드모스킬릭스를 아게노르의 아들로 직접 열거했다. 드물게 페닉스가 언급될 때는 카드모스와 킬릭스의 형제로 열거되었다. 페닉스는 아버지의 왕국을 상속받고 페니키아인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아게노르 가계 비교
관계이름자료
헤시.페레.바클.에우리피데스소포클.헤로.아폴론.디오.발.아폴.디크.히기.파우.논.쩨체스말.
에호이에디티.Sch. Phoe.Sch. Anti.Arg.Sch.Fab.
부모포세이돈과 리비아colspan="2" |
벨루스colspan="2" |
아내담노
아르기오페
안티오페
텔레파사
티로
자녀에우로파
카드모스
페닉스
킬릭스
이사리아
멜리아
에이도테아
피네우스[32]
타예테
타소스
세페우스
시로스


4. 1. 플레우론의 아들 아게노르

아이톨로스의 아들 플레우론과 도리스의 딸 크산티페의 아들로, 스테로페, 스트라토니케, 라오폰테와 형제이다. 칼리돈의 딸 에피카스테와의 사이에서 포르타온, 데모니케를 낳았다. 데모니케는 아레스와의 사이에서 에우에노스, 모로스, 퓌로스, 테스티오스를 낳았다.[42] 그러나 테스티오스는 아게노르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43]

4. 2. 페게우스의 아들 아게노르

아르카디아의 프소피스 왕 페게우스의 아들이며, 프로노오스, 아르시노에와 형제이다. 아버지 페게우스의 명으로 아르시노에의 남편 알크마이온을 죽이고, 이를 비난한 아르시노에를 알크마이온 살해범으로 아르카디아 왕 아가페노르에게 팔아 넘겼다. 그러나 아게노르와 프로노오스는 알크마이온의 다른 아내의 아들 암포테로스, 아카르난에게 살해되었다[44]

4. 3. 안테노르의 아들 아게노르

안테노르테아노의 아들로, 이피다마스, 알케로코스, 아카마스, 에우리마코스, 헬리카온, 폴리다마스, 코온, 라오다마스, 라오도코스, 데모레온, 히포로코스, 폴리보스, 글라우코스와 형제이다.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 군의 무장으로서 용감하게 싸웠다. 아게노르는 에우보이아 섬의 무장 엘레페노르를 쳐 죽였으며, 그리스 군의 방벽을 공격했을 때는 제2부대를 지휘, 아이네이아스의 의형 알카토스의 유해를 지키며 싸웠고, 메넬라오스에게 부상을 입은 헬레노스를 응급 치료했으며, 대 아이아스에게 기절한 헥토르를 지키며 싸웠다. 아폴론아이기스를 휘두르며 그리스 군을 혼란에 빠뜨렸을 때에는 크로니오스를 쳐 죽였다.

아킬레우스가 복귀하여 트로이 군을 패주시켰을 때, 다른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일리오스로 도망갈지, 아니면 이데 산으로 도망가 밤이 되어서 일리오스로 돌아갈지 고민했다. 그러나 아폴론이 용기를 주자, 어느 쪽이든 발 빠른 아킬레우스에게 따라잡힐 가능성을 고려하여 당당하게 덤벼드는 것을 선택했다. 그러나 아게노르의 공격이 헤파이스토스가 단련한 방어구에 막히자, 아폴론은 아게노르를 전장에서 구출하고, 대신 스스로 아게노르의 모습으로 변하여 아킬레우스를 유인해, 트로이 군의 퇴각을 도왔다[45]

아게노르는 그 후에도 계속 싸웠으나, 트로이 함락 때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죽임을 당했다.

5. 아게노르와 관련된 신화 및 전설

제우스는 아게노르의 딸 에우로파가 꽃을 꺾는 것을 보고 즉시 그녀와 사랑에 빠졌다. 제우스는 흰 황소로 변신하여 에우로파를 크레타 섬으로 데려갔다. 그는 그 후 자신의 진정한 정체를 드러냈고, 에우로파는 크레타의 첫 번째 여왕이 되었다.[60][55] 한편, 아게노르는 에우로파의 오빠들인 카드모스킬릭스를 그녀를 찾도록 보냈고, 그녀 없이는 돌아오지 말라고 했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아게노르가 그녀의 다른 오빠들인 피네우스 또는 타소스도 보냈다.

에우로파를 찾을 수 없었기에, 오빠들은 아무도 돌아오지 않았다.[60][55] 카드모스는 델포이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암소를 만날 때까지 여행하라는 조언을 받았다. 그는 이 암소를 따라가서 암소가 눕는 곳에 도시를 세우라고 했고, 이 도시는 테베가 되었다. 킬릭스는 소아시아에 정착했다. 이 땅은 그를 기려 킬리키아라고 불렸다.

요한 말라라스에 따르면, 아게노르가 죽어가면서 정복한 모든 땅을 세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라고 명령했다. 페니키아는 티레와 그 배후지를 차지하고, 그 나라를 자신의 이름을 따서 페니키아라고 불렀다. 마찬가지로 시로스는 그에게 할당된 나라를 시리아라고 불렀다. 킬릭스도 그에게 할당된 위도를 킬리키아라고 불렀다.[34]

베르길리우스카르타고를 아게노르의 도시라고 불렀는데,[61] 이는 디도가 아게노르의 후손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독일의 언어학자 필리프 카를 부트만은 아게노르의 진정한 페니키아 이름이 'Chnas' 또는 'Khna'였으며, 이는 가나안과 동일하다고 지적했고,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아게노르 또는 Chnas가 모세오경에 나오는 가나안과 동일하다는 가설을 세웠다.[52]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아게노르를 시돈의 창시자로 여겼으며, 그는 또한 나중에 카드모스에 의해 그리스인들에게 가르쳐지고 그들 자신의 문자 체계의 기초가 된 페니키아 문자를 도입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62]

6. 아게노르와 한국의 관련성 (현대적 관점)

고대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아게노르가 직접적으로 한국 역사와 관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아게노르의 아들 카드모스가 그리스에 페니키아 문자를 전파한 것은 문자의 전파와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참조

[1] LSJ ἀγήνωρ
[2] 서적 Histories Penguin Books
[3] 문서 Herodotus, 2.145.1
[4] 문서 Suppliant Women http://www.perseus.t[...]
[5] 문서 Bibliotheca https://www.perseus.[...]
[6] 문서 Chiliades https://topostext.or[...]
[7] 문서 Dionysiaca https://topostext.or[...]
[8] 문서 Chiliades https://topostext.or[...]
[9] 문서 Diodorus Siculus, Ovid, Statius, Apollodorus, Hyginus, Lucian, Jerome, Tatian, Plato, Malalas, Varro, Ampelius, Rutilius Namatianus https://penelope.uch[...]
[10] 문서 Herodotus, Sophocles, Bacchylides, Euripides, Apollonius of Rhodes, Diodorus Siculus, Ovid, Apollodorus, Hyginus, Lucian, Marmor Parium, Malalas, Pausanias, Nonnus, Tzetzes, Aristophanes, Eusebius https://www.perseus.[...]
[11] 문서 Herodotus, Scholiast on Euripides, Apollodorus, Hyginus, Nonnus, Malalas https://www.perseus.[...]
[12] 문서 Scholiast on Euripides, Apollodorus, Hyginus, Dictys Cretensis, Antoninus Liberalis, Malalas, Suda https://www.perseus.[...]
[13] 문서 Apollonius Rhodius, Apollodorus, Hyginus, Dictys Cretensis, Orphic Argonautica, Valerius Flaccus https://topostext.or[...]
[14] 문서 Scholiast on Euripides, Pausanias, Nonnus https://www.perseus.[...]
[15] 문서 Malalas, Chronographia https://topostext.or[...]
[16] 문서 Nonnus, Dionysiaca https://topostext.or[...]
[17] 문서 Apollodorus https://www.perseus.[...]
[18] 문서 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
[19] 문서 Scholiast on Euripides, Phoenician Women 5; Tzetzes, Chiliades https://topostext.or[...]
[20] 간행물 The Legend of Cadmus and the Logographoi
[21] 문서 Malalas https://topostext.or[...]
[22] 문서 Gantz, p. 208; Pherecydes of Athens fr. 21 Fowler 2000, p. 289 = FGrHist 3 F 21 = Scholia on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1177-87f
[23] Iliad Iliad
[24] 문서 Hesiod, Catalogue of Women https://topostext.or[...]
[25] 문서 Dithyrambs https://www.perseus.[...]
[26] 문서 Europa https://www.theoi.co[...]
[27] 문서 Scholiast on Plato, Timaeus 24e; on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1186; Malalas, Chronographia https://topostext.or[...]
[28] 문서 Pherecydes, fr. 86 Fowler 2000, p. 320 = FGrHist 3 F 86
[29] 문서 Scholia on Sophocles, Antigone 989
[30] 문서 Sir Richard C. Jebb. Commentary on Sophocles: Antigone, 966 https://www.perseus.[...]
[31] 문서 Dictys Cretensis https://topostext.or[...]
[32] 문서 Even though Phineus was called the son of Agenor according to Apollodorus, his mother may be different because only three sons (Cadmus, Phoenix and Cilix) were born to Agenor and Telephassa.
[33] 문서 Apollodorus, Hyginus https://www.perseus.[...]
[34] 문서 Malalas, Chronographia https://topostext.or[...]
[35] 문서 Virgil, Aeneid https://topostext.or[...]
[36]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2008-05-16
[37] 서적 The Works of Sir Walter Raleig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1・2。
[39] 문서 パウサニアス、2巻16・1。
[40] 문서 ヒュギーヌス、145、275。
[4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1。アポロドーロスはタソスの父をポセイドーンとする。
[42]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7・7。
[43] 문서 サモスのアシオス(パウサニアス、3巻13・8による言及)。
[44]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7・5~7・6。
[45] 문서 『イーリアス』4巻、12巻、13巻、14巻、15巻、21巻。
[46]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1・5。
[4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5・6。
[48] 문서 ヒュギーヌス、64。普通、アンドロメダーの求婚者はピーネウス。
[4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9・21。
[50] 문서 パウサニアス、7巻18・2。
[5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摘要(E)7・27。同7・29にも同じ人名が見られるが同箇所の繰り返しらしい。
[52] 인용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2009-05-26
[53] 간행물 Histories http://www.perseus.t[...]
[54] 문서 ad Eurip. Phoen.
[55] 문서 Fabulae
[56]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57] 문서 ad Apollon. Rhod.
[58] 문서 일리어드
[59] 문서 3F86
[60] 문서 iii. 1. § 1
[61] 문서 Aeneid
[62] 서적 The Works of Sir Walter Raleigh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