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드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드모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페니키아의 왕자이자 테베의 건설자로,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에우로페를 찾아오라는 아버지의 명을 받고 델포이 신탁에 따라 암소를 따라가 테베를 건설했으며, 아레스의 용을 죽이고 용의 이빨을 심어 용아병을 얻어 도시를 세웠다. 카드모스는 하르모니아와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으나, 그 후손들에게 불행이 닥쳤다. 말년에는 일리리아로 이주하여 용으로 변했으며, 그의 이야기는 문학,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현대에는 카드모스의 기원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동방 기원설, 미케네인 기원설 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의 반신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그리스 신화의 반신 - 칼라이스와 제테스
    칼라이스와 제테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보레아스의 아들들로, 섬세한 머리카락과 비행 능력을 지녔으며 아르고 원정대에서 활약했지만 헤라클레스에게 살해당했다거나 하르피아이를 쫓다 죽었다는 등 다양한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게노르 가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아게노르 가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페니키아 사람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페니키아 사람 - 킬릭스
    킬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게노르의 아들이자 카드모스, 페닉스, 에우로파의 형제로, 소아시아 킬리키아 지역에 정착하여 그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에우로파 납치 사건과 킬리키아 형성에 관련된 인물이다.
카드모스
기본 정보
유형그리스 신화
이름카드모스
카드모스
카드모스가 을 죽이는 4세기 기원전 그림,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 소장
거주지엘리시움
테베
배우자하르모니아
부모아게노르
텔레파사
형제자매에우로파
킬릭스
페니케
자녀일뤼리오스
폴뤼도로스
아우토노에
이노
아가베
세멜레
출생지티레, 페니키아
사망지테베, 보이오티아, 그리스

2. 출신 및 배경

카드모스는 페니키아의 왕 아게노르텔레파사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포이닉스, 킬릭스, 에우로페와 남매지간이었다. 그는 아버지 쪽으로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리비아의 손자였고, 어머니 쪽으로는 나일 (나일강)의 손자로서 신성한 혈통을 지녔다. 카드모스는 (신화적) 창조 이후 다섯 번째 세대에 속하는 존재였다.

아르고스 혈통 그리스 신화
이나코스멜리아제우스이오포로네우스에파포스멤피스포세이돈리비아벨루스아키로에아게노르텔레파사다나오스엘레판티스아이깁토스카드모스킬릭스에우로페페니키아
이아소스와 멜리아의 딸이오에파포스멤피스리비아벨루스아키로에아게노르텔레파사다나오스엘레판티스아이깁토스colspan="2" |킬릭스에우로페페니키아


2. 1. 페니키아 왕자

카드모스는 원래 페니키아의 왕자였다. 그는 포이닉스, 킬릭스, 에우로페와 남매지간이었다. 그의 출신 지역으로 인해, 카드모스는 페니키아 알파벳을 그리스에 최초로 들여온 자로도 알려져 있다.[9][10] 현대 학자들은 알파벳의 페니키아 기원에 대한 헤로도토스의 의견에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한다.[11]

용의 이빨을 뿌리는 모습. 루벤스의 작업실


그리스 문자는 기원전 9세기 말 또는 8세기의 페니키아 문자와 그 형태가 일치한다. 참고로,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050년경(또는 청동기 시대 붕괴 이후)에 개발되었다.

그는 "동쪽"을 의미하는 셈어 어근 ''qdm''에서 카드모스라는 이름을 얻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다른 견해에 따르면 이 이름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궁극적으로는 "훌륭한"을 의미하는 ''kekasmenos'' (κεκασμένοςel)에서 비롯되었다.[18][19] 따라서 이름의 완전한 의미는 "탁월한 자" 또는 "동쪽에서 온 자"일 수 있다.[24]

카드모스는 신성한 혈통을 가졌는데, 아버지 쪽으로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리비아의 손자였고, 어머니 쪽으로는 나일 (나일강)의 손자였다. 그는 (신화적) 창조 이후 다섯 번째 세대에 속하는 존재였다.

'''아르고스 혈통 그리스 신화'''


2. 2. 가족 관계

카드모스는 페니키아의 왕자였으며, 포이닉스, 킬릭스, 에우로페와 남매지간이었다.[9]

3. 카드모스의 전설



제우스흰 황소로 변해 에우로페를 납치하자, 티로스의 왕 아게노르는 아들 카드모스에게 누이를 찾아오라고 명령했다. 카드모스는 델포이에서 신탁을 받았는데, 아폴론은 에우로페를 찾는 대신 암소를 따라가 암소가 눕는 곳에 나라를 세우라고 했다. 카드모스는 암소를 따라가 암소가 누운 곳에 훗날 테베가 되는 도시를 건설했다.

카드모스는 신에게 제물로 바칠 물을 뜨러 부하들을 보냈으나, 부하들은 샘물을 지키던 아레스에게 살해당했다. 카드모스는 용을 죽이고 아테나의 지시에 따라 용의 이빨을 땅에 뿌렸다. 그러자 땅에서 용아병들이 솟아올랐고, 카드모스가 던진 돌에 서로 싸우다 다섯 명만 살아남았다. 이들은 카드모스를 도와 테베를 건설하고 테베의 조상이 되었다. 아레스는 자신의 용을 죽인 카드모스에게 분노하여, 카드모스는 8년간 아레스의 종으로 살며 속죄해야 했다.[66]

3. 1. 에우로페 수색

제우스가 카드모스의 누이 에우로페를 납치하자, 아게노르는 아들들에게 누이를 찾아오도록 명령했고, 찾을 때까지 돌아오지 말라고 했다. 카드모스는 어머니 텔레파사와 함께 배를 타고 로도스 섬, 테라 섬을 거쳐 트라키아에 도착했다.[62] 그곳에서 텔레파사가 죽자, 카드모스는 델포이로 가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신탁을 받았다. 신탁은 "에우로페를 찾는 것을 포기하고, 암소 한 마리를 따라가 그 소가 쓰러진 곳에 도시를 세워라"는 내용이었다.[70]

헨드릭 골치우스의 ''카드모스가 여동생 에우로파를 찾을 수 있는 곳을 델포이 신탁에 묻다''


포이니케 지방 티로스의 왕 아게노르는 딸 에우로페흰황소로 변한 제우스에게 끌려가자 아들 카드모스에게 찾아보라고 했다. 카드모스는 델포이에서 신탁을 받았는데, 아폴론은 동생을 찾는 대신 암소를 따라가 암소가 눕는 곳에 나라를 세우라고 했다. 카드모스는 암소를 따라갔고, 암소가 누운 장소에 훗날 테베가 되는 도시를 건설했다.

3. 2. 테베 건설

흰 황소로 변한 제우스에게 끌려간 에우로페를 찾기 위해 길을 떠난 카드모스는 델포이에서 신탁을 받는다. 아폴론은 에우로페를 찾는 대신 옆구리에 초승달 표시가 있는 특별한 암소를 따라가 암소가 눕는 곳에 나라를 세우라고 지시한다. 카드모스는 포키스의 왕 펠라곤에게 받은 그 암소를 따라 보이오티아에 이르게 되고, 그곳에 테베를 건설하게 된다.[32]

3. 2. 1. 아레스의 용 퇴치

카드모스는 부하들에게 신에게 제물로 바칠 물을 길어오게 했으나, 부하들은 샘물을 지키던 아레스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카드모스는 헨드릭 골치우스의 그림에 묘사된 것처럼 용과 싸워 그 용을 죽이고, 아테나 여신의 지시에 따라 용의 이빨을 땅에 뿌린다.[33][34] 그러자 땅에서 용아병들이 솟아 올랐고, 카드모스가 던진 돌에 서로를 의심하며 싸우다가 결국 다섯 명만 살아남았다. 이들은 카드모스를 도와 테베를 건설하고 테베의 조상이 된다. 하지만 아레스는 자신의 용을 죽인 카드모스에게 분노하여, 카드모스는 8년간 아레스의 종으로 살며 속죄해야 했다.[66]

3. 2. 2. 용아병(스파르토이)

아테나 여신은 카드모스에게 용을 죽인 후 그 이빨을 땅에 뿌리라고 지시했다. 그러자 땅에 떨어진 용의 이빨에서 무장한 병사들이 솟아올랐는데, 이들을 '뿌려진 자'라는 뜻의 스파르토이(용아병)라고 불렀다.[70] 카드모스는 그들 사이에 돌을 던져 서로 싸우게 만들었고, 결국 다섯 명만 살아남았다. 이들은 카드모스가 테베의 카드메이아(성채)를 건설하는 것을 도왔으며, 테베에서 가장 고귀한 가문들의 시조가 되었다.

''카드모스가 용의 이빨을 뿌리다'', 맥스필드 패리쉬, 1908.

3. 3. 하르모니아와의 결혼

카드모스가 8년간의 종살이를 마치자, 아레스는 그를 용서하고 인정하는 의미로 자신과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난 하르모니아를 아내로 맞게 하였다.[4] 디오도로스에 따르면[30] 신들이 선물을 가져와 카드모스와 그의 신부와 함께 식사를 한 이 결혼식은 지구에서 처음으로 기념된 결혼식이었다.[31] 이 결혼식에는 모든 신들이 참석했고, 하르모니아는 아테나가 만든 ''페플로스''와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목걸이를 결혼 선물로 받았다.[4]

아프로디테는 하르모니아에게 황금 목걸이를 선물했다. 아테나는 황금 상의와 한 쌍의 피리를 선물했다. 헤르메스는 수금을 선물했다. 아프로디테의 목걸이는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것으로, 원래 제우스가 에우로파에게 선물한 것이었으나, 이것을 착용하는 자는 보는 자가 애타할 정도의 아름다움을 얻었다고 한다. 아테나의 상의 또한 착용하는 자에게 신성한 기품을 부여했다고 한다. 이러한 선물들은 훗날 테바이 원정의 전설로 이어진다.[66] 흔히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라고 불리는 이 목걸이는 그것을 소유한 모든 사람에게 불운을 가져왔다.

3. 4. 카드모스의 후손들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폴리도로스, 아가우에, 아우토노에, 이노, 세멜레 등 여러 자녀를 두었다.[4] 이들은 테베 왕가를 이루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그리스 비극의 주요 소재가 되었다. 헤파이스토스가 신부에게 만들어준 목걸이는 나중에 그 목걸이의 주인들에게 차례차례 재앙을 안겨주었다.[4]

카드모스의 딸들과 그 손자들에게는 많은 불행이 닥쳤다. 딸 세멜레제우스의 아들 디오니소스를 임신하여 헤라의 노여움을 샀고, 헤라의 계략으로 제우스의 진짜 모습을 보고 벼락에 맞아 죽었다. 디오니소스를 맡은 이노 또한 헤라의 노여움으로 정신이 나가 아이를 죽이고 바다에 몸을 던졌다.[72] 아우토노에아리스타이오스의 아들 악타이온아르테미스의 목욕하는 모습을 보고 아르테미스의 저주로 죽임을 당했다.[73] 아가우에와 에키온의 아들 펜테우스는 테바이의 왕위를 계승했지만, 디오니소스에 의해 광기에 사로잡힌 어머니와 숙모들에게 살해당했다.[74]

막내 아들은 일리리우스였다.[39]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카드모스는 일리리아인과 테베 왕가의 조상이다.[40]

4. 말년과 죽음

카드모스는 펜테우스에게 테베의 왕좌를 물려주고 하르모니아와 함께 일리리콘 지방으로 옮겨 살았다. 그곳에서 카드모스는 용으로 변했다고 한다.

늙은 카드모스는 아레스의 분노가 아직 완전히 풀리지 않았음을 알고 테바이의 왕위를 물려주고 엔켈레이스인의 나라로 향했다. 엔켈레이스인의 나라는 일리리아인에게 공격받고 있었고, 디오니소스의 신탁에 따라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가 지도자로 선택되었다. 펜테우스가 죽은 후, 아가우에는 일리리아 왕 뤼코텔세스에게 도망쳐 왕비가 되었지만, 아버지 카드모스가 적국 엔켈레이스인을 이끌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아가우에는 뤼코텔세스를 죽이고 일리리아의 나라를 아버지에게 바쳤다고 한다.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는 결국 뱀이 되었고, 제우스에 의해 엘리시온에 사는 것을 허락받았다고 한다. 다른 설에서는 아레스가 두 사람을 뱀 또는 사자의 모습으로 바꾸었다고도 한다. 두 사람의 만년에 아들 일리리오스가 일리리아의 왕이 되었다.

5. 문화적 영향

카드모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페니키아의 왕자였다. 그는 포이닉스, 킬릭스, 에우로페와 남매지간이었다. 카드모스는 페니키아 알파벳을 그리스에 처음으로 전파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9]

5. 1. 문자의 전파

헤로도토스는 카드모스가 그리스에 페니키아 문자를 전파했다고 기록했다.[9][10] 현대 학자들은 알파벳의 페니키아 기원에 대해 헤로도토스의 의견에 대체로 동의한다.[11]

헤로도토스는 카드모스가 자신의 시대보다 1600년 전(기원전 2000년경)에 살았다고 추정했다.[12] 그는 테베의 아폴론 신전에서 카드모스 문자가 새겨진 삼각대를 보았고, 이것이 카드모스의 증손자인 라이오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추정했다.[13] 삼각대 중 하나에는 카드모스 문자로 Ἀμφιτρύων μ᾽ ἀνέθηκ᾽ ἐνάρων ἀπὸ Τηλεβοάων|암피트리온이 [텔레보아 전투]의 전리품으로 나를 봉헌했다grc라는 비문이 있었는데, 헤로도토스는 이것이 이오니아 문자와 유사하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가장 오래된 그리스 비문은 기원전 9세기 말 또는 8세기의 페니키아 문자 형태와 일치한다.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050년경(또는 청동기 시대 붕괴 이후)에 개발되었다. 호메로스는 글쓰기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었으며, 이는 그리스 암흑기 동안 선형 문자 B가 잊혀졌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글쓰기에 대한 호메로스의 유일한 언급[14]은 벨레로폰테스 서신을 언급할 때 "σήματα λυγρά"(sēmata lugra), 즉 "재앙의 징조"라는 구절에 있었다. 테베에서 선형 문자 B 정제가 풍부하게 발견되었는데, 이는 카드모스가 알파벳을 가져왔다는 전설이 그리스에서 선형 문자 B 글쓰기의 기원에 대한 이전의 전통을 반영할 수 있다는 추측(프레데릭 아흘, 1967년[15])으로 이어졌다.

5. 2. 예술 작품

카드모스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루벤스 등이 그 예시이다.[58]

6. 현대적 해석

카드모스 신화는 현대에 들어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고 있다.

헤로도토스가 카드모스가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했다고 주장한 이래로, 카드모스의 기원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44] 현대 학자들은 대체로 페니키아 기원설에 동의하지만, 프레데릭 M. 아흘은 카드모스가 미케네인이었고, 테베에 선문자 B를 가져왔다고 주장하는 등 다른 가설도 존재한다.[44] 헨리 홀은 카드모스와 카드메이아인들이 크레타에서 왔다고 주장했으며, 아르고스 전설에 따르면 카드모스는 아르고스 공주 이오의 후손이었다.[44]

호메로스는 카드모스를 한 번 언급했지만, 테베 주민들을 "카드메이아인"이라고 불렀다.[44] 아이스킬로스소포클레스는 "카드모스의 도시"와 "카드메이아인"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테베를 카드모스와 연결했다.[44] 에우리피데스도 테베를 카드모스와 연결했지만, 그는 "티레 출신" 카드모스를 언급한 유일한 비극 작가였다.[43]

현대 역사가 앨버트 섀흐터는 카드모스가 테베의 아크로폴리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가상의 영웅이며, 동방에서 보이오티아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영향으로 '페니키아인'이 되었다고 주장한다.[46][44] M. L. 웨스트는 테베에서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신화가 기원전 9세기 또는 8세기에 도시에 거주했던 페니키아인들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44] 제이슨 콜라비토는 카드모스 신화의 핵심이 영웅과 용의 싸움에 대한 근동의 이야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2]

일부 학자들은 기원전 1250년경 아히야와 왕이 히타이트 왕에게 보낸 히타이트어 서한에서 특정 카드모스가 아히야와 민족의 조상으로 언급되었다고 주장하지만,[55][56] 역사적 인물로서의 카드모스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 거부된다.[57]

6. 1. 기원에 대한 논쟁

카드모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 '''페니키아 기원설''': 헤로도토스는 카드모스가 페니키아 문자를 그리스에 전파했다고 주장했다. 현대 학자들도 대체로 이 의견에 동의한다. 헤로도토스는 카드모스가 기원전 2000년경 인물이며, 테베아폴론 신전에서 카드모스 문자가 새겨진 삼각대를 보았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그리스 문자는 기원전 9세기 말 또는 8세기의 페니키아 문자 형태와 일치하며,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050년경에 개발되었다.
  • '''미케네 가설''': 프레데릭 M. 아흘은 카드모스가 미케네인이었고, 테베에 선문자 B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 '''크레타 가설''': 헨리 홀은 카드모스와 카드메이아인들이 크레타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 '''아르고스 가설''': 아르고스 전설에 따르면 카드모스의 아버지 아게노르는 아르고스 공주 이오의 후손이었다. 이 관점에서 카드모스는 아르고스인이었고, 테베는 그의 "고향 밖의 고향"이었다.


호메로스는 카드모스를 한 번 언급했지만, 테베 주민들을 "카드메이아인"이라고 불렀다. 아이스킬로스소포클레스는 "카드모스의 도시"와 "카드메이아인"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테베를 카드모스와 연결했다. 에우리피데스도 테베를 카드모스와 연결했지만, 그는 "티레 출신" 카드모스를 언급한 유일한 비극 작가였다.[43] 헤로도토스는 티레 출신 카드모스를 언급했으며, 카드모스의 '페니키아' 기원을 처음으로 언급했다.[44]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1세기)는 카드모스가 테베 출신이었다고 기록했다.[44]

현대 역사가 앨버트 섀흐터는 카드모스가 테베의 아크로폴리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가상의 영웅이며, 동방에서 보이오티아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영향으로 '페니키아인'이 되었다고 주장했다.[46][44] M. L. 웨스트는 테베에서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신화가 기원전 9세기 또는 8세기에 도시에 거주했던 페니키아인들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44] 제이슨 콜라비토는 카드모스 신화의 핵심이 영웅과 용의 싸움에 대한 근동의 이야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2] 고고학자 존 보드만은 카드모스와 함께 온 "페니키아인"은 "페니키아인"이 아니라 근동에서 배운 지식을 가르치기 위해 돌아온 그리스인들이었다고 주장한다.[47]

6. 2. 히타이트 기록과의 연관성

다수의 학자들은 기원전 1250년경 아히야와 왕이 히타이트 왕에게 보낸 히타이트어 서한에서 특정 카드모스가 아히야와 민족의 조상으로 언급되었다고 주장한다. 후자의 용어는 미케네 세계(아카이아인)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지칭했을 가능성이 크다.[55][56]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인물로서의 카드모스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 거부된다.[57]

참조

[1] 서적 The Heroes of the Greeks Thames and Hudson
[2] 기타
[3] 웹사이트 question II https://web.archive.[...] 2008-10-13
[4] 기타 Iliad
[5] 간행물 Enhelejci (Die Encheleer)
[6] 간행물 Cadmus and Harmonia in Illyria
[7] 간행물 Linguistic evidence for the Indo-European and Albanian origin of Aphrodit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8]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9] 뉴스 Histories https://www.perseus.[...] Herodotus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Histories https://www.perseus.[...]
[13] 기타 Histories https://www.perseus.[...]
[14] 기타 Fabulae http://www.theoi.com[...]
[15] 기타 Cadmus and the Palm-Leaf Tablets 1967-04
[16] 기타 Κάδμος https://www.perseus.[...]
[17] 서적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I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Bronze Age Harvard University Press
[18] 기타
[19] 서적 Georgiev: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http://archive.org/d[...]
[20] 서적 A Dictionary of the Ugaritic Language in the Alphabetic Tradition - Part One http://cnqzu.com/lib[...] Brill 2018-02-12
[21] 서적 The Greek Myths https://books.google[...] Penguin 2016-11-11
[22] 서적 God Gardened East: A Gardener's Meditation on the Dynamics of Genesis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8
[2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4] 웹사이트 Cadmus http://www.sheknows.[...] SheKnows 2017-01-14
[25] 문서 Megaloi theoi
[26] 기타
[27] 기타 https://penelope.uch[...]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https://penelope.uch[...]
[31] 서적 Kadmos e Harmonia: un matrimonio problemmatico Bretschneider
[32] 웹사이트 Reference request - What is the source work for Cadmus visiting Delphi? http://mythology.sta[...]
[33] 기타 Chiliades, 10.32 line 4 http://www.theoi.com[...]
[34] 웹사이트 Drakon Ismenia http://www.theoi.com[...] 2014-09-05
[35] 기타 Chronography
[36]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37] 서적 The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Blackwell 1996
[38] 서적 The Illyrians Blackwell Publishing 1992
[39] 서적 The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Blackwell 1996
[40] 서적 Culture In Pieces: Essays on Ancient Texts in Honour of Peter Parson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1
[41] 서적
[42] 서적 2019
[43] 서적 2019
[44] 서적 2001
[45] 서적 2019
[46] 서적 2016
[47] 학술지 Early Euboean Pottery and History https://www.cambridg[...] 1957
[48] 서적 The Mycenaean Origin of Greek Myt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32
[49] 서적 1967
[50] 서적 1967
[51] 서적 1967
[52] 서적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1909
[53] 서적 Minoan civilization: Maturity and Zeni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
[54] 학술지 Tracing the Line of Europa: Migration, Genealogy, and the Power of Holy Origins in Ancient Greek Narrative Knowledge and Cultural Memory https://doi.org/10.1[...] 2014-05-27
[55] 서적 Troy and Homer towards a solution of an old myste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56] 서적 Bronze age Greek warrior 1600-1100 BC https://books.google[...] Osprey Pub Co. 2011-03-22
[57] 서적 The Trojan War :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58] 웹사이트 "أهلا بكم في مدينة الفينيقين القديمة "القدموس http://www.esyria.sy[...] 2009-04-20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ロバート・グレーヴス、59話b
[72]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4・3
[73]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4・4
[74]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5・2
[75] 서적 ヒュギーヌス、184話
[76] 서적 ヒュギーヌス、240話
[77] 서적 ヒュギーヌス、254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