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다만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다만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자 미노스, 사르페돈의 형제이다. 크레타에서 법전을 만들어 정의로운 통치를 펼쳤으나, 형 미노스의 질투로 인해 보이오티아로 추방되었다. 이후 지하 세계에서 죽은 자를 심판하는 심판관이 되었다는 전승이 있으며, 아시아인을 심판하는 역할을 맡았다. 라다만티스는 또한 아리아드네의 남편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그의 이름은 '엄정한'이라는 뜻의 영어 형용사 'rhadamanthine'의 어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레타의 왕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크레타의 왕 - 이도메네우스
    이도메네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크레타 왕가의 인물로, 아게노르 가문, 에우로페 납치, 미노타우로스 퇴치 등 크레타 관련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전승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 아게노르 가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아게노르 가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그리스 지하신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그리스 지하신 - 가이아
    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땅 그 자체를 의인화한 대지의 여신으로, 혼돈에서 태어난 태초의 신이자 우라노스와 결합하여 여러 신과 괴물의 어머니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숭배받으며 신화와 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다만티스
인물 정보
이름라다만티스
그리스어 이름Ῥαδάμανθυς
로마자 표기Rhadamanthys
출신크레타
가족 관계아버지: 제우스
어머니: 에우로페
형제: 미노스, 사르페돈
역할
생전현명한 왕, 입법가
사후하데스의 심판관
엘리시온의 통치자
신화 속 이야기
추방미노스와의 갈등으로 크레타에서 추방됨
망명보이오티아의 할리아르토스로 망명
결혼알크메네와 결혼
사후 역할아이아코스, 미노스와 함께 망자의 영혼을 심판
거주지덕이 있는 영웅들이 가는 엘리시온에서 거주

2. 그리스-로마 신화

제우스와 에우로파 사이에서 태어난 라다만티스는 크레타에서 성장하여 형제인 미노스, 사르페돈과 함께 크레타를 다스렸다. 특히 법과 정의를 수호하는 역할로 널리 알려져, 공정하고 정의롭게 크레타를 다스리며 훌륭한 법전을 만들었다. 이 법전은 스파르타에서 모방하여 사용했다고 한다.[37]

라다만티스는 형인 미노스의 질투를 받아 크레타에서 쫓겨나 보이오티아로 갔다.[37] 호메로스에 따르면 그는 죽지 않고 엘리시온 들판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37]

기원전 400년경 이후 전승에서는 아이아코스, 미노스와 함께 지하세계에서 죽은 자를 심판하는 심판관이 되었다고 한다.[38] 라다만티스는 아시아인을 심판하고, 아이아코스는 유럽인을 심판하며, 미노스는 결정권을 가졌다.[38]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의 타르타루스 편에서 라다만티스를 죽은 자의 심판관이자 처벌자로 묘사했다. 핀다로스는 그가 크로노스의 오른편에 있는 영혼의 심판자라고 말한다.

다른 전승에서는 미노스, 사르페돈, 라다만티스 삼형제가 모두 밀레토스라는 아름다운 소년을 사랑했다. 밀레토스가 사르페돈을 선택하자, 격분한 미노스가 사르페돈의 섬을 침공하여 정복했다. 사르페돈은 밀레토스와 함께 리키아로 도망쳐 밀레토스라는 도시를 세웠다.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그 소년은 제우스카시오페이아의 아들인 아팀니오스였다.[39]

2. 1. 가계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미노스와 사르페돈의 형제이다.[3] 형제와 함께 의붓아버지인 아스테리온에 의해 길러졌다.[3] 보이오티아로 망명한 후에는 알크메네와 결혼하여 아들 고르티스(고르틴과 연관됨)와 에리트루스(에리트라이의 건국자)를 두었다.[3]

다음은 라다만티스의 가계도이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제우스
어머니에우로파
형제미노스, 사르페돈
양아버지아스테리온크레타의 왕
아내알크메네
아들고르티스, 에리트루스고르티스는 고르틴과 연관됨, 에리트루스는 에리트라이의 건국자



프랑수아 부셰의 그림 『에우로파의 강탈』. 월리스 컬렉션 소장.


어느 날, 제우스는 아름다운 티로스 공주 에우로페에게 반했다. 그래서 흰 황소로 변신하여 에우로페에게 접근하여, 그녀가 경계를 풀고 등에 올라탄 것을 보고 바다를 건너 크레타 섬으로 데려갔다.[11][13][14][15][16][23] 그곳에서 제우스는 에우로페와의 사이에 미노스, 라다만티스, 사르페돈을 낳았다.[11][13][14][15][16] 그 후, 에우로페는 크레타 섬의 왕 Asterion (king of Crete)#Asterion I|아스테리온영어과 결혼했고, 라다만티스 형제는 아스테리우스 왕에 의해 양육되었다.[7][11][24]

2. 2. 크레타의 입법자

라다만티스는 크레타 섬의 법을 제정하고 정의로운 판결을 내려 명성을 얻었다.[7][24][12][20][25] 그의 법은 스파르타 등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진다.[35] 그는 정당방위 개념을 확립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27][5]

플라톤의 《법률》에서 라다만티스의 법은 공동 식사, 체육관 훈련, 무기 소지 등을 규정하여 시민들이 전쟁에 대비하도록 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플라톤은 라다만티스를 미노스의 형제이자 가장 정의로운 사람으로 묘사하며, 그의 법이 전쟁을 염두에 두고 제정되었음을 강조한다.[4]

라다만티스는 재판에서 올바른 판결을 내리고 도둑이나 신성 모독자 등의 죄인을 엄하게 처벌했기에 에게해 섬들과 소아시아 연안 지방 다수가 스스로 그의 통치하에 들어갔다고 한다.[20]

지리학자 스트라본에 따르면, 미노스 이전에 라다만티스와 같은 이름을 가진 왕이 있었는데, 그는 크레타 섬 사람들을 모아 여러 도시를 건설하고 국제를 정하여 크레타 섬을 문명이 풍요로운 땅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라다만티스는 각각의 법을 제우스에게서 받았다고 선포하여 세상에 알렸으며, 미노스도 이에 따라 자신의 법을 제우스의 것으로 선포했다.[34][35]

2. 3. 추방과 망명

라다만티스는 형인 미노스의 질투 때문에 크레타에서 추방당했다.[37] 그는 보이오티아로 망명하여 알크메네와 결혼했고, 몇몇 전승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스승이 되었다고도 한다.

라다만티스는 미노스가 활동했던 크레타 섬을 제외한 에게 해 섬들을 다스렸다.[6] 그는 소아시아와 마주한 섬들로 옮겨 아들 에뤼트로스에게 에뤼트라이, 조카 오이노피온에게 키오스 섬의 통치를 맡겼다.[20][28] 또한 토아스에게 레엠노스 섬, 에뉘에우스에게 퀴르노스 섬, 스타퓔로스에게 페파레토스 섬, 에우안테스에게 마로네이아, 알카이오스에게 파로스 섬, 아니오스에게 데로스 섬, 안드레우스에게 안드로스 섬을 주었다.[25] 그 후 라다만티스는 보이오티아 지방의 도시 오칼레아이로 망명하여, 헤라클레스의 양아버지 암피트리온이 죽은 후에 그 아내 알크메네와 결혼했다.[7][22]

2. 4. 지하세계의 심판관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라다만티스는 죽은 후 지하세계에서 망자들을 심판하는 세 명의 심판관 중 한 명이 되었다.[38] 그는 주로 아시아 출신 영혼들의 심판을 담당했으며, 아이아코스는 유럽 출신 영혼, 미노스는 최종 결정권(casting vote)을 가졌다고 한다.[38]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의 타르타루스 편에서 라다만티스를 죽은 자의 심판관이자 처벌자로 묘사했다.[32] 핀다로스는 그가 크로노스의 오른편에 있는 영혼의 심판자라고 전한다.[29][30]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명부의 재판관으로서 라다만튀스의 역할은 죽은 자가 경건한 자인지, 아니면 사악한 자인지를 판정하는 것이었다.[25]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라다만튀스는 타르타로스의 지배자이며, 죄인들의 생전 악행을 심문하고, 복수의 여신 중 한 명인 티시포네가 채찍으로 때려 벌을 준다고 한다.[32]

2. 5. 밀레토스 전설

일부 전승에서는 미노스, 사르페돈, 라다만티스 삼형제가 밀레토스라는 아름다운 소년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고 한다. 밀레토스가 사르페돈을 선택하자, 미노스는 사르페돈의 섬을 침공했고, 사르페돈은 밀레토스와 함께 리키아로 도망쳐 밀레토스라는 도시를 세웠다.[39]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이 소년은 제우스카시오페이아의 아들인 아팀니오스였다고 한다.[39]

3. 다른 전승들

지리학자 스트라본에 따르면, 미노스 이전에 라다만티스와 같은 이름을 가진 왕이 있어 크레테 섬 사람들을 모아 여러 도시를 건설하고 국법을 제정하여 크레테 섬을 문명이 풍요로운 땅으로 만들었다고 한다.[34] 라다만티스는 각각의 법을 제우스에게서 받았다고 선포하여 세상에 알렸으며, 미노스도 이에 따라 자신의 법을 제우스의 것으로 선포했다.[34][35] 스파르타의 입법자 뤼쿠르고스도 크레테 섬을 방문했을 때 이 수법을 배웠다고 한다.[35]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따르면, 라다만티스는 에우보이아 섬의 티티오스를 방문할 때 파이아케스인의 도움을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라다만티스가 티티오스를 방문한 이유 등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36]

4. 기타


  • '엄정한, 강직한'을 뜻하는 영어 형용사 ''rhadamanthine''는 라다만티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에 등장하는 베렌스 원장의 별명이 라다만티스였다.
  • 카이퍼 대의 천체 38083 라다만투스의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명왕성족 소행성 라다만토스는 라다만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아르고스 왕가 가계도

wikitext

{| class="wikitable"

|+'''아르고스의 그리스 신화 계보'''

|-

|

이나코스
멜리아



|-

|



|-

|

에파포스
멤피스



|-

|

포세이돈
리비아



|-

|

벨루스
아키로에
아게노르
텔레파사



|-

|

다나오스
엘레판티스
아이깁토스
카드모스
에우로파
킬릭스
포이닉스



|-

|



|-

|

폴리도로스



|-

|

아바스
아가우에
라다만토스
사르페돈
오칼레아
라케다이몬
스파르타



|-

|

아우토노에



|-

|

에우리디케
아크리시우스
이노
미노스



|-

|



|-

|



|}

참조

[1] 웹사이트 Rhadamanthus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rhadamanthus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3-01-16
[2] 웹사이트 Rhadamanthus: Absurd Etymologies And Some Stories https://sententiaean[...] Sententiae Antiquae 2023-01-16
[3] 웹사이트 The age of fable; or, Beauties of mythology https://archive.org/[...] Philadelphia, D. McKay 1898-01-24
[4] 간행물 On Abstinence from Eating Animals http://www.ccel.org/[...]
[5] 문서 Apollodorus Library of Greek Mythology, II.4
[6] 논문 Rhadamanthys and the Family of Herakles. http://www.persee.fr[...] 1999
[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2。
[8]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4巻563行-568行。
[9]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4巻564行。
[10]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7巻322行。
[11]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89(『イーリアス』12巻397行への古註D)。
[12] 문서 ヘーシオドス断片90(オクシュリュンコス・パピルス、1358 fr.1 col.I)。
[13]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1。
[14]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60・2。
[15]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78・1。
[16] 문서 ヒュギーヌス、178話。
[17] 문서 『イーリアス』14巻322行。
[18] 문서 パウサニアース、8巻53・5。
[19] 문서 パウサニアース、7巻3・7。
[20]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79・1。
[21] 문서 パウサニアース、8巻53・4。
[22]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4・11。
[23] 문서 オウィディウス『変身物語』2巻。
[24]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60・3。
[25]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79・2。
[26]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84・2。
[27]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4・9。
[28]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84・3。
[29]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11巻540行。
[30]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11巻573行。
[31] 문서 『オデュッセイアー』11巻568行-571行。
[32] 문서 ウェルギリウス『アエネーイス』6巻566行-572行。
[33] 문서 アントーニーヌス・リーベラリース、33話。
[34] 문서 ストラボーン、10巻4・8。
[35] 문서 ストラボーン、10巻4・19。
[36] 서적 オデュッセイアー
[37] 서적 오딧세이아
[38] 서적 고르기아스 (대화)
[39] 서적 비블리오테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