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공산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 공산당은 1948년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기반으로 '마키'라는 이름으로 창당되었다. 소련과 코민포름의 지원을 받았으며, 1949년 총선에서 4석을 얻었다. 1960년대 소련의 수정주의 노선과 시온주의자들의 당 장악으로 내부 갈등이 심화되었고, 1965년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 탈당하여 '라카'를 창당했다. 라카는 소련의 지지를 받았고, 1973년 해산된 마키는 이후 라카와 분리되어 활동했다. 현재는 '하다쉬'의 일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공산당 - 하다시
하다시는 사회주의 경제와 유대인-아랍인 협력을 옹호하는 이스라엘의 좌익 정당으로, 팔레스타인 국가 설립 등을 주요 정책으로 하며 공동 리스트에 참여하여 크네세트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 이스라엘의 공산주의 - 하다시
하다시는 사회주의 경제와 유대인-아랍인 협력을 옹호하는 이스라엘의 좌익 정당으로, 팔레스타인 국가 설립 등을 주요 정책으로 하며 공동 리스트에 참여하여 크네세트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 1965년 설립된 정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은 쿠바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당 대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다양한 대중 조직과 연계하여 정책을 전파하고 국제적으로는 좌파 정권 지원과 쿠바 의료 국제주의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1965년 설립된 정당 - 스코틀랜드 노동당
스코틀랜드 노동당은 1915년 스코틀랜드의 노동 운동을 대표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199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 선거에서 제1당이 되어 자치 정부를 이끌었으나, 현재는 야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스라엘 공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창립 | 1965년 9월 1일 |
창립자 | 메이르 빌너 타우피크 투비 |
분리 | 마키 |
본부 | 나사렛 텔아비브 |
신문 | 알-이티하드 |
청년 조직 | 이스라엘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정치적 위치 | 극좌 |
전국적 제휴 | 하다시 |
국제 제휴 | IMCWP |
상징색 | 빨간색 |
크네세트 의석수 | 3석 |
크네세트 정원 | 120석 |
웹사이트 | 이스라엘 공산당 웹사이트 |
명칭 | |
지도부 | |
지도 체제 | 중앙위원회 |
2. 역사
1948년 이스라엘 공산당은 '''마키'''라는 이름으로 창당되어 마르크스-레닌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민주집중제를 표방했다. 마키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소련과 코민포름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1] 1949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4석을 얻었고, 1951년에는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당대회에 참여하는 등 국제 공산주의 운동과 긴밀하게 협력했다.
그러나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 공산당을 장악하고 수정주의를 추진하면서 마키는 변화를 겪었다. 당은 시온주의에 가까워졌고, 1960년대에는 시온주의자들이 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반발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1965년 마키를 탈당하여 라카(신공산주의 명단)를 창당했다. 시온주의화된 마키는 1973년에 해산되었고, 라카는 1977년에 마키의 역사적 유산을 계승하여 이스라엘 공산당으로 개칭했다.
1970년대 이스라엘에서 학생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스라엘 공산당은 급진적인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에는 이스라엘 흑표범을 합병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2. 1. 창당 배경 (1948년 이전)
이스라엘 공산당은 1948년 이전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시대부터 존재했던 팔레스타인 공산당을 모체로 한다. 당 창설 초기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민주집중제를 표방하였으며, 영국 제국주의와 유대인 부르주아의 결탁으로 시온주의를 비판하였다.2. 2. 마키 창당과 분열 (1948년 ~ 1965년)
1948년 마르크스-레닌주의,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민주집중제에 기초해 '''마키'''라는 당명으로 창당되었다. 당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소련과 코민포름의 지원을 받았다.[1] 1949년 총선에서 4석을 획득하며 코민포름과의 유대를 강화했다. 초기 지도자는 שמואל מיקוניס|슈무엘 미쿠니스|en|Shmuel Mikunishe와 משה סנה|모셰 스네|en|Moshe Snehhe 등이었다.니키타 흐루쇼프 집권 이후 소련의 수정주의 노선과 시오니즘 문제로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 1960년대에 이르러 마키의 지도력은 시온주의자들에게 장악되었다.[1]
1965년, 시온주의 노선에 반대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의 אמיל חביבי|에밀 하비비|en|Emile Habibihe, תופיק טובי|타우피크 투비|en|Tawfik Toubihe, מאיר וילנר|메이르 빌너|en|Meir Vilnerhe 등은 마키에서 탈당하여 '''라카'''(신공산주의 명단)를 창당했다.[2] 소련은 라카를 '공식' 공산당으로 인정했다.[2] 슐로모 산드와 마흐무드 다르위시 또한 라카에서 활동했다.[2] 한편, 유로코뮤니즘 파벌은 스네가 이끌었고, 마키에 남았다.[3] 소련 언론은 미쿠니스-스네 그룹이 부르주아-민족주의 진영으로 전향했다고 보도했다.[4]
1965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라카는 3석을 획득하여 1석으로 급락한 마키를 압도했다. 라카는 시오니즘과 6일 전쟁에 반대했기 때문에 제6대 크네세트의 국민 통합 정부에서 제외되었다.
2. 3. 라카 창당과 마키 재건 (1965년 ~ 현재)
1965년 9월 1일, 이스라엘 공산당인 마키 내부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라카(Rakah, רק"ח|신 공산주의 목록he)가 창당되었다. 마키는 모셰 스네가 이끄는, 소련의 반시온주의 입장에 비판적인 유대인 및 시온주의자 파벌과, 반시온주의 입장을 강화하던 아랍인 파벌로 나뉘었다.그 결과, 에밀 하비비, 타우피크 투비, 메이르 빌너를 포함한 친아랍/친소련 파벌은 마키를 떠나 라카를 결성했고, 소련은 이 정당을 "공식" 공산당으로 인정했다.[2] 슐로모 산드와 마흐무드 다르위시 또한 라카 활동가였다.[2] 유로코뮤니스트 파벌은 스네가 이끌었으며, 마키에 남았다.[3] 소련 언론은 미쿠니스-스네 그룹이 부르주아-민족주의 진영으로 전향했다고 보도했다.[4]
1965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라카는 3석을 획득하여 1석으로 급락한 마키를 압도적으로 이겼다. 라카는 시온주의와 6일 전쟁에 반대했기 때문에 제6대 크네세트의 국민 통합 정부에서 제외되었다. 1969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라카는 다시 3석을 얻었다. 1973년 이스라엘 총선에서 라카는 4석을 얻으면서 지지세가 상승했다.
1977년 이스라엘 총선 전에 이 정당은 이스라엘 흑표범의 일부 구성원을 포함하여 일부 다른 소규모 좌파 및 아랍 정당과 합류하여 하다쉬를 결성했다. 1981년 원래의 마키가 라츠로 합병된 후 사라지자, 1989년에 라카 당원들은 당명을 마키(מק"י|이스라엘 공산당he)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5] 이 정당은 하다쉬의 주요 세력으로 남아 있으며, ''알-이티하드'' 신문을 소유하고 있다.
1990년부터 이스라엘 공산당은 시리아 공산당과 팔레스타인 공산당과 유대관계를 맺고 이스라엘에서 반시온주의 운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1998년부터는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에 참가한다.
3. 주요 활동
이스라엘 공산당은 건국 초기부터 영토 확장에 반대해 왔다.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시대에는 시오니즘을 "영국 제국주의와 유대인 부르주아의 결탁"이라고 비판했으나, 건국 후에는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하면서도 영토 확장에는 반대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현재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의 정전선을 기준으로 팔레스타인과의 두 국가 공존을 지지한다.[6]
크네세트 내에서는 다른 아랍계 정당들과 협력하여 이스라엘 정부의 정책을 비판한다. 마키는 하다쉬의 주요 구성 정당이며, 아이만 오데가 하다쉬의 당수를 맡고 있다.
이스라엘 건국 이후 마키는 연립정권에 참여한 적이 없으며, 항상 야당의 위치에 있었다. 6일 전쟁 당시 거국 일치 내각에서도 배제되었다. 다비드 벤구리온 초대 이스라엘 총리는 "헤루트(현재의 리쿠드)와 마키는 정권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고수했고, 이는 이후 정권에서도 이어졌다.[6]
공산당 의원 및 지지자들은 이스라엘 경찰 및 우익 유대인 그룹과 잦은 충돌을 겪고 있다.[6]
3. 1. 이스라엘 국내 정치
이스라엘 공산당(마키)은 건국 초기부터 영토 확장에 반대해 왔다.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시대에는 시오니즘을 "영국 제국주의와 유대인 부르주아의 결탁"이라고 비판했으나, 건국 후에는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하면서도 영토 확장에는 반대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현재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의 정전선을 기준으로 팔레스타인과의 두 국가 공존을 지지한다.[6]크네세트 내에서는 다른 아랍계 정당들과 협력하여 이스라엘 정부의 정책을 비판한다. 마키는 하다쉬의 주요 구성 정당이며, 아이만 오데가 하다쉬의 당수를 맡고 있다.
이스라엘 건국 이후 마키는 연립정권에 참여한 적이 없으며, 항상 야당의 위치에 있었다. 6일 전쟁 당시 거국 일치 내각에서도 배제되었다. 다비드 벤구리온 초대 이스라엘 총리는 "헤루트(현재의 리쿠드)와 마키는 정권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고수했고, 이는 이후 정권에서도 이어졌다.[6]
공산당 의원 및 지지자들은 이스라엘 경찰 및 우익 유대인 그룹과 잦은 충돌을 겪고 있다.[6]
3. 2. 대 팔레스타인 정책
이스라엘 공산당(마키)은 이스라엘 건국 초기부터 영토 확장에 반대해 왔다. 영국 위임통치령 시기부터 시오니즘을 "영국 제국주의와 유대인 부르주아의 결탁"이라고 비판했다.[5] 다만, 이스라엘 건국 후에는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하지만 영토 확장에 반대하는 것으로 방침을 수정했다. 현재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제안된 정전선을 팔레스타인과의 국경으로 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5]크네세트 내에서는 다른 아랍계 정당과 협력하여 이스라엘 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5]
4. 조직
나자렛에 당 본부를 두고 있으며, 당수 없이 중앙위원회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로 운영된다. תאופיק זיאדhe와 같은 나자렛 시장을 배출하기도 했다. 당 창설 초기에는 아랍어 "알 이티하드"(연합), 히브리어 "콜 하-암"(인민의 소리), 폴란드어 "발카"(투쟁) 3종류의 기관지를 발행했다. 유대인이 만든 정당이지만, 이스라엘 국적을 가진 유대인, 아랍인 모두 당원이 될 수 있다.[3]
5. 현재
현재 마키는 아이만 오데가 당수를 맡고 있는 정당 하다쉬의 일부가 되었다.
공산당은 크네세트에서 만년 야당이며, 이스라엘 건국 이후 연립정권에 참여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거국 일치 내각이 구성되었을 때도 공산당은 제외되었다. 마파이 소속이었던 다비드 벤구리온 초대 이스라엘 총리는 "헤루트(현재의 리쿠드)와 마키는 정권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고수했고, 이후 정권에서도 공산당 배제는 이어지고 있다.
공산당 의원이나 지지자 그룹과 이스라엘 경찰 및 우익 유대인 그룹 사이에 잦은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6]
현재 이스라엘 공산당 소속 크네세트 의원은 3명으로, 모두 하다쉬에 참여하고 있다.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주요 후보 | 득표수 | % | 순위 | 의석 | +/– | 상태 |
---|---|---|---|---|---|---|---|
1965년 | 메이르 빌너 | 27,413 | 2.27 | 신규 진입 | 3 / 120 | 3 | 야당 |
1969년 | 메이르 빌너 | 38,827 | 2.84 | 7위 | 3 / 120 | 야당 | |
1973년 | 메이르 빌너 | 53,353 | 3.41 | 6위 | 4 / 120 | 1 | 야당 |
1977년 | 메이르 빌너 | 하다쉬의 일원 | 5위 | 4 / 120 | 야당 | ||
1981년 | 메이르 빌너 | 하다쉬의 일원 | 5위 | 4 / 120 | 1 | 야당 | |
1984년 | 메이르 빌너 | 하다쉬의 일원 | 5위 | 4 / 120 | 야당 | ||
1988년 | 메이르 빌너 | 하다쉬의 일원 | 7위 | 4 / 120 | 야당 | ||
1992년 | 타우피크 지아드 | 하다쉬의 일원 | 8위 | 3 / 120 | 1 | 지지 | |
1996년 | 아흐마드 사드 | 하다쉬–발라드의 일원 | 7위 | 5 / 120 | 야당 | ||
1999년 | 모하마드 바라케 | 하다쉬의 일원 | 12위 | 3 / 120 | 1 | 야당 | |
2003년 | 모하마드 바라케 | 하다쉬-타알의 일원 | 9위 | 3 / 120 | 1 | 야당 | |
2006년 | 모하마드 바라케 | 하다쉬의 일원 | 11위 | 3 / 120 | 야당 | ||
2009년 | 모하마드 바라케 | 하다쉬의 일원 | 9위 | 4 / 120 | 1 | 야당 | |
2013년 | 모하마드 바라케 | 하다쉬의 일원 | 10위 | 4 / 120 | 야당 | ||
2015년 | 아이다 투마-술레이만 | 공동 리스트의 일원 | 3위 | 13 / 120 | 1 | 야당 | |
2019년 4월 | 아이다 투마-술레이만 | 하다쉬-타알의 일원 | 5위 | 6 / 120 | 1 | 야당 | |
2019년 9월 | 아이다 투마-술레이만 | 공동 리스트의 일원 | 3위 | 13 / 120 | 1 | 야당 | |
2020년 | 아이다 투마-술레이만 | 공동 리스트의 일원 | 3위 | 15 / 120 | 야당 | ||
2021년 | 아이다 투마-술레이만 | 공동 리스트의 일원 | 10위 | 6 / 120 | 2 | 야당 | |
2022년 | 아이다 투마-술레이만 | 하다쉬-타알의 일원 | 12위 | 5 / 120 | 야당 |
참조
[1]
뉴스
MK Dov Khenin: Netanyahu government is dangerous for Israel
http://www.haaretz.c[...]
2013-01-16
[2]
저널
Shlomo Sand, The Arabs' Darling
https://www.meforum.[...]
2015-01-01
[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sra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Foreign Panorama 1972
Tallinn
1973
[5]
웹사이트
New Communist List (Rakach)
https://www.knesset.[...]
[6]
웹사이트
MK Mohammed Barakeh appeals assault conviction
http://maki.org.il/e[...]
[7]
뉴스
MK Dov Khenin: Netanyahu government is dangerous for Israel
http://www.haaretz.c[...]
2013-01-16
[8]
뉴스
Wahlkampf in Israel – ein Überblick
http://www.hagalil.c[...]
2019-03-02
[9]
웹사이트
https://maki.org.il/[...]
[10]
웹사이트
https://maki.org.il/[...]
[11]
뉴스
MK Dov Khenin: Netanyahu government is dangerous for Israel
http://www.haaretz.c[...]
2013-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