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은 1946년,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의 통합으로 설립된 정당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아 독일 민주공화국(동독)을 건국하고 지배했다. 빌헬름 피크와 오토 그로테볼이 초대 공동 의장을 맡았으며, 이후 발터 울브리히트가 당의 실권을 장악했다. SED는 동독의 유일한 지배 정당으로서 권력을 독점하며, 소련식 사회주의 모델을 따랐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SED는 개혁을 시도했지만, 1990년 동독 총선에서 참패하고 해체되었다. 이후 민주사회주의당(PDS)으로 이름을 바꾸고 좌파당으로 합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해산된 공산주의 정당 - 독일 공산당 (1919년)
    독일 공산당(KPD)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회민주당 내 좌파 반대파인 스파르타쿠스단을 기반으로 1918년 12월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된 후 동서독으로 나뉘어 활동하다가 서독에서는 금지, 동독에서는 사회주의통일당으로 합병되었으며 현재 여러 후계 정당들이 존재한다.
  • 동독의 정당 - 독일 자유민주당 (동독)
    독일 자유민주당 (동독)은 바이마르 공화국 자유주의 세력을 계승하여 창당되었으나, 소련 점령 하에 친소 노선으로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위성 정당 역할을 수행했으며, 국민전선 블록 정당으로서 인민의회에 참여하다 서독 자유민주당에 흡수 합병되었다.
  • 동독의 정당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은 2차 대전 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 결성되어 초기 서독 기민련과 유사했으나 사회주의통일당의 영향으로 위성 정당화, 이후 민주화 운동 참여와 노선 전환, 자유 선거 압승을 거쳐 독일 통일에 기여했으며 통일 후 서독 기민련에 흡수 통합되었다.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독일 공산당 (1919년)
    독일 공산당(KPD)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회민주당 내 좌파 반대파인 스파르타쿠스단을 기반으로 1918년 12월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된 후 동서독으로 나뉘어 활동하다가 서독에서는 금지, 동독에서는 사회주의통일당으로 합병되었으며 현재 여러 후계 정당들이 존재한다.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민주사회당 (독일)
    민주사회당(PDS)은 1989년 동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개혁 과정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창당되었으며, 동독 민주화 이후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슈타지 연루 의혹과 과거 공산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는 과제를 겪었고, 2007년 좌파당으로 통합되었다.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로고
당 로고
원어 이름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Deutschlands (독일어)
약칭SED
서독 관련독일 공산당 (1956년까지)
독일 공산당 (1968년부터)
본부 위치하우스 암 베르더셴 마르크트, 동베를린
당가"당의 노래" (독일어: Lied der Partei)
기관지노이에스 도이칠란트
청년 조직자유 독일 청년단
소년단에른스트 텔만 피오네르 조직
준군사 조직노동계급 전투단
노동 조직자유 독일 노동조합 연맹
창립일1946년 4월 21일
해산일1989년 12월 19일
합병 대상독일 공산당 (KPD)
독일 사회민주당 (SPD)
후계 정당SED-PDS (1989–90)
당원 수2,260,979명 (1989년 추정)
정치적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1956년까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정치적 위치극좌
색상빨강 (공식)
서독 지부서베를린 사회주의통일당 (1962–1989)
국제 조직코민포름 (1947–56)
당기
정치 참여
국가 연합민주 블록 (1946–50)
국민 전선 (1950–90)
관련 이미지
동베를린에서 열린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제11차 당대회
지도부
서기장에곤 크렌츠
기타
관련 문서동독의 정치

2. 역사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은 1946년 4월 21일, 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에서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사회민주당(SPD) 동부 지부가 합병하여 창당된 정당이다. 공식적으로는 양당의 자발적인 통합으로 선전되었으나, 실제로는 소련 점령 당국의 강력한 압력과 영향력 하에 진행되었다.[14] 특히 베를린에서는 SPD 당원들의 반대로 합당이 순탄치 않았으며, 1946년 베를린 시 의회 선거에서 SED는 합당을 거부한 SPD에 크게 뒤처지는 결과를 얻었다.[14][24]

1949년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 수립 이후, SED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삼아 사실상의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국가를 통치했다. 초기에는 공동 의장 체제였으나, 곧 발터 울브리히트가 당의 실권을 장악하고 스탈린주의적 방식으로 권력을 공고히 했다. 이 과정에서 합당 당시의 약속과 달리 구 SPD 출신 당원들은 물론 비판적인 구 KPD 인사들까지 대거 숙청되었다.[14][25] 명목상으로는 다른 정당들(CDU, LDPD, DBD, NDPD)과의 연립 정부 형태를 취했으나, 이들은 모두 SED의 위성 정당으로 전락했다.

SED 정권 하에서 동독은 소련형 사회주의 노선을 따라 농업 집단화와 중공업 중심의 경제 정책을 강압적으로 추진했다. 이에 대한 불만과 저항은 1953년 동베를린 봉기로 이어졌으나 소련군의 개입으로 무력 진압되었고, 이는 오히려 울브리히트의 권력 강화를 가져왔다. 계속되는 서독으로의 인력 유출을 막기 위해 1961년에는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었다. 1968년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SED의 국가 지도 역할이 명문화되었다.

1971년에는 에리히 호네커가 울브리히트의 뒤를 이어 당 제1서기가 되었으나, 기본적인 통치 방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SED는 동구권 내에서도 가장 경직되고 보수적인 공산당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1980년대 소련고르바초프가 추진한 개혁·개방 정책에도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그러나 1989년, 헝가리의 국경 개방을 시작으로 동독 주민들의 대규모 탈출과 라이프치히 등지에서의 평화 시위가 확산되면서 SED 정권은 급격히 흔들리기 시작했다. 결국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 붕괴라는 역사적 사건을 맞이하게 된다. 이후 SED는 헌법상의 지도적 역할을 포기하고, 당명을 '''사회주의 통일당/민주 사회당'''(SED/PDS)으로, 다시 '''민주사회당'''(PDS)으로 변경하며 변화를 모색했다. 하지만 1990년 3월 동독 최초의 자유 총선거에서 참패했고, 같은 해 10월 3일 독일 재통일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PDS는 이후 좌파당으로 이어지며 독일 정치의 일부분으로 남게 되었다.

2. 1. 창당과 독일 민주공화국 건국 (1946-1949)

제2차 세계 대전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에서는 나치 독일에 의해 해산되었던 정당들의 재건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살아남은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독일 공산당(KPD) 당원들은 과거 좌파 세력이 분열하여 나치의 집권을 막지 못했다는 역사적 반성 위에서 자발적으로 공동 조직 결성을 추진하기도 했다.[14] 그러나 소련에서 파견된 KPD의 발터 울브리히트는 초기에 이러한 통합 움직임을 거부하고, 먼저 KPD의 조직을 강화하라는 크렘린의 지시에 따랐다.[14]

1945년 6월 10일, 독일 주둔 소련군 최고사령관 게오르기 주코프는 다른 연합군 점령 지역보다 먼저 정당 결성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SPD, KPD, 기독교민주연합(CDU), 자유민주당(LDPD) 등이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 재결성 초기 KPD는 소련의 지시에 따라 사회주의적 색채를 감추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부활을 표방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으나[14], 같은 해 오스트리아 총선거에서 오스트리아 공산당이 예상외의 참패를 겪자[14], 소련 당국과 KPD는 전략을 급선회하여 SPD와의 합당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시작했다.[14]

소련 점령 당국은 SPD 동부 지부에 KPD와의 합병을 강하게 압박했으며[14], 이는 자발적 통합이라기보다는 강제적인 성격이 짙었다. 합병 과정은 순탄치 않았고, 소련 당국의 상당한 압력이 작용했다는 증거가 다수 존재한다.[14] 합당에 반대하는 일부 SPD 당원들은 부당한 혐의로 소련군 사령부에 연행되거나 스파이 혐의로 소련으로 보내지는 등 탄압을 받았다.[14] 또한, 메클렌부르크에서는 지역 지도자들이 소련군 사령관 앞에서 단순히 건배하고 악수한 것을 근거로 합당이 성사되었다고 보고하는 등, 기정사실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했다.[14] 한편, 쿠르트 슈마허가 이끄는 서방 점령 지역의 SPD는 KPD와의 합당에 완강히 반대하여 SPD는 동서 간 주도권 다툼으로 분열된 상태였다.[14]

1946년 4월 21일과 22일, 베를린에서 양당의 통합 당 대회가 열려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이 공식적으로 창당되었다.[14] 이 통합은 본래 독일 전역에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서방 3개 점령 구역에서는 SPD와 KPD가 독립적으로 남아 합당을 거부했기 때문에 소련 점령 지역에서만 효력을 발휘했다.[14] 창당 대회에서는 당 공동 의장으로 구 KPD의 마지막 서기장인 빌헬름 피크와 구 SPD의 마지막 당수인 오토 그로테볼을 선출했다.[14] 초기에는 "레닌주의는 채택하지 않는다", "모든 기관은 SPD와 KPD 동수로 구성한다"는 원칙이 제시되는 등[14], 표면적으로는 대등한 합병의 형태를 취했으나 이는 오래가지 못했다.[14]

1946년 4월 21일, 오토 그로테볼(오른쪽)과 빌헬름 피크(왼쪽)가 상징적인 악수를 통해 SPD와 KPD의 통일을 기념하고 있다. 발터 울브리히트는 그로테볼의 오른쪽 앞쪽에 앉아 있다.


SED는 소련의 지원을 받았지만, 독일 주둔 소련군 사령부(SVAG)는 SED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했다.[14] SVAG 선전부 국장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튤파노프 중령의 초기 보고서에 따르면, 당 내에서는 구 KPD와 구 SPD 출신들이 각기 다른 파벌을 형성하여 상당 기간 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14] 또한 SED가 소련 점령군의 도구가 아니라 진정한 독일 정당이라는 인식을 대중에게 심어주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고되었다.[14] 많은 구 KPD 회원들은 SED 결성으로 혁명성을 잃었다고 느꼈고, 구 SPD 회원들은 당내에서 2등 당원으로 취급받는다는 느낌과 함께 정치적 소극성을 보였다.[14] 초기 당 기구는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었다.[14] 소련 정보부는 SED 내 SPD 그룹이 서방 SPD 및 서방 연합군 점령 당국과 비밀리에 접촉하고 있다고 의심하기도 했다.[14]

소련 당국은 초기 SED가 민족주의 정당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우려했다. 당 대회에서 민족주의 관련 발언이 사회 문제나 성 평등 관련 발언보다 더 큰 호응을 얻었으며, 일부에서는 얄타 회담포츠담 회담에서 상실한 구 독일 동부 영토를 되찾자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14] SED는 창립 초기부터 나치당의 전직 구성원을 당원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는데, 이는 당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따라 1948년에는 전 나치 및 국방군 장교들을 위한 위성 정당으로 독일 민주당(NDPD)을 창설하기도 했으나, SED는 이후에도 전 나치당원을 계속 흡수했다.[14][15]

1946년 10월, 소련 점령 지역과 베를린에서 지방 선거가 실시되었다. 소련 점령 지역의 선거는 소련 당국의 강력한 지원과 통제 하에 치러져 SED가 압승을 거두었다.[14] 그러나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치러진 대베를린 시 의회 선거에서는 합당을 거부하고 독자적으로 출마한 SPD가 48.7%를 득표하며 제1당이 된 반면, SED는 19.8% 득표에 그쳐 CDU(22.2%)에 이어 3위에 머무르는 참패를 당했다.[14][24] 베를린 SPD의 다수는 소련 지역 깊숙이 위치했음에도 합병을 거부했으며, 투표 결과 KPD와의 즉시 통일에 찬성한 비율은 12.3%에 불과했다.[14] 이 선거 이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는 더 이상 자유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다.

1947년 7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린 제2차 당대회에서는 새로운 당 규약을 채택하고 당 집행위원회를 중앙위원회(Zentralkomitee, ZK)로 개편했다.[14] 1948년 서방 연합국의 단독 통화 개혁과 이에 맞선 소련의 베를린 봉쇄로 동서 간 대립이 격화되면서, 소련 점령 지역에서는 소련 모델의 강요가 본격화되었다.[14] 창당 초기에 내세웠던 "독일에서의 사회주의의 길"은 점차 부정되었고, 민주집중제에 기초한 소련 공산당식 정당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14] 1949년에는 창당 시 합의했던 양당 동등의 원칙이 공식적으로 부정되었다.[14] 1948년부터는 구 SPD 당원들에 대한 대대적인 추방과 박해가 시작되어, 당은 실질적으로 공산당과 다름없는 성격으로 변모해갔다.[14]

SED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반파시즘-사회주의 정당 및 단체들의 선거 연합인 '민주연합'을 출범시켜 독일 인민대표회의를 개최하고 진행했다. 이후 1949년 10월, 소련 점령 지역에 독일 민주공화국(동독)이 공식적으로 수립되었다. 이와 함께 민주연합은 '국민전선'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공동 의장이었던 빌헬름 피크는 독일 민주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오토 그로테볼은 초대 총리로 각각 취임했다.

2. 2. 권력 독점과 동독 통치 (1949-1989)

SED는 명목상 KPDSPD의 평등한 합당으로 출범했지만, 실제로는 창당 초기부터 공산주의자들이 주도권을 장악했다. 1940년대 후반을 거치며 SED는 당내의 비판적인 사회민주당 세력을 대부분 숙청했다. 1949년 동독이 공식적으로 수립될 무렵, SED는 사실상 새로운 이름의 공산당으로 변모하여 소련 블록의 다른 공산당들과 유사한 길을 걷게 되었다.

동독에는 SED 외에도 다른 정당들이 명목상 존재했지만, 소련 점령 당국은 이들 정당을 독일 민주 전선에 가입하도록 강제했다. 독일 민주 전선은 실제로는 SED가 통제하는 정당 연합체였으며, SED는 이 기구를 통해 후보 명단에서 공산주의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도록 하여 동독의 입법 기구 구성을 사실상 결정했다. 이는 소련 점령 지역 시절부터 이어져 온 방식이었다.

1949년 10월 동독이 수립되자, 빌헬름 피크가 초대 대통령, 오토 그로테볼이 총리가 되었으나, 당과 국가의 실권은 1950년 서기장(이후 제1서기)이 된 발터 울브리히트에게 집중되었다.[25] 울브리히트는 스탈린주의적 방식으로 권력을 공고히 하며 정적들을 차례로 제거해 나갔다. SED 결성 당시 구 KPD 출신 최고 지도부 7명 중 1953년에는 피크와 울브리히트를 제외하고 단 1명만이 남았으며, 나머지는 모두 숙청되었다. 다만 울브리히트는 정적을 숙청하거나 투옥했지만, 스탈린이나 체코슬로바키아클레멘트 고트발트처럼 사형시키는 경우는 드물었다.

동독은 SED 외에 기독교민주연합(CDU), 자유민주당(LDPD)], 그리고 이들에 대항하기 위해 소련의 지원으로 창설된

2. 3. 베를린 장벽 붕괴와 당의 해체 (1989-1990)

SED 당원증


1989년 혁명의 여파 속에서 동독 내 민주화 요구는 거세졌다. 1989년 10월 7일, 동독 건국 40주년 기념일에 맞춰 과거 사회민주당이 불법적으로 재창당되었다. 10월 내내 동베를린라이프치히 등 전국적으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이에 10월 18일 열린 특별 정치국 회의에서 호네커는 당 총서기직에서 해임되었고, 당내 2인자였던 에곤 크렌츠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크렌츠는 개혁가 이미지를 내세우려 했으나, 대중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많은 국민들은 그가 불과 4개월 전 톈안먼 광장 시위 진압을 지지하며 중국을 방문했던 사실을 기억하고 있었다.[18] 크렌츠는 여러 정책 조정을 시도했지만, 자유를 향한 국민적 열망을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정권의 미흡한 대응 중 하나가 결국 체제 붕괴의 도화선이 되었다. 11월 9일, SED 정치국은 서독 방문을 원하는 모든 시민이 공식 허가를 받아 국경을 넘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여행 규정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 규정이 다음 날부터 효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이 당의 비공식 대변인이었던 동베를린 당 간부 귄터 샤보프스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한 기자가 규정 시행 시점을 묻자, 샤보프스키는 이미 발효된 것으로 착각하고 "내가 아는 한 즉시, 지체 없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베를린 장벽 개방 결정으로 받아들여졌고, 수천 명의 동베를린 시민들이 장벽으로 몰려가 통과를 요구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 준비되지 않았고 무력 사용을 주저했던 국경 경비대는 결국 시민들을 서베를린으로 통과시켰다.

베를린 장벽 붕괴는 사회주의통일당(SED)에게 정치적 파멸을 가져왔다. 1989년 12월 1일, 동독 의회인 인민의회(Volkskammer)는 동독 헌법에서 SED의 지도적 역할을 규정한 조항을 삭제함으로써, 동독에서의 공산주의 통치를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이어 12월 3일에는 크렌츠를 포함한 중앙위원회와 정치국 전원이 사임했다.

권력을 잃은 SED는 변화를 모색했다. 1989년 12월 16일, 당명을 '''사회주의 통일당/민주 사회당'''(SED/PDS)으로 변경하고, 강령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같은 소련형 사회주의 요소를 폐기하며 노선 전환을 시도했다. 이후 1990년 2월 4일에는 당명을 다시 '''민주사회당'''(PDS)으로 변경했다.

PDS는 1990년 3월 동독 최초의 자유 총선거에 참여했으나, 16.4%의 득표율로 400석 중 66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 선거에서는 서독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의 지원을 받으며 조기 통일을 내세운 보수 연합이 승리했고, 독일 재통일 절차가 가속화되었다. 결국 1990년 10월 3일, 동독은 독일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는 방식으로 통일되었다.

3. 조직

SED의 규약상 최고 기관은 5년에 한 번 개최되는 당대회였으며, 당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을 선출했다. 그러나 민주집중제 원칙 하에서 당대회는 실질적으로 당 지도부가 제시한 방침과 인사안을 승인하는 역할을 했다.

당대회가 열리지 않는 기간에는 중앙위원회가 공식적인 최고 기관이었으나, 실제 권력은 정치국과 서기국에 집중되었다. 중앙위원회는 정치국과 서기국 구성원을 선출하는 역할을 했지만, 점차 이들 기구의 결정을 추인하는 형식적인 기구로 기능이 약화되었다.

당의 실질적인 최고 권력은 정치국과 서기국이 행사했다.


  • 정치국: 당의 전반적인 정치 노선을 결정하는 핵심 기구였다. 서기장(또는 제1서기)이 회의를 주재했으며, 정치국원은 서기국원, 정부 고위직, 군 및 국가보안기관 책임자, 주요 지역 당 책임자, 관제 노동조합 대표 등 당과 국가의 핵심 엘리트로 구성되었다. 정치국은 국가 운영에 관한 주요 사안들을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 서기국: 정치국의 결정을 구체적으로 집행하고 일상적인 당 업무를 총괄했다. 서기국 구성원은 대부분 정치국원을 겸했기 때문에 정치국과의 긴밀한 협조 관계를 유지했다.


당의 최고 지도자는 서기장(1953년~1976년에는 제1서기)이었으며,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유사하게 당과 국가 전반에 걸쳐 강력한 권한을 가졌다.

1989년 12월, 동독 체제 붕괴의 격변 속에서 열린 임시 당 대회는 기존의 중앙위원회, 정치국, 서기국 중심의 권력 구조를 공식적으로 폐지했다. 그레고어 기지를 당 의장으로 선출하고 집행위원회 중심의 새로운 지도 체제를 도입했으며, 당명도 '사회주의통일당-민주사회당'(SED-PDS)으로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호네커를 비롯한 과거 지도부 인사들이 당에서 제명되는 등 당의 구조와 성격에 근본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3. 1. 기본 조직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조직은 동독의 여러 기관과 함께 설립되었으며, 그 영향력은 공공 생활의 모든 측면에 미쳤다. 당은 모든 당원에게 "동지가 있는 곳에 당이 있다"(Wo ein Genosse ist, da ist die Partei|보 아인 게노세 이스트, 다 이스트 디 파르타이de)는 구호를 따르도록 요구했다.[16] 이는 당 조직이 국영 기업, 기계 및 트랙터 정비소, 국영 농장, 그리고 규모가 큰 농업 생산 협동조합 등에서 활동하며, 각 기관의 운영 관리를 감시하고 규제하는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

당의 가장 작은 조직 단위는 당 그룹(Parteigruppe)이었다. 그룹 구성원들은 당 활동을 책임지는 당 그룹 조직자(Parteigruppenorganisator, PGO)를 선출했다. 또한 그룹의 규모에 따라 재무 담당자, 선동가, 그리고 다른 관련 구성원들이 당 그룹 지도부에 포함되었다. 한 장소에서 여러 개의 당 그룹이 운영될 경우, 이들은 부서별 당 조직(Abteilungsparteiorganisation, APO)으로 통합되었으며, APO는 자체적인 지도부와 당 사무국을 가졌다.

3. 2. 당 대회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당대회는 형식적으로 당의 최고 기관이었다. 당대회는 점차 군사적 수준의 정밀함으로 계획되었으며, 사회의 중요한 행사로 인식되도록 신중하게 연출되었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기능을 넘어선 의미를 지녔다. 대표자들은 당 중앙위원회가 정한 기준에 따라 지역 및 부문별 당 조직에서 선출되었으며, 이때 여성, 청년 대표, 승인된 대중 조직의 구성원, 그리고 "모범적인" 노동자들의 비율을 고려하였다.

제1차 당대회는 1946년 4월 26일에 개최되어 집행위원회를 설치하고 빌헬름 피크오토 그로테볼을 공동 의장으로 선출했다.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은 전신인 독일 공산당의 전통을 계승하여 스탈린주의 강령을 채택하고 이오시프 스탈린소련 공산당을 모델로 삼았다. 또한 콤소몰을 모방한 자유 독일 청년단과 그 산하 조직인 에른스트 텔만 피오네르 조직을 설립했다.

제2차 당대회는 1947년 7월 20일부터 7월 24일까지 열렸으며, 당 강령을 구체화하고 집행위원회를 중앙위원회로 개편하였다.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는 에리히 호네커를 비롯한 독일 공산당의 주요 인사들이 선출되었다.

1950년에 개최된 제3차 당대회의 모습


1950년 7월 20일 제3차 당대회에서는 공동 의장 직위를 폐지하고 서기국을 신설하여 빌헬름 피크를 서기장으로, 발터 울브리히트를 의장으로 선출하였다. 또한 당 휘하에 내무부와 국영화를 감독하는 인민 기업을 설치하여 소련 공산당과 유사한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당대회 목록
회차개최 기간
제1차1946년 4월 21일 – 22일 (창당 대회)
제2차1947년 4월 20일 – 24일
제3차1950년 7월 20일 – 24일
제4차1954년 3월 30일4월 6일
제5차1958년 7월 10일 – 16일
제6차1963년 1월 15일 – 20일
제7차1967년 4월 17일 – 22일
제8차1971년 6월 15일 – 19일
제9차1976년 5월 18일 – 22일
제10차1981년 4월 11일 – 16일
제11차1986년 4월 17일 – 21일
임시1989년 12월 8일 - 9일, 16일 - 17일 (SED/PDS로 개칭 결의)



3. 3. 중앙위원회

대회가 열리지 않는 기간에는 중앙위원회(Zentralkomitee|첸트랄코미테de, ZK)가 당의 공식적인 최고 지도 기구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사무총장(1953년부터 1976년까지는 제1서기)이 의장을 맡는 중앙위원회 서기국과 정치국에 집중되어 있었다. 당의 최고 지도자인 사무총장/제1서기직은 발터 울브리히트(~1971), 에리히 호네커(1971~1989), 에곤 크렌츠(1989) 순으로 이어졌다. 소련 공산당과 달리 중앙위원회 차원의 "제2서기"는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으나, 카를 쉬르데반, 에리히 호네커, 파울 페르너, 에곤 크렌츠 등이 각 시기 비공식적인 2인자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동독의 정치 위계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은 정부 각료보다 높은 지위를 가졌다.

1950년 7월 제3차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회는 소련 모델에 따라 단일 명부 방식으로 처음 선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집행부 대다수가 교체되었으며, 새로 선출된 중앙위원의 62% 이상이 1946년 통일당 창설 이전 독일 공산당(KPD) 출신이었다. 이는 당 창설 당시 내세웠던 KPD독일 사회민주당(SPD) 간의 동등성이 점차 약화되었음을 보여준다.[17] 중앙위원회 위원 수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가하여, 1954년 91명(정위원 기준)에서 1981년에는 156명으로 늘어났으며, 1989년에는 정위원 165명과 후보위원 57명에 달했다.

중앙위원회는 고위 당 간부뿐만 아니라 고위 정부 관료, 주요 기관 및 산업 결합체(콤비나트)의 수장, 작가 연맹 회장, 최고위 군 장교, 당 원로 등 동독 사회의 핵심 엘리트들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동독의 전반적인 권력 구조를 반영하듯, 중앙위원회는 압도적으로 남성 중심이었으며 여성 위원의 비율은 15%를 넘지 못했다.

민주집중제 원칙에 따라 중앙위원회는 형식적으로 당 대회를 통해 선출되고 정치국과 서기국 구성원을 선출하는 최고 기관이었으나, 실제 운영에서는 당 지도부가 제시한 안건을 승인하는 역할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초기인 1955-56년경에는 중앙위원회가 토론의 장으로 기능하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점차 형식화되어 6개월에 한 번 열리는 회의에서 정치국과 서기국의 보고와 제안을 추인하는 역할이 주가 되었다.

1989년 동독 체제가 붕괴하는 과정에서 중앙위원회는 급격한 변화를 맞았다. 12월 3일, 각 지구당 제1서기들의 사퇴 요구에 직면한 에곤 크렌츠 당시 서기장을 비롯한 정치국원과 중앙위원 전원이 자기 비판 성명을 발표하며 총사퇴했다. 이 총회에서는 에리히 호네커, 빌리 슈토프, 에리히 밀케 등 과거 핵심 간부들을 당에서 제명하고, 임시 당 대회 준비를 위한 작업 위원회를 선출하며 사실상 활동을 정지했다. 이후 열린 임시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회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3. 3. 1. 정치국

중앙위원회의 가장 중요한 일상 업무는 당 간부의 소규모 집단인 정치국(Politbüro)에서 수행되었다. 정치국은 15명에서 25명의 정식 위원과 약 10명의 후보 위원(투표권 없음)으로 구성되었으며, 약 10명의 중앙위원회 서기가 포함되었다. 중앙위원회 사무총장(또는 제1서기)은 정치국 의장직도 겸임하며 당의 최고 권력을 행사했다.

형식적으로는 각료 평의회가 국가 정부의 수장이었지만, 실제로는 정치국의 결정을 시행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했다. 즉, 각료 평의회는 명목상 동독의 최고 행정 기관이었으나, 당 정치국의 지속적인 통제를 받았으며, 이는 SED의 "지도적 역할"을 보장하는 구조였다. 이러한 당의 우위는 1968년 헌법 개정을 통해 명시적으로 규정되었는데, 이 헌법은 동독을 "노동계급과 그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이 이끄는 "사회주의 국가"로 정의했다. 각료 평의회 의장과 인민의회("Volkskammer") 의장 역시 정치국 위원이었다.

정치국 회의는 일반적으로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 베르더셔 마르크트(Werderscher Markt)에 있는 중앙위원회 건물 2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회의는 보통 2시간 정도 진행되었으며, 최대 10개에서 20개의 안건을 다루었다. 전 정치국 위원이었던 에곤 크렌츠귄터 샤보프스키에 따르면, 대부분의 정치국 위원은 회의에서 발언할 내용이 거의 없었고, 반대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었다고 한다. 이는 정치국 내부의 경직된 분위기를 보여준다.

SED의 실권을 쥔 최고 권력 기관은 정치국과 서기국이었다. 정치국은 전반적인 정치적 결정을 내렸고, 서기국은 결의의 실행과 일상적인 당무를 담당했다. 소련 공산당에서는 정치국과 서기국 간의 대립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SED에서는 서기국원이 정치국원 또는 정치국원 후보를 겸임했기 때문에 두 기관 사이에 별다른 갈등은 없었다. 정치국원은 서기국원 외에도 각료평의회 의장, 인민의회 의장 등 정부 고위 관료, 국방장관 및 국가보안성 장관과 같은 군 및 치안 부문 책임자, 각 현(Bezirk)과 동베를린의 당 조직을 이끄는 지구위원회 제1서기, 관제 노동조합인 자유 독일 노동총동맹(FDGB) 회장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당과 국가의 주요 권력이 정치국에 집중되었음을 보여준다. 정치국 회의는 제한된 시간 안에 국정에 관한 모든 사항을 결정해야 했기 때문에, 중앙위원회 산하 41개 부서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작성한 원안을 바탕으로 부분적인 수정을 가해 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1989년 12월 8일부터 9일까지 열린 임시 당 대회에서 소련 공산당 형태의 중앙위원회, 정치국, 서기국으로 구성된 기존의 당 조직은 폐지되었다. 대신 당 의장으로 그레고어 기지가 선출되었고, 집행위원회와 간부회가 새롭게 설치되었다.

3. 3. 2. 서기국



1950년 7월 20일,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은 제3차 당대회를 열어 공동 의장 직위를 없애고 서기국을 새로 만들었다. 이때 빌헬름 피크가 서기장으로, 발터 울브리히트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당 아래에 내무부와 국영화를 감독하는 인민 기업을 설치하여 소련 공산당과 비슷한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당 서기는 당 내 여러 직급에 존재했다. 보통 보수 없이 활동했으며, 당 서기 업무와 다른 유급 직무를 함께 맡는 경우가 많았다. 조직 규모가 커지면 당 서기와 다른 위원회 구성원 사이에 갈등이 생길 수 있었고, 이때는 전임 유급 당 서기가 임명되었다. 규모가 큰 산업 단지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기관의 당 서기는 더 강력한 기구의 구성원 자격을 겸하며 중앙위원회 수준까지 영향력을 가졌다. 당 서기의 주요 임무는 정치 활동을 조직하는 것이었다. 당 회의를 준비하고 당 지도부와 협력하여 정치 교육을 조직했으며, 당의 결정 사항이 잘 이행되고 지켜지는지 확인하고 일반적인 보고 및 지도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담당하는 사람들의 "분위기와 의견" (Stimmungen und Meinungen|슈티뭉엔 운트 마이눙엔de)에 대한 월간 보고서를 제출해야 했다.

업무 수행 과정에서 비판이 제기될 경우, 이를 전달할 여러 경로가 존재했지만, 이는 당 기구의 관료화 심화와 스탈린주의적 경향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었다. 당 서기들은 상위 당 위원회 대표들의 지도를 받고 확인을 거치는 특별 월간 정치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했다. 당에서의 책임과 더불어, 당 서기들은 국가 행정부의 구성원이기도 했으며, 기업과 사무실에서 SED이 주장하는 지도적 역할을 확보하는 역할을 했다. 행정적 결정 사항들은 당 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최종 결정되었으며, 관리자가 당원일 경우 해당 결정을 따라야 했다.

중앙위원회 서기국은 매주 수요일에 회의를 열어 전날 정치국에서 최종 결정된 사항을 실행하고, 다음 중앙위원회 회의 안건을 준비했다. 서기국은 중앙위원회 당 서기들로 구성되었다. 서기국은 중앙위원회의 노멘클라투라(주요 직책 임명 후보자 명단)를 선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노멘클라투라는 당과 국가의 상위 약 300개 직책을 맡은 인물들을 의미했으며, 이 명단을 변경하려면 중앙위원회 서기국의 승인이 필요했다.

서기국은 정치국중앙위원회 부서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중앙위원회 부서장들은 항상 중앙위원회 정회원이었으며, 당과 국가의 정책 수립에 관여했다. 대부분의 부서는 동독 정부의 부처와 유사한 구조를 가졌다(예: 경공업부, 구역 주도 식품 산업부 등). 이 부서들은 해당 정부 부처에 사실상 구속력 있는 지시를 내릴 수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서기들만이 지시 권한을 가졌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인민교육부였는데, 해당 부서는 서기국 소관이 아니라 사무총장 직속이었으며, 이는 장관인 마르곳 호네커가 당시 사무총장 에리히 호네커의 아내였기 때문이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 서기들은 보통 여러 부서를 담당했으며, 예를 들어 동독이 존재했던 기간 동안 경제 담당 서기는 한 명이었다.

당 기관지 ''노이에스 도이칠란트''(Neues Deutschland)는 부서 형태로 조직되었고, 편집장은 부서장 직급을 가졌다. 마찬가지로, 카를 마르크스 당 아카데미 (Parteihochschule Karl Marx)와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소도 부서로 조직되었으며, 그 책임자들은 부서장 직급을 가졌다.

1989년 초 중앙위원회 부서
부서책임자담당 서기
선동 (1963년까지 선동 및 선전)하인츠 게겔요아힘 헤르만
선전 (1963년까지 선동 및 선전)클라우스 가블러
우호 정당카를 포겔
노이에스 도이칠란트헤르베르트 나우만 (부서장 직급의 편집장)
외교 정보만프레트 파이스트헤르만 악센
국제 관계귄터 지버
국제 정치 및 경제 (1984년까지 서부 부서)군터 레트너
청년게르트 슐츠에곤 크렌츠
스포츠루돌프 헬만
안보 문제볼프강 헤르거
국가 및 법률 문제클라우스 조르게니히트
간부 문제프리츠 뮐러에리히 호네커
베르케르(Verkehr) (밀약 부서, 택배 서비스, 독일 공산당 자금 지원 등 담당)율리우스 체불라
당 기구하인츠 미르친호르스트 돌루스
여성인게부르크 랑에 (1961년부터 부서장, 1973년부터 중앙위원회 서기 담당)
과학요하네스 횔니히쿠르트 하거
교육로타르 오퍼만
문화우르줄라 라그비츠
보건 정책카를 자이델
카를 마르크스 당 아카데미쿠르트 티에트케 (부서장 직급의 학교 교장)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소귄터 하이덴 (연구소장 직급)
농업헬무트 젬멜만베르너 크롤리코프스키
무역 및 공급힐마르 바이스베르너 야로빈스키
교회 문제페터 크라우서
기획 및 재정귄터 에렌슈페르거귄터 미타크
연구 및 기술 개발헤르만 푀셸
노동 조합 및 사회 정책프리츠 브로크
건설게르하르트 퇼리치
기계 공학 및 야금클라우스 블레싱
기초 산업호르스트 왐부트
철도, 운송 및 통신디터 뵈스텐펠트
경공업, 식량 및 구역 관리 산업만프레트 포이그트
사회주의 경제 관리카를-하인츠 얀손
재정 관리 및 당 사업하인츠 빌덴하인에드빈 슈베르트너 (정치국 사무실의 책임자)
상업 기업 관리귄터 글렌데



당의 실권을 쥐고 있던 최고 권력 기관은 전체적인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정치국과 결의의 실시 및 일상적인 당무를 수행하는 서기국이었으며, 그중에서도 서기장 (또는 제1서기)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 등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권한을 가진 최고 지도자였다. 소련 공산당에서는 정치국(간부회)과 서기국이 대립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SED에서는 서기국원이 정치국원 혹은 정치국원 후보를 겸임했기 때문에 양자 간의 갈등은 없었다. 정치국 회의는 주 1회 개최되었으며, 그 제한된 시간 내에 국정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중앙위원회 소속 41개 부서가 정보를 수집하여 작성한 원안에 부분 수정을 가하여 결정했다.

1989년 12월 8일부터 9일까지 열린 임시 당 대회에서 소련 공산당형 중앙위원회, 정치국과 함께 서기국도 폐지되었다.

4. 역대 지도자

Wilhelm Pieck|빌헬름 피크de (1876–1960)

빌헬름 피크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SED)1946년 4월 22일1950년 7월 25일-오토 그로테볼
Otto Grotewohl|오토 그로테볼de (1894–1964)
오토 그로테볼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SED)1946년 4월 22일1950년 7월 25일중앙위원회 제1서기 (1953년–1976년) / 중앙위원회 서기장 (1976년–1989년)
(Erster Sekretär des Zentralkomitees|에르스터 제크레테어 데스 첸트랄코미테스de / Generalsekretär des Zentralkomitees|게네랄제크레테어 데스 첸트랄코미테스de)1발터 울브리히트
Walter Ulbricht|발터 울브리히트de (1893–1973)
발터 울브리히트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SED)1950년 7월 25일1971년 5월 3일2에리히 호네커
Erich Honecker|에리히 호네커de (1912–1994)
에리히 호네커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SED)1971년 5월 3일1989년 10월 18일3에곤 크렌츠
Egon Krenz|에곤 크렌츠de (1937–)
에곤 크렌츠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SED)1989년 10월 18일1989년 12월 3일당 중앙위원회 의장 (명예 의장)
(Vorsitzender des Zentralkomitees|포어지첸더 데스 첸트랄코미테스de)-발터 울브리히트
Walter Ulbricht|발터 울브리히트de (1893–1973)독일 사회주의통일당 (SED)1971년 5월 3일1973년 8월 1일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득표수득표율의석
1946년 소련 점령 지역 주 선거4,685,30447.57% (1위)249 / 519석
1946년 베를린 주 선거412,58219.8% (3위)26 / 130석


5. 1. 동독 인민의회 선거

오토 그로테볼국민전선의 일원으로 참여110 / 466신규1위1950년발터 울브리히트110 / 400-1위1954년117 / 400▲ 71위1958년117 / 400-1위1963년110 / 434▼ 71위1967년110 / 434-1위1971년110 / 434-1위1976년에리히 호네커110 / 434-1위1981년127 / 500▲ 171위1986년127 / 500-1위



집권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은 다른 정당들과 대중 조직들을 통제하는 국민전선을 통해 인민의회를 실질적으로 통제했다. 사회주의통일당은 인민의회 의석의 정해진 할당량을 보장받았다.

참조

[1] 서적 The Left Party in Contemporary German Politic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7-09-12
[2] 문서 By the end of 1989, the last hardline members of the party's Central Committee had either resigned or been pushed out; meanwhile, by 1990, 95% of the SED's 2.3 million members had left the party. On 4 February 1990, the party was formally renamed the PDS.
[3] 웹사이트 Things to know about Germany's satirical party Die Partei http://www.dw.com/en[...] 2018-02-25
[4] 서적 Staatssozialismus und gesellschaftliche Differenzierung: eine empirische Studie LIT Verlag Münster
[5] 서적 Mir langt’s, ich gehe. Der Lebensweg eines DDR-Atomphysikers von Anpassung zu Aufruhr Herder
[6] 서적 The Party statutes of the Communist world BRILL
[7] 서적 East German distinctiveness in a unified Germany University of Birmingham
[8] 서적 A History of Germany 1918 – 2014: The Divided Nation https://books.google[...]
[9] 서적 Color Design Workbook: A Real World Guide to Using Color in Graphic Design https://archive.org/[...] Rockport Publishers 2006
[10] 서적 Socialist Reformers and the Collapse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Springer 2015-10-29
[11] 서적 Political System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12]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Since 1815 A&C Black 2003
[13] 서적 East German Distinctiveness in a Unified Germany https://archive.org/[...] A&C Black
[14] 간행물 Entscheidung für die SED 1946 – ein Verrat an sozialdemokratischen Idealen?
[15] 뉴스 Karrieren ehemaliger Nazis in der DDR: Erst braun, dann rot https://www.spiegel.[...] Der Spiegel GmbH & Co. KG 2021-07-06
[16] 웹사이트 "Wo ein Genosse ist, da ist die Partei!"? – Stabilität und Erosion an der SED-Parteibasis http://www.bundessti[...]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Berlin 2015-03-23
[17] 서적 Politik und Organisation der SED-Zentrale 1949–1963: Struktur und Arbeitsweise von Politbüro, Sekretariat, Zentralkomitee und ZK-Apparat LIT Verlag
[18] 서적 Revolution 1989: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19] 서적 The World Today Series: Nordic,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8 Stryker-Post Publications
[20] 웹사이트 Magazin meldet Spur in Liechtenstein http://www.spiegel.d[...]
[21] 서적 The Party That Came Out of the Cold War
[22] 문서 ソ連占領地区のSPDのみ
[23] 서적 Staatssozialismus und gesellschaftliche Differenzierung: eine empirische Studie LIT Verlag Münster
[24] 문서 上述のように西ベルリンではSPDが存続し、東側でも活動できた。SPDの党組織は東ベルリンではSEDに吸収されており、西側しか残存していな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第一党となった。
[25] 간행물 ソ連占領下のドイツ社会民主党ーSED成立史再考ー
[26] 서적 自由と統一への長い道 Ⅱ ~ドイツ近現代史 1933-1990年~
[27] 뉴스 東西ドイツ統一後初、左派党の州首相 テューリンゲン https://www.nikkei.c[...] 2021-08-29
[28] 뉴스 In der Linken steckt sehr viel SED http://www.spiegel.d[...] 2009-03-24
[29] 뉴스 So viel SED steckt in der Linkspartei https://www.welt.de/[...] 2015-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