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암블리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암블리코스는 4세기 시리아 출신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로, 플로티노스의 철학을 계승하면서 피타고라스 학파의 신비주의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했다. 그는 아파메이아에 학파를 설립하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연구했으며, 저서로는 『신비에 관하여』, 『피타고라스의 생애』 등이 있다. 이암블리코스는 신과의 합일을 위해 신비주의(테우르기아)를 강조했으며, 시간론과 우주론에서 독창적인 사상을 펼쳤다. 그의 철학은 고대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15-16세기에 그의 사상이 재조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철학자 - 포세이도니오스
포세이도니오스는 다재다능한 고대 그리스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 과학적 관찰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우주와 인간의 삶을 탐구하며 지리학, 천문학, 역사 분야에 기여했고, 로도스 학파를 이루어 폼페이우스, 키케로 등 유명한 로마인들을 제자로 배출했다. - 245년 출생 - 제갈상
제갈상은 촉한 승상 제갈량의 증손이자 제갈첨의 아들로, 263년 면죽관에서 위나라 군에 맞서 싸우다 아버지와 함께 전사했으며, 황호를 참수하지 못한 것을 자책하며 위군에 돌진해 죽었다는 기록이 《화양국지》에 남아 있고 무후사에 소상이 세워져 기려지는 인물이다. - 325년 사망 -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는 4세기 초 로마 황제로, 갈레리우스 황제의 신임을 받아 서방의 아우구스투스로 임명되었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와 함께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를 공인했으나, 콘스탄티누스와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 후 처형되고 기억마저 말살되었다. - 325년 사망 - 동진 명제
동진 명제는 사마예의 장남으로 왕돈의 난을 진압하고 강남 호족과의 융화 정책을 펼쳤으며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암블리코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암블리코스 |
다른 이름 | 이암블리코스 칼키덴시스, 칼키스의 이암블리코스, 아파메아의 이암블리코스 |
로마자 표기 | Iamblichos |
아람어 | 얌리쿠 (Yamlīkū) |
출생 | 기원후 245년경 |
출생지 | 칼키스 아드 벨룸, 로마 제국 |
사망 | 기원후 325년경 (80세) |
분야 | 서양 철학 |
시대 | 고대 철학 |
학파/전통 | 신플라톤주의 |
주요 관심사 | 형이상학, 철학적 우주론 |
영향 | 포르피리오스, 피타고라스, 아나톨리우스, 신피타고라스주의,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
영향받은 인물 | 프로클로스, 아이데시오스, 에페소스의 막시무스 |
주요 저서 | 《피타고라스적 삶에 대하여》 (Περὶ τοῦ πυθαγορικοῦ βίου; De vita pythagorica) Protrepticus (Προτρεπτικὸς ἐπὶ φιλοσοφίαν) 《이집트인, 칼데아인, 아시리아인의 신비에 대하여》 (Περὶ τῶν αἰγυπτίων μυστηρίων; De Mysteriis Aegyptiorum) |
2. 생애
수다와 이암블리코스의 전기 작가인 에우나피오스에 따르면, 이암블리코스는 시리아의 칼키스(현재의 킨나스린)에서 부유하고 명망 있는 가문에서 태어났다.[9] 그는 에메세 왕조의 후손이었다. 처음에는 라오디케이아의 아나톨리우스에게서 배웠고, 나중에는 플로티노스의 제자인 포르피리오스에게서 수학했다. 이암블리코스는 신비주의(테우르기아)에 대해 포르피리오스와 견해 차이를 보였으며, 포르피리오스가 이 관행에 대해 비판한 것에 대해 ''이집트인, 칼데아인, 아시리아인의 신비에 관하여''에서 반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암블리코스는 플로티노스의 신플라톤주의를 계승하면서도, 피타고라스 학파의 수 상징주의를 체계적으로 적용했으며, 플로티노스와 달리 물질 내 영혼의 화신을 재확인하고 물질이 우주의 다른 부분만큼 신성하다고 믿었다.[12]
304년경, 이암블리코스는 시리아로 돌아와 안티오크 근처 아파메이아에 학파를 설립했는데, 이 도시는 신플라톤 철학자들로 유명했다. 이암블리코스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연구하는 커리큘럼을 설계했고, 두 사람에 대한 주석을 썼지만 단편만 남아있다. 피타고라스는 그에게 최고의 권위자였으며, 그는 여러 고대 철학자들의 발췌문을 담은 10권의 ''피타고라스 교리의 모음''을 저술했는데, 첫 4권과 5권의 단편만 남아있다.[10]
이암블리코스는 뛰어난 문화와 학식을 갖춘 사람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관용과 자제력으로도 명성을 얻었다. 많은 학자들이 그를 흠모하여 모여들었고, 이암블리코스는 그들과 함께 화기애애하게 지냈다. 요한 알베르트 파브리시우스에 따르면, 이암블리코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치세, 아마도 333년 이전에 사망했다.[11]
3. 철학
3. 1. 우주론과 신학
이암블리코스는 만물의 근원인 '일자(모나드)'로부터 누스(지성)와 프시케(영혼)가 유출된다고 보았다. 플로티노스와 달리, 이암블리코스는 누스를 지성적인 것(사고의 대상)과 지적인 것(사고의 영역)으로 구분했다.[12]
이암블리코스는 신, 천사, 악마, 영웅 등 다양한 신적 존재들의 위계를 설정했다. 그는 천상의 신 12명(36명 또는 360명으로 증가), 그들로부터 파생된 다른 신 72명, 수장 21명, 자연신 42명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의 신적 영역은 모나드에서 물질적 본성에 이르기까지 확장되었으며, 여기서 영혼은 물질로 내려가 인간의 형태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초인간적 존재들은 자연 현상에 영향을 미치고 미래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며, 기도와 제물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암블리코스는 숫자가 독립적이며, 제한된 것과 무제한적인 것 사이의 중간 영역을 차지한다고 가정했다. 그는 자연이 운명에 의해 묶여 있으며, 운명에 종속되지 않고 악과 불완전을 좋은 결과로 바꾸는 신적인 것들과는 다르다고 믿었다. 악은 유한한 것과 무한한 것 사이의 갈등에서 우연히 발생했다.[13]
3. 2. 시간론
이암블리코스는 피타고라스 학파 철학의 부흥을 목표로, 플로티노스의 시간론과는 다른 독자적인 시간론을 제시했다.[1] 그는 시간을 불가분하며 흘러가지 않는 시간과, 비실재적이며 흘러가는 시간으로 나누어 생각했다.[1] 이는 플로티노스의 영원과 시간의 관계와 유사하지만, 이암블리코스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 구조를 제시했다.[1]
이암블리코스는 영원이 먼저 존재하고, 우주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흘러가지 않는 형이상학적인 시간이 만들어지며, 마지막으로 흘러가는 자연학적인 시간이 있게 된다고 보았다.[1] 그는 이러한 자신의 시간론이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가짜 알퀴타스나 피타고라스 학파의 초기 사상가들의 시간론과 같다고 믿었다.[1] 프로클로스는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이미 두 종류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주장되어 있다고 생각했다.[1] 그러나 이암블리코스 이전에 두 종류의 시간에 대해 언급한 것은 그의 스승인 포르피리오스이다.[1]
3. 3. 신비주의(테우르기아)
이암블리코스는 신과의 합일을 위한 방법으로 신비주의(테우르기아)를 제시했다. 여기서 신비주의는 의식과 작업을 통해 존재의 여러 계층에서 신적 "징표"를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1] 포르피리오스는 정신적 관조를 통한 구원을 주장한 반면, 이암블리코스는 신비주의를 통해 신성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1]
이암블리코스에 따르면, 초월적인 것은 이성을 초월하기 때문에 정신적인 묵상으로 파악할 수 없다. 신비주의는 존재의 여러 계층에서 신적 "징표"를 따라가며 초월적 본질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의식과 작업이다. 이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피타고라스, 그리고 "칼데아 신탁"과 같은 사물의 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비주의자는 "유사한 것으로 유사한 것에" 작용시킨다. 즉, 물질적인 수준에서는 물질적인 상징과 "마술"을 통해, 더 높은 수준에서는 심적이고 순수한 영적인 실천을 통해서이다. 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을 조화시키는 것에서 시작하여, 신비주의사는 최종적으로 영혼의 내적인 신성이 신과 합일하는 단계까지 도달한다.[1]
이암블리코스는 일반 대중이 행하는 의식은 실질적으로 물질적인 것이며, 한편 신성에 가까운 (극소수의) 고도한 사람들은 관조를 통해 신적인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1]
4. 저작
이암블리코스의 저작은 대부분 단편으로만 남아있다. 현존하는 주요 저서로는 『신비에 관하여』, 『피타고라스의 생애』, 『일반 수학 과학에 관하여』, 『프로트렙티쿠스』, 『니코마코스의 산술 입문』 등이 있다. 『산술 신학』은 이암블리코스의 저작으로 추정되기도 한다.[14]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주석은 단편으로만 전해진다.
5. 영향
이암블리코스는 추종자들에게 칭송받았으며, 동시대 사람들은 그에게 기적적인 능력이 있다고 여겼다.[27][28] 율리아누스 황제는 이암블리코스를 플라톤 다음으로 여겼으며, 그의 편지 한 통을 얻기 위해 리디아의 모든 금을 주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15세기와 16세기에 그의 철학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면서 이암블리코스의 이름은 "신적인" 또는 "가장 신적인"이라는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이암블리코스는 시리아 출신의 대표적인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로, 그의 영향은 고대 세계 전역에 퍼져나갔다. 그의 사상은 후대의 프로클로스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29] 특히 영혼이 물질 안에 구현되며, 물질도 신성하다는 그의 사상은 이전의 신플라톤주의 사상과 구별되는 점이었다.[29]
참조
[1]
서적
Iamblichi Chalcidensis in Platonis Dialogos Commentariorum Fragmenta
The Prometheus Trust
2009
[2]
서적
Sergius of Reshaina: Introduction to Aristotle and his Categories, Addressed to Philotheos
https://books.google[...]
BRILL
2016-08-29
[3]
간행물
The Journal of Roman Studies
https://doi.org/10.2[...]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Rom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4]
서적
Iamblichi Chalcidensis in Platonis Dialogos Commentariorum Fragmenta
The Prometheus Trust
2009
[5]
서적
Byzantion: Revue Internationale Des Études Byzantines
https://books.google[...]
Fondation Byzantine
1999
[6]
서적
Iamblichus' Life of Pythagora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1986-12
[7]
서적
The life of Pythagoras;
https://archive.org/[...]
Krotona; Hollywood, Calif. : Theosophical Pub. House
1918
[8]
문서
B. Cassin, 'Anonymus Iamblichi', in [[Brill's New Pauly]]
[9]
서적
De Mysteriis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23-11-23
[10]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principal proper names mentioned in ancient authors ... Together with an account of coins, weights and measures, etc
https://books.google[...]
Harper & Bros.
2023-08-28
[1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Iamblichus' Exhortation to Philosophy (upcoming talk)
http://blog.protrept[...]
2015-05-31
[12]
문서
Pythagoras Revived: Mathematics and Philosophy in Late Anti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13]
Citation
Iamblichus
https://referencewor[...]
Brill
2006-10-01
[14]
문서
"Religious Communities". In Bowersock, G. W.; Brown, Peter; Grabar, Oleg (eds.).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15]
웹사이트
De mysteriis liber
https://books.google[...]
2022-09-19
[16]
서적
Iamblichus on the Mysteries of the Egyptians, Chaldeans, and Assyrians
https://books.google[...]
C. Whittingham
2022-09-19
[17]
웹사이트
On the Mysteries - Translated by Thomas Taylor
http://ars-theurgica[...]
2022-09-19
[18]
웹사이트
Theurgia, Or The Egyptian Mysteries
https://archive.org/[...]
2022-09-19
[19]
웹사이트
Iamblichus: Theurgia or On the Mysteries of Egypt
http://www.esoterica[...]
2022-09-19
[20]
웹사이트
The Life of Pythagoras
https://archive.org/[...]
2022-09-19
[21]
웹사이트
Iamblichus' Life of Pythagoras or Pythagoric Life
https://archive.org/[...]
[22]
웹사이트
Iamblichi Chalcidensis ex Coele-Syria De vita Pythagorica liber : Graece et Latine
https://archive.org/[...]
2022-09-19
[23]
웹사이트
Iamblichi De communi mathematica scientia liber
https://books.google[...]
2022-09-19
[24]
웹사이트
Protrepticus
https://books.google[...]
2022-09-19
[25]
서적
In Nicomachi arithmeticam introductionem liber
https://books.google[...]
B. G. Teubner
2022-09-19
[26]
문서
George Sarton (1936). "The Unity and Diversity of the Mediterranean World", Osiris 2, pp. 406–463 [430]; Brill's New Pauly, "Iamblichus", 2.
[27]
citation
Theurgy and the Soul: The Neoplatonism of Iamblichus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971-09-01
[28]
문서
Library of the World's Best Literature, Ancient and Modern
1899
[29]
문서
プロティノスもまた物質を無つまり非存在であると『エンネアデス』で説明していた。 Plotinus "Matter is therefore a non-existent" Ennead 2, Tractate 4 Section 16 which is to express the concept of [[観念論|idealism]] in connection with the nous or contemplative faculty within man.
[30]
문서
Pythagoras Revived: Mathematics and Philosophy in Late Anti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31]
문서
この節は全体として[[國方栄二]]『後期新プラトン派の時間論(1)―偽アルキュタスからイアンブリコスへ―』(『ネオプラトニカII 新プラトン主義の原型と水脈』、[[昭和堂]]、[[2000年]]に所収)による。
[32]
문서
George Sarton (1936). "The Unity and Diversity of the Mediterranean World", 《Osiris》 2, p. 406-463 [430]; Brill's New Pauly, "Iamblichus", 2.
[33]
서적 인용
Theurgy and the Soul: The Neoplatonism of Iamblichus
http://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971-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