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정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표는 도로, 철도 등에서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 방향, 위치 등을 나타내는 표지이다. 로마 제국 시대에 주요 도로에 설치된 것이 시초로, 오늘날에는 다양한 국가에서 킬로미터 또는 마일 단위로 거리를 표시하며, 고속도로, 철도, 경계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또한, 어떤 프로젝트나 사건의 중요한 시점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로 구조물 - 볼라드
    볼라드는 본래 선박 계류용 말뚝이었으나, 현대에는 보행자 및 차량 안전 확보와 교통 흐름 제어를 위한 차량 방지턱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어 기능과 디자인을 고려하고, 충격 흡수 기능이 추가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으며, 건물 보호, 주차 공간 확보, 교통 유도, 예술 작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도로 구조물 - 소화전
    소화전은 화재 시 소방 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설치 위치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 옥내식, 옥외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소방법 및 상수도법에 따라 수도사업 관리자가 설치, 유지 및 관리하고 급수 능력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효율적인 소방 활동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와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다.
  • 측량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측량학 - 마일
    마일은 고대 로마 시대에서 유래한 길이 단위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나 현재는 국제 마일로 표준화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고 여러 영어권 관용구에도 쓰인다.
이정표
개요
도로변에 설치된 이정표
도로변에 설치된 이정표
종류도로변 이정표
철도 이정표
경계표
용도위치 식별
거리 정보 제공
노선 안내
도로 이정표
목적운전자에게 특정 목적지까지의 거리 정보 제공
도로망 내 현재 위치 정보 제공
형태기둥 형태
도로 표면 페인트
도로변 표지판
간격1마일 또는 1킬로미터 간격
재료
콘크리트
금속
플라스틱
역사
기원로마 시대
로마 시대 이정표재료: 돌기둥
높이: 12피트
직경: 5피트
기능도시 간 거리 표시
건설자 이름 명시
철도 이정표
목적철도 노선 상 특정 지점 표시
유지 보수 및 위치 확인 용이
형태기둥 형태
표지판 형태
위치철로 옆
정보노선 시작점으로부터의 거리
중요한 지점 (예: 역, 건널목)
경계표
목적토지 또는 행정 구역 경계 표시
형태
금속
콘크리트 기둥
정보관련 구역 이름
기타 정보
상징적 의미
은유적 의미여정의 특정 지점
성취 또는 진전의 표시

2. 역사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이정표


국도 제7호선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이정표


창원터널 입구의 이정표


창원대로에 설치된 이정표


이정표의 역사는 로마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 제국은 주요 가도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정표를 설치했으며, 이는 도로망 관리와 여행자 안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에서는 마일을 표준 단위로 사용하여 이정표를 설치하지만,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킬로미터를 표준으로 사용하므로 '킬로미터 표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현대에 와서 '이정표'라는 단어는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어떤 중요한 프로젝트나 사건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표현하며, 이를 기념하는 실제 기념물을 세우기도 한다.

2. 1. 로마 제국

로마 이정표 XXIX, 비아 로마나 XVIII – 이베리아 반도의 브라카라 아우구스타아스투리카 아우구스타를 연결하는 도로


과거 A66 Kirkby Thore와 Temple Sowerby 사이의 로마 이정표 (비문 없음)


로마 제국은 기원전 120년경 도로 관련 법인 '셈프로니우스 법'에 따라 주요 가도에 1로마 마일(약 1.48km, 1000보)마다 이정표를 설치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최초의 로마 이정표는 아피아 가도에 등장했으며, 일부는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

로마의 이정표는 '밀리아리움'이라 불렸으며, 초기에는 돌 오벨리스크 형태였으나 이후 화강암, 대리석 또는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돌로 만들어졌고 나중에는 콘크리트 기둥으로 제작되었다. 이정표는 로마 제국의 도로 건설자들이 널리 사용했으며 모든 로마 도로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하루에 이동하는 거리는 경우에 따라 몇 마일에 불과했다. 많은 로마 이정표에는 지명이나 거리를 표시하지 않고 재위하는 황제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기도 했다.[1]

주행 거리계는 로마 이정표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고대 그리스 기술을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이 높다. 로마의 중심에는 제국의 중심을 나타내기 위해 "황금 이정표"가 세워졌는데, 이 이정표는 현재는 유실되었다. 황금 이정표는 미국 내 모든 도로 거리를 계산하는 기준으로 삼기 위해 워싱턴 D.C.에 세워진 제로 이정표에 영감을 주었다.

2. 2. 비잔틴 제국

4세기 초 콘스탄티노폴리스에는 이정표 역할을 하는 기념물인 밀리온이 세워졌다. 이는 비잔틴 제국 내 모든 도시로 향하는 도로의 거리 측정을 시작하는 기점 역할을 했으며, 고대 로마의 밀리아리움 아우레움(황금 이정표)와 같은 기능을 했다. 밀리온은 적어도 15세기 후반까지는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소실되었으나, 1960년대 후반에 그 조각들이 다시 발견되었고, 발견된 조각 중 일부를 이용하여 기둥 형태로 복원되었다.

2. 3. 이슬람 문명

이슬람 문명에서 이정표의 사용은 이슬람력 첫 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은 여행자들이 사용하던 길을 따라 이정표를 세웠으며, 그 중 일부는 시리아 골란 고원의 파이크에서 발견되었는데, 파이크는 이슬람 시대 전반에 걸쳐 주요 도로 기착지 중 하나였다. 이 돌들의 기능은 여행자들을 안내하고 먼 거리를 알려주는 것이었는데, 하나와 다른 것 사이의 거리는 약 1.61km이었다. 이러한 돌들은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하나는 이스탄불의 이슬람 고고학 박물관에, 다른 하나는 예루살렘 박물관에 있다. 현재 골란 고원의 카세린 박물관에서 발견된 돌에 쓰여진 텍스트의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자비로우시고 자비로우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그에게는 파트너가 없다. 무함마드는 하나님의 메신저이다.

:신자들의 지휘관인 압둘 말리크 빈 마르완은 이 마일을 만들도록 명령했다.

:신자들의 주님의 자문관의 손으로.

:다마스쿠스에서 이 돌까지 85년 샤반에 약 85.30km.

2. 4. 중세 이후 유럽

노섬벌랜드의 이정표. 베릭어폰트위드까지 1마일, 벨포드까지 14마일, 런던까지 333마일을 나타낸다.


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시마을 안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거리를 측정했다. 많은 도로는 양쪽 끝에 있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에서는 채링 크로스의 엘리너 십자가 근처에 있는 명판이 런던에서 다른 도시까지의 거리를 재는 기준점 역할을 한다. 영국에서 이정표는 특히 유료 도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영국은 몰타 섬에도 많은 이정표를 세웠다. 이 이정표들은 현지의 단단한 돌로 만든 큰 판으로 만들어졌으며, 특정 장소까지의 거리가 새겨져 있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침략 가능성에 대비하여 군대를 혼란스럽게 할 목적으로 훼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이정표는 훼손되지 않은 채 남아 있으며, 그중 하나는 현재 전쟁 박물관의 몰타에 보존되어 있다.

2. 5. 인도

코스 미나르(무굴 시대의 이정표), 델리 동물원, 뉴델리, 인도


'''코스 미나르'''(Kos Minar) 또는 '마일 기둥'은 인도의 중세 시대 이정표로, 16세기 아프간 통치자 셰르 샤 수리와 이후 무굴 제국 황제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무굴 황제들은 제국의 주요 고속도로에 코스 미나르를 세워 거리를 표시했다.

코스 미나르는 벽돌로 지어져 석회로 덮인 벽돌 플랫폼 위에 세워진 약 약 9.14m 높이의 단단하고 둥근 기둥이다. 건축적으로는 크게 눈에 띄지 않지만, 넓은 제국 내에서 소통과 여행을 돕는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했다.[3]

코스(Kos)는 고대 인도의 거리 단위로, 대략 1.8km 또는 3.2km를 나타낸다. 미나르(Minar)는 탑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단어이다. 아불 파즐은 그의 저서 ''악바르나마''에서 1575년 악바르 황제가 아그라에서 아즈메르로 가는 길의 모든 코스마다 여행객의 편의를 위해 기둥 또는 미나르를 세우도록 명령했다고 기록했다.[4][5]

2. 6. 일본

일본에는 이정표와 유사한 것으로 이리츠카가 있으며, 옛 가도에서 1리(약 4km)마다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3. 현대의 이정표

역사적인 용어인 "마일스톤"은 오늘날에도 사용되고 있다. 비록 과거의 돌 대신 금속 고속도로 위치 표지가 일반적이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마일과 야드 대신 킬로미터와 미터를 사용하지만, 그 개념은 여전히 유효하다. 현대에는 소수점을 포함하여 더 촘촘한 간격으로 설치된 표지판이나 철도, 해변, 운하를 따라 설치된 표지판도 찾아볼 수 있다.

이정표의 기원은 로마 제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20년경의 도로 관련 법 '셈프로니우스 법'에 근거하여 주요 가도에 1로마 마일(1000보)마다 설치한 것이 시초로 여겨지며, 아피아 가도에는 당시의 이정표가 현재에도 남아 있다.

미국에서는 여전히 마일을 표준 단위로 사용하며 이정표를 설치하지만,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킬로미터를 표준으로 사용하므로 '킬로미터 표지'라는 용어를 더 흔히 사용한다.

또한, '마일스톤'이라는 용어는 어떤 프로젝트나 세계적인 이벤트 등이 완성되거나 성공했을 때 이를 기념하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때로는 실제 기념물로서 남겨지기도 한다.

일본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리츠카가 있으며, 오래된 가도에서 1리(약 4km)마다 찾아볼 수 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도로표지는 일반적으로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표기하고, 고속도로의 경우 녹색 바탕에 흰색 글씨를 사용한다.[1] 목적지까지의 거리, 도로명, 방향, 분기점(JCT), 나들목(IC)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고속도로의 출구 번호는 가장 가까운 이정표 번호(주로 기점에서의 거리)를 기준으로 매겨지기도 한다.

아래는 대한민국 각지의 다양한 이정표 예시이다.

3.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의 미터법 전환으로 인해 이전의 마일 표지판은 고속도로와 지방 도로에서 점차 10km 표지판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를 "킬로미터 표지판"이라고 부른다.

킬로미터 표지판은 사다리꼴 녹색 배경에 흰색 텍스트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약 1m 위에 위치해 있다. 표지판에는 참조하는 마을이나 도시를 나타내는 문자와 해당 마을이나 도시까지의 거리를 킬로미터 단위로 나타내는 숫자가 있다.

킬로미터 표지판은 현재 주요 고속도로에서는 일반적으로 5km 간격으로, 덜 붐비거나 시골 고속도로에서는 10km 또는 20k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많은 예외가 있다. 킬로미터 표지판은 여러 마을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지판으로 보완된다.

일부 마일 표지판은 드물게 남아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주 델라콤의 글레넬그 고속도로에는 석재로 된 옛 마일 표지판이 남아 있다.

3. 3. 필리핀

필리핀의 이정표 예시


필리핀의 이정표는 고속도로에서 1km 간격으로 도로 양쪽에 한 쌍씩 발견된다. 이 이정표는 짧은 노란색 콘크리트 기둥 형태로,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글씨로 쓰인 두 개의 라벨이 있다.

상단 라벨에는 큰 "K"(또는 "KM")와 함께 킬로미터 제로에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된다. 필리핀의 국가 킬로미터 제로는 마닐라의 리잘 공원에 있지만, 각 주요 섬에는 자체적인 킬로미터 제로가 있다. 루손섬 본토의 이정표는 리잘 공원의 킬로미터 제로를 기준으로 한다.

하단 라벨에는 해당 방향으로 진행할 때 다음으로 나오는 마을의 첫 글자와 그 마을까지 남은 거리를 킬로미터 단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파시그의 오르티가스 애비뉴에 있는 한 이정표는 리잘 공원에서 14km 떨어져 있으며, 카인타까지는 3km 남았음을 표시한다. 이 이정표의 반대편에 있는 다른 이정표에는 산후안까지 2km 남았다고 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이정표는 운전자를 향하는 한쪽에만 라벨이 붙어 있지만, 일부 이정표는 네 면 모두에 라벨이 있기도 하다.

3. 4. 영국

영국에서는 운전자 위치 표지판이 고속도로 양쪽 옆에 50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주요 도로에도 설치되어 있다. 이 표지판은 2003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도로 유지 보수 및 행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100m 간격의 작은 길가 기둥인 거리 표지 기둥을 보완한다. 두 종류의 표지판 모두 고유한 위치 번호를 표시하는데, 이 번호는 단위 없이 표시되지만 해당 도로의 지정된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킬로미터 단위로 나타낸다.[6]

3. 5. 미국

''캘리포니아 포스트마일과 참고 마커 (뉴욕)도 참고''

미국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마일 마커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에서 숫자는 일반적으로 남쪽 또는 서쪽 주 경계선까지의 거리, 또는 국립 남부 또는 서부 종점이 해당 주에 있는 경우 노선의 종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다른 고속도로의 번호 매기기 시스템은 주마다 다르다. 대부분은 고속도로 시스템과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하며, 일리노이, 캘리포니아, 켄터키와 같은 다른 주는 경계를 제로 마일 마커로 사용한다. 반면 미주리를 포함한 다른 주들은 (고속도로 제외) 마일 마커를 전혀 표시하지 않는다. 애리조나는 노선의 마일 포스트가 원래의 호스트(host) 노선에서 계속 이어지는 다소 특이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종종 출구는 가장 가까운 마일 포스트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며, 이를 마일 로그 시스템이라고 한다. 고속도로 시스템이 시작된 이후 200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고속도로는 매 마일마다 마커를 가지고 있었다. 그 이후로 많은 주에서 약 0.40km, 약 0.32km 또는 일부 대도시 지역에서는 약 0.16km마다 더 많은 마커를 설치했다. 노스캐롤라이나와 버지니아의 블루 리지 파크웨이와 플로리다 키스의 해외 고속도로와 같은 일부 역사적이고 경관 도로는 마일 포스트를 사용하여 명소를 표시하거나 (해외 고속도로를 따라 있는 많은 비즈니스의 경우) 주소의 일부로 사용한다.

3. 6. 철도 이정표

영국에 있는 구형 및 신형 철도 마일 표지, 기준점에서 거리를 나타냄


철도 조항 통합법 1845년에 따르면[8] 영국 철도 회사는 승객에게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했다. 당시 운임은 거리에 따라 정해졌기 때문이다. 해당 법률 제94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9]

"회사는 철도의 길이를 측정하고, 전체 노선에 따라 각 지점에서 4분의 1마일 간격으로 이정표, 기둥 또는 기타 눈에 띄는 물체를 설치하고 유지해야 하며, 이러한 거리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표시를 새겨야 한다."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법률이 통과되었다. 현대 철도에서도 이러한 역사적인 표시는 여전히 인프라 기준점으로 사용된다. 많은 지점에서 표지판에 표시된 거리는 현재는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지점, 예를 들어 폐쇄된 노선이나 이후 위치가 변경된 분기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인 경우가 있다. 전체 마일 표지 외에도 절반(1/2마일)과 4분의 1(1/4마일) 지점을 나타내는 표지가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구조물 표지판에는 상당히 정확한 마일리지가 포함되기도 하는데, 영국에서는 체인(=약 1.61km) 단위까지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마일을 소수점으로 표시하여, 예를 들어 분기점, 교차로, 교량 또는 터널을 표시하기 위해 "마일 표지 4.83"과 같은 표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미터법을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킬로미터 지점' 표시를 사용한다.

4. 경계 표지

측량 기사들은 경계에 의해 분리된 관할 구역 사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이정표를 설치한다. 이러한 일련의 경계 표지들은 미국의 컬럼비아 특별구 경계를 따라 약 1.61km 간격으로 존재한다.

5. 비유적 표현

어떤 프로젝트나 세계적인 이벤트 등이 완성되거나 성공했을 때, 이를 비유적으로 '이정표를 세웠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실제 기념물로서 이정표를 남기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Roman Inscriptions of Britain. I: Inscriptions on stone https://romaninscrip[...] Clarendon Press
[2] 웹사이트 Milestones salvaged and added to the new museum's collection http://www.maltaatwa[...] 2014-09-07
[3] 뉴스 'Monumental' treasure house http://articles.time[...] 2009-07-12
[4] 웹사이트 Kos Minar https://sites.ualber[...] University of Alberta 2018-09-12
[5] 뉴스 A milestone on the highway http://www.hindustan[...] 2012-10-27
[6] 웹사이트 Driver Location Sign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highways.[...] 2010-02-10
[7] 웹사이트 Poultney Family - Mort's Tree http://poultney.rhod[...] 2009-09-05
[8] 웹사이트 94 Milestones https://www.legislat[...] 2008-11-03
[9] 웹사이트 Section 26: Distance Markers http://www.railsigns[...] 2007-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