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지조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로, 1598년 진사가 되어 관직에 나섰으며, 대운하 공사 감독 실패로 좌천되기도 했다. 그는 예수회 선교사들과 교류하며 특히 마테오 리치와 가까이 지냈고, 1602년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를 널리 알렸다. 이지조는 서양 학문 서적 번역 및 저술 활동을 했으며, 『동문산지』, 『혼개통헌도설』, 『천학초함』 등을 펴냈다. 그의 저서들은 조선과 일본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로마 가톨릭교도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 명나라의 로마 가톨릭교도 - 정지룡
정지룡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에 활동한 해상 세력이자 군벌로, 무역과 해상 활동을 통해 세력을 키웠으며, 명나라에 귀순했으나 청나라에 투항한 후 아들의 반청 운동으로 처형되었다. - 명나라의 학자 - 양호 (명나라)
양호는 명나라의 군인이자 관료로, 임진왜란 당시 경리로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요동 경략으로 후금 토벌에 나섰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명나라의 학자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 1630년 사망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발견하여 근대 천문학과 과학 발전에 혁명적인 기여를 한 독일의 천문학자, 수학자, 점성술사이다. - 1630년 사망 - 원숭환
원숭환은 명나라 말기에 활약한 장군으로, 닝위안 전투에서 후금 군대를 격퇴하고 요동 방어에 기여했으나 모반 혐의로 처형된 인물이다.
이지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이지조 (李之藻) |
출생 | 1571년 |
출생지 | 항저우 |
사망 | 1630년 |
사망지 | 베이징 |
사망 원인 | 병사 |
국적 | 명나라 |
세례명 | 레오 |
직업 | 광록사소경 |
로마자 표기 | |
중국어 병음 | Lǐ Zhīzǎo |
기타 정보 | |
언어 | 라틴어: Leo 스페인어: León 포르투갈어: Leão |
학력 | |
학력 | 진사 |
2. 생애 및 활동
이지조는 절강성 항주부 인화현 출신으로, 1598년 진사가 되어 남경육부의 공부에서 근무하며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1] 1604년 대운하 공사를 감독했으나, 비방으로 인해 좌천되어 고향으로 돌아갔다.[1] 이후 1612년 남경 태복사 소경, 1621년부터 1623년까지 광록사 소경을 역임하며 후금군에 대한 방비를 위해 서양식 대포 제조에 종사했다.
마테오 리치를 비롯한 예수회 선교사들과 깊이 교류한 이지조는 1602년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를 간행하여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1610년 마테오 리치에게 세례를 받기 전까지 첩을 두고 있었는데,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말년에는 서광계가 주재하는 『숭정역서』 편찬에 참여했으나, 완성 전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절강성 항주부 인화현 출신이다. 1598년에 진사가 되어 남경육부의 공부에서 근무하였다.[1] 1604년, 대운하 공사를 감독하였으나, 비방으로 인해 좌천되어 고향으로 돌아갔다.[1] 1612년, 남경 태복사 소경이 되었다. 1621년부터 1623년까지 광록사 소경으로 재직하며, 후금군에 대한 방비를 위해 북경에서 서양식 대포 제조에 종사하였다.학자로서 이지조는 많은 예수회 선교사들과 교류하였고, 특히 마테오 리치가 1610년 5월에 사망할 때까지 약 10년간을 함께 보냈다. 1602년에는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를 공간하여 세상에 널리 알렸다. 리치에 따르면, 이지조는 연회와 바둑에 빠져드는 경박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1610년 초, 북경에서 중병에 걸렸을 때 리치에게 간호받고 깊이 감동하여 같은 해 세례를 받았다.[1] 참고로, 그 전까지 세례를 받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첩의 존재였으나,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는 불명이다.[1]
2. 2. 예수회 선교사와의 만남과 교류
절강성 항주부 인화현 출신인 이지조는 학자로서 많은 예수회 선교사들과 교류하였으며, 특히 마테오 리치가 1610년 5월에 사망할 때까지 약 10년간을 함께 보냈다.[1] 1602년에는 리치가 제작한 『곤여만국전도』를 공간하여 세상에 널리 알렸다. 리치에 따르면, 이지조는 연회와 바둑에 빠져드는 경박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1610년 초, 북경에서 중병에 걸렸을 때 리치에게 간호받고 깊이 감동하여 같은 해 세례를 받았다.[1] 세례를 받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로 첩의 존재가 있었으나,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는 불명이다.2. 3. 서학 연구와 저술 활동
이지조는 마테오 리치를 비롯한 여러 서양 선교사들과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연구하고, 이를 한문으로 번역하거나 저술하는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제목 | 내용 | 공동 작업자 및 기타 정보 |
---|---|---|
동문산지(同文算指) |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의 산술서 『실용산술개론』을 바탕으로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기록한 책이다. 서광계의 서문이 있으며,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 | |
환용교의(圜容較義) |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기록한 서양 기하학 서적이다.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 | |
혼개통헌도설(渾蓋通憲図説) | 클라비우스의 천문학 서적 『아스트로라비움』 등을 바탕으로,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스트롤라베 제작법과 사용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 | |
명리탐(名理探) |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간행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오르가논) 주해서를 프란시스코 풀타도와 공동으로 요약 번역한 것이다. | |
환유전(寰有詮) |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간행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체론』 주해서를 프란시스코 풀타도와 공동으로 요약 번역한 것이다.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 | |
경천해(経天該) | 서양의 별자리 목록을 한역한 것이다. | |
독경교비서후(読景教碑書後) | 1620년대에 발굴된 “대진경교유행중국비”에 관한 글이다. | |
경교비초본(景教碑鈔本) |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비문의 필사본이다. | |
영궁예악소(頖宮礼楽疏) | 예악에 관한 서적이다. 『대명회전』을 보충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 | |
천학초함(天学初函) | 당대 문헌 21편을 수록한 총서이다. 1628년에 간행되었으며, “이편(理編)”과 “기편(器編)”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편”에는 기독교 관련 서적 외에 형이상학 서적과 세계 지리서를, “기편”에는 과학 서적을 수록하고 있다.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 |
2. 4. 『천학초함』 편찬
이지조는 1628년에 당대 문헌 21편을 모아 총서인 『천학초함』을 편찬했다. 이 총서는 "이편(理編)"과 "기편(器編)"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1] "이편"에는 기독교 관련 서적 외에 형이상학 서적과 세계 지리서를, "기편"에는 과학 서적을 수록했다.[1]"이편"에는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 『기인십편』, 『천주실의』, 줄리오 알레니의 『서학범』, 『직방외기』, 디에고 데 판토하의 『칠극』, 프란체스코 삼비아시의 『영언리勺』, 그리고 이지조 자신의 『독경교비서후』 등이 수록되었다.[1]
"기편"에는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의 『기하원본』, 사바티노 데 우르시스의 『표도설』, 『태서수법』, 그리고 이지조가 번역에 참여한 『동문산지』와 『혼개통헌도설』 등이 수록되었다.[1]
2. 5. 말년과 죽음
서광계가 주재하는 『숭정역서』 편찬에 참가하였으나, 완성되기 전에 사망하였다.3. 주요 저작
- :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의 산술서 『실용산술개론(Epitome Arithmeticae Practicae)』의 내용을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기록한 책이다. 서광계 서문이 있으며,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1]
- :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기록한 서양 기하학 서적이다.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1]
- : 클라비우스의 천문학 서적 『아스트로라비움(Astrorabium)』 등을 바탕으로, 아마도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스트롤라베의 제작법과 사용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1]
- :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간행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관련 서적(오르가논)의 주해서를 프란시스코 풀타도와 공동으로 요약 번역한 것이다.[1]
- :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간행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체론』 주해서를 프란시스코 풀타도와 공동으로 요약 번역한 것이다.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1]
- : 서양의 별자리 목록의 한역이다.[1]
- : 1620년대에 발굴된 “대진경교유행중국비”에 관한 글이다.[1]
- :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비문의 필사본이다.[1]
- : 예악에 관한 서적이다. 『대명회전』을 보충하기 위해 쓰여졌다. 『사고제요』에 수록되어 있다.[1]
- : 당대 문헌 21편을 수록한 총서이다. 1628년 간행되었으며, “이편(理編)”과 “기편(器編)”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편”에는 기독교 관련 서적 외에 형이상학 서적과 세계 지리서를, “기편”에는 과학 서적을 수록하고 있다. “이편”에는 『독경교비서후』,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 『기인십편』, 『천주실의』, 줄리오 알레니의 『서학범』, 『직방외기』, 디에고 데 판토하의 『칠극』, 프란체스코 삼비아시의 『』 등이 수록되어 있다. “기편”에는 『동문산지』, 『혼개통헌도설』,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의 『기하원본』, 사바티노 데 우르시스의 『』, 『태서수법』 등이 수록되어 있다.[1]
4. 영향 및 평가
이지조의 저서 『혼개통헌도설』은 연행사에 의해 조선에도 전해졌다.
『정궁례악소』는 에도 시대 일본에 수입되어 오규 소라이 등에게 읽혔다.[4]
『천학초함』은 에도 시대 초기 관영 연간에 수입되었으나, 금서로 지정되었다.[5] 에도 시대 후기 명화 연간에 잘못하여 재수입되자, 서물개역의 무카이 겐비(무카이 모토마사의 후손)가 해제인 『천학초함대의서』를 저술하였다.[6] 또한 금서임에도 불구하고 봉좌문고에 일부 소장되어 있다.[7]
참조
[1]
서적
大西西泰利先生行迹
中華書局
[2]
간행물
大秦景教流行中國碑に就いて
https://www.aozora.g[...]
[3]
간행물
肥前鍋島藩における漢籍の受容 : 本藩『芸暉閣經籍志』について
http://id.nii.ac.jp/[...]
[4]
간행물
荻生徂徠の音楽に関する新出資料五点とその意義について : 享保五年に有馬兵庫頭の問いに答えた書、「三五要略考」及び音楽に関する覚書、琴(七絃琴)に関する文書、吉水院旧蔵楽書に関する文書、中根元圭に宛てた書簡
https://hdl.handle.n[...]
[5]
웹사이트
日本の天文学の歩み 展示資料 禁書目録
https://www.lib.u-to[...]
2021-09-04
[6]
논문
『天学初函大意書』における『畸人十篇』
https://doi.org/10.1[...]
九州大学大学院人文科学研究院
[7]
서적
徳川吉宗と康煕帝 鎖国下での日中交流
大修館書店
[8]
웹사이트
『天学初函』器編の研究 - 東京大学文学部・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
https://www.l.u-toky[...]
2021-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