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가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르가논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술들을 묶어 놓은 것으로, 범주론, 해석학, 전분석학, 후분석학, 톱피카, 궤변론 등 6권으로 구성된다. 이 책들은 아리스토텔레스 사후 제자들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기원전 40년경 로도스의 안드로니쿠스에 의해 현재와 같은 체계로 정립되었다. 오르가논은 범주, 명제, 논법, 궤변 등 논리학의 여러 문제를 다루며, 삼단논법과 같은 논리적 추론 방식을 제시한다. 서양 철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 스콜라 철학, 계몽주의 시대를 거쳐 현대 논리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정치 체제를 분석하여, 중산층을 강화한 혼합정을 이상적인 헌법으로 제시하며 국가 번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책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정치 체제를 분석하여, 중산층을 강화한 혼합정을 이상적인 헌법으로 제시하며 국가 번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고대 그리스의 책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세기 책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정치 체제를 분석하여, 중산층을 강화한 혼합정을 이상적인 헌법으로 제시하며 국가 번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기원전 4세기 책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오르가논 | |
---|---|
논리학 | |
구성 | 범주론 명제론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토피카 궤변론박론 |
개요 | |
저자 | 아리스토텔레스 |
주제 | 논리학 |
내용 |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술들을 모아 놓은 표준 모음집 |
기타 | |
관련 문서 | 아리스토텔레스 전집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목록 |
2. 구성
오르가논은 다음 여섯 가지 주요 저작으로 구성된다.
- 『범주론』 (Categoriaela): 존재하는 것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10가지 분류, 즉 실체, 양, 질, 관계, 장소, 시간, 위치, 상태, 작용, 수동을 제시한다.
- 『명제론』 (De Interpretationela): 명제와 판단에 대한 개념과 긍정, 부정, 보편, 특수 명제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다룬다. 대립사각형과 미래 가능태 문제를 다룬다.
- 『분석론전서』 (Analytica Priorala): 삼단논법을 소개하고 그 정확성을 논하며, 귀납적 추론을 다룬다.
- 『분석론후서』 (Analytica Posteriorala): 정의, 증명, 과학적 지식을 다룬다.
- 『토피카』 (Topicala): 타당한 논증을 구성하는 문제와 개연적인 추론을 다룬다. 술어를 언급한다.
- 『소피스트적 논박』 (De Sophisticis Elenchisla): 논리적 오류를 다루며, 『수사학』과 중요한 연결 고리를 갖는다.
이 저작들의 순서는 연대순이 아니며, 테오프라스토스가 의도적으로 잘 구성된 체계를 이루도록 선택한 것이다. 일부는 논리학 강의 계획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저작들의 배열은 기원전 40년경 로도스의 안드로니쿠스에 의해 이루어졌다.[2]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오르가논』을 구성하는 저술들과 일부 중복되지만, 전통적으로는 그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2]
2. 1. 범주론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술 『오르가논』 중 하나인 『범주론』에서 올바른 '정의'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는 현대까지도 논리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의 방법이다.[10][11] 정의란 '개념이 속하는 가장 가까운 유(類)를 들어 그 개념이 체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밝히고, 종차(種差)를 통해 그 개념을 같은 위계에 있는 다른 개념과 구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은 이성적인 동물이다.'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12]『범주론』에서는 존재에 대한 10가지 범주, 즉 실체, 양, 질, 관계, 장소, 시간, 위치, 상태, 작용, 수동을 제시한다.
2. 2. 명제론
De Interpretationela이라고도 불리는 『해석학』에서는 명제와 판단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 그리고 긍정, 부정, 보편, 특수 명제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소개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7장과 부록인 8장에서 대립사각형 또는 아풀레이우스의 사각형을 논한다. 9장은 미래 가능태 문제를 다룬다.[2]2. 3. 분석론전서
『분석론전서』(라틴어: Analytica Priorala)에서는 삼단논법을 소개하고, 그 정확성을 주장하며, 귀납적 추론을 다룬다.[2]2. 4. 분석론후서
『분석론후서』(라틴어: Analytica Posteriorala)는 정의, 증명, 귀납적 추론, 그리고 과학적 지식을 다룬다.[2]2. 5. 토피카
『톱피카』 (라틴어: Topicala)는 타당한 논증을 구성하는 문제와 확실한 것이 아니라 개연적인 추론을 다룬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논문에서 술어를 언급하는데, 이는 나중에 포르피리오스와 중세 스콜라 철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다.[2]2. 6. 소피스트적 논박
논리적 오류를 다루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중요한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2]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리적인 오류를 가져오는 원인으로 언어 내부에 속하는 6가지 원인과 언어 외부에 속하는 7가지 원인을 제시한다.3. 아리스토텔레스 이전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은 엘레아 학파의 제논, 소크라테스, 플라톤 등에 의해 계승되고 발전된 변증술(변증법, 디알렉티케, dialectic)을 바탕으로 한다.[9]
변증술(디알렉티케, dialectic)은 원래 '대화', '질의응답', '문답'을 의미하지만, 플라톤에 이르러 정의, 종합, 분석(분할)을 갖춘 추론 기술을 가리키게 되었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변증'(dialectic)을 '개연적'인 통념(endoxa, 엔독사)을 전제로 한 것으로 보아, '참되고 첫째'인 전제에서 시작하는 항상적(apodictic)인 '논증'(demonstration)과는 구별했다.
4. 내용
『오르가논』에서는 범주, 명제, 논법, 궤변 등 논리학의 여러 문제를 다룬다.
아리스토텔레스는 10가지 범주(카테고리)를 제시한다. 그것은 실체, 양, 질, 관계, 장소, 시간, 위치, 상태, 작용, 수동의 범주이며, 이 범주는 『형이상학』에서도 전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범주를 기반으로 하면, 명제란 어떤 존재하는 것에 대해 분리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것을 논리적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명제를 구성하는 주어와 술어의 구별, 판단의 종류, 대상 및 변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명제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삼단논법이 있다. 삼단논법에서는 약간의 명제에 의해 규정된 사항에 의해, 다른 사항이 필연적으로 귀결되는 논리가 작용한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학문적인 추론이 어떤 형식을 갖추어야 하는가에 대해, 학문의 출발점은 각 영역에 있어서의 공리와 전제, 정의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추론은 근원적이고 필연적인 전제에서 출발하는 것, 개연적인 전제에서 출발하는 것, 개연적으로 보이게 하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세 가지 형식이 있다고 지적한다.
마지막 형식을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리적인 오류를 가져오는 것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그 원인에 대해 언어의 내부에 속하는 6가지 원인과 언어의 외부에 속하는 7가지 원인이 밝혀지고 있다.[2]
5. 영향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은 그가 설립한 리케이온에서 사용되었으며, 그의 사후 제자들에 의해 편집되었다. 5세기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라틴 서방 세계에서는 오르가논의 일부가 소실되었으나, 보에티우스의 번역을 통해 범주론과 명제론이 전해졌다.[3] 12세기 라틴어 번역을 통해 다른 논리학 저술들도 서방 기독교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3] 동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어 원본이 보존되었으며, 12세기 중반 베네치아의 야고보가 후분석론을 라틴어로 번역했다.[3]
오르가논은 초기 이슬람 세계에서 이용 가능했으며, 이슬람 및 유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3] 중세 스콜라 철학자들은 오르가논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다.[3] 계몽주의 시대에는 논리학에 대한 관심이 부활했으며, 포르 로얄 논리학 등이 아리스토텔레스주의 논리학을 다듬었다.[3]
19세기 논리학 혁신 이후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은 잠시 인기를 잃었으나, 존 코르코란 등은 조지 불과 고틀로프 프레게의 업적이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연속임을 보여주었다.[6][7]
“오르가논”(Ὄργανον|오르가논grc)은 그리스어로 “도구”라는 의미이며, 문자 그대로 “(개념의 정리 정돈을 통해) 진리 탐구를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는 도구”로서의 “논리학”과 관련된 저작군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저작은 고대 로마로 계승되어 그 멸망기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교양의 하나로 소중히 여겨졌다. 로마 제국 말기인 4세기의 기독교를 대표하는 라틴 교부인 아우구스티누스도 『범주론』을 배운 것을 자서전적 저서 『고백』에서 밝히고 있다.
이슬람권을 경유하여 중세 유럽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재수입되어 13세기의 아리스토텔레스 르네상스(스콜라 학)에 의해 유럽에서 평가받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논리학에 관한 고전적이고 표준적인 저작으로 계속 참조되고 있으며, 압도적인 영향을 후세에 주고 있다. “논리학”이라는 개념과 그 기초는 이 책에 의해 확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마누엘 칸트는 『순수이성비판』 제2판 서문 서두에서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약간의 후퇴도 없이 확실한 길을 걸어왔고, 더 나아가 이미 자기 완결적인 측면이 있다”라고 그 위대한 공적과 완성도를 칭찬하고 있다.
6. 한국어 번역
오르가논el은 대한민국에서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다만, 일본에서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번역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Organon, Or Logical Treatises, of Aristotle. With the Introduction of Porphyry
H.G. Bohn
[2]
웹사이트
Aristotle's Logic,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2020-12-19
[3]
웹사이트
Logic and Aristotle’s Rhetoric and Poetics in medieval Arabic philosophy
https://plato.stanfo[...]
[4]
서적
Theoretical Writings
[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Early Modern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Laws of Thought
Prometheus Books
[7]
간행물
Aristotle's Prior Analytics and Boole's Laws of Thought
[8]
서적
Is modern logic non-Aristotelian?
Springer
[9]
서적
파이도스
http://www.iwanami.c[...]
岩波書店
1967-01-16
[10]
웹사이트
Organon
https://en.wikisourc[...]
[11]
웹사이트
정의하다
[12]
웹사이트
Categories(범주론)
https://en.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