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지칭한다. 이탈리아는 1880년대부터 소말리아 지역에 진출하여, 1889년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략하고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선포하며 식민 지배를 시작했다. 이후 호비오 술탄국과 마제르테인 술탄국을 보호령으로 만들며 세력을 확장했다. 1920년대 파시스트 정권이 들어선 후 식민 통치가 강화되었고, 1936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 점령당한 후, 1949년 유엔의 신탁통치를 거쳐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이탈리아 관계 -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은 이탈리아가 10년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통치하며 소말리아 독립을 준비하도록 한 유엔의 신탁통치령으로,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하며 종료되었다.
  • 소말리아-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는 1936년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점령한 후 에리트레아, 소말릴란드와 합쳐 선포한 식민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에 의해 해체되고 1947년 이탈리아가 주권을 포기했다.
  • 이탈리아의 아프리카 식민화 - 이탈리아령 리비아
    이탈리아령 리비아는 1911년 이탈리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할양받아 1934년 통합하여 성립된 북아프리카 식민지로, 이탈리아의 식민지 개척 시도와 원주민 저항, 제2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 그리고 1951년 리비아 연합 왕국으로의 독립 과정을 거쳤다.
  • 이탈리아의 아프리카 식민화 -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중 이탈리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점령한 지역으로, 리비아 반군과의 격전,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강압 통치, 제2차 세계 대전 기지 역할, 연합군 항복 후 영국과 프랑스의 지배를 거쳐 리비아 연합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 소말리아의 역사 -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은 이탈리아가 10년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통치하며 소말리아 독립을 준비하도록 한 유엔의 신탁통치령으로,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하며 종료되었다.
  • 소말리아의 역사 - 소말릴란드국
    소말릴란드국은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하며 세워졌으나, 5일 후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과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이 되었고, 통합 후 소외되어 현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기원이 되었다.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및 위치 정보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지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1925년에 획득한 올트레 주바 포함
기본 정보
정식 명칭이탈리아어:
소말리어:
아랍어: Al-Sumal Al-Italiy
일반적인 명칭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국가이탈리아 왕국의 식민지
시대제국주의 시대
존속 기간1889년 – 1936년
수도모가디슈
공용어이탈리아어
사용 언어소말리어, 아랍어
종교이슬람, 로마 가톨릭교
국가 모토Per l'onore d'Italia (이탈리아의 명예를 위하여)
국가왕실 행진곡
통화이탈리아 리라 (1889–1909)
소말리 루피아 (1909–1925)
소말리 리라 (1925–1938)
현재 국가소말리아
국기 및 문장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국기
국기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문장
문장
정치
군주이탈리아 국왕
역대 군주움베르토 1세 (1889–1900)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900–1936)
총독빈첸초 필로나르디 (1889–1893, 첫 번째)
안젤로 데 루벤 (1936, 마지막)
역사적 사건
시작호비오 술탄국 보호령 (1889년 2월 9일)
마제르틴 술탄국 보호령 (1889년 4월 7일)
히랍 이마메이트 보호령 (1894년 9월 17일)
겔레디 술탄국 보호령 (1902년)
식민지화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식민지 (1908년 4월 30일)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편입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일부 (1936년 6월 1일)
영국 점령영국 점령 (1941년 2월 26일)
이탈리아 양도이탈리아의 포기 (1947년 2월 10일)
영국 점령 종료영국 점령 종료 (1950년 4월 1일)
소말리아 통일소말리아 통일 (1960년 7월 1일)
이전 국가
이전 국가호비오 술탄국
마제르틴 술탄국
히랍 이마메이트
겔레디 술탄국
이탈리아령 트란스-주바
다음 국가
다음 국가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2. 역사

19세기 후반, 영국아덴에서 홍해인도양으로 이어지는 통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영국령 소말리랜드를 건설하면서, 이탈리아도 인도양 연안에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이 지역에 진출했다. 이탈리아는 1880년대부터 식민지 장려 정책에 따라 인도양 연안에 여러 식민지를 건설했다.[5]

1900년대 초, 영국령 소말리랜드에서 모하메드 빈 압둘라의 반란이 발생하자 영국은 내륙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는 이 틈을 타 인도양 연안에서 내륙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이 지역 대부분을 지배하게 되었고, 1908년 연안 식민지와 내륙을 통합하여 '''이탈리아령 소말리랜드'''를 성립시켰다. 영국은 1910년까지 내륙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제2차 에티오피아 전쟁 이후 1936년, 이탈리아령 소말리랜드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와 함께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동맹국으로 참전한 이탈리아는 1940년 영국령 소말리랜드를 점령했지만, 1941년 영국에 빼앗기고 오히려 영국이 이탈리아령 소말리랜드를 점령했다. 이후 1950년 4월까지 영국 군정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1950년부터는 이탈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가 되었고, 1960년 영국령 소말리랜드와 함께 소말리아로 독립했다. 그러나 1991년 구 영국령 지역이 소말리랜드로 독립을 선언하면서 소말리아의 실효 지배가 미치지 못하고 있다.

2. 1. 초기 이탈리아의 진출 (19세기 후반)

19세기 후반,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를 분할하던 시기에 이탈리아 왕국도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관심을 가졌다. 1882년,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제국으로부터 에리트레아를 획득했다.[5]

1885년 이탈리아의 홍해 원정 당시 수에즈 운하를 항해하는 이탈리아 군함 ''고타르도''호와 ''베스푸치''호


1888년, 이탈리아는 영국과 완화 조약을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략하여 남부 지방을 점령하고 움베르토 1세는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선포했다. 이는 이탈리아의 제국주의적 침략 행위로 볼 수 있다.

1889년, 이탈리아는 소말리아 남부의 호비오 술탄국, 마제르테인 술탄국 등과 보호 조약을 체결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9] 이탈리아는 수에즈 운하아덴만으로 이어지는 전략적 요충지인 항구에 주로 관심이 있었다.[10] 각 조약의 내용은 이탈리아가 술탄국의 행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시했다. 이탈리아는 무기와 연간 보조금을 제공하는 대가로 최소한의 감독과 경제적 양보를 얻어냈다.[11]

2. 2. 식민지 확장과 저항 (1890년대-1920년대)

1895년, 이탈리아는 식민지 확장을 목적으로 에티오피아를 침략하여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아두와 전투에서 크게 패하였다.[5] 이 틈을 타 영국은 1898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를 침략하여 일부 지역을 빼앗았다. 영국의 이러한 행태는 제국주의적 침략 행위로 비판받을 수 있다.

19세기 말, 이탈리아 내에서는 소말리아 진출을 위한 사회적, 정치적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당시 이탈리아는 심각한 경제 문제에 직면하고 있었다.[5] 체사레 코렌티는 1876년 이탈리아 지리학회(Società Geografica Italiana) 산하에 탐험대를 조직했고, 1879년에는 아프리카 상업 탐험회사가 설립되었다.[7]

1893년 10월, 빈첸초 필로나르디가 식민지 전초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메르카(Merca)시에 상륙하면서 소말리아인들의 저항이 시작되었다.[7]

1888년 후반, 호비오 술탄국의 유수프 알리 케나디드 술탄과 마제르테인 술탄국의 보코르 오스만 마하무드는 이탈리아와 보호 조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각자의 확장주의적 목표를 달성하고, 유럽 제국주의 세력의 경쟁을 이용하여 영토의 독립을 확보하고자 했다.[9] 이탈리아는 수에즈 운하아덴만에 접근할 수 있는 항구 때문에 이 지역에 관심을 가졌다.[10]

1908년, 이탈리아는 소말리아 남부 지역을 통합하여 "소말리아 이탈리아나"를 선포하고, 식민 통치를 본격화했다.

2. 3. 파시스트 정권과 식민 통치 강화 (1920년대-1930년대)

1922년 이탈리아에서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이 집권하면서, 식민지 확장 정책이 더욱 강화되었다. 1925년, 이탈리아는 영국으로부터 트랜스주바를 할양받아 소말릴란드 영토를 확장했다.[12]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합류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알려져 있다.[12]

1928년에는 모가디슈 대성당(''Cattedrale di Mogadiscio'')이 건설되었다. 이 성당은 시칠리아의 체팔루 대성당을 본떠 노르만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다.[34] 이 성당은 이탈리아 식민 지배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여겨진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식민 지배의 잔재로 평가된다.)

1930년대 초, 이탈리아는 소말리아인 동화 정책을 시작했다. 많은 소말리아인들이 이탈리아 식민군에 입대했고, 수천 명의 이탈리아 식민지 개척자들이 모가디슈로 이주했다. 이탈리아인들은 조하르와 자날레(''Genale'') 등 수도 주변의 농업 지역에도 정착했다.[39] 1930년, 이탈리아 소말릴란드에는 22,000명의 이탈리아인이 거주했는데, 이는 당시 인구의 2%에 해당했다.[40]

2. 4.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와 제2차 세계 대전 (1936년-1945년)

1935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를 다시 침공하여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일으켰다. 이탈리아는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에티오피아를 점령했다. 1936년, 베니토 무솔리니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통합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선포했다. 이로써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일부인 소말리아 총독령이 되었다.[53]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는 1940년에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공하여 점령했다.[64] 그러나 1941년 봄, 영국은 반격하여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탈환하고, 오가덴과 함께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점령했다.[65] 이탈리아는 1943년까지 게릴라전을 계속했지만, 결국 연합군에 항복하고 모든 식민지에서 철수했다.

2. 5. 영국 군정과 신탁 통치 (1941년-1960년)

영국군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를 점령하고 이 지역과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군사적으로 통치했다. 영국의 지속적인 통치와 소말리아의 독립 열망에 반하는 이탈리아의 증가하는 정치적 압력에 직면하여, 소말리아인들과 영국인들은 서로를 동맹으로 여기게 되었다. 최초의 현대적 소말리아 정당인 소말리아 청년 클럽(SYC)이 1943년 모가디슈에 설립되었고, 이후 소말리아 청년 동맹(SYL)으로 개명되었다.[68] SYL은 주요 정당으로 발전하여 온건한 이념을 가졌다. 히즈비아 디길 미리플레 소말리아(HDMS)당은 우익의 주요 야당 역할을 했지만, 그 강령은 대체로 SYL과 일치했다.[69]

1949년 11월, 유엔은 마침내 이탈리아에게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에 대한 신탁통치를 부여하기로 결정했지만, 엄격한 감독하에, 그리고 소말리아 청년 동맹(SYL)과 히즈비아 디길 미리플레 소말리아(후에 히즈비아 다스투르 무스타크발 소말리아, HDMS) 및 소말리아 민족 동맹(SNL)과 같은 당시 독립을 요구하던 다른 신생 소말리아 정치 조직들이 처음 제안한 조건, 즉 소말리아가 10년 이내에 독립을 달성한다는 조건 하에 이루어졌다.[70][71]

영국 군사 행정부 시대(1949년) 모가디슈의 유권자 등록 카드


1949년 영국 군정이 종식되자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유엔 신탁통치지역인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이 되었다. 이탈리아 행정부 아래 이 신탁통치령은 1950년부터 1960년까지 1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1956년과 1959년에 입법부 선거가 실시되었다.

1950년 4월 1일, "소말리아 이탈리아 신탁통치부"(AFIS)가 통치를 시작했다.[72] 조반니 포르나리의 지휘 아래 AFIS 설립을 지원하기 위해 6,500명의 병력이 소말리아에 상륙했다. 포르나리의 3년 임기는 신탁통치의 가장 어려운 시기를 나타낸다.[73] AFIS의 10년간의 통치 초기에는 이탈리아 당국과 소말리아 청년 연맹(SYL) 간의 적대감과 갈등이 특징이었다. 영국 군정 시대에 중요한 지위를 얻었던 많은 SYL 관리들은 이탈리아 관리들에 의해 강등되거나 해임되거나 투옥되었다. 이러한 연맹을 소외시키려는 시도는 전국적으로 시위를 야기했고, 당시 SYL의 독립 계획에 협력하거나 양보하지 않기로 결정한 정부에 의해 강력하게 탄압되었다. 1956년 의회 선거에서 소말리아 청년 연맹은 가장 가까운 정당인 히즈비아 디길 미리플레 소말리(HDMS)의 26.01%에 비해 54.2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74] SYL의 성장하는 힘은 이탈리아 관리들이 이 조직에 대해 더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게 만들었다. SYL은 또한 1958년 지방 선거에서 663석 중 416석을 획득했고, HDMS는 175석을 확보했다.[75] 1959년 의회 선거까지 SYL은 총 투표수의 75.58%를 획득하며 더 많은 득표율을 기록했다.[74][76]

신탁통치 기간과 독립 초기 몇 년 동안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공용어였다. 1952년까지 대부분의 소말리아인들은 이탈리아어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다.[77]

2. 6. 소말리아 독립 (1960년)

1960년 7월 1일,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이전의 이탈리아령 소말리아)과 옛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건국하였다.[4][78] 수도는 모가디슈였다. 이날은 소말리아 독립기념일로 기념된다.

압둘라히 이사와 무함마드 하지 이브라힘 에갈 등 신탁통치 및 보호령 정부의 다른 구성원들이 정부를 구성하였고, 압둘카디르 무하마드 아덴은 소말리아 국민의회 의장이 되었으며,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는 대통령이 되었고, 압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는 총리가 되었다. 1961년 7월 20일, 국민투표를 통해 소말리아 국민은 1960년에 처음 초안이 작성된 새로운 헌법을 비준하였다.[79]

3.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의 필요성

제2차 세계 대전 중 앵글로-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예멘과 가까워 중동 진출에 용이했고, 이라크를 지원했다.[1] 또한,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북동쪽 지방은 영국령 인도 제국, 동남아시아와 인접하여 인도 진출에도 유리했다.[1]

4. 역대 총독

재임 기간이름비고
1889년–1893년빈첸초 필로나르디(Vincenzo Filonardi)
1893년–1896년공석
1896년–1897년빈첸초 필로나르디(Vincenzo Filonardi)
1897년에르네스토 둘리오(Ernesto Dulio)
1897년–1898년조르조 소렌티노(Giorgio Sorrentino)
1898년–1905년에밀리오 둘리오(Emilio Dulio)
1905년–1906년루이지 메르카텔리(Luigi Mercatelli)
1906년–1907년주세페 살바고 라지(Giuseppe Salvago Raggi)
1907년–1910년톰마소 카를레티(Tommaso Carletti)
1910년–1916년자코모 데 마르티노(Giacomo De Martino)
1916년–1919년조반니 체리나 페로니(Giovanni Cerrina Feroni)
1920년–1923년카를로 리치(Carlo Ricci)
1923년–1928년체사레 마리아 데 베키(Cesare Maria De Vecchi)
1928년–1931년구이도 코르니(Guido Corni)
1931년–1935년마우리치오 라바(Maurizio Rava)
1935년–1936년로돌포 그라치아니(Rodolfo Graziani)
1936년–1937년안젤로 데 루벤(Angelo De Ruben)
1937년–1939년프란체스코 사베노(Francesco Saveno)
1939년–1940년구스타보 페센티(Gustavo Pesenti)
1940년–1941년카를로 데 시모네(Carlo De Simone)


참조

[1] 서적 L'Italia in Africa: serie storica. La politica coloniale dell'Italia negli atti, decumenti e discussioni parlamentari
[2] 서적 Genti di Somalia http://hdl.handle.ne[...] Paolo Cremonese
[3] 서적 Somalia: clan vs. nation
[4] 서적 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5] 서적 The Colonial Legacy in Somalia St. Martin's Press
[6] 서적 The Colonial Legacy in Somalia
[7] 서적 Esplorazione commercial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8] 서적 Bollettino della Società geografica italiana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9] 서적
[10] 서적 Somalia Nova Science
[11] 서적
[12] 서적 History of East Africa, Volume 2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3] 서적 Somalia, proposals for the future https://books.google[...] SPM
[14] 서적 A historical companion to postcolonial literatures: Continental Europe and Africa Edinburgh University Press
[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Greenwood Press
[16] 서적 Italian Colonialism in Somalia University of Chicago P
[17] 서적 The End of slavery in Afric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8] 서적 Italian colonialism in Somal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서적 Italian Colonialism
[20] 서적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Whitehall Yard, Volume 57, Issue 2 https://books.google[...]
[21] 서적 War Over Ethiopia https://books.google[...]
[22] 서적
[23] 서적 The Scramble in the Horn of Africa (URL 없음)
[24] 서적 Italian Colonialism
[25] 서적 Tropical Africa's Emergence As a Banana Supplier in the Inter-War Period https://books.google[...] Avebury
[26] 서적 Putting the cart before the horse: contested nationalism and the crisis of the nation-state in Somalia https://books.google[...]
[27] 서적 Huddur & the history of Southern Somalia https://books.google[...]
[28] 서적 Somalia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9] 웹사이트 The Majeerteen Sultanates https://web.archive.[...]
[30] 서적 Divine madness: Moḥammed ʻAbdulle Ḥassan (1856-1920) https://books.google[...] Zed Books
[31] 서적 The History of Somalia https://books.google[...]
[32] 서적 Governance: The Scourge and Hope of Somalia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33] 서적
[34] 서적 Consolata Missionaries in the World (1901-2001) https://books.google[...]
[35] 서적 Mussolini's Italy: Life Under the Fascist Dictatorship, 1915-1945 https://books.google[...] 2007-01-30
[36] 서적 Safirka: An American Envoy https://books.google[...]
[37] 서적 The road to zero: Somalia's self-destruction https://books.google[...]
[38] 서적 Vanguard of victory: A short review of the South African victories in East Africa, 1940-1941, Volume 8, Issue 19 https://books.google[...]
[39] 서적 Storia dell'emigrazione italiana
[40] 웹사이트 Article with photos on a 2005 visit to 'Villaggio Duca degli Abruzzi' and areas of former Italian Somaliland (in Italian) https://web.archive.[...] 2008-12-04
[41] 웹사이트 Population of Somalia in 1939 https://web.archive.[...] 2013-11-04
[42] 서적 Huddur & the history of Southern Somalia https://books.google[...] Nahda Bookshop Publisher
[43] 서적 Scott's Monthly Stamp Journal, Volume 15 https://books.google[...]
[44] 서적 Nomads in the Shadows of Empires: Contests, Conflicts and Legacies on the Southern Ethiopian-Northern Kenyan Fronti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07-11
[45] 서적 The American Philatelist, Volume 110, Issues 7-12 https://books.google[...]
[46] 웹사이트 King's Visit to Somaliland https://web.archive.[...] 2014-05-07
[47] 서적 New Times https://books.google[...]
[48] 서적 Strategic Basing and the Great Powers, 1200-20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6-07
[49]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50]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51] 서적 Great Powers and Little Wars: The Limits of Powe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52]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oration
[53] 서적 Twentieth Century Africa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1-07-10
[54] 서적 Reports Service: Northeast Africa series, Volumes 7-11 https://books.google[...]
[55] 서적 Beginning Somali History https://books.google[...]
[56] 웹사이트 Not everyone knows that ... zaptiehs (in Italian) http://www.carabinie[...] 2014-04-12
[57] 뉴스 Gallo, Adriano. ''Memories from Somalia'' http://www.hiiraan.c[...] 2011-07-12
[58] 서적 A Historical Companion to Postcolonial Literatures: Continental Europe and Its Empires https://books.google[...]
[59] 서적 The Americana annual: Americana Corporation, 1940 https://books.google[...]
[60] 웹사이트 The Italian Rationalism in the colonies 1928 to 1943: The "new architecture" of Terre Overseas (In Italian) http://www.fedoa.uni[...] 2013-11-04
[61] 웹사이트 Somalia, a nation that does not exist (In Italian) https://web.archive.[...] 2013-11-04
[62] 서적 The Italian Invasion of Abyssinia 1935–1936
[63] 웹사이트 Article with photos on a 2005 visit to 'Villaggio Duca degli Abruzzi' and areas of former Italian Somaliland (in italian) https://web.archive.[...] 2008-12-04
[64] 서적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Politics and Strategy in Fascist Italy's Last War https://books.google[...] 1986-06-27
[65] 뉴스 The loss of Italian East Africa (in Italian) https://web.archive.[...] 2014-03-29
[66] 서적 The Collapse of the Somali State: The Impact of the Colonial Legacy Haan Associates
[67] 서적 Trent'anni di storia italiana 1915–1945: dall'antifascismo alla Resistenza: lezioni con testimonianze Einaudi
[68]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LIT Verlag Münster
[69] 서적 Socialist Somalia: Rhetoric and Reality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African Alternatives
[70] 서적 Escape from Violence: Conflict and the Refugee Crisis in the Developing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Governance : the scourge and hope of Somalia https://www.worldcat[...] Trafford Pub 2010
[73] 학술지 Back to the Horn: Italian Administration and Somalia's Troubled Independce 1999
[74] 뉴스 1956 in Elections in Somalia http://africanelecti[...] 2013-12-29
[7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mal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3-02-25
[76] 뉴스 Somalia-British Military Administration http://www.country-d[...] 2014-04-15
[77] 서적 Publications, Issue 61 https://books.google[...]
[78]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79] 서적 The Illustrated Library of The World and Its Peoples: Africa, North and East Greystone Press
[80] 서적 L'Italia in Africa: serie storica. La politica coloniale dell'Italia negli atti, decumenti e discussioni parlamentari
[81] 서적 The Colonial Legacy in Somalia
[82] 서적 Somalia: clan vs. n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