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한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한열은 1966년생으로, 1987년 연세대학교 재학 중 6·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시위 도중 전투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함께 6월 항쟁을 격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이한열의 장례는 민주국민장으로 거행되었고, 이후 이한열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검찰 수사 결과, 최루탄 발사 각도 위반이 확인되었으나, 발사자는 특정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동산초등학교 동문 - 김가연
    김가연은 1994년 미스 해태 선발대회 선으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프로게이머 임요환과 결혼하여 화제가 되었다.
  • 광주동산초등학교 동문 - 최경환 (1959년)
    최경환(1959년)은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김대중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등을 역임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화기 사고로 죽은 사람 - 김영랑
    김영랑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까지 활동한 시인으로,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같은 서정시와 민족주의적 저항 의식을 담은 시를 동시에 선보였으며, 1935년에 시집 『영랑시집』을 발간했다.
  • 화기 사고로 죽은 사람 - 존 해닝 스피크
    존 해닝 스피크는 빅토리아 호수를 최초로 발견하고 나일 강의 발원지를 탐험한 영국의 탐험가이자 군인으로, 리처드 프랜시스 버턴과 함께 아프리카 대호수를 탐험하며 빅토리아 호수를 발견하고 제임스 어거스터스 그랜트와 나일 강 발원지를 확인하는 업적을 남겼으나, 인종차별적 묘사가 담긴 저서와 나일 강 발원지 발견에 대한 논쟁, 그리고 사냥 사고로 인한 요절로 재평가가 필요한 인물이다.
  • 6월 항쟁 - 6·29 선언
    6·29 선언은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결과로 노태우 당시 민주정의당 대표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발표한 특별 선언으로, 8개 항의 민주화 조치를 통해 4·13 호헌 조치를 철회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제9차 개정 헌법을 확정하여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6월 항쟁 - 6월 민주 항쟁
    1987년 대한민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 이한열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여 전두환 정권의 6·29 선언을 이끌어내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한열 - [인물]에 관한 문서
다른 사람영화 감독
직업사회 운동가
개인 정보
출생지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사망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사망 원인최루탄에 의한 후두부 피격
거주지대한민국
매장지망월묘지공원
국적대한민국
학력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명예학사
종교개신교
부모아버지 이병섭, 어머니 배은심
친척2남 3녀 중 넷째(장남)
활동 정보
주요 활동6·10 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시위
관련 활동학생운동
웹사이트(사) 이한열 기념 사업회

2. 생애

이한열은 1966년 8월 29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서 아버지 이병섭(1932년~1995년 10월 20일)과 어머니 배은심(1940년 1월 17일[3]~2022년 1월 9일) 사이에서 2남 3녀 중 넷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다. 위로는 누나 3명이, 아래로는 남동생 이훈열(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물리학전공 교수)이 있었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전남 화순군에서 보냈고, 광주로 유학하여 광주 동산초등학교와 광주동성중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 2학년 재학 중이던 1980년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목격하고 학생운동에 투신할 결심을 하게 된다. 광주진흥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입 시험에 낙방하였고, 1년간 종로학원에서 재수하여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교에서는 동아리 '만화사랑'에서 활동하였다.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한 이한열은 1987년 1월 14일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 항의하여 1987년 6월 9일 학외투쟁에 참여했다가 전투경찰이 발사한 최루탄 SY-44 파편에 후두부에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1987년 6월 9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6·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후 시위 도중 전투경찰이 쏜 최루탄에 뒷머리를 맞아 한 달 동안 사경을 헤매다가 7월 5일 만 20세의 나이로 요절했다.[4][6] 당시 이한열이 머리에 최루탄을 맞고 피를 흘리는 사진은 로이터 사진기자 정태원이 촬영하여 중앙일보, 뉴욕 타임스 1면 머릿기사에 실리면서 전두환 독재정권의 폭압적인 무력진압의 잔인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한열의 사망을 계기로 7월 9일 고 이한열 열사 민주국민장이 거행되었다. 서울특별시 시청 앞을 거쳐 광주 망월동에 있는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지까지 행진한 장례식에는 서울 100만 명, 광주 50만 명, 전국적으로 160만 명이 참가했다.

1987년 1월 14일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함께, 대낮에 길거리에서 한 청년이 사망했다는 사실은 전두환 정권의 잔인함에 대한 전국민적인 분노를 일으켰고, 이는 6월 항쟁이 걷잡을 수 없이 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한열은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여, 1987년 6월 9일 고문살인 은폐 규탄 및 헌법 개정 철회 국민대회에서 학외투쟁에 참여했다가 전투경찰이 발사한 최루탄 SY-44 파편에 후두부를 맞아 7월 5일 02시 05분에 사망했다. 1987년 7월 9일 이한열의 장례식은 '민주국민장'(民主國民葬)으로 진행되었다. 장례식은 연세대학교 본관에서 시작하여 신촌로터리, 서울특별시청 앞, 경복궁 광화문 앞을 거쳐 광주 5·18 묘역 순으로 이동하며 진행되었다. 당시 서울에서 100만 명, 광주에서 50만 명 등 전국적으로 총 160만 명이 추모 행렬에 참여했다. 이한열의 사망은 전국적인 추모 열기로 이어졌으며, 연세대학교 본관 앞에서 출발한 장례 행렬은 광주 망월동에 있는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지까지 행진했다. 쓰러진 이한열을 같은 학교 학생인 이정철이 부축하는 사진은 학생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2004년 6월 이한열 기념관이 완공되어 2005년 6월 9일 서울시 마포구에 개관하였다.

2. 1. 어린 시절

이한열은 1966년 8월 29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서 아버지 이병섭(1932년~1995년 10월 20일)과 어머니 배은심(1940년 1월 17일[3]~2022년 1월 9일) 사이에서 2남 3녀 중 넷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다. 위로는 누나 3명이, 아래로는 남동생 이훈열(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물리학전공 교수)이 있었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전남 화순군에서 보냈고, 광주로 유학하여 광주 동산초등학교와 광주동성중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 2학년 재학 중이던 1980년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목격하고 학생운동에 투신할 결심을 하게 된다. 광주진흥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입 시험에 낙방하였고, 1년간 종로학원에서 재수하여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교에서는 동아리 '만화사랑'에서 활동하였다.

2. 2. 민주화 운동과 최루탄 피격

1987년 6월 9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6·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후 시위 도중 전투경찰이 쏜 최루탄에 뒷머리를 맞아 한 달 동안 사경을 헤매다가 7월 5일 만 20세의 나이로 요절했다.[4][6] 당시 이한열이 머리에 최루탄을 맞고 피를 흘리는 사진은 로이터 사진기자 정태원이 촬영하여 중앙일보, 뉴욕 타임스 1면 머릿기사에 실리면서 전두환 독재정권의 폭압적인 무력진압의 잔인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한 이한열은 1987년 1월 14일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 항의하여 1987년 6월 9일 학외투쟁에 참여했다가 전투경찰이 발사한 최루탄 SY-44 파편에 후두부에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이한열의 사망을 계기로 7월 9일 고 이한열 열사 민주국민장이 거행되었다. 서울특별시 시청 앞을 거쳐 광주 망월동에 있는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지까지 행진한 장례식에는 서울 100만 명, 광주 50만 명, 전국적으로 160만 명이 참가했다.

2004년 6월 이한열 기념관이 완공되어 2005년 6월 9일 개관하였다(서울시 마포구).

2. 3. 장례와 6월 항쟁

1987년 7월 9일 이한열의 장례식은 '민주국민장'(民主國民葬)으로 진행되었다. 장례식은 연세대학교 본관에서 시작하여 신촌로터리, 서울특별시청 앞, 경복궁 광화문 앞을 거쳐 광주 5·18 묘역 순으로 이동하며 진행되었다. 당시 서울에서 100만 명, 광주에서 50만 명 등 전국적으로 총 160만 명이 추모 행렬에 참여했다.

1987년 1월 14일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함께, 대낮에 길거리에서 한 청년이 사망했다는 사실은 전두환 정권의 잔인함에 대한 전국민적인 분노를 일으켰고, 이는 6월 항쟁이 걷잡을 수 없이 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한열은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여, 1987년 6월 9일 고문살인 은폐 규탄 및 헌법 개정 철회 국민대회에서 학외투쟁에 참여했다가 전투경찰이 발사한 최루탄 SY-44 파편에 후두부를 맞아 7월 5일 02시 05분에 사망했다.

이한열의 사망은 전국적인 추모 열기로 이어졌으며, 연세대학교 본관 앞에서 출발한 장례 행렬은 광주 망월동에 있는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지까지 행진했다. 쓰러진 이한열을 같은 학교 학생인 이정철이 부축하는 사진은 학생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2004년 6월 이한열 기념관이 완공되어 2005년 6월 9일 서울시 마포구에 개관하였다.

3. 사망 관련 검찰 수사

검찰은 부장검사 1명을 포함한 검사 3명으로 수사반을 편성하여 사체 부검 현장을 검증하고 고발인, 경찰관 관련자, 진료 관계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관계자 등을 소환조사하였다.[8]

수사 결과, 검찰은 최루탄 사고 당시 SY44탄을 발사한 전경이 「최루탄 취급 요령」이라는 경찰교범에 나오는 안전 사각 35~45도를 어기고 발사각도를 낮춰 쏨으로서 이한열을 사망케 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8] 그러나 현장 지휘를 맡았던 서장, 중대장, 소대장 등 경찰 간부들에 대해서는 직무유기의 증거를 찾아볼 수 없다며 무혐의로 불기소 처분하였다.[8]

총류탄을 발사해 이한열을 사망에 이르게 한 당사자는 특정하지 못하였고[8], 서울지방검찰청은 1987년 8월 3일 불상의 전경대원을 살인 죄로 기소중지 처분하였다.[9]

4. 사후

이후 고조된 학생운동의 분위기는 6.10 항쟁과 사실상 군사정권의 항복 선언인 6.29 선언을 이끌어내게 되었다.[5] 한편, 29주년이 되는 2016년 6월 9일에는 추모하는 동판이 연세대학교 정문에 설치되었다.[6][7]

1992년 2월 29일에는 연세대학교에서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다.

4. 1. 이한열을 연기한 배우


  • 1987(2017년 개봉)에서 강동원이 이한열을 연기했다.[1]

5. 가족 관계


  • 아버지 : 이병섭
  • 어머니 : 배은심
  • 형제 : 2남 3녀

참조

[1] 뉴스 「韓国のタブー」を映画化 カン・ドンウォンは自ら「出たい」~「1987、ある闘いの真実」 https://globe.asahi.[...] 朝日新聞社 2018-09-08
[2] 일반
[3] 일반
[4] 뉴스인용 [진실] '그때 그 순간, 87년 6월의 기록' http://www.ytn.co.kr[...] 2006-11-26
[5] 뉴스인용 이한열 열사 30주기…민주주의 의미 되새겨 http://www.yonhapnew[...] 2017-06-09
[6] 뉴스인용 [오늘의 이한열을 사는 사람]③ '역사 바꾼 그 사진' 정태원 씨 http://www.yonhapnew[...] 2017-06-07
[7] 뉴스인용 '87년 그 자리에...' http://news1.kr/phot[...] 2016-06-09
[8] 뉴스인용 「戰警 1명 기소중지」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87-07-31
[9] 보고서인용 고소고발 사건처분결과통지[수신:우상호, 발신:서울지방검찰청] https://archives.kd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1987-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