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재 (배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호재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63년 연극 《생쥐와 인간》으로 데뷔하여, 연극,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휘문고등학교와 서울연극학교를 졸업했으며, 1970년대 한국 연극계에서 주목받는 배우로 성장했다. 1972년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신인상, 1977년 백상예술대상 연기상 등을 수상했고, 2011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연극학교 동문 - 민지환
민지환은 1971년 데뷔하여 2000년대까지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1975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인기상을 수상한 배우이다. - 서울연극학교 동문 - 정동환
정동환은 1969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연극, 영화,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연극인이다. - 휘문고등학교 동문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휘문고등학교 동문 - 김효재
김효재는 조선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역임했으나 디도스 사건으로 기소되었으며, 이후 사면 복권되어 국방대학교 초빙교수,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등을 거쳐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 전주 이씨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전주 이씨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이호재 (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호재 |
출생일 | 1941년 5월 2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학력 | 휘문고등학교 |
모교 | 서울예술대학교 연극학과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63년 – 현재 |
배우자 | 최호원 (1973년 결혼) |
자녀 | 아들 2명 |
소속사 | 극단 컬티즌 |
수상 | 이해랑연극상 |
훈장 | 보관문화훈장(2011) |
2. 학력
3. 생애
2011년에는 정부로부터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209]
3. 1. 초기 생애 및 연기 입문 (1941~1963)
이호재는 서울에서 태어나 종로동에서 자랐다. 6남매 중 장남이었으며, 아버지는 염료 및 안료 사업을 크게 운영했다.[8] 휘문고등학교 재학 시절 아이스하키 선수로 활동했으며, 배우가 될 생각은 원래 없었다.1960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으나, 그해 봄 4·19 혁명 당시 학생 시위에서 선언문을 낭독한 일로 학교에서 제적당했다. 이후 2년간 방황하다 1962년 가을, 유치진이 설립한 남산 드라마센터 부설 연극아카데미(현 서울예술대학교 연극영화과의 전신) 1기생으로 입학하며 연기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9] 당시 동기로는 신구, 전무송, 반효정(미졸업), 극작가 윤대성 등이 있었다.[10]
1963년 존 스타인벡의 희곡 《생쥐와 인간》에서 레니 스몰 역을 맡아 명동예술극장 무대에서 배우로 데뷔했다.[209] 이 공연은 친구 김불래가 운영하던 극단에서 제작했으며, 김불래는 이호재에게 술을 공짜로 제공하겠다는 조건으로 출연을 설득했다고 한다.[11][12]
3. 2. 연극 배우로서의 성장 (1964~1999)
1964년 서라벌예술대학 졸업 후, 이호재는 동기 전무송과 함께 동랑레퍼토리 극단에 입단했다. 그러나 1966년 군에 입대하여 36개월간 복무하게 되었고, 이 기간 동안 베트ナム 전쟁에 참전하여 병역 의무를 마친 뒤 1969년에 제대했다.[12] 잠시 다른 극단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동랑레퍼토리 극단으로 돌아왔다. 이곳에서 그는 극작가 오태석의 주요 창작극인 "초분"과 "태"를 비롯하여, 몰리에르의 ''스카팽의 간계''를 각색한 "수두리극"(1974) 등 여러 작품에 참여했다.[13]1975년에는 동료 배우 전무송, 극작가 오태석과 함께 국립극단에 입단했다. 국립극단 시절 가장 기억에 남는 대표작으로는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를 꼽을 수 있다.[14]
1977년, 이호재는 전무송, 오태석과 함께 '동랑레퍼토리 극단 세계 순회 공연 귀국 기념 공연'에 참여했다. 유덕형 대표(당시 서울예술대학 학장)가 이끈 동랑레퍼토리 극단은 중앙일보, 동양방송, 국제극예술협회(ITI) 미국 본부의 후원과 록펠러 재단의 공동 주최로 1977년 3월 9일부터 5월 30일까지 약 3개월간 세계 순회 공연을 진행했다. 이는 한국 연극 역사상 최초의 본격적인 해외 순회 공연으로 기록된다. 순회 공연 레퍼토리는 오태석 작가의 "태"와 셰익스피어 원작의 ''햄릿''을 각색한 안민수 연출의 "햄열태자"였다.[15]
이 세계 순회 공연은 3월 15일부터 뉴욕에서 열린 국제극예술협회 미국 본부 주최 '세계 연극의 달' 기념행사 참여를 계기로 이루어졌다. 뉴욕 공연 후 극단은 미국 댈러스, 미니애폴리스, 로스앤젤레스, 하와이를 비롯해 프랑스 파리와 네덜란드를 순회했다.[15] 출국 전에는 순회 공연 작품 중 하나인 "태"(오태석 작, 안민수 연출)를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시민회관 별관에서 기념 공연으로 선보였다(중앙일보, 동양방송 주최).[12][16] 순회 공연의 시작은 뉴욕시의 유명한 La MaMa Experimental Theatre Club|라 마마 실험 극장eng에서였다.[3][4] 또한 이호재는 1977년 6월 15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국제극예술협회 세계 연극의 날 기념 공연에 초청된 ''햄열태자'' 공연에도 참여했다.[2]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이호재는 1970년대 한국 현대 연극사에서 주목받는 배우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17] 특히 동료 배우들이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로 활동 영역을 넓힐 때에도 꾸준히 연극 무대를 지켰기에 "연극계의 영원한 파수꾼"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8] 본래 연극 활동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고자 했으나, 결혼 후 자녀를 양육하게 되면서 1980년대부터는 경제적인 이유로 라디오,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활동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12]
국립극단에서 5년간 활동한 후에는 프리랜서 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극단 산울림, 성좌, 현대극장 등 여러 극단과 협력하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다.
1994년에는 뮤지컬 ''세상에 뜻을 두고 서로 사랑하는 별들''에 출연하며 뮤지컬 무대에 데뷔했다. 현직 정신과 의사인 김종일이 극본을 쓴 이 작품은 정신 질환을 앓는 주인공 정훈이 하룻밤 꿈속에서 겪는 사건들을 통해 삶의 소중함을 깨닫는 과정을 그렸다. 송미숙 연출로 1994년 12월 1일부터 1995년 1월까지 학전 소극장에서 공연되었다.[18]
3. 3. 2000년대 이후 활동 및 현재 (2000~)
연도 | 제목 | 배역 | 극장 | 공연 날짜 | scope="col" rowspan="2" class="unsortable"| | |
---|---|---|---|---|---|---|
영어 | 한국어 | |||||
2000 | Please Turn Off the Light | 불 좀 꺼주세요 | 사내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3.4–3.26 | [139][140][141] |
2001 | Hello You | 당신, 안녕 | 독고영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3.16–4.4 | [142] |
햄릿(Hamlet) | 햄릿 | 클로디어스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09.07–09.16 | [143] | |
2001 SPAF 서울공연예술제: 바리공주 | 2001 SPAF 서울공연예술제: 바리공주 | 백두 | 세종문화회관 소극장 | 10.12–10.15 | [144] | |
2002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우정 출연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7.6–7.17 | [145] |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 |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 | 안광남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2002.6.7–6.23 | [146] | |
2003 | 제11회 젊은연극제 — 마라와 사드 | 제11회 젊은연극제; 마라와 사드 | 쿨미 | 창작마당 | 6.27–6.29 | [147] |
붓다를 훔친 도둑 | 붓다를 훔친 도둑 | 스님 | 소극장 딴짓 | 2.6–3.2 | [148] | |
졸업(Graduate) | 졸업 | 안필상 | 문예진흥원 예술극장 소극장 | 10.25–11.2 | [149] | |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 세일즈맨의 죽음 | 윌리 로먼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05.21–06.01 | [150] | |
2005 | 돈키호테(Don Quixote) | 세상을 편력하는 두 기사 이야기 | 기사1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03.24–04.10 | [151] |
러브 레터(Love Letters) | 러브레터 | 앤디 | 한양레퍼토리 극장 | 10.21–12.31 | [152] | |
용호상박 | 용호상박 | 범 | 남산 드라마센터 | 11.24–12.7 | [153] | |
2006 | 넘버 | 넘버 | 살터 | 설치극장 정미소 | 5.18–6.4 | [154] |
2007 | 용호상박 | 용호상박 | 범 | 남산 드라마센터 | 2.17–2.25 | [155] |
언덕을 넘어서 가자 | 언덕을 넘어서 가자 | 완애 | 학전블루 소극장 | 05.24–06.10 | [156] | |
영영 사랑 | 영영 사랑 | 남자 | 남산골 한옥마을 서울남산국악당 | 12.06–12.16 | [157] | |
2008 | 2008 서울연극제 - 쿠크 박사의 정원(Dr. Cook's Garden) | 2008 서울연극제 - 쿠크 박사의 정원 | 레너드 쿡 박사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05.16–05.25 | [158][159] |
인간의 시간 | 인간의 시간 | 이원형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12.19–12.27 | [160] | |
2009 | 2009 서울연극제 - 불가불가 | 2009 서울연극제 - 불가불가 | 연출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05.09–05.15 | [161] |
뱃사람(The Seafarer) | 뱃사람 | 리처드 하킨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10.08–10.18 | [162] | |
운현궁 오라버니 | 운현궁 오라버니 | 박영호 | 남산예술센터 | 12.4–12.13 | [163] | |
2010 | 에이미의 시선(Amy's View) | 에이미 | 프랭크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02.05–02.21 | [164] |
오장군의 발톱 | 오장군의 발톱 | 동방 부대장 | 명동예술극장 | 04.09–04.25 | [165] | |
에이미의 시선 - 대전 | 에이미 - 대전 | 토비 | 대전 예술의전당 앙상블홀 | 04.29–05.01 | [166] | |
그대를 속일지라도 | 그대를 속일지라도 | 이진백 |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 | 6.18–27 | [167] | |
2011 | 2011 서울연극제 기획초청공연: 응시 - 이사 온 날 밤, 처음 남자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 (2011) 서울연극제 기획초청공연: 응시 - 이사 온 날 밤, 처음 남자의 음성을 들었습니다 | 준태 |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 05.12–05.15 | [168] |
예술하는 습관(The Habit of Art) | 예술하는 습관 | 피츠(오든) | 명동예술극장 | 06.21–07.10 | [169] | |
보이체크(Woyzeck) | 보이체크 | 의사 |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 08.21–09.10 | [170] | |
아마데우스(Amadeus) | 아마데우스 | 안토니오 살리에리 | 명동예술극장 | 12.07–01.01 | [171] | |
2012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Tuesday with Morrie)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 모리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05.31–06.17 | [172] |
밤으로의 긴 여로(Long Day's Journey into Night) | 밤으로의 긴 여로 | 타이론 | 명동예술극장 | 10.12–11.11 | [173] | |
2013 | 전쟁터를 훔친 여인들 | 전쟁터를 훔친 여인들 | 장군 |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 11.27–12.08 | [174] |
에이미의 시선(Amy) | 에이미 | 프랭크 | 명동예술극장 | 02.15–03.10 | [175] | |
채권자들(Creditors) | 채권자들 | 구스타브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05.10–05.26 | [176] | |
2014 | 스카이라이트(Skylight) | 스카이라잇 | 톰 서전트 | 대학로 예술극장 소극장 | 06.12–06.26 | [177] |
2015 | 소년B가 사는 집 | 소년B가 사는 집 | 아빠 |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 04.14–04.26 | [178] |
한강은 흐른다 | 한강은 흐른다 | 앙상블 |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 06.18–06.28 | [179] | |
2016 | 연극 방문 | 연극 방문 | 이주용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02.04–02.21 | [180] |
장수상회 | 장수상회 | 김성칠 |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 05.05–05.29 | [181] | |
어머니 | 어머니 | 피에르 | 명동예술극장 | 07.14–08.15 | [182] | |
불역쾌재 | 불역쾌재 | 경숙 | LG아트센터 | 10.26–11.06 | [183] | |
2017 | 장수상회 - 춘천 | 장수상회 - 춘천 | 김성칠 | 춘천문화예술회관 | 05.13–05.13 | [184] |
(2017) SPAF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하얀 토끼 빨간 토끼 <이호재> | (2017) SPAF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하얀 토끼 빨간 토끼 <이호재> | 본인 |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 9.24–9.24 | [185] | |
제2회 늘푸른 연극제 - 언덕을 넘어서 가자 | 제2회 늘푸른 연극제 - 언덕을 넘어서 가자 | 완애 | 대학로 예술극장 소극장 | 08.17–08.27 | [186] | |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Cat on a Hot Tin Roof) |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 빅 대디 | 서울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 10.18–11.05 | [187] | |
2019 | 갈릴레이의 생애(Life of Galileo) | 갈릴레이의 생애 | 종교재판관, 대학교 재무 | 명동예술극장 | 04.05–04.28 | [188] |
2022 | 제5회 중국희곡 낭독공연: 조조와 양수 | 제5회 중국희곡 낭독공연: 조조와 양수 | 이호재 | 명동예술극장 | 4.14–16 | [189] |
2022 | 질투 | 질투 | 완규 | 학전블루 소극장 | 05.27–06.05 | [190] |
맥베스(Macbeth) | 맥베스 | 맥베스 | 국립극장 | 10.10 | [191] | |
2023 | 오셀로 | 오셀로 | 브라반티오 | CJ 토월극장 | 05.12–06.04 | [192] |
4. 작품 활동
1964년 서라벌예술대학 연극과 졸업 후, 이호재는 동기 전무송과 함께 동랑레퍼토리 극단에 입단하며 본격적인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1966년 군에 입대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고, 1969년 제대 후 다시 연극 무대로 돌아왔다.[12] 동랑레퍼토리 극단에서 활동하며 오태석 작가의 창작극 "초분", "태"를 비롯해 몰리에르의 ''스카팽의 간계''를 각색한 "수두리극"(1974) 등 주요 작품에 참여했다.[13]
1975년에는 전무송, 오태석과 함께 국립극단에 입단하여 활동했으며, 이때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에서의 연기는 특히 주목받았다.[14] 1977년에는 동랑레퍼토리 극단의 세계 순회 공연에 참여하여 오태석 작가의 "태"와 셰익스피어 원작의 ''햄릿''을 각색한 "햄열태자"를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지에서 공연했다. 이는 한국 연극 역사상 첫 번째 본격적인 해외 순회 공연으로 기록된다.[15] 이들은 뉴욕시의 라 마마 실험 극장 등에서 공연했으며,[3][4] 국제극예술협회 (ITI) 행사에도 초청받아 공연했다.[2]
이호재는 1970년대 한국 현대 연극사에서 중요한 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17] 많은 동료 배우들이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로 활동 영역을 옮겨갈 때에도 꾸준히 연극 무대를 지켜 "연극계의 영원한 파수꾼"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8] 그러나 연극 활동만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어, 결혼 후 자녀를 양육하면서 1980년대부터는 라디오 방송,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활동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12]
국립극단에서 5년간 활동한 후 프리랜서 배우로 전향하여, 1980년대에는 극단 산울림, 성좌, 현대극단 등 여러 극단과 협력하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1994년에는 정신과 의사 김종일이 극본을 쓴 뮤지컬 ''세상에 뜻을 두고 서로 사랑하는 별들''에 출연하며 뮤지컬 무대에도 데뷔했다.[18]
4. 1. 영화
wikitext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
1992 | 이혼하지 않은 여자 | |
화엄경 | 법운 | |
1994 | 태백산맥 | 전 원장 |
1995 | 리허설 | 김명군 |
1997 | 아버지 | 남박사 |
그는 나에게 지타를 아느냐고 물었다 | 낯선 사람 | |
1999 | 세기말 | 천 |
2000 | 리베라 메 | 이인호 |
2002 | 예스터데이 | 경찰청장 |
2003 | 별 | 노의사 |
런 투 유 | 이두용 회장 | |
2007 | 경의선 | 민수 아버지 |
2008 | 어린 왕자 | 한정태 |
사랑과 전쟁: 열두 번째 남자 | ||
2010 | 파괴된 사나이 | 노신사 |
2015 | 검은 사제들 | 정신부 |
2018 | 국가부도의 날 | YS |
4. 2. 드라마
wikitext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
1973 | MBC | 113 수사본부 | 각종 단역 |
1980 | TBC | 땅에 묻은 노래 | |
TBC | 그땅의 사람들 | ||
MBC | 전원일기 | 각종 단역 | |
1981 | MBC | 제1공화국 | 서상일 역 |
KBS1 | 코리아 환상곡 | ||
1983 | KBS1 | 개국 | 배극렴 역 |
MBC | 추동궁 마마 | 정도전 역 | |
1984 | KBS1 | 독립문 | 이상재 역 |
KBS1 | 객사 | ||
MBC | 조선총독부 | 고종 역 | |
MBC | 그리워 | ||
1985 | KBS1 | 이산별곡 | |
1986 | KBS1 | 열반제 | 초연거사 역 |
1987 | KBS1 | 어느 방송인 | |
KBS1 | 이화 | 흥선대원군 역 | |
MBC | 갈 수 없는 나라 | ||
1988 | KBS1 | 역사를 찾아서 | |
KBS1 | 조선백자 마리아상 | ||
1989 | KBS2 | 숲은 잠들지 않는다 | |
1990 | KBS1 | 밤기차 | |
KBS2 | 우리가 사랑하는 죄인 | ||
1991 | MBC | 행복어사전 | 윤두명 역 |
SBS | 미늘 | ||
1993 | MBC | 제3공화국 | 최영희, 정일형 역 |
1995 | KBS1 | 김구 | 이동휘 역 |
1996 | KBS1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 |
1999 | KBS2 |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 조정위원 역 |
2000 | KBS2 | 천둥소리 | 선조 역 |
2002 | MBC | 프렌즈 | 지훈의 아빠 역 |
2004 | KBS2 | 미안하다, 사랑한다 | 민현석 역 |
2006 | MBC | 궁 | 공내관 역 |
KBS2 | 일단 뛰어 | 노석중 역 | |
2007 | MBC | 궁S | 지신사 역 |
2008 | SBS | 달콤한 나의 도시 | 은수 아빠 역 |
MBC | 대한민국 변호사 | 최고수 역 | |
KBS2 | 그들이 사는 세상 | 중견배우 역 | |
MBC | 돌아온 일지매 | 일지매의 생부 역 | |
2009 | MBC | 탐나는도다 | 박철 (박규의 부친) 역 |
2010 | KBS2 | 추노 | 유학자 역 |
MBC | 욕망의 불꽃 | 윤상훈 역 | |
2011 | MBC | 내 마음이 들리니 | 태승호 역 |
2012 | tvN | 제3병원 | 최현욱 역 |
2013 | MBC | MBC 드라마 페스티벌 - 햇빛 노인정의 기막힌 장례식 | 최옹식 역 |
2014 | KBS2 | 골든크로스 | 김재갑 역 |
2015 | KBS1 | 오! 할매 | 기찬 역 |
MBC | 밤을 걷는 선비 | 문조 역 | |
MBC | 엄마 | 조회장 역 | |
2016 | OCN | 38사기동대 | 최철우 역 |
SBS | 닥터스 | 홍두식 역 | |
SBS | 푸른 바다의 전설 | 늙은 어부 / 진교수 역 | |
JTBC | 솔로몬의 위증 | 정국재단 이사장 역 | |
2017 | KBS2 | 추리의 여왕 | |
tvN | 비밀의 숲 | 영일재 역 (법무부 장관) | |
2018 | KBS2 | 인형의 집 | 은기태 회장 역 |
tvN | 미스터 션샤인 | 고사홍 역 | |
2019 | KBS2 | 하나뿐인 내편 | 송회장 역 |
tvN | 로맨스는 별책부록 | 강병준 역 | |
KBS2 | 퍼퓸 | 최장태 역 | |
KBS2 | 저스티스 | 서동석 역 | |
KBS2 | 조선로코 - 녹두전 | 돌 던진 노인 역 | |
2021 | tvN | 갯마을 차차차 | 두식의 할아버지 역 (특별출연) |
JTBC | 너를 닮은 사람 | 구광모 역 | |
2022 | KBS1 | 내 눈에 콩깍지 | 장훈 회장 역 |
2023 | JTBC | 신성한, 이혼 | 서창진 역 |
4. 3. 연극
'''동랑레퍼토리 극단 단원'''연도 | 제목 | 배역 | 극장 | 날짜 | 비고 |
---|---|---|---|---|---|
1964 | 오셀로 | 제임스 | 남산 드라마센터 | [34] | |
마의태자 | 필선 | 9월 23일 ~ 28일 | |||
1966 | 수치 | 남산 드라마센터 | 3월 9일–12일 | ||
나도 인간이 되련다 | - | 남산 드라마센터 | 5월 16일 ~ 20일 | ||
1969 | 인생 | 황덕삼 | 남산 드라마센터 | 1969.6.27–6.30 | [35] |
1970 | 생일파티 | 페티 | 남산 드라마센터 | 10월 5일 ~ 20일 | |
1971 | 잉여부부 | 남산 드라마센터 | 10월 1일 ~ 10일 | [36][37] | |
사랑을 내기에 걸고 (Sleuth 각색) | 앤드류 와이크 | 1971.11.26—12.12 | [36][38] | ||
1972 | 쇠뚝이 놀이-스카펭의 간계 (스카팽의 간계 각색) | 스카팽 | 국립극장 | 4월 17일 ~ 21일 | [36] |
로미오와 줄리엣 | 남산 드라마센터 | 1972.9.30–10.9 | |||
1973 | 초분 | 앙상블 | 남산 드라마센터 | 1973.4.4-4.15 | |
리어왕 | 리어왕 | 1973.11.1–11.18 | |||
1974 | 생일파티 | 페티 | 명동예술극장 | 1974.4.18–4.22 | |
태 | 세조 | 4월 18일 ~ 22일 | |||
남산 드라마센터 | 5월 17일 ~ 6월 30일 | ||||
출세기 (일명 "매스·게임") | 1974.10.20–11.6 | ||||
LUV | 밀트 | 1974.5.17–6.30 | |||
1975 | 초분 | 앙상블 | 남산 드라마센터 | 4월 13일 ~ 26일 | |
5월 8일 ~ 9일 | [39] | ||||
마의태자 | 필선 | 명동예술극장 | 7월 3일 ~ 7일 | ||
부산시민회관 | 8월 16일 ~ 17일 | ||||
맨발로 공원을 (공원에서 맨발로 각색) | 폴 브래터 | 남산 드라마센터 | 10월 9일 ~ 20일 | ||
태 | 세조 | 11월 8일 ~ 16일 |
'''동랑 레퍼토리 월드 투어'''
'''국립극단 단원'''
연도 | 제목 | 배역 | 극장 | 공연 날짜 | 비고 |
---|---|---|---|---|---|
1975 | 징비록 | 신신진 | 국립극장 대극장 | 3월 1일 ~ 9일 | [43] |
고랑포의 신화 | 무사 김 | 6월 24일 ~ 29일 | [44] | ||
광야 | 나걸석 | 8월 6일 ~ 11일 | [45] | ||
빌헬름 텔 | 베르너 슈타우파허 | 11월 27일 ~ 12월 1일 | [46] | ||
1976 | 함성 | 임병찬 | 국립극장 대극장 | 2월 27일 ~ 3월 2일 | [47] |
손탁호텔 | 임철규 | 6월 10일 ~ 13일 | [48] | ||
1월 16일 밤에 생긴 일 (1월 16일 밤 각색) | 배심원 | 국립극장 소극장 | 8월 27일 ~ 30일 | [49] | |
페르귄트 | 페르 귄트 | 국립극장 대극장 | 9월 24일 ~ 28일 | [50] | |
북향묘 | 이성계 | 11월 25일 ~ 29일 | [51] | ||
1977 | 초립동 | 장군 계백 | 국립극장 대극장 | 3월 2일 ~ 6일 | [52] |
파우스트 | 바그너 | 6월 29일 ~ 7월 3일 | [53] | ||
크리스토퍼의 죽음 | 아게 | 국립극장 소극장 | 9월 15일 ~ 19일 | [54][55] | |
1978 | 학살의 숲 | 하명호 | 국립극장 대극장 | 11월 24일 ~ 28일 | [56] |
에밀레종 | 일전 | 3월 1일 ~ 5일 | [57] | ||
천사여 고향을 보라 | 벤 | 국립극장 소극장 | 4월 19일 ~ 28일 | [58] | |
흑하 | 최진동 | 국립극장 대극장 | 6월 21일 ~ 24일 | [59] | |
천사여 고향을 보라 | 벤 | 국립극장 소극장 | 6월 30일 ~ 7월 3일 | [60] | |
물보라 | 신기리 | 9월 15일 ~ 24일 | [61] | ||
11월 8일 ~ 12일 | [62] | ||||
1979 | 객사 | 대달 | 국립극장 대극장 | 2월 28일 ~ 3월 4일 | [63] |
동주앙 | 스나게렐 | 국립극장 소극장 | 4월 19일 ~ 26일 | [64] | |
베케트 | 헨리 2세 | 국립극장 대극장 | 6월 26일 ~ 7월 2일 | [65] | |
무녀도 | 악당 | 국립극장 소극장 | 9월 4일 ~ 13일 | [66] | |
사추기 | 김삼막 | 12월 12일 ~ 18일 | [67] |
'''프리랜서'''
{| class="wikitable"
|+ 프리랜서 연극 출연 (1977-1999)
|-
!scope="col"| 연도
!scope="col" | 제목
!scope="col" | 배역
!scope="col" | 극장
!scope="col" | 공연 날짜
!scope="col" | 참고
|-
| 1977
| 고도를 기다리며
| 에스트라공
| 삼일로 창고 극장
|
| [68]
|-
| 1977
| 안나 크리스티
| 크리스
| 시민회관 별관
| 8월 26일–30일
| [69]
|-
| rowspan="2" | 1978
| 약장사
| 약사
| 스페이스 사랑
| 1978년 1월
| [70]
|-
| 시즈위 밴지는 죽었다
| 시즈위 밴지
| 극장 홀 세실 극장
| 12월 8일–15일
| [71]
|-
| 1980
| 하늘 보고 활쏘기
| 궁수
| 극장
| 1980년
| [72][73]
|-
| 1981
| 섬
| 존
| 실험 극장
| 2월 6일-3월 31일
| [74]
|-
| rowspan="4" | 1982
| 쥬라기의 사람들
| 사람들
| 문예회관 대극장
| 10월 7일–12일
| [75]
|-
| 시집가는 날
| 남자
| 문예회관 대극장
| 12월 18일—19일
| [76]
|-
| rowspan="2" | 말괄량이 길들이기
| rowspan="2" | 페트루치오
| 숭의음악당
| 6월 1일–7일
| [77]
|-
| 문예회관 대극장
| 1982.5.27-5.31
| [78]
|-
| rowspan="2" | 1983
| rowspan="2" | 적과 백
| rowspan="2" | 이학구
| 문예회관 대극장
| 9월 16일–21일
| [79]
|-
| 대전 시민회관, 목포 시민회관, 부산 시민회관, 진해 해군회관, 대구 시민회관, 충북 문화예술회관
| 10월 27일–11월 3일
| [80]
|-
| rowspan="2" | 1984
| 토선생전
| 말뚝이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12월 12일
| [81]
|-
| 제10회 극단사조 공연 — 토선생전
| 펫
| 문예회관 대극장
| 1984.12.12–12.12
| [82]
|-
| rowspan="2" | 1986
| 독배
|
| 대학로 극장
| 6월 15일–7월 15일
| [83]
|-
| 빠담 빠담 빠담
| 폴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12월 24일–28일
| [84]
|-
| rowspan="3" | 1987
| 숲속의 방
| 아버지
| 소극장 산울림
| 4월 3일–30일
| [85]
|-
| 불가불가
| 배우 5
| 문예회관 대극장
| 10월 3일–7일
| [86][87][88]
|-
| 쥴리양
| 장
| 문예회관 소극장
| 12월 7일–16일
| [89]
|-
| rowspan="3" | 1988
| 수족관
| 에드가
| 대학로 극장
| 3월 18일–4월 23일
| [90]
|-
| 독배
| 이호재
| 대학로 극장
| 6월 15일–7월 15일
| [91]
|-
| (1988) 문화예술축전 서울국제연극제 : 불가불가
| 배우 5
| 문예회관 대극장
| 8월 22일–26일
| [92]
|-
| 1989
| 햄릿
| 왕
| 호암아트홀
| 4월 15일–23일
| [93]
|-
| rowspan="4" | 1990
|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사고사
| 미치광이
| 산울림 소극장
| 4월 3일–5월 6일
| [94]
|-
| 뻔데기전
|
| 실험극장 언니동, 서울
| 6월 29일–7월 22일
| [95]
|-
|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 안토니
| 실험극장 호암아트홀
| 10월 20일–11월 4일
| [96]
|-
| 밤주막 (밑바닥에서 각색)
| 사-진
| 문예회관 대극장
| 12월 3일–27일
| [97]
|-
| rowspan="6" | 1991
| 피가로의 결혼
| 피가로
| 문예회관
| 6월 27일
| [98][99]
|-
| 요나답
| 요나답
| 문예회관
| 12.5–12.11
| [100][101][102]
|-
| 맥베스
| 맥베스
| 문예회관 대극장
| 2월 27일–3월 5일
| [103][104]
|-
| 우체국
| 아말
| 서울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4.16-5.9
| [105]
|-
| 맥베스
| 맥베스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5월 9일–15일
| [106]
|-
| 출세기
| 촌사람
|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11월 15일–28일
| [107]
|-
| rowspan="5" | 1992
| (신파극) 新 장한몽
| 장만길
| 문예회관 대극장
| 3월 23일–31일
| [108]
|-
| 新 장한몽
| 장만길
| 문예회관 대극장
| 5월 7일–20일
| [109][110]
|-
| 안톤·체홉의 세자매
| 클루긴
| 문예회관 대극장
| 7월 1일–8일
| [111]
|-
| 제16회 서울연극제: 이방인들
| 연기섭
| 문예회관 대극장
| 9월 2일–7일
| [112]
|-
| 에쿠우스
| 다이사트
| 실험극장
| 11월
| [113]
5.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후보 / 작품 | 결과 | 참고 |
---|---|---|---|---|---|
1972 |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 신인 연기상 | 잉여인간 | 수상 | [193] |
제8회 백상예술대상 | 신인 연기상 | 수상 | [194] | ||
1977 | 제2회 대한민국연극제 한국연극협회 | 연기상(연극) | 페르귄트 | 수상 | [193] |
제13회 백상예술대상 | 수상 | [195] | |||
한국일보 연극영화상 | 수상 | [193] | |||
1981 | 제17회 백상예술대상 | 연기상(연극) | 섬 | 수상 | [196] |
1988 | 제25회 동아연극상 | 연기상 | 아쿠아리움 | 수상 | [197] |
1989 | 제25회 백상예술대상 | 수상 | [198] | ||
1991 | 제27회 백상예술대상 | 연기상 | 전데기의 사연 | 수상 | [199][200] |
1992 | 배우협회 연기상 | 연기상 | 이호재 | 수상 | [193] |
제16회 서울 국제연극제 | 연기상 | 낯선 사람들 | 수상 | [201] | |
1994 | 제4회 이해랑연극상 | 연기자상 | 이호재 | 수상 | [5] |
2003 | 서울예술대학교 동문회 | 자랑스러운 서울예대인상 | 이호재 | 수상 | [202] |
2006 | 부산국제영화제 | 올해의 배우상 | 이호재 | 수상 | [193] |
국가 | 시상식 | 연도 | 훈장 | 참고 |
---|---|---|---|---|
대한민국 정부 |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2011 | 보관문화훈장 (3등급) | [7] |
서울특별시 | 제51회 서울특별시 문화상[203] | 2002 | 공연예술 부문 | [204][205][206] |
참조
[1]
웹사이트
『태』에서 주역 맡은 연극 배우 이호재씨
https://www.joongang[...]
1974-04-17
[2]
웹사이트
이호재
https://100.daum.net[...]
2015-01-30
[3]
웹사이트
Melancholy Korean
https://query.nytime[...]
1977-03-25
[4]
웹사이트
Photo Flash: La MaMa's HAMYUL/HAMLET
http://www.broadwayw[...]
2011-06-24
[5]
웹사이트
이해랑연극상
http://leehaerang.ca[...]
2023-03-07
[6]
웹사이트
이호재·전무송·윤소정, 중견배우 한 연극 출연 이유
https://n.news.naver[...]
2022-06-18
[7]
웹사이트
테너 박인수·시인 이근배 등 은관문화훈장
https://www.yna.co.k[...]
2022-06-19
[8]
웹사이트
연극계의 영원한 파수꾼 李豪宰
http://monthly.chosu[...]
2023-08-29
[9]
웹사이트
Creating Artists to Meet the Demands of the 21st Century
http://www.businessk[...]
2022-06-15
[10]
웹사이트
연기인생 60년 이호재, '노 빠꾸'는 나의 힘
https://n.news.naver[...]
2022-06-18
[11]
웹사이트
'55년차 배우' 이호재 "누군간 연극을 지켜야할것 같아 버텼죠"
https://www.yna.co.k[...]
2022-05-04
[12]
웹사이트
53년 동안 무대를 지켜온 배우 이야기
https://www.sfac.or.[...]
2022-06-15
[13]
웹사이트
'그대를 속일지라도' 칠순 헌정공연 받는 배우 이호재
https://entertain.na[...]
2022-05-04
[14]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이호재"
http://archive.ntck.[...]
2022-06-15
[15]
웹사이트
세계무대로 진출하는 한국연극
https://www.joongang[...]
2022-06-18
[16]
웹사이트
"[내 인생에서 후회되는 한 가지](54) 이호재 - 영어를 좀 알았다면"
https://magazinex.kh[...]
2022-06-15
[17]
웹사이트
"[문화포털 예술지식백과] 한국연극의 배우"
https://www.culture.[...]
2022-06-15
[18]
웹사이트
대형 창작뮤지컬 서울사람들 공연(공연 화제)
https://www.chosun.c[...]
2022-06-18
[19]
웹사이트
"[문화예술의전당] 세상을 편력하는 두기사 이야기"
https://m.lullu.net/[...]
2022-06-15
[20]
웹사이트
30년 만에 드라마센터 무대 서는'유치진 제자'3인방
https://www.joongang[...]
2022-07-01
[21]
뉴스
연극'언덕을 넘어서 가자'
http://www.womennews[...]
2022-06-15
[22]
웹사이트
실버세대 위한 연극 '언덕을 넘어서 가자'
https://n.news.naver[...]
2022-06-15
[23]
웹사이트
연극의 바다… '물'과 '모래알' 같은 두 배우
http://art.chosun.co[...]
2022-06-15
[24]
웹사이트
"체력 다할때까지 계속 무대 서야죠"-프린트화면
http://biz.heraldcor[...]
2022-06-15
[25]
웹사이트
동랑 유치진 탄생 110돌 '한강은 흐른다'공연
https://www.joongang[...]
2022-06-15
[26]
웹사이트
"문화예술공연 - 제2회 늘푸른연극제 연극 {{!}}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
2022-06-15
[27]
웹사이트
"'늘푸른연극제' 오현경·김도훈·노경식·이호재…평균 78세 거장들의 작품을 만나는 시간"
https://m.newspim.co[...]
2022-06-15
[28]
웹사이트
40년을 연인처럼 친구처럼…식지 않는 무대열정 서로 닮았네요
https://www.hani.co.[...]
2022-05-04
[29]
웹사이트
Home
http://www.naa.go.kr[...]
2022-05-04
[30]
웹사이트
이호재 상세정보
http://www.naa.go.kr[...]
2022-05-04
[31]
웹사이트
"'무대인생 60년' 이호재 ""연극배우는 늙는 게 아니라 사라진다""
https://www.yna.co.k[...]
2022-06-15
[32]
웹사이트
"'내 눈에 콩깍지' 백성현부터 배누리까지, 열정 가득 대본리딩 현장 [N컷]"
https://entertain.na[...]
News1
2022-09-14
[33]
웹사이트
Decade-old KBS drama ends amid controversy
http://www.koreahera[...]
2014-09-21
[34]
웹사이트
동랑예술원 공연작품 1-15
https://www.seoulart[...]
[35]
웹사이트
동랑예술원 공연작품 16-30
https://www.seoulart[...]
[36]
웹사이트
동랑예술원 공연작품 31-45
https://www.seoulart[...]
[37]
웹사이트
동낭 레퍼토리 컴퍼니 수상 작품
https://www.seoulart[...]
2022-06-30
[38]
웹사이트
"[기고:이금숙]'동랑 유치진 재조명 사업 필요하다'"
http://www.geojetime[...]
2022-06-19
[39]
웹사이트
동랑예술원 공연작품 46-60
https://www.seoulart[...]
[40]
웹사이트
Melancholy Korean
https://query.nytime[...]
1977-03-25
[41]
웹사이트
Photo Flash: La MaMa's HAMYUL/HAMLET
http://www.broadwayw[...]
2011-06-24
[42]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 이호재
http://archive.ntck.[...]
2022-07-14
[43]
웹사이트
징비록
http://archive.ntck.[...]
2022-07-14
[44]
웹사이트
고랑포의 신화
http://archive.ntck.[...]
2022-07-14
[45]
웹사이트
광야
http://archive.ntck.[...]
2022-07-14
[46]
웹사이트
빌헬름 텔
http://archive.ntck.[...]
2022-07-14
[47]
웹사이트
함성
http://archive.ntck.[...]
2023-08-28
[48]
웹사이트
손탁호텔
http://archive.ntck.[...]
2023-08-28
[49]
웹사이트
1월 16일 밤에 생긴 일
http://archive.ntck.[...]
2023-08-28
[50]
웹사이트
페르귄트
https://www.daarts.o[...]
[51]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52]
웹사이트
초립동
https://www.daarts.o[...]
[53]
웹사이트
파우스트
http://archive.ntck.[...]
2023-08-28
[54]
웹사이트
크리스토퍼의 죽음
http://archive.ntck.[...]
2023-08-28
[55]
웹사이트
크리스토퍼의 죽음
https://www.daarts.o[...]
2023-08-29
[56]
웹사이트
학살의 숲
http://archive.ntck.[...]
2023-08-28
[57]
웹사이트
에밀레종
http://archive.ntck.[...]
2023-08-28
[58]
웹사이트
천사여 고향을 보라
https://www.daarts.o[...]
[59]
웹사이트
흑하
http://archive.ntck.[...]
2023-08-28
[60]
웹사이트
천사여 고향을 보라
http://archive.ntck.[...]
2023-08-28
[61]
웹사이트
물보라
http://archive.ntck.[...]
2023-08-28
[62]
웹사이트
물보라
http://archive.ntck.[...]
2023-08-28
[63]
웹사이트
객사
http://archive.ntck.[...]
2023-08-28
[64]
웹사이트
동쥐앙
http://archive.ntck.[...]
2023-08-28
[65]
웹사이트
베케트
http://archive.ntck.[...]
2023-08-28
[66]
웹사이트
무녀도
http://archive.ntck.[...]
2023-08-28
[67]
웹사이트
사추기
http://archive.ntck.[...]
2023-08-28
[68]
웹사이트
이호재 상세정보
http://www.naa.go.kr[...]
2023-08-29
[69]
웹사이트
안나 크리스티
https://www.daarts.o[...]
2023-08-29
[70]
웹사이트
약장사
https://www.daarts.o[...]
2023-08-29
[71]
웹사이트
시즈위 밴지는 죽었다
https://www.daarts.o[...]
2023-08-29
[72]
웹사이트
하늘 보고 활쏘기
https://www.daarts.o[...]
2023-08-29
[73]
웹사이트
하늘 보고 활쏘기
https://www.daarts.o[...]
2023-08-29
[74]
웹사이트
아일랜드
https://www.daarts.o[...]
2023-08-29
[75]
웹사이트
ㅁ
https://www.daarts.o[...]
2023-08-29
[76]
웹사이트
시집가는 날
https://www.daarts.o[...]
2023-08-29
[77]
웹사이트
말괄량이 길들이기
https://www.daarts.o[...]
2023-08-29
[78]
웹사이트
ㅁ
https://www.daarts.o[...]
2023-08-29
[79]
웹사이트
적과백
https://www.daarts.o[...]
2023-08-29
[80]
웹사이트
적과백
https://www.daarts.o[...]
2023-08-29
[81]
웹사이트
토선생전
https://www.daarts.o[...]
2023-08-29
[82]
웹사이트
ㅁ
https://www.daarts.o[...]
2023-08-29
[83]
웹사이트
독배
https://www.daarts.o[...]
2023-08-29
[84]
웹사이트
빠담 빠담 빠담
https://www.daarts.o[...]
2022-06-19
[85]
웹사이트
숲속의 방
https://www.daarts.o[...]
2023-08-29
[86]
웹사이트
"[문화포털 예술지식백과] 불가불가"
https://www.culture.[...]
2022-06-19
[87]
웹사이트
불가불가
https://www.daarts.o[...]
2023-08-29
[88]
웹사이트
불가불가
https://www.daarts.o[...]
2023-08-29
[89]
웹사이트
쥴리양
https://www.daarts.o[...]
2023-08-29
[90]
웹사이트
수족관
https://www.daarts.o[...]
2023-08-29
[91]
웹사이트
독배
https://www.daarts.o[...]
2023-08-29
[92]
웹사이트
(1988) 문화예술축전 서울국제연극제 : 불가불가
https://www.daarts.o[...]
2023-08-29
[93]
웹사이트
햄릿
https://www.daarts.o[...]
2023-08-29
[94]
웹사이트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사고사
https://www.daarts.o[...]
2023-08-29
[95]
웹사이트
연극무대, 휴한기가 없다
https://n.news.naver[...]
2023-03-08
[96]
웹사이트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https://www.daarts.o[...]
2023-08-29
[97]
웹사이트
밤주막
https://www.daarts.o[...]
2023-08-29
[98]
웹사이트
휘가로의 결혼
https://www.daarts.o[...]
2023-08-29
[99]
웹사이트
귀족과의 사랑싸움이기는 하인의 얘기
https://www.joongang[...]
1991-04-12
[100]
웹사이트
요나답
https://www.daarts.o[...]
2023-08-29
[101]
웹사이트
요나답
https://www.daarts.o[...]
2023-08-29
[102]
웹사이트
송년연극무대 화제작으로 풍성
https://n.news.naver[...]
2023-08-28
[103]
웹사이트
맥베드
https://www.daarts.o[...]
2023-08-29
[104]
웹사이트
"'맥베드' 폴란드 바비츠키 연출"
https://n.news.naver[...]
2023-08-28
[105]
웹사이트
"'동양의 힘' 보여주는 역작 2편 .. 20세기 대표작가 연극제"
https://www.hankyung[...]
1999-04-12
[106]
웹사이트
맥베드
https://www.daarts.o[...]
2023-08-29
[107]
웹사이트
출세기
https://www.daarts.o[...]
2023-08-29
[108]
웹사이트
(신파극)新 장한몽
https://www.daarts.o[...]
2023-08-29
[109]
웹사이트
新 장한몽
https://www.daarts.o[...]
2023-08-29
[110]
뉴스
극작가 車凡錫씨,올들어 왕성한 창작열과시
https://n.news.naver[...]
2023-08-28
[111]
웹사이트
안톤·체홉의 세자매
https://www.daarts.o[...]
2023-08-29
[112]
웹사이트
제16회 서울연극제: 이방인들
https://www.daarts.o[...]
2023-08-29
[113]
웹사이트
ㅁ
https://www.daarts.o[...]
2023-08-29
[114]
뉴스
연극소식
https://n.news.naver[...]
2023-08-28
[115]
웹사이트
맥베드
https://www.daarts.o[...]
2023-08-29
[116]
뉴스
'맥베드' 폴란드 바비츠키 연출
https://n.news.naver[...]
2023-08-28
[117]
뉴스
오늘의 명배우 시리즈 무대/강남에 연극돌풍 예고
https://www.chosun.c[...]
2020-08-16
[118]
웹사이트
아내란 직업의 여인
https://www.daarts.o[...]
2023-08-29
[119]
뉴스
연극"아내란 직업의 여인" 공연
https://www.joongang[...]
1994-11-10
[120]
웹사이트
별님들은 세상에 한 사람씩 의미를 두어 사랑한다는데
https://www.daarts.o[...]
2022-06-19
[121]
뉴스
이달의 공연 스케줄
https://n.news.naver[...]
2023-08-28
[122]
웹사이트
혼자사는 세 여자
https://www.daarts.o[...]
2022-06-19
[123]
뉴스
셰익스피어劇으로 연극 활성화 기대
https://n.news.naver[...]
2023-08-23
[124]
웹사이트
제국의 광대들
https://www.daarts.o[...]
2023-08-29
[125]
뉴스
제국의 광대들
https://www.joongang[...]
2023-08-28
[126]
뉴스
"[커튼 콜] 연극배우 이호재, 순발력…'무대위의 마술사'"
https://www.chosun.c[...]
2022-06-19
[127]
웹사이트
천년의 수인
https://www.daarts.o[...]
2023-08-29
[128]
뉴스
"[연극리뷰]오태석 신작 '천년의 수인'"
https://www.joongang[...]
2022-06-19
[129]
뉴스
"[연극] '민중의 적' 이해랑연극상 수상자 정면대결"
https://www.chosun.c[...]
2022-06-19
[130]
웹사이트
민중의 적
https://www.daarts.o[...]
2022-06-22
[131]
웹사이트
툇자아저씨와 거목
https://www.daarts.o[...]
2022-06-19
[132]
웹사이트
툇자아저씨와 거목
https://www.daarts.o[...]
2022-06-19
[133]
뉴스
"[연극리뷰] 오래된것 위해 건배…'툇자아저씨와 거목'"
https://www.chosun.c[...]
2022-06-19
[134]
웹사이트
사랑
https://www.daarts.o[...]
2023-08-29
[135]
뉴스
창작극 '사랑' 연기파 총출동
https://www.chosun.c[...]
2022-06-19
[136]
뉴스
"[연극-조선제왕신위] 소현세자는 아버지 손에 죽었다?"
https://www.chosun.c[...]
2022-06-19
[137]
뉴스
"가벼운 세태에 반기든 정통사극 / 실험극장 '조선제왕신위'"
https://www.hani.co.[...]
2022-06-19
[138]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DB
http://www.playdb.co[...]
2022-05-04
[139]
뉴스
"인기작 '불 좀 꺼주세요' 재공연"
http://m.munhwa.com/[...]
2022-06-19
[140]
뉴스
"'불 좀 꺼주세요' 1인 7역 정경순"
https://www.joongang[...]
2022-06-19
[141]
웹사이트
"'불 좀 꺼주세요' 다시 불 밝혀..내달 16일부터 예술의 전당"
https://www.hankyung[...]
2022-06-19
[142]
웹사이트
"[우리? 문화동지]연극 배우 이호재&팬클럽 '빨간 소주'"
https://n.news.naver[...]
2023-07-25
[143]
웹사이트
Hamlet
http://archive.ntck.[...]
[144]
웹사이트
"[공연]연극 배우 이호재 박정자씨 환갑 기념공연"
https://n.news.naver[...]
2023-07-25
[145]
웹사이트
연출가 권오일씨 고희 기념극 '욕망…'
https://entertain.na[...]
2023-07-25
[146]
웹사이트
"[공연] 연극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
https://entertain.na[...]
2023-07-25
[147]
웹사이트
"[문화캘린더]주말 오감만족 나들이"
https://www.donga.co[...]
2023-07-25
[148]
웹사이트
탱화 훔치려다 깨달음 얻어
https://n.news.naver[...]
2023-07-25
[149]
웹사이트
낯설지 않은 죽음, 그 '졸업'에 축배를
https://n.news.naver[...]
2023-07-25
[150]
웹사이트
서울땅서 되살아나는 아버지의 쓸쓸한 뒷모습
https://n.news.naver[...]
2023-07-25
[151]
웹사이트
"'분단과 갈등' vs '만인의 투쟁'"
https://n.news.naver[...]
2023-07-25
[152]
웹사이트
설경구, 연극 '러브레터' 주인공 캐스팅
https://n.news.naver[...]
2023-07-25
[153]
웹사이트
"리뷰 - '용호상박' 과 '지상의 모든 밤들' : 음악·공연·전시 : 대중문화 : 뉴스 : 한겨레"
https://www.hani.co.[...]
2023-07-25
[154]
웹사이트
권해효-이호재, 연극 '넘버'서 한 무대
https://n.news.naver[...]
2023-07-25
[155]
웹사이트
극단 목화 '용호상박' 앙코르 공연
https://n.news.naver[...]
2023-07-25
[156]
웹사이트
"50년 전 첫사랑, 딱 내 배역이야"
https://www.hani.co.[...]
2023-07-25
[157]
웹사이트
서울 대표 창작 공연 '영영 사랑'
https://n.news.naver[...]
2023-07-25
[158]
웹사이트
30년 만에 부활하는 연극 [쿠크박사의 정원]
https://www.newscult[...]
2023-08-28
[159]
웹사이트
쿠크 박사의 정원|여성동아
https://woman.donga.[...]
2008-05-09
[160]
웹사이트
미래사회 속 인간과 로봇의 교감스토리
https://gnews.gg.go.[...]
2023-08-28
[161]
웹사이트
"[스테이지2010] 20년만에 무대에 다시 오른 연극"
https://n.news.naver[...]
2023-08-28
[162]
웹사이트
"[스테이지2010] 가엾은 영혼 다룬 연극"
https://n.news.naver[...]
2023-08-28
[163]
웹사이트
연극 '운현궁 오라버니' 12일까지
https://www.seoul.co[...]
2023-08-28
[164]
웹사이트
신구세대 갈등 그린 연극 '에이미'
https://n.news.naver[...]
2023-08-28
[165]
웹사이트
전쟁터에 버려진 시골청년 '오장군의 발톱'
https://n.news.naver[...]
2023-08-28
[166]
웹사이트
공연의 모든 것 - 플레이 DB
http://m.playdb.co.k[...]
2023-08-28
[167]
웹사이트
이호재·전무송·윤소정, 중견배우 한 연극 출연 이유
https://www.nocutnew[...]
2023-07-23
[168]
웹사이트
≪문화저널21≫ [포스터 it] 이사 온 날 밤 처음 그의 음성을 들었다, 연극 '응시'
http://www.mhj21.com[...]
2023-07-25
[169]
웹사이트
연극 '예술하는 습관' 21일부터 무대 올라
https://www.segye.co[...]
2023-07-25
[170]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71]
웹사이트
역시 이호재 샬리에리 40년 세월 넘나들다
https://www.joongang[...]
2023-07-25
[172]
웹사이트
이호재 주연의 연극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31일 아르코소극장 개막
https://sports.chosu[...]
2023-08-28
[173]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74]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75]
웹사이트
명동예술극장 윤소정 백수련 이호재의 '에이미' 15일부터 공연
https://www.ajunews.[...]
2023-08-28
[176]
웹사이트
연극 '채권자들'
https://n.news.naver[...]
2023-08-28
[177]
웹사이트
불륜 넘어 관계와 세상을 이야기하는 연극 '스카이라잇'
https://www.newscult[...]
2014-05-08
[178]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79]
웹사이트
'한국 실험극의 시초' 동랑 레퍼토리 극단 '한강은 흐른다' 18일 개막
https://www.fnnews.c[...]
2023-08-28
[180]
웹사이트
현대인의 소통부재 다룬 연극 '방문' 공연
http://www.interview[...]
2023-08-28
[181]
웹사이트
황혼 로맨스로 재회…"부부 연기라 좀 쑥스럽네요"
https://www.hani.co.[...]
2023-08-28
[182]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83]
웹사이트
마이데일리
https://mydaily.co.k[...]
2023-08-28
[184]
웹사이트
영화 '장수상회' 춘천서 연극으로 재탄생
http://www.kado.net/[...]
2023-08-28
[185]
웹사이트
당황과 연륜사이 즉흥 1인극의 묘미···손숙 '하얀토끼 빨간토끼'
http://art.chosun.co[...]
2023-08-28
[186]
웹사이트
"[정중헌의 문화와 사람] 이호재 배우를 '추앙'한 관객들"
http://www.interview[...]
2023-08-28
[187]
웹사이트
연극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이호재 품에 안겨 우는 이승주
https://www.newscj.c[...]
2023-08-28
[188]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89]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http://archive.ntck.[...]
2023-08-28
[190]
웹사이트
"[정중헌의 문화와 사람] 이호재 배우를 '추앙'한 관객들"
http://www.interview[...]
2023-08-28
[191]
웹사이트
박정자·오현경·손숙·이호재 "내가 연극에 빠진 이유는요…"
https://www.chosun.c[...]
2023-07-25
[192]
웹사이트
박호산·유태웅·이자람·이호재, 예술의전당 연극 '오셀로' 출연
https://entertain.na[...]
Newsis
2023-03-14
[193]
웹사이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이호재
http://archive.ntck.[...]
2022-07-14
[194]
웹사이트
제8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8-29
[195]
웹사이트
제13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8-29
[196]
웹사이트
제13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8-29
[197]
웹사이트
이호재 "연극은 집중력…핵심 꿰뚫어 보면 다 할 수 있어"
https://n.news.naver[...]
2022-05-04
[198]
웹사이트
제25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8-29
[199]
웹사이트
백상예술상 시상
https://www.joongang[...]
2023-03-08
[200]
웹사이트
제27회 백상예술대상
https://terms.naver.[...]
2023-08-29
[201]
웹사이트
서울연극제 - Seoul Theater Festival
http://www.stf.or.kr[...]
2023-08-29
[202]
웹사이트
역대 '삶의 빛' 상 수상자
https://www.seoulart[...]
[203]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문화상 소개
https://culture.seou[...]
2023-08-29
[204]
웹사이트
서울시문화상 수상자 13명 선정
https://n.news.naver[...]
2023-08-29
[205]
웹사이트
"'서울시 문화상' 13명 선정"
https://n.news.naver[...]
2023-08-29
[206]
웹사이트
서울시 문화상 13명 선정
https://n.news.naver[...]
2023-08-29
[207]
웹사이트
"[프로들이 선정한 우리분야 최고]연극·뮤지컬"
https://n.news.naver[...]
2023-09-04
[208]
뉴스
‘그대를 속일지라도’ 칠순 헌정공연 받는 배우 이호재
http://entertain.nav[...]
경향신문
2010-03-23
[209]
뉴스
40년을 연인처럼 친구처럼…식지 않는 무대열정 서로 닮았네요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3-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