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홍구 (193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홍구는 1934년 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중퇴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에모리 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예일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를 거쳐 노태우 정부에서 통일원 장관, 김영삼 정부에서 국무총리, 주영국 대사, 주미 대사를 역임했다. 1996년에는 신한국당 비례대표로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이후 동아시아연구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김정렬 (1917년)
    김정렬은 일제강점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일본군 조종사로 2차대전에 참전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을 주도하여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의장, 주미 한국 대사, 국회의원, 삼성물산 사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이재정 (1944년)
    이재정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성공회대학교 총장, 국회의원, 통일부 장관을 거쳤으며, 국민참여당 대표와 경기도 교육감을 역임했다.
  • 서울혜화초등학교 동문 - 유인태
    유인태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된 후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국회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울혜화초등학교 동문 - 이인수 (정치학자)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이인수는 이승만의 양자로서 뉴욕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명지대학교 법대 학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기념사업회 이사장을 지내며 이승만의 명예 회복을 위해 활동하다 2023년 사망했다.
  • 에모리 대학교 동문 - 김집 (1926년)
    김집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대한체육회 이사장, 체육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한국 체육 발전에 기여하고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1대, 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의학자, 체육인, 정치인이다.
  • 에모리 대학교 동문 - 케리 힐슨
    케리 힐슨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로, 2001년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2009년 데뷔 앨범을 발매했으며, 2011년 배우로도 데뷔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홍구 (193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9년의 이홍구
이름이홍구
로마자 표기I Honggu
매큔-라이샤워 표기I Hongku
출생일1934년 5월 9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군
국적대한민국
본관전주
학력에모리 대학교 (학사)
예일 대학교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직업학자
정치인
주요 직책
국무총리재임 기간: 1994년 12월 17일 ~ 1995년 12월 17일
대통령: 김영삼
전임: 이영덕
후임: 이수성
통일원 장관재임 기간: 1994년 4월 30일 ~ 1994년 12월 16일
대통령: 김영삼
전임: 이영덕
후임: 김덕
국토통일원 장관재임 기간: 1988년 2월 25일 ~ 1990년 3월 18일
대통령: 노태우
전임: 허문도
후임: 홍성철
주미대사재임 기간: 1998년 4월 28일 ~ 2000년 8월 1일
대통령: 김대중
전임: 박건우
후임: 양성철
소속 정당
정당민주자유당 (과거)
현재 정당무소속
기타 경력
기타 경력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영국 주재 대사
제15대 국회의원 (신한국당)
중앙일보 고문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프로필

2. 생애 및 학력

이홍구는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대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자퇴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에모리 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예일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에는 에모리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초기 생애

이홍구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한국의 지배 왕조였던 조선의 왕족인 전주 이씨이다. 세종의 아들인 영산군 이전의 15대손이다. 일제강점기 일본령 한국의 경기도 고양군 여유리(현재 서울 여의도의 일부)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경성(서울)에서 성장하여 1953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했으나 다음 해 자퇴했다. 이후 에모리 대학교에 유학하여 정치학을 전공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학력

3. 학술 경력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진학했다. 에모리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8년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3. 1. 미국

1955년, 에모리 대학교(Emory University)에 입학하여 정치학을 전공하고 1959년에 졸업하였다. 이후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사(1961년) 및 박사(1968년) 학위를 받았다.[3]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에모리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1973년부터 1974년까지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1973년에는 윌슨센터(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싱크탱크) 연구원으로, 1974년에는 하버드 로스쿨(Harvard Law School)에서 연구했다.[4]

1978년 에모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3. 2. 대한민국

1968년 또는 1969년에 귀국하여 1973년까지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74년경 하버드 대학교에서 돌아온 후에도 다시 같은 직책을 수행했다. 1988년 정부 장관으로 임명될 때까지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31]

1988년부터 1990년까지 국토통일원 장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주영국 대사, 1994년에는 통일원 장관 겸 부총리를 역임했고, 1994년부터 1995년까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1996년 당시 여당인 신한국당 비례대표로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신한국당 대표가 되어 한때 김영삼 대통령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6년 12월 노동법 개정안 강행 처리가 국민적 반발을 사면서 신한국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김대중 정부에서 주미 대사를 역임했다.

2019년 10월 10일, 강제징용 소송 문제와 2019년 한일 무역 분쟁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다른 정계, 종교계, 학계 관계자들과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1] 수출 규제 철폐와 헌법 수호 등을 요구했다.[31]

4. 정치 및 외교 경력

이홍구는 1988년 노태우 대통령에 의해 통일원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주영 대한민국 대사(1991년), 주미 대한민국 대사(1998년)를 역임하며 외교 분야에서도 경력을 쌓았다. 특히 주미 대사 재임 기간은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 시기와 겹쳐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김영삼 대통령 하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1996년 신한국당 비례대표로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신한국당 대표를 역임하며 김영삼 대통령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6년 12월 노동법 개정안 강행 처리에 대한 국민적 반발로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2019년 강제징용 소송 문제와 한일 무역 분쟁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1]

직위임기비고
국토통일원 장관1988년 - 1990년노태우 정부
주영 대사1991년 - 1993년노태우 정부
통일원 장관 겸 부총리1994년김영삼 정부
국무총리1994년 - 1995년김영삼 정부
제15대 국회의원1996년 - 2000년신한국당 → 한나라당
신한국당 대표1996년
주미 대사1998년 - 2000년김대중 정부


4. 1. 정치 경력

33년간 학계에 몸담았던 이홍구는 1988년 노태우 대통령에 의해 통일원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31]

1991년에는 주영 대한민국 대사로 임명되었고, 1994년부터 1995년까지 김영삼 대통령 하에서 제28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당시 이홍구는 어떤 정당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았다.

1996년 김영삼 대통령의 권유로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여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였다. 새정치국민회의는 1990년 김영삼의 민주자유당, 김종필의 (주요 지지 기반: 충청), 노태우의 민주정의당이 합당하여 형성된 보수 및 중도 세력 연합이 개편된 정당이다. 1995년 김종필의 당이 연합에서 이탈한 후, 이 당은 '새정치'로 개편되었다.

1996년 4월 총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 비례대표 2번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당시 한국은 비례대표로 47석을 배분했기 때문에, 당이 이홍구에게 높은 순번을 부여함으로써 국회 입성이 보장되었다. 새정치국민회의는 이 선거에서 299석 중 139석을 획득하여 김대중 당(79석)과 김종필의 우익 분당파(50석)의 개별 득표수를 훨씬 상회하였다.

이홍구는 1996년 신한국당 최고위원을 거쳐 당 대표가 되는 등 급속한 정치적 성장을 이루었다. 당시 이홍구는 김영삼 대통령(1993년 2월~1998년 2월 재임)의 후계자로 널리 거론되었다.

1995년과 1996년 초 이홍구는 월드컵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1996년 12월, 정부가 전국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노동법 개정을 강행하자 이홍구는 신한국당 대표직에서 사퇴했지만 당내에 남았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1997년 12월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어 1998년 2월 취임했을 때, 이홍구는 당시 (1997년 11월 개칭된)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김대중 정부에서 주미 대사를 역임했다.

2019년 10월 10일, 강제징용 소송 문제와 한일 무역 분쟁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다른 정계, 종교계, 학계 관계자들과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1] 수출 규제 철폐와 헌법 수호 등을 요구했다.[31]

4. 2. 외교 경력

1998년 3월 24일, 김대중 대통령은 이홍구를 주미 대한민국 대사로 지명했다. 당시 한나라당 최고 자문위원이던 이홍구의 주미 대사 임명은 한국 정치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로 해석되었다. 외교부는 전 정부의 주요 인사를 지명한 것에 대해 "초당적 외교 정책을 추진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전 정부의 전직 총리인 이수성을 통일부 장관으로 지명한 것 역시 이러한 기조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31]

이홍구는 1998년 5월부터 2000년 8월까지 2년 반 동안 주미 대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양성철(2000년 8월~2003년 4월 재임)이 이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홍구 대사의 재임 기간은 햇볕정책 시기와 겹쳤는데, 이 시기 남북 관계 개선으로 김대중 대통령은 노벨 평화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고, 2000년 10월 실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는 주영국 대사를 역임했다.

2019년 10월 10일, 강제징용 소송 문제와 한일 무역 분쟁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이홍구는 다른 정계, 종교계, 학계 관계자들과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수출 규제 철폐와 헌법 수호 등을 요구했다.[31]

5. 정치 이후 경력

이홍구는 2000년 민간 생활로 돌아온 후, 신문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싱크탱크와 정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전직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들의 모임인 마드리드 클럽(Club of Madrid) 회원과 서울포럼(Seoul Forum) 이사를 역임했다.[5]

2002년 5월, 이홍구는 서울에 기반을 둔 독립적인 비영리 정치 및 외교 정책 연구소인 동아시아연구원(EAI)을 설립했다. 2010년대까지 EAI는 전 세계 6,000개의 연구소 중 "최고 100대 싱크탱크"에 지속적으로 이름을 올렸으며, 그 연구와 제도적 모델은 개발도상국의 신생 연구 기관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다.[6]

이홍구는 EAI 이사장직을 10년간 역임하고 2012년 5월, 78세 생일과 같은 달에 이사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하영선(Ha Young-Sun)이 이사장직을 이어받았으며, 2017년 현재까지 그 직책을 유지하고 있다.[7]

이홍구는 수년간 중앙일보에 기고했다.

2011년, 좌파 학자인 진중권은 진보 성향의 한국 일간지인 한겨레에 이홍구의 칼럼과 같은 날 자신의 글을 게시함으로써 이홍구를 "추적"하는 것처럼 보이는 행위로 작은 파장을 일으켰다. 진중권의 "추적"은 2011년 4월 11일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2011년 10월 14일까지 10회 연속으로 이홍구의 칼럼을 따라 기고했다. 진중권의 칼럼은 이홍구의 칼럼이 게시된 날 약 20시간 후에 게시되었다.[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

이홍구는 일반적으로 3주에 한 번 칼럼을 기고했지만, 10월 3일 새로운 칼럼을 기고하기 전에 4주를 기다렸다. 진중권은 10월 3일에도 그를 따라 기고했으므로, 진중권이 의도적으로 이홍구를 "추적"했음이 분명하다. 이 사건 이후 진중권의 칼럼은 더 이상 게재되지 않는다. 진중권의 추적 목적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는 트위터에서 컴퓨터 해킹 의혹과 성적 정체성에 대한 의심으로 누군가에게 비난을 받았다.[28][29]

2019년 10월 10일, 강제징용 소송 문제와 한일 무역 분쟁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다른 정계, 종교계, 학계 관계자들과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1] 수출 규제 철폐와 헌법 수호 등을 요구했다.[31]

6. 가족

배우자강주현
자녀1남 2녀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6년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신한국당6,783,730표 (34.5%)당선전국구 2번, 초선


참조

[1]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Central, South and East Asia Psychology Press
[2]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3] 웹사이트 Hong Koo Lee (59C) http://www.internati[...] Emory University 2013-06-18
[4] 웹사이트 Hong-Koo Lee | Club de Madrid https://web.archive.[...] 2011-01-16
[5] 웹사이트 Hong-Koo Lee | Club de Madrid https://web.archive.[...] 2011-01-16
[6] 보도자료 EAI Ranked among Top 100 Think Tanks in the World http://www.eai.or.kr[...] 2013-01-24
[7] 보도자료 EAI Welcome New Chairman http://www.eai.or.kr[...] 2012-06
[8] 뉴스 [이홍구 칼럼] 대통령의 공약 그리고 헌법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4-11
[9] 뉴스 [야! 한국사회] 대학의 자살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4-11
[10] 뉴스 [이홍구 칼럼] ‘문명의 충돌’과 열린 문화의 선택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5-02
[11] 뉴스 [야! 한국사회] 민주당 이후를 생각함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5-02
[12] 뉴스 [이홍구 칼럼] 빈 라덴의 죽음과 ‘문명의 충돌’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5-23
[13] 뉴스 [야! 한국사회] 군가산점 부활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5-23
[14] 뉴스 [이홍구 칼럼] 분단의 현상유지냐, 통일로의 변화추구냐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6-13
[15] 뉴스 [야! 한국사회] 땀에 젖은 지폐 넣지 마세요/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6-13
[16] 뉴스 [이홍구 칼럼] 분열의 계절 … 통합의 선구자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7-04
[17] 뉴스 [야! 한국사회] KBS와 역사적 기억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7-04
[18] 뉴스 [이홍구 칼럼] 2012 북한의 변화에 거는 기대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7-25
[19] 뉴스 [야! 한국사회] 천국이 그대들의 것이니라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7-25
[20] 뉴스 [이홍구 칼럼] 8·15에 생각하는 민주국가의 위기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8-15
[21] 뉴스 [야! 한국사회] 구국의 밥그릇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8-15
[22] 뉴스 [이홍구 칼럼] 민주공동체 지키는 구심력 키우자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9-05
[23] 뉴스 [야! 한국사회] 전위에서 멘토로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9-05
[24] 뉴스 [이홍구 칼럼] 요동치는 세계시장, 누가 관리할 것인가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10-03
[25] 뉴스 [야! 한국사회] 정의란 무엇인가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10-03
[26] 뉴스 [이홍구 칼럼] 시장선거, 분열 아닌 개혁의 계기 되어야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10-24
[27] 뉴스 [야! 한국사회] 카다피 단상 / 진중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10-24
[28] 트위터 진중권 트위터 https://twitter.com/[...]
[29] 트위터 진중권의 정체 트위터 https://twitter.com/[...]
[30]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31] 웹사이트 韓国重鎮ら、安倍首相に対話促す 即位礼正殿の儀を機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