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네레슈타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네레슈타트는 오스트리아 빈의 1구역으로, 빈 역사 지구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켈트족 마을에서 시작하여 로마 요새 빈도보나를 거쳐 1850년까지 빈 시와 동일한 지역이었으며, 이후 빈의 정치, 경제,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주요 건축물로는 슈테판 대성당, 호프부르크 왕궁, 빈 국립 오페라 극장 등이 있으며, 60개 이상의 미술관과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2014년 기준 외국 국적 소지자는 21.3%이며, 오스트리아 국민당이 1946년부터 구청장을 배출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네레슈타트 - 링슈트라세
링슈트라세는 19세기 후반 빈의 옛 성벽을 허물고 건설된 순환 도로로, 합스부르크 제국의 위용을 과시하고 도시를 현대화하기 위한 상징적인 프로젝트였으며 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나 건설 과정에서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 인네레슈타트 - 카를 광장
카를 광장은 오스트리아 빈의 중심지로, 주요 교통 요충지이자 빈 박물관, 빈 공과대학교, 빈 무지크페라인 등 다양한 건축물과 예술·문화 시설이 밀집되어 있으며 문화 교류 공간으로 활성화되었다. - 빈의 구 - 마이들링
마이들링은 오스트리아 빈의 12구역으로, 1892년 빈에 통합되어 주거 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빈 메들링 역 등 주요 건축물과 대중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 빈의 구 - 히칭
히칭은 오스트리아 빈의 13구로, 쇤브룬 궁전, 빈 동물원 등을 포함하며, 1130년에 처음 언급된 후 1890년/1892년에 빈에 편입되었고, 사회민주당과 국민당이 정치적으로 경쟁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인네레슈타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비엔나 독일어 | Innare Stod |
1구 | 1. Bezirk |
면적 | 2.88 |
인구 (2016년 1월 1일 기준) | 16409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우편 번호 | A-1010 |
구청 주소 | Wipplingerstraße 8, A-1011 Wien |
웹사이트 | 인네레슈타트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구청장 | Markus Figl (ÖVP) |
제1 부구청장 | Isabelle Jungnickel (ÖVP) |
제2 부구청장 | Daniela Ecker-Stepp (SPÖ) |
의회 대표 | ÖVP 10, SPÖ 10, Greens 6, FPÖ 8, WIR 2, NEOS 4 (총 40석) |
세계 문화 유산 | |
등재 기준 | (ii)(iv)(vi) |
지정 연도 | 2001 |
위기 등재 | 2017–... |
면적 | 371 헥타르 (3.71 제곱킬로미터) |
완충 구역 | 462 헥타르 (4.62 제곱킬로미터) |
유네스코 ID | 1033 |
지역 정보 | |
구성 지역 | Stubenviertel Kärntner Viertel Widmerviertel Schottenviertel |
2. 역사
인네레슈타트는 빈 역사 지구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역사 지구의 수많은 유적들이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시대상을 드러내며 중세 유럽의 발전상을 보여준다는 점과 16세기 이후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로 기능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9]
인네레슈타트의 역사는 켈트족이 세운 마을이 후에 로마인의 요새가 된 빈도보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850년 이전에는 인네레슈타트는 비엔나 시와 물리적으로 동일했다. 그 후 오랫동안, 오늘날의 인네레슈타트에 해당하는 지역의 역사가 빈의 역사였다. 1850년에 주변 마을 (Vorstadt)의 합병으로 근대 빈 시가 탄생하여, 인네레슈타트는 그 일부로서의 위치가 되었지만, 그 후에도 인네레슈타트는 빈의 정치적·경제적·정신적인 중심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빈도보나와 비엔나의 역사, 그리고 1850년 이후의 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엔나의 역사를 참조하면 된다.
2020년 11월 2일, 오후 8시경 이 지역에서 6곳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4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당했다.
2. 1. 중세 시대
인네레슈타트는 빈 역사 지구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역사 지구의 수많은 유적들이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시대상을 드러내며 중세 유럽의 발전상을 보여준다는 점과 16세기 이후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로 기능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9]인네레슈타트의 역사는 켈트족이 세운 마을이 후에 로마인의 요새가 된 빈도보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850년 이전에는 인네레슈타트는 비엔나 시와 물리적으로 동일했다. 그 후 오랫동안, 오늘날의 인네레슈타트에 해당하는 지역의 역사가 빈의 역사였다. 1850년에 주변 마을 (Vorstadt)의 합병으로 근대 빈 시가 탄생하여, 인네레슈타트는 그 일부로서의 위치가 되었지만, 그 후에도 인네레슈타트는 빈의 정치적·경제적·정신적인 중심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 2. 근대
인네레슈타트는 빈 역사 지구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역사 지구의 수많은 유적들이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시대상을 드러내며 중세 유럽의 발전상을 보여준다는 점과 16세기 이후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로 기능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9]인네레슈타트의 역사는 켈트족이 세운 마을이 후에 로마인의 요새가 된 빈도보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850년 이전에는 인네레슈타트는 비엔나 시와 물리적으로 동일했다. 그 후 오랫동안, 오늘날의 인네레슈타트에 해당하는 지역의 역사가 빈의 역사였다. 1850년에 주변 마을 (Vorstadt)의 합병으로 근대 빈 시가 탄생하여, 인네레슈타트는 그 일부로서의 위치가 되었지만, 그 후에도 인네레슈타트는 빈의 정치적·경제적·정신적인 중심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빈도보나와 비엔나의 역사, 그리고 1850년 이후의 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엔나의 역사를 참조하면 된다.
2020년 11월 2일, 오후 8시경 이 지역에서 6곳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4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당했다.
2. 3. 현대
인네레슈타트는 빈 역사 지구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역사 지구의 수많은 유적들이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시대상을 드러내며 중세 유럽의 발전상을 보여준다는 점과 16세기 이후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로 기능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9]1850년 이전에는 인네레슈타트는 비엔나 시와 물리적으로 동일했다. 빈도보나와 비엔나의 역사, 그리고 1850년 이후의 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엔나의 역사를 참조하면 된다. 인네레슈타트의 역사는 켈트족이 세운 마을이 후에 로마인의 요새가 된 빈도보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후 오랫동안, 오늘날의 인네레슈타트에 해당하는 지역의 역사가 빈의 역사였다. 1850년에 주변 마을 (Vorstadt)의 합병으로 근대 빈 시가 탄생하여, 인네레슈타트는 그 일부로서의 위치가 되었지만, 그 후에도 인네레슈타트는 빈의 정치적·경제적·정신적인 중심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 11월 2일, 오후 8시경 이 지역에서 6곳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4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당했다.
3. 지리
인네레슈타트는 빈 시의 가장 중앙부에 위치한다. 북동쪽으로 2구 레오폴트슈타트, 동쪽으로 3구 란트슈트라세, 남쪽으로 4구 비덴과 6구 마리아힐프, 서쪽으로 7구 노이바우와 8구 요제프슈타트, 북쪽으로 9구 알저그룬트와 접한다. 이들 구역과는, 우라니아 (Urania), 빈 강, 로트린거 거리 (로트린거슈트라세, Lothringerstraße), 카를 광장 (카를스플라츠, Karlsplatz), 곡물 시장 (게트라이데마르크트, Getreidemarkt), 미술관 광장 (무제움스플라츠, Museumsplatz), 미술관 거리 (무제움슈트라세, Museumstraße) 아우어스페르크 거리 (아우어슈페르크슈트라세, Auerspergstraße), 지방 법원 거리 (란데스게리히츠슈트라세, Landesgerichtsstraße), 대학 거리 (우니베르지테츠슈트라세, Universitätsstraße), 마리아-테레지아 거리 (마리아-테레지엔-슈트라세, Maria-Theresien-Straße), 그리고 도나우 운하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구역은 "체어베치르크"(Zählbezirk)라고 불리는 통계상의 소지역으로 더욱 세분된다. 인네레슈타트는 알트슈타트-오스트 (Altstadt-Ost), 슈투벤피어텔 (Stubenviertel), 오퍼른피어텔 (Opernviertel), 레기어룽스피어텔 (Regierungsviertel), 벨제피어텔 (Börseviertel), 알트슈타트-베스트 (Altstadt-West)와 알트슈타트-미테 (Altstadt-Mitte)의 7개의 체어베치르크로 구성된다.
3. 1. 행정 구역
인네레슈타트는 빈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은 북동쪽으로는 제2구 레오폴트슈타트, 동쪽으로는 제3구 란트슈트라세, 남쪽으로는 제4구 비덴, 서쪽으로는 제6구 마리아힐프와 제7구 노이바우 그리고 제8구 요제프슈타트에 인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제9구 알서그룬트와 경계를 맞대고 있다.4. 인구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거주민 중 외국 국적을 소지한 사람은 21.3%로 집계되었다. 이는 빈 전체 평균보다 3% 낮은 수치다. 인구의 3.4%는 독일 국적, 1.5%는 세르비아 국적, 0.8%는 크로아티아 국적을 가졌으며 나머지는 다른 국가 출신이다.[10] 인구는 1880년 73,000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하여 2001년 17,000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 이후 약간의 인구 증가가 있었지만, 인네레슈타트는 여전히 비엔나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구역으로 남아 있다.
2001년, 이 구역 인구의 28.1%가 60세 이상으로, 도시 평균 22.2%보다 높았다. 15세 미만 인구의 비율은 9.8%였다. 여성 인구는 53.3%로 도시 평균보다 높았다.[4]
연도 | 인구[6] | 연도 | 인구 |
---|---|---|---|
1869 | 68,079 | 1951 | 34,654 |
1880 | 72,688 | 1961 | 32,243 |
1890 | 70,167 | 1971 | 25,169 |
1900 | 58,736 | 1981 | 19,537 |
1910 | 53,326 | 1991 | 18,002 |
1923 | 43,045 | 2001 | 17,056 |
1939 | 33,027 | 2005 | 17,289 |
1869년에는 68,079명이 구내에 거주하고 있었다. 1880년의 72,688명을 정점으로 그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 2011년에는 16,374명으로, 그 이후에도 인구 증가는 정체되어 있다. 인네레슈타트는 23개 구 중 인구가 가장 적은 구이다.
4. 1. 인구 구성 및 언어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거주민 중 외국 국적 소지자는 21.3%로 빈 전체 평균보다 3% 낮았다. 인구의 3.4%는 독일 국적, 1.5%는 세르비아 국적, 0.8%는 크로아티아 국적을 가졌으며 나머지는 다른 국가 출신이다.[10] 2001년 기준, 인네레슈타트의 외국인 거주 비율은 15.5%로, 도시 평균보다 2% 낮았다. 인구의 2.8%는 유럽 연합 시민권(독일 제외)을, 2.7%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시민권을, 2.2%는 독일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 인구의 25.6%는 외국에서 태어났다. 거주자의 79%는 독일어를 모국어로 선택했다. 4.0%는 주로 세르비아어, 1.8%는 헝가리어, 1.4%는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했다. 14.3%는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7]주민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8.1%로, 빈 시 전체의 22.2%에 비해 높다. 15세 미만은 9.8%이다. 여성의 비율은 53.3%로, 빈 시 전체 평균보다 높다.
4. 2. 종교
2001년 인네레슈타트 인구의 51.3%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으며, 6.6%는 개신교 신자, 5.1%는 동방 정교회 신자, 3.3%는 유대교 신자였다. 22.7%는 무교로 분류되었다.[4] 복음주의 교회 (대부분이 루터교)가 6.6%, 정교회가 5.1%로 그 뒤를 잇는다.[4]5. 정치
1945년 이후 인네레슈타트의 구역장은 보수 정당인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 소속이었다. 전 구청장 우르술라 슈텐젤은 소음 공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구시가지에서 행사를 개최하는 것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고, 이는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등 다른 정당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구청장 | 정당 | 재임 기간 |
---|---|---|
Theodor Köplde | 오스트리아 공산당 | 1945/4 – 1945/7 |
프리츠 슈켈트 (Fritz Schuckeld)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1945/7 – 1945/10 |
아돌프 플라넥 (Adolf Planek)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1945/10 – 1946 |
아우구스트 알트무터 (August Altmutter)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46 – 1948 |
Franz Eichbergerde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48 – 1951 |
오토 프리지inger (Otto Friesinger)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51 – 1968 |
Heinrich Anton Heinzde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68 – 1987 |
리하르트 슈미츠 (Richard Schmitz)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87 – 2001 |
Franz Grundwaltde | 오스트리아 국민당 | 2001 – 2005 |
우르술라 슈텐젤 | 오스트리아 국민당 | 2005 – 2015 |
마르쿠스 피글 (Markus Figl) | 오스트리아 국민당 | 2015 – |
1946년부터 오스트리아 국민당은 인네레슈타트 구청장을 배출했지만, 1990년대부터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추격을 받았다.
1996년 구의회 선거에서는 국민당의 득표율이 감소하고 오스트리아 자유당이 2당을 차지했다. 사회민주당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녹색당은 자유 포럼을 간신히 넘었다.
2001년 선거에서는 국민당과 사회민주당의 격차가 줄었고, 자유당은 부진했으며 녹색당과 비슷한 의석을 얻었다. 자유 포럼은 참패했다.
2005년 선거에서는 국민당이 우르줄라 슈텐젤을 후보로 내세워 압승을 거두었다. 슈텐젤은 구내 소음 발생 공공 행사 축소 및 주거 환경 개선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사회민주당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득표율이 크게 증가했다. 녹색당은 선전했으나 자유당은 부진했다. 자유 포럼, 오스트리아 공산당, 오스트리아 미래 동맹은 의석 획득에 실패했다.
5. 1. 역대 구청장
1945년 이후 인네레슈타트의 구역장은 보수 정당인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 소속이었다. 전 구청장 우르술라 슈텐젤은 소음 공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구시가지에서 행사를 개최하는 것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고, 이는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등 다른 정당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구청장 | 정당 | 재임 기간 |
---|---|---|
Theodor Köplde | 오스트리아 공산당 | 1945/4 – 1945/7 |
프리츠 슈켈트 (Fritz Schuckeld)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1945/7 – 1945/10 |
아돌프 플라넥 (Adolf Planek)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1945/10 – 1946 |
아우구스트 알트무터 (August Altmutter)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46 – 1948 |
Franz Eichbergerde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48 – 1951 |
오토 프리지inger (Otto Friesinger)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51 – 1968 |
Heinrich Anton Heinzde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68 – 1987 |
리하르트 슈미츠 (Richard Schmitz) | 오스트리아 국민당 | 1987 – 2001 |
Franz Grundwaltde | 오스트리아 국민당 | 2001 – 2005 |
우르술라 슈텐젤 | 오스트리아 국민당 | 2005 – 2015 |
마르쿠스 피글 (Markus Figl) | 오스트리아 국민당 | 2015 – |
오스트리아 국민당은 1946년부터 인네레슈타트 구청장을 배출했지만, 1990년대부터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추격을 받았다. 1996년 구의회 선거에서 국민당은 득표율이 감소하고 오스트리아 자유당이 2당을 차지했으나, 사회민주당은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2001년에는 사회민주당이 국민당을 따라잡았지만, 자유당과 녹색당은 부진했다.
2005년 선거에서는 우르술라 슈텐젤이 국민당 후보로 나서면서 사회민주당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국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녹색당은 선전했지만 자유당은 부진했고, 자유 포럼, 오스트리아 공산당, 오스트리아 미래 동맹은 의석 획득에 실패했다.
5. 2. 구의회 선거
1946년부터 오스트리아 국민당은 인네레슈타트 구청장을 배출했지만, 1990년대부터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추격을 받았다.1996년 구의회 선거에서는 국민당의 득표율이 감소하고 오스트리아 자유당이 2당을 차지했다. 사회민주당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녹색당은 자유 포럼을 간신히 넘었다.
2001년 선거에서는 국민당과 사회민주당의 격차가 줄었고, 자유당은 부진했으며 녹색당과 비슷한 의석을 얻었다. 자유 포럼은 참패했다.
2005년 선거에서는 국민당이 우르줄라 슈텐젤을 후보로 내세워 압승을 거두었다. 슈텐젤은 구내 소음 발생 공공 행사 축소 및 주거 환경 개선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사회민주당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득표율이 크게 증가했다. 녹색당은 선전했으나 자유당은 부진했다. 자유 포럼, 오스트리아 공산당, 오스트리아 미래 동맹은 의석 획득에 실패했다.
6. 문화 및 관광 명소
알베르티나, 부르크 극장, 프리드리히 슈미트 광장, 그라벤, 호프부르크 왕궁, 카푸치너크립트, 케른트너 거리, 루터교 도시 교회, 미술사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 마리아 암 게슈테데 교회, 팔레 에프루시, 페스트 열주(페스트 열주), 페터스 교회, 빈 시청사, 루프레히츠 교회, 스코텐 수도원, 슈타트파르크, 슈테판 대성당, 빈 국립 오페라 극장, 빌리기우스 예배당, 국회의사당, 법원, 빈 대학교 본관, 폴크스가르텐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구시가를 둘러쌌던 성벽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생긴 환상 도로인 링슈트라세도 인네레슈타트에 속한다.
빈 유일의 시나고그인 자이텐슈테텐 거리(Seitenstettengasse) 4번지의 슈타트템펠은 1938년 11월의 "수정의 밤"에 심하게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다.
6. 1. 주요 건축물
알베르티나, 부르크 극장, 프리드리히 슈미트 광장, 그라벤, 호프부르크 왕궁, 카푸치너크립트, 케른트너 거리, 루터교 도시 교회, 미술사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 마리아 암 게슈테데 교회, 팔레 에프루시, 페스트 열주, 페터스 교회, 빈 시청사, 루프레히츠 교회, 스코텐 수도원, 슈타트파르크, 슈테판 대성당, 빈 국립 오페라 극장, 빌리기우스 예배당, 국회의사당, 법원, 빈 대학교 본관, 폴크스가르텐 등이 인네레슈타트의 주요 건축물이다. 빈 무지크페라인과 미노리텐 교회, 암 호프 광장, 호어 마르크트 광장, 유덴플라츠 (유대인 광장), 노이어 마르크트 광장의 도너 분수, 쇤라테른 거리와 바실리스크 하우스, 예수회 교회도 주요 건축물로 꼽힌다.구시가를 둘러쌌던 성벽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생긴 환상 도로인 링슈트라세도 인네레슈타트에 속한다. 빈 유일의 시나고그인 자이텐슈테텐 거리(Seitenstettengasse) 4번지의 시민 신전은 1938년 11월의 "수정의 밤"에 심하게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다.
6. 2. 기타 명소
알베르티나, 부르크 극장, 프리드리히 슈미트 광장, 그라벤, 호프부르크 왕궁, 카푸치너크립트, 케른트너 거리, 루터교 도시 교회, 미술사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 마리아 암 게슈테데 교회, 팔레 에프루시, 페스트 열주(페스트 열주), 페터스 교회, 빈 시청사, 루프레히츠 교회, 스코텐 수도원, 슈타트파르크, 슈테판 대성당, 빈 국립 오페라 극장, 빌리기우스 예배당, 국회의사당, 법원, 빈 대학교 본관, 폴크스가르텐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구시가를 둘러쌌던 성벽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생긴 환상 도로인 링슈트라세도 인네레슈타트에 속한다.
빈 유일의 시나고그인 자이텐슈테텐 거리(Seitenstettengasse) 4번지의 슈타트템펠은 1938년 11월의 "수정의 밤"에 심하게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다.
6. 3. 미술관 및 박물관
인네레슈타트에는 60개 이상의 미술관・박물관이 존재한다.구 내에서 방문객 수가 가장 많고, 빈 시 전체에서도 쉔브룬 궁전 다음으로 두 번째인 곳은 알베르티나의 회화 컬렉션으로, 65,000점의 회화와 1,000,000점 이상의 판화를 소장하고 있다. 호프부르크 왕궁의 카이저 아파트먼트, 시시 박물관과 질버캄머에서는, 과거의 합스부르크 가문의 생활을 엿볼 수 있다. 이 외에 잘 알려진 박물관으로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컬렉션을 바탕으로 한 빈 미술사 미술관과 빈 자연사 박물관이 있다.
그 외의 조형 예술에 관한 미술관으로는 분리파 회관, 빈 쿤스트러하우스, 오스트리아 은행 미술 포럼, 조형 예술 아카데미의 회화 갤러리나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 내 파피루스 박물관의 컬렉션이 유명하다. 이 외에 주요 박물관으로는 유대인 박물관과 빈 민족학 박물관 등이 있다.
한편, 소규모의 전문적인 박물관으로, 시계 박물관이나, 테디 베어 박물관(테디베어무제움/Teddybärmuseumde) 등이 있다.
7. 문장
제1구의 문장은 빨간색 바탕에 흰색 십자가가 있는 형태이다. 이는 또한 빈 시와 빈 주의 문장이기도 하다. 현재의 문장은 약 1270년경에 처음으로 주조된 "비너 페니히(Wiener Pfennige)" 동전에 나타났을 때부터 사용되었다. 이는 중세 시대에 로마 왕의 군대가 사용한 깃발을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루돌프 1세의 군기에도 이와 유사한 디자인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참조
[1]
간행물
Statistik Austria - Bevölkerung zu Jahresbeginn 2002-2016 nach Gemeinden (Gebietsstand 1.1.2016)
http://www.statistik[...]
Statistik Austria
[2]
웹사이트
Stadt Wien: Presseportal - Touristeninformation - Unternehmen - Hotel
http://www.stadt-wie[...]
2018-07-26
[3]
웹사이트
Historic Censuses - STATISTICS AUSTRIA
https://www.statisti[...]
Statistics Austria
[4]
웹사이트
Census for 2001
http://www.statistik[...]
2018-07-26
[5]
웹사이트
Beschäftigung - Statistiken
https://www.wien.gv.[...]
2018-04-15
[6]
간행물
Statistik Austria
http://www.statistik[...]
[7]
간행물
Volkzählung 2001
http://www.statistik[...]
[8]
웹사이트
Stadt Wien
http://www.wien.gv.a[...]
[9]
웹인용
빈 역사 지구
https://heritage.une[...]
[10]
간행물
Statistik Austria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