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슐린 유사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슐린 유사체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인슐린의 변형된 형태이다. 1922년 소 인슐린 추출물 사용 이후, 인슐린 유사체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978년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한 인간 인슐린 생합성이 개발되었다. 인슐린 유사체는 속효성, 지속성으로 나뉘며, 각각 인슐린 리스프로, 아스파트, 글루리신, 데테미르, 데글루덱, 글라진 등이 있다. 이들은 작용 기전, 작용 시간, 아미노산 변형 등을 통해 기존 인슐린의 단점을 보완한다. 인슐린 유사체는 NPH 인슐린보다 저혈당증 발생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나, 발암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슐린 치료 - NPH 인슐린
    NPH 인슐린은 투여 후 1~3시간 내에 작용이 시작되어 최대 24시간까지 효과가 지속되는 중간형 인슐린 제제이다.
  • 인슐린 치료 - 인슐린 글라진
    인슐린 글라진은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사용되는 지속형 인슐린으로, 저혈당증, 주사 부위 문제,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2000년에 유럽에서 처음 승인되었다.
  • 재조합 단백질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재조합 단백질 -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성장 촉진과 신진대사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결핍 시 왜소증, 과다 시 거인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의학적으로는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 펩타이드 호르몬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펩타이드 호르몬 -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성장 촉진과 신진대사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결핍 시 왜소증, 과다 시 거인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의학적으로는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인슐린 유사체
일반 정보
인슐린 글라진 구조
인슐린 글라진 구조
상품명란투스(Lantus)
투제오(Toujeo)
투여 경로피하 주사
생체 이용률약 70%
작용 시간최대 24시간
배설 경로신장
ATC 코드A10AE04
약리학
표적인슐린 수용체
법적 지위
법적 규제전문 의약품
기타
분자량6063 Da
CAS 등록번호160337-95-1
PubChem CID16130443
DrugBankDB00054
화학식C267H404N72O78S6
관련 화합물
관련 약물인슐린 리스프로
인슐린 아스파트
인슐린 디글루덱
주의사항
주의 사항개인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전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십시오.

2. 역사

1922년 밴팅베스트는 소의 인슐린 추출물을 사람에게 처음으로 사용하였다.[2] 1923년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는 상업적으로 소 인슐린을 생산하기 시작했다.[2] 같은 해, 하게도른은 덴마크노보 노디스크의 전신인 노르디스크 인슐린 연구소를 설립했다.[2] 1926년 노르디스크는 비영리 목적으로 인슐린 생산을 위한 덴마크 특허를 획득했다.[2]

1936년 캐나다의 D.M. 스콧과 A.M. 피셔는 아연 인슐린 혼합물을 개발하여 노보에 라이선스를 제공했다.[2] 같은 해, 하게도른은 인슐린에 프로타민을 첨가하면 인슐린의 효과가 연장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 1946년 노르디스크는 아이소판 돼지 인슐린, 즉 NPH 인슐린을 개발하고, 프로타민과 인슐린 혼합물을 결정화했다.[2] 1950년 노르디스크는 NPH 인슐린을 출시했다.[2] 1953년 노보는 렌테 돼지 및 소 인슐린을 개발하여 아연을 첨가함으로써 인슐린 지속 시간을 연장했다.[2]

2. 1. 인슐린 유사체의 개발

인슐린 유사체는 기존 인슐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78년 제넨테크는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대장균''에서 재조합 인간 인슐린을 생합성하는 데 성공했다.[2] 1981년 노보 노디스크는 돼지 인슐린을 화학적, 효소적으로 '인간' 인슐린(Actrapid HM)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2] 1982년 제넨테크는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와의 제휴를 통해 합성 '인간' 인슐린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았다.[2] 1983년 릴리는 생합성 재조합 "rDNA 인슐린 인간 INN"(Humulin)을 생산하기 시작했다.[2]

1985년 악셀 울리히는 인간 인슐린 수용체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인슐린 작용 기전 연구에 기여했다.[2] 1988년 노보 노디스크는 합성 재조합 인슐린("인슐린 인간 INN") 생산을 시작했다.[2]

이후 다양한 인슐린 유사체가 개발되었다. 1996년 릴리의 휴마로그("인슐린 리스프로 INN")[2], 2003년 아벤티스의 란투스("글라진")[23], 2004년 사노피 아벤티스의 아피드라("글루리신")[2], 2006년 노보 노디스크의 레베미르("인슐린 데테미르 INN")[2], 2013년 노보 노디스크의 트레시바("인슐린 데글루덱 INN")[2] 등이 미국 FDA 또는 유럽 EMA의 승인을 받았다.

3. 종류

인슐린 유사체는 작용 시간에 따라 속효성과 지속성으로 나뉜다.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는 식사 후 혈당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의 인슐린 리스프로(휴마로그), 노보 노디스크의 인슐린 아스파트(노보로그/노보라피드), 사노피의 인슐린 글루리신(애피드라) 등이 있다. 이들은 인슐린 분자 구조를 변형하여 이량체 및 육량체 형성을 막아 작용 시간을 빠르게 한 것이 특징이다.[24][25][26]

지속성 인슐린 유사체는 기저 인슐린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노보 노디스크의 데테미르(레베미르)와 데글루덱(트레시바), 사노피글라진(란투스) 등이 있다. 데테미르는 혈청 알부민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 작용 시간이 길며, 데글루덱은 하루에 한 번 투여로 40시간 동안 작용이 지속된다.[28][29] 글라진은 자연 인슐린과 비교했을 때 세 개의 아미노산이 변화하여 작용 시간이 길다.[30]

3. 1.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는 식후 혈당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대표적인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는 다음과 같다.

  • 인슐린 리스프로: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에서 개발한 최초의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로, 상품명은 휴마로그이다. 인슐린 B사슬의 라이신프롤린 잔기 위치를 바꿔 이량체 및 육량체 형성을 막아 작용 시간을 빠르게 했다.[24]
  • 인슐린 아스파트: 노보 노디스크에서 개발하였으며, 상품명은 노보로그/노보라피드이다. 아미노산 B28을 아스파르트산 잔기로 대체하여 육량체 형성을 막고 작용 시간을 빠르게 했다.[25]
  • 인슐린 글루리신: 사노피에서 개발한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로, 상품명은 애피드라이다. 인슐린 펌프나 일반 주사기로 투여할 수 있으며, 피하 주사와 정맥 주입이 모두 가능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작용 시작이 빠르고 지속 시간이 짧다.[26]

3. 1. 1. 인슐린 리스프로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는 최초의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인 휴마로그(Humalog, 인슐린 리스프로 rDNA)를 개발하고 시판하였다.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제작된 휴마로그는 인슐린 B사슬의 C-말단에 위치한 라이신프롤린 잔기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결합은 변하지 않으나 인슐린 이량체와 육량체의 형성이 차단된다. 그 결과 식후 주사 시에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단량체가 작용할 수 있게 된다.[24]

3. 1. 2. 인슐린 아스파트

노보 노디스크는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인 아스파트를 개발하여 노보로그/노보라피드(NovoLog/NovoRapid)라는 상품명으로 시판하였다. 아스파트는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아미노산 B28(원래 프롤린)을 아스파르트산 잔기로 대체하여 만들어졌다. 이 유전자 서열은 효모의 유전체에 삽입되어 효모가 인슐린 유사체를 발현하도록 한 뒤, 생물반응기를 통해 추출된다. 아스파트는 육량체 형성을 막아 인슐린이 더 빠르게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CSII) 펌프, 플렉스펜, 노보펜 등으로 피하 주사하도록 승인되어 있다.[25]

3. 1. 3. 인슐린 글루리신

사노피에서 개발한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로, 일반 주사기나 인슐린 펌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피하 주사와 정맥 주입 요법이 모두 가능하다. 상품명은 애피드라(Apidra)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라벨에 따르면, 글루리신은 일반적인 인슐린과 비교하여 ''작용 시작이 빠르고 지속 시간이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26][3]

3. 2. 지속성 인슐린 유사체

지속성 인슐린 유사체는 기저 인슐린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표적인 지속성 인슐린 유사체로는 노보 노디스크의 데테미르(레베미르), 데글루덱(트레시바), 사노피글라진(란투스) 등이 있다. 데테미르는 혈청 알부민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 작용 시간이 길며, 데글루덱은 하루에 한 번 투여로 40시간 동안 작용이 지속된다.[28][29] 글라진은 자연 인슐린과 비교했을 때 세 개의 아미노산이 변화하여 작용 시간이 길다.[30] 글라진의 바이오시밀러인 셈글리(Semglee)는 2021년 미국, 2018년 유럽 연합에서 사용 승인되었다.[31][32]

3. 2. 1. 인슐린 데테미르

노보 노디스크는 기저 인슐린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속성 인슐린 유사체인 데테미르를 개발하여 상품명 레베미르(Levemir)로 판매하기 시작했다.[24][27] 기저 인슐린 농도는 20시간까지 유지될 수 있으나, 그 유지 시간은 주사 용량에 영향을 받는다. 데테미르는 혈청 알부민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 작용 시간이 길다.

3. 2. 2. 인슐린 데글루덱

노보 노디스크에서 개발한 초장시간형 인슐린 유사체로, 상품명은 트레시바이다. 하루에 한 번 투여하며, 작용 지속 시간은 최대 40시간이다. 이는 인슐린 글라진, 인슐린 데테미르 등 시판 중인 다른 장시간형 인슐린이 제공하는 18~26시간에 비해 긴 편이다.[5][6]

3. 2. 3. 인슐린 글라진

사노피에서 개발한 지속형 인슐린 유사체인 글라진은 란투스(Lantus)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었다. 글라진은 자연 인슐린과 비교했을 때 세 개의 아미노산이 바뀌었다. 먼저 B사슬의 C 말단에 양전하를 띤 두 개의 아르기닌 분자가 첨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등전점이 5.4에서 6.7로 변하면서 글라진이 더 산성의 pH에서 녹게 되고, 따라서 생리학적 pH에서는 덜 녹게 변하였다. 또한 A사슬의 21번 잔기인, 산에 민감한 아스파라긴글라이신으로 바뀌면서 아르기닌 잔기의 탈아민화와 이량체화가 일어나지 않게 변했다. 이러한 세 아미노산의 변화로 인해 생합성된 사람의 인슐린에 비해 작용 시간이 길어진다. pH 4.0의 용액을 주입하면 대부분의 물질은 침전되어 생체 내에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소량은 즉시 사용 가능하며 남은 양은 피하 조직에 격리된다. 글라진을 사용하면 침전된 소량의 물질이 혈류에서 용액으로 이동하면서 기저 인슐린 농도가 24시간까지 유지된다. 피하 인슐린 글라진이 작용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NPH 사람 인슐린보다 다소 느리다. 제제에는 아연이 없으므로 용액은 투명하다.[30] 바이오시밀러인 셈글리(Semglee, insulin glargine-yfgn)는 2021년 7월에 미국에서 의학적 사용 목적으로 승인되었으며,[31] 유럽 연합에서는 2018년 3월에 사용 승인되었다.[32]

4. 작용 기전

인슐린 유사체는 체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하여 일반적인 비변형 인슐린과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비변형 인슐린의 작용 방식:


  • 생리적 pH에서 용해된다.
  • 대부분 침전되지만 혈류에서 천천히 용해되어 신장으로 배설된다.

인슐린 유사체의 작용 방식:

  • 등전점 이동: 일부 인슐린 유사체는 등전점을 변화시켜 생체 이용률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인슐린 글라진은 B사슬 C 말단에 두 개의 아르기닌 분자를 추가하여 등전점을 5.4에서 6.7로 변경, 산성 pH에서는 더 잘 녹고 생리학적 pH에서는 덜 녹게 만들어 작용 시간을 늘린다.[30]
  • 알부민 결합: 인슐린 데테미르는 혈청 알부민과의 친화력을 높여 작용 시간을 연장한다.[24][27]
  • 비육량체 형성 (단량체 인슐린):
  • 일반적인 인슐린은 혈액에서 아연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육량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 육량체는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므로 단량체로 천천히 분해되어야 생체 이용이 가능하다.
  • 비육량체 인슐린(단량체 인슐린)은 더 빠르게 작용하며, 식사 전 일반 인슐린 주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인슐린 리스프로는 B사슬 C-말단의 라이신프롤린 잔기의 위치를 바꾸어 이량체와 육량체 형성을 차단한다.[24]
  • 인슐린 아스파트는 B28의 프롤린아스파르트산으로 대체하여 육량체 형성을 막는다.[25]
  • 인슐린 글루리신은 사람의 자연적인 인슐린과 비교했을 때 속효성이며 작용 시간이 짧다.[26]

5. NPH 인슐린과의 비교

NPH(중성 프로타민 하제른) 인슐린은 제1형제2형 당뇨병에서 기저 인슐린 지원에 사용되는 중간형 인슐린이다. NPH 인슐린은 주사 전 재구성을 위해 흔들어야 하는 현탁액이다. 1980년대에 많은 사람들이 돼지/ 인슐린의 NPH 제제를 사용하면서 문제를 보고했다.[1] 이후 보다 예측 가능한 흡수 프로파일과 임상적 효능을 달성하기 위해 기저 인슐린 유사체가 개발되어 임상에 도입되었다.[1]

6. 동물 인슐린

리본 다이어그램 돼지 인슐린 육량체. 돼지 인슐린은 인간 인슐린과 아미노산이 하나만 다르다.


다양한 포유류의 동물 인슐린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인슐린(인슐린 휴먼 INN)과 유사할 수 있지만, 척추동물 종 내에서는 상당한 생존력이 있다.[13] 돼지 인슐린은 인간 인슐린과 아미노산 변이가 하나만 있으며, 인슐린은 아미노산이 3개 다르다. 둘 다 인간 수용체에 거의 동일한 강도로 작용한다. 소 인슐린과 돼지 인슐린은 생합성 인간 인슐린(인슐린 휴먼 rDNA)이 이용 가능하지 않았을 때, 최초로 임상적으로 사용된 인슐린 유사체(자연 발생, 동물 췌장 추출)로 간주될 수 있다.[14] 생합성 인간 인슐린이 도입되기 전에는 상어에서 추출한 인슐린이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일부 어류 종의 인슐린도 인간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 비인간 인슐린은 정제 정도와 관련된 일부 환자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으며, 재조합 인간 인슐린(인슐린 휴먼 rDNA)에서는 중화 항체의 형성이 드물게 관찰되지만, 일부 환자에게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인슐린 제제에 사용된 방부제에 의해 악화되거나, 방부제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생합성 인슐린(인슐린 휴먼 rDNA)은 동물 인슐린을 대부분 대체했다.

7. 안전성 및 유효성 연구

국제 코크란 협력이 2007년에 완료하고 2020년에 업데이트한 여러 무작위 대조 시험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인슐린 글라진과 인슐린 데테미르 치료는 NPH 인슐린에 비해 저혈당증 발생률이 더 적었다.[21] 혈당과 당화 혈색소(HbA1c)에 대한 효과는 유사했다.[21] 데테미르 치료는 심각한 저혈당증의 빈도도 감소시켰다.[21] 다만, 이 검토에서는 낮은 혈당 및 HbA1c 목표와 같은 제한 사항을 언급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가 일상적인 임상에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2007년 독일 의료 부문의 품질 및 비용 효과 연구소(IQWiG)는 성인 1형 당뇨병 환자 치료에 있어 속효성 인슐린 유사체가 합성 인간 인슐린보다 우월하다는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IQWiG의 위임 사항은 이중 맹검 연구에서 테스트할 수 없는 문제를 무시하고, 비용 절감 수단으로만 여겨져 독일의 일부 의사들에게 회의적인 시각으로 간주된다는 비판이 있다.

2008년, 캐나다 의약품 및 보건 기술청(CADTH)은 인슐린 유사체와 생합성 인간 인슐린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혈당 조절 및 부작용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22]

8. 발암성

모든 인슐린 유사체는 발암성에 대해 검사해야 한다. 인슐린이 IGF 경로와 상호 작용하여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 및 종양 발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슐린을 변형하면 원하는 약리학적 특성 외에도 의도하지 않게 IGF 신호를 강화할 위험이 있다.[17] 글라진의 유사분열 활성 및 발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왔다.[18]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역학 연구가 수행되었다. 글라진을 사용한 6.5년 Origin 연구의 최근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9][20]

참조

[1] 논문 Insulin Lispro: A Fast-Acting Insulin Analog http://www.aafp.org/[...] 1998-01-15
[2] 웹사이트 Aspart insulin (rDNA origin) injection https://www.nlm.nih.[...]
[3] 웹사이트 Apidra insulin glulisine (rDNA origin) injection http://www.apidra.co[...] 2007-06-08
[4] 웹사이트 Levemir insulin detemir (rDNA origin) injection http://www.lantus.co[...] 2007-06-08
[5] 문서 Albumin-bound basal insulin analogues (insulin detemir and NN344): comparable time-action profiles but less variability 2007-05
[6] 문서 A review of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Insulin Degludec and Their Clinical Relevance 2014
[7] 웹사이트 Lantus insulin glargine (rDNA origin) injection http://www.lantus.co[...] 2007-06-08
[8] 보도자료 FDA Approves First Interchangeable Biosimilar Insulin Product for Treatment of Diabetes https://www.fda.gov/[...] 2021-07-28
[9] 웹사이트 Semglee EPAR https://www.ema.euro[...] 2018-09-17
[10] 문서 Beyond the era of NPH insulin--long-acting insulin analogs: chemistry, comparative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2008
[11] 문서 Design of the novel protraction mechanism of insulin degludec, an ultra-long-acting basal insulin 2012-08
[12] 문서 Newer insulin analogs: advances in basal insulin replacement 2013-03
[13] 문서 Evolution of the insulin molecule: insights into structure-activ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2001-07
[14] 문서 Insulin structure and function 2007
[15] 문서 Insulin preparations with prolonged effect 2011-06
[16] 문서 A monomeric insulin from the porcupine (Hystrix cristata), an Old World hystricomorph 1980-08-21
[17] 문서 The metabolic and mitogenic properties of basal insulin analogues 2013-02
[18] 문서 Concentrations of insulin glargine and its metabolites during long-term insulin therap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comparison of effects of insulin glargine, its metabolites, IGF-I, and human insulin on insulin and igf-I receptor signaling 2013-07
[19] 문서 Basal insulin and cardiovascular and other outcomes in dysglycemia 2012-07-26
[20] 문서 Insulin use early in the cours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ORIGIN trial 2013-06
[21] 논문 (Ultra-)long-acting insulin analogues versus NPH insulin (human isophane insulin)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020-11-09
[22] 보고서 Short-acting insulin analogues for diabetes mellitus: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and assessment of cost-effectiveness https://www.cadth.ca[...]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CADTH) 2007-03
[23] 뉴스 Glucose Control – Lantus receives FDA approval for flexible administration http://www.newsrx.co[...] 2003-06-02
[24] 논문 Insulin Lispro: A Fast-Acting Insulin Analog http://www.aafp.org/[...] 1998-01-15
[25] 웹인용 Aspart insulin (rDNA origin) injection https://www.nlm.nih.[...] 2007-06-08
[26] 웹인용 Apidra insulin glulisine (rDNA origin) injection http://www.apidra.co[...] 2007-06-08
[27] 웹인용 Levemir insulin detemir (rDNA origin) injection http://www.lantus.co[...] 2007-06-08
[28] 문서 Albumin-bound basal insulin analogues (insulin detemir and NN344): comparable time-action profiles but less variability 2007-05
[29] 문서 A review of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Insulin Degludec and Their Clinical Relevance 2014
[30] 웹인용 Lantus insulin glargine (rDNA origin) injection http://www.lantus.co[...] 2007-06-08
[31] 보도자료 FDA Approves First Interchangeable Biosimilar Insulin Product for Treatment of Diabetes https://www.fda.gov/[...] 2021-07-28
[32] 웹인용 Semglee EPAR https://www.ema.euro[...] 2021-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