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육수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육수색은 2001년 중국 온라인 포럼 MOP에서 유래된 용어로, 처음에는 인간의 힘으로 수행되는 검색을 의미했으나, 점차 인터넷 사용자들에 의한 개인 정보 폭로, 공유, 추궁과 같은 사회 현상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는 특정 개인의 신상 정보를 파악하여 온라인에 공개하는 행위로,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사회적 약자 보호 및 부정부패 감시 등이 있지만, 개인 정보 침해, 사이버 불링, 명예훼손 등 심각한 부정적 영향도 초래한다. 중국에서는 2008년 이후 인육수색이 권력 남용 및 부패 감시 도구로 활용되기도 했지만, 2008년 인민법원은 사이버 폭력 및 사생활 보호법 위반 문제로 인육수색을 금지했다. 관련 작품으로는 영화 《갇힌 거미줄》, 《서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 .cn
    .cn은 중국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단체, 지역, 일반 2단계 도메인과 중국어 도메인 국제화 도메인 이름 등록이 가능하지만,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로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이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 쿠소
    쿠소는 엉망인 비디오 게임을 지칭하는 일본어에서 유래되었으나, 현재는 재미있는 것을 뜻하는 신조어로 확장되어 중화권 인터넷 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비판 수단으로도 사용되지만 혐오 표현 확산 등 부정적 측면도 존재하는 논쟁적인 문화 현상이다.
  • 사이버 폭력 - 신상 털기
    신상 털기란 특정 개인의 정보를 수집하고 공개하는 행위로, 사생활 침해, 보복, 협박 등의 수단으로 사용되며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각국에서 법률로 규제하고 있다.
  • 사이버 폭력 - 게이머게이트 논란
    2014년 비디오 게임 업계에서 시작된 게이머게이트 논란은 게임 저널리즘 윤리, 다양성, 온라인 괴롭힘 문제를 제기했으며, 여성 게임 개발자와 비평가들이 여성 혐오적 공격 대상이 되면서 사회 문제로 확대되고 대안 우파와 연관되어 혐오 문화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 중국의 발명품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발명품 - 마작
    마작은 4명이 144개의 패, 칩, 주사위 등을 사용하여 4개의 조와 1개의 머리로 14개의 패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며, 19세기 중국에서 시작되어 현재 다양한 국가에서 즐기는 보드 게임이다.
인육수색
정의
용어인육 검색 엔진 (사람 고기 검색 엔진)
설명인터넷을 이용한 일종의 자경 행위
중국어'人肉搜索(Rénròu Sōusuǒ)'
광둥어'起底 (hei2 dai2)'
영어human flesh search engine
개요
특징온라인 지식의 군중 기반 확장
목적개인 정보 식별
사생활 침해
사이버 괴롭힘
법적 문제개인 정보 침해 및 명예훼손 가능성
긍정적 측면공익 실현 및 사회 감시 기능 수행 가능성
역사 및 발전
기원중국 인터넷 커뮤니티
확산온라인 포럼, 소셜 미디어
영향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중의 참여 증가
사회적 영향
윤리적 논쟁사생활 침해 vs 공익
긍정적 효과부정부패 폭로, 사회 정의 실현
부정적 효과사이버 폭력, 마녀사냥
사례부패 공무원 신상 털기
불륜 커플 신상 공개
학교 폭력 가해자 신상 공개
법적 규제
중국인육 검색 금지, 개인 정보 보호 강화
기타 국가명확한 법적 규제 부재, 개인 정보 보호 관련 법률 적용
관련 용어
영어Doxing
설명개인 정보 공개 및 온라인 괴롭힘

2. 정의 및 어원

"인육수색"이라는 용어는 2001년 중국의 온라인 포럼 Mop에서 유래되었다.[7][8] 처음에는 컴퓨터가 아닌 인간의 힘으로 수행되는 검색을 의미했다.[7][8] 최초의 인육수색 엔진은 Mop의 하위 포럼으로 질의응답 (Q&A) 사이트와 유사했으며, 엔터테인먼트 관련 질문에 초점을 맞추었다.[7][8] 점차 이 용어의 정의는 인간 "에 의한" 검색뿐만 아니라 인간 "에 대한" 검색으로 진화했다.[7][8]

'''인육수색'''이라는 단어는 검색 엔진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에서 파생된 표현이다.[15] 원래는 이용자의 질문에 다른 이용자들이 답하는 Q&A형 질문 사이트(지식 커뮤니티)를 가리키는 단어였으며,[15][17][16] "인력 검색" 또는 "인력 검색 엔진"으로 번역할 수 있다.[15] 이 시스템은 일본의 "야후! 지혜주머니"나 "인력 검색 하테나"와 같은 질문 사이트와 다르지 않다.[16] 2008년 중국 인터넷 사회의 움직임에 대해 기록한 야마야 타케시의 기사 (2009년)는, 이러한 기존의 "인육수색"이라는 단어에, 인터넷 이용자들에 의한 개인 정보의 폭로·공유·추궁과 같은 "새로운 의미"가 더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16]

시즈오카 대학 정보학부의 타카히로 츠요시와 나카오 켄지의 논문 (2013년)은, 인력 검색 (지식 커뮤니티)은 중국어로 인공수색/人工搜索중국어로 표현되는 것이며, 인육수색/人肉搜索중국어와는 다른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17] 즉, 인력 검색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데 반해, 인육수색은 "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한 명의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표적이 된 사람·사건의 정보를 수색하여 인터넷에 공개"하는 '''사회 현상'''이다.[17] 하지만, 인공수색/人工搜索중국어와 인육수색/人肉搜索중국어는 중국에서도 종종 혼동되고 있다고 한다.[17]

영어권에서는 영국공영 방송인 영국 방송 공사(BBC)가 "인육수색"을 human flesh search engine|휴먼 플레시 서치 엔진영어[15]로 번역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의한 개인 특정의 움직임에 대해 witch hunt|위치 헌트영어 ('''마녀사냥''')[15], Chinese style internet man hunt|차이니즈 스타일 인터넷 맨 헌트영어 ('''중국식 인터넷 인간 사냥''' )[15]와 같은 형용사로 설명하고 있다.

2. 1. 어원

"인육수색"이라는 용어는 2001년 중국의 온라인 포럼 Mop에서 유래되었다.[7][8] 처음에는 컴퓨터가 아닌 인간의 힘으로 수행되는 검색을 의미했다.[7][8] 최초의 인육수색 엔진은 Mop의 하위 포럼으로 질의응답 (Q&A) 사이트와 유사했으며, 엔터테인먼트 관련 질문에 초점을 맞추었다.[7][8] 점차 이 용어의 정의는 인간 "에 의한" 검색뿐만 아니라 인간 "에 대한" 검색으로 진화했다.[7][8]

원래 "인육수색"은 "더 많은 인간의 참여를 통해 검색 엔진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정확성을 더 높이려는 시스템"을 가리킨다.[15] "인육수색"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MOP(마오푸왕/猫扑网중국어)"에 의한 것이다.[15] MOP는 "人肉搜索중국어(인력 검색 엔진)"라고 칭하는 게시판을 설치하고,[15] 포인트제(MP=Mop Point) 등을 도입하여 이용자의 참여와 정착을 촉진했다.[15]

넓은 의미의 "인육수색" 사이트로는 "바이두 즈다오",[15] "아이원 즈스런"(시나 산하) 등이 있다.[15]

2. 2. 용어

'''인육수색'''이라는 단어는 검색 엔진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에서 파생된 표현이다.[15] 원래는 이용자의 질문에 다른 이용자들이 답하는 Q&A형 질문 사이트(지식 커뮤니티)를 가리키는 단어였으며,[15][17][16] "인력 검색" 또는 "인력 검색 엔진"으로 번역할 수 있다.[15] 이 시스템은 일본의 "야후! 지혜주머니"나 "인력 검색 하테나"와 같은 질문 사이트와 다르지 않다.[16] 2008년 중국 인터넷 사회의 움직임에 대해 기록한 야마야 타케시의 기사 (2009년)는, 이러한 기존의 "인육수색"이라는 단어에, 인터넷 이용자들에 의한 개인 정보의 폭로·공유·추궁과 같은 "새로운 의미"가 더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16]

시즈오카 대학 정보학부의 타카히로 츠요시와 나카오 켄지의 논문 (2013년)은, 인력 검색 (지식 커뮤니티)은 중국어로 인공수색/人工搜索중국어로 표현되는 것이며, 인육수색/人肉搜索중국어와는 다른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17] 즉, 인력 검색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데 반해, 인육수색은 "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한 명의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표적이 된 사람·사건의 정보를 수색하여 인터넷에 공개"하는 '''사회 현상'''이다.[17] 하지만, 인공수색/人工搜索중국어와 인육수색/人肉搜索중국어는 중국에서도 종종 혼동되고 있다고 한다.[17]

영어권에서는 영국공영 방송인 영국 방송 공사(BBC)가 "인육수색"을 human flesh search engine|휴먼 플레시 서치 엔진영어[15]로 번역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의한 개인 특정의 움직임에 대해 witch hunt|위치 헌트영어 ('''마녀사냥''')[15], Chinese style internet man hunt|차이니즈 스타일 인터넷 맨 헌트영어 ('''중국식 인터넷 인간 사냥''' )[15]와 같은 형용사로 설명하고 있다.

3. 역사

2006년 3월, 톈야 클럽의 네티즌들이 "독약"()이라는 인터넷 유명인을 식별하기 위해 협력하면서 초기 인육수색이 시작되었다. 이 남자는 고위 정부 관리로 밝혀졌다.[1] 그러나 왕페이웨 등은 가장 초기의 인육수색이 2001년이라고 언급하며, "한 사용자가 중국 온라인 포럼에 젊은 여성의 사진을 게시하고 그녀가 자신의 여자친구라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그녀는 결국 마이너 유명인으로 밝혀졌고, 최초의 주장은 신뢰를 잃었다.[1]

수년에 걸쳐 인육수색은 반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때로는 정치 부패,[5] 불륜,[5] 동물 학대 또는 인식된 한간/반중 정서와 같은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한 도덕적 십자군을 부추기기도 했다. 피해를 입은 개인은 종종 실제 신원이나 사적인 정보가 공개되어 혐오 메일/전화, 살해 위협, 낙서 및 사회적 모욕과 같은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 조직은 조직적인 사이버 공격을 받을 수 있다.

인육수색 엔진은 또한 오락을 위해 사용되었다. 《인터넷 이후, 민주주의 이전: 중국 미디어와 사회의 경쟁 규범》의 저자인 요한 라게르크비스트는 10대 소년의 사진을 허락 없이 영화 포스터에 포토샵으로 합성한 리틀 패티 밈이 인육수색 엔진이 "또한 사회의 하위 주체와 무력한 자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은] 정당한 사생활, 명예훼손, 비방에 대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고 말했다.[9]

고대 중국의 지역 사회 법치주의인 보갑제는 인육수색과 강한 유사성을 보인다. 둘 다 어떤 형태의 자경단에 기반하고 있다.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인터넷 보급률(1994년-2011년). 짙은 보라색은 낮은 보급률을, 녹색 계열은 높은 보급률을 나타낸다. 사회 현상으로서의 인육 수색은 중국에서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된 시기에 발생했다.


중국의 인터넷은 2000년경에 보급되기 시작하여 2005년경에는 강력한 발신 수단이 되었다[17]。CNNIC(중국 인터넷 정보 센터)에 따르면 2005년 6월의 인터넷 인구는 1억 300만 명이었다[16]。2007년 12월에는 2억 1,000만 명, 2008년 6월에는 2억 5,3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16], 2011년 12월에는 5억 1,300만 명에 달했다[17]。자녀가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이 되는 것을 계기로 부모가 PC를 사주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16], 인터넷 사용자 중 젊은 층의 비율이 높다[16]。2011년 12월 현재에도 30세 이하 인터넷 사용자가 58.20%를 차지한다[17](1980년대에 태어난 "80후"라고 불리는 세대와도 겹친다)。이러한 중국 인터넷의 "젊음"은 인터넷 사회의 창조력과 파괴력의 양쪽 요인으로 주목되는 요소이다[17]

3. 1. 중국

2006년 톈야 클럽의 네티즌들이 인터넷 유명인 '독약'(dúyào/毒藥중국어)의 신원을 밝히기 위해 협력하면서 초기 인육수색이 시작되었다.[1] 이 사건은 고위 정부 관리로 밝혀진 남성에 대한 것이었다.

2006년 2월에 발생한 고양이 살해 사건(하이힐 고양이 학대 사건]]/

2008년 쓰촨성 대지진 당시에는 실종자 수색,[17] 피해 상황 조사,[17] 부실 공사 의혹 제기[17] 등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2008년 이후, 인육수색은 권력 남용 및 부패에 대한 감시와 비판의 도구로 활용되기도 했다.[17] 2008년 10월에는 여아에게 음란 행위를 하고 폭언을 한 고급 관료가 인육수색의 대상이 되어 실각했고(린자샹 사건),[17][22][25] 12월에는 부동산 가격 하락에 대해 "싸게 판 부동산 업자를 처분하겠다"고 발언한 부동산 관리 부문 국장이 인육수색으로 인해 공금 횡령과 뇌물 수수가 밝혀져 징역 11년형을 선고받았다.[17][25]

하지만, 인육수색은 개인 정보 침해, 사이버 불링 등 부정적인 측면도 심화되었다.[15] 2009년 1월에는 인육수색을 자정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17] 여전히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다.

2010년 이후 웨이보(微博) 등 미니 블로그가 인육수색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17]

3. 2. 한국

3. 3. 기타 국가

중국 본토 이외의 중화권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개인 특정 및 여론 악화 현상이 나타나며, '人肉捜索중국어(인육수색)'이라는 용어로 불린다.[27] 홍콩에서는 게시판 高登討論區중국어(가오덩 토론구)가 '起底중국어'로 묘사되는 인육수색의 무대가 되어 사회 문제가 되었다.[28][29] 타이완 최대 게시판인 PTT()나 페이스북 그룹 커뮤니티인 폭료공사도 종종 인육수색의 무대가 된다. 타이완에서도 사이버 불링과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논의된다.[27]

타이완에서 인육수색과 관련된 사건으로는 2006년 고양이 학대 사진을 인터넷에 업로드한 인물의 주소와 이름이 특정된 사건(내호 학대 고양이 사건)이 있으며, 이 사건의 영향으로 동물보호법 일부 개정이 이루어졌다. 2009년에는 다수의 물의를 일으키는 기사를 필명으로 쓴 인물이 저명한 전직 저널리스트(당시에는 정치인)임이 밝혀져 논란이 된 사건(궈관잉 욕설 사건)이 있다.

2010년에는 신베이시 신뎬구에서 대학생이 운전하는 승용차가 구급차의 진로를 고의로 방해, 구급차가 이송 중이던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신뎬 구급차 방해 사건).[27] 사건 후, 가해자 부모(저널리스트)의 텔레비전 변명은 여론의 반발을 더욱 강하게 했고,[27] 가해자의 페이스북에는 댓글이 쇄도했으며,[27] 위키백과에도 개인 정보가 게재되었다.[27]

2020년 8월, 유튜버 천즈한의 팬은 천에게 성희롱을 한 남성을 인육수색했고, 그 결과 남성이 반발하여 천에게 총격을 가했다.[30]

4. 주요 사례

화남 호랑이 사진 조작 사건: 2007년, 중국 산시성의 한 남성이 자연 환경에서는 오랫동안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살아있는 화남 호랑이를 만났다고 주장하며 사진을 공개했다. 그러나 웹 사용자들은 사진의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했고, 결국 저장성의 한 소규모 회사가 발행한 신년 사진을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다.[13]


  • 장야의 지진 영상: 2008년 5월, 규모 8.0의 지진으로 쓰촨성에서 약 87,58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후 한 익명의 여성 사용자가 희생자를 모욕하는 영상을 유튜브에 게시하여 전국적인 분노를 샀고, 인육수색 엔진을 통해 장야라는 신원이 밝혀져 개인 정보가 온라인에 공개되었다.
  • 리강 사건: 2010년 10월 16일, 허베이 대학에서 음주 운전 사고를 낸 학생이 체포 당시 "내 아버지는 리강이야!"라고 외쳤다. 이후 인터넷에서 운전자의 신원이 지방 중국 공안국 부국장의 아들인 리치밍으로 밝혀졌다.
  • 중국 서부의 신상털이 운전자: 2013년 3월 21일, 중국 우루무치에서 한 운전자가 노숙자에게 침을 뱉은 사건이 발생했다. 목격자들의 증언과 인터넷 논란으로 인해 인펑이라는 임시 택시 운전사의 신상이 공개되었고, 그는 괴롭힘 전화와 협박을 받았다.[14]

4. 1. 긍정적 사례

4. 2. 부정적 사례


  • 화남 호랑이 사진 조작 사건: 2007년, 중국 산시성의 한 남성이 자연 환경에서는 오랫동안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살아있는 화남 호랑이를 만났다고 주장하며 사진을 공개했다. 그러나 웹 사용자들은 동물학, 식물학, 사진학 및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사진의 진위 여부를 가렸고, 결국 저장성의 한 소규모 회사가 발행한 신년 사진을 조작한 것임이 밝혀졌다. 인육수색은 사진이 가짜임을 증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3]
  • 장야의 지진 영상: 2008년 5월, 규모 8.0의 지진으로 약 87,58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익명의 여성 사용자가 희생자를 모욕하는 영상을 유튜브에 게시했다. 전국적인 분노가 일자, 인육수색 엔진은 그 소녀가 장야임을 밝혀내어 그녀의 개인 정보를 온라인에 공개했다.
  • 리강 사건: 2010년 10월 16일, 허베이 대학에서 음주 운전 사고를 낸 리치밍(당시 국민의힘 정치인의 자녀라고 가정)은 학생 2명을 들이받아 1명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감히 나를 고소해 봐, 내 아버지는 리강이야!"라고 협박하며 권력을 남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 사건은 인육수색을 통해 지방 중국 공안국 부국장의 아들인 리치밍의 신원이 밝혀지면서 더욱 큰 비난을 받았다.
  • 중국 서부의 신상털이 운전자: 2013년 3월 21일, 중국 우루무치에서 한 운전자가 노숙자에게 침을 뱉은 사건이 발생했다. 목격자들의 증언과 지역 라디오 방송 보도로 인해 인터넷에서 논란이 커졌고, 분노한 네티즌들은 사건 발생 몇 시간 만에 임시 택시 운전사인 인펑의 신상을 공개하여 괴롭힘과 협박을 초래했다.[14]
  • 하이힐 고양이 학대 사건]]/:zh:高跟鞋虐猫事件중국어: 2006년 2월, 한 중년 여성이 고양이를 잔혹하게 살해하는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여 큰 논란이 되었다.[15][22][23] 분노한 사람들은 인육수색을 통해 6일 만에 이 여성을 특정했다.[15] 사진 게시자의 IP 주소 및 ID 조사[23]를 거쳐, 3월 2일에는 "고양이를 살해한 여성은

5. 사회적 영향 및 문제점

인육수색은 사회적 약자 보호, 부정부패 감시 등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동시에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2007년 8월 10일자 『인민일보』 기사는 인육수색을 비롯한 "인터넷 폭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17]


  • 도덕이라는 이름 아래 당사자를 심판한다
  • 당사자의 개인 정보를 공개하고 군중을 선동하여 폭력적인 언어로 당사자를 맹공격한다
  • 실제로 당사자를 심하게 상해한다


인육수색은 종종 "표적"이 된 인물의 주변(가족이나 지인)까지 휘말리게 하여, 주변 사람들의 개인 정보까지 노출시킨다[18]

한편, 중국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제도의 정비가 늦어져[17], 일반인에 대한 공격이 가장 격렬했던 시기에 인육수색을 막을 법규는 없었다[17]。 2009년경부터 지방에서 정보 보호 조례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지만, 2008년 후반부터 인육수색이 공공의 부정 추궁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하여, 관리들이 부정 추궁을 면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며 "입법의 동기"에 대한 의심이 강하게 제기되었다[17]

5. 1. 긍정적 영향

인육수색은 공권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부정부패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사회 정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17][15] 또한, 인터넷 사용자들의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 2010년 10월 발생한 허베이 대학 음주 운전 뺑소니 사건에서는 가해자의 언행과 피해자를 경시하는 보도에 대한 반발로 인육수색을 통한 진상 규명이 이루어졌다. 2012년 8월 36명의 사망자를 낸 산시 옌안 8·26 특대 교통사고 당시 부적절한 태도를 보인 양다차이 산시성 안전감독국장은 인육수색의 표적이 되어 뇌물 수수와 부정부패 혐의로 징역 14년형을 선고받았다.[22] 이러한 사례들은 인육수색이 "최강의 반부패 무기"로 불리며, 인터넷 여론이 정치를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17][15] 이는 "유일 절대 권위가 호령하는 시대"의 종언과 같은 중국 사회의 큰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5]

5. 2. 부정적 영향

인육수색은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특정 개인을 '악'으로 규정하고 집단적으로 공격하는 사이버 불링 및 마녀사냥은 심각한 정신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17] 개인의 신상 정보와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공개하는 것은 심각한 사생활 침해이며,[17][18] 허위 사실이나 과장된 정보 유포는 개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다.[17] 또한,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확산은 엉뚱한 피해자를 만들 수 있으며, 무분별한 신상 털기와 폭로는 사회 구성원 간의 불신을 조장할 수 있다.

2007년 8월 10일자 『인민일보』 기사는 인육수색을 비롯한 "인터넷 폭력"에 대해 "도덕이라는 이름 아래 당사자를 심판"하고, "당사자의 개인 정보를 공개하고 군중을 선동하여 폭력적인 언어로 당사자를 맹공격"하며, "실제로 당사자를 심하게 상해한다"고 비판했다.[17] 인육수색은 종종 '표적'이 된 인물의 주변인까지 휘말리게 하여 주변 사람들의 개인 정보까지 노출시킨다.[18]

2006년 4월의 "동수문 사건"은 한 사용자가 자신의 아내와 불륜을 저질렀다고 비난받은 대학생과 그 가족 및 친구들의 개인 정보가 폭로되어 공격받은 사건이다.[17] 2007년 12월의 "사망 블로그" 사건(장옌 자살 사건)은 아내가 남편의 불륜을 블로그에 남기고 자살한 뒤, 남편과 그의 교제 상대 등이 공격받은 사건이다.[17][25] 이들 사건에서 피해자들은 항의 전화와 메시지, 모욕 등으로 사회생활에 지장을 겪었으며, 심지어 직장을 잃기도 했다.[17][25]

2007년 12월에는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서 인터넷 규제에 찬성하는 발언을 한 초등학생이 인육수색의 표적이 되어 개인 정보가 폭로되기도 했다.[18] 2008년 4월에는 재미 유학생이 "매국노"로 몰려 가족과 함께 공격받는 사건(왕치엔위안 사건)도 발생했다.[17]

인육수색은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된 논란을 일으켰다. "사망 블로그" 사건 피해자는 게시판과 최초 전재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고, 법원은 피고의 프라이버시 및 명예권 침해를 인정했다.[17] 2008년에는 인육수색이 스토킹에 이용되어 살인 사건으로 이어진 일도 있었다.[17]

중국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 제도 정비가 늦어져 인육수색을 막을 법규가 없었다.[17] 2009년 장쑤성 쉬저우시에서 개인 정보 무단 게재에 대한 벌칙을 규정한 조례를 제정했지만, "입법의 동기"를 의심하는 반발이 많았다.[17] 인민망 조사에서 "인육수색은 폐해가 많고 이점이 적다"고 답한 사용자는 3.7%에 불과했다.[17]

6. 윤리적, 법적 문제

6. 1. 윤리적 문제

6. 2. 법적 문제

인민법원은 2008년 12월, 사이버 폭력 및 사생활 보호법 위반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인육 수색을 심각한 현상으로 규정하고 법으로 금지했다.[10][5] 2020년 3월 1일부터는 "온라인 정보 콘텐츠 생태 거버넌스 규정"이 시행되어 온라인 폭력, 개인 정보 공개 등을 불법 행위로 명시했다.[11]

인육 수색은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된 여러 논란을 일으켰다. 2007년 "사망 블로그" 사건에서는 피해 남성이 프라이버시 침해와 명예 훼손으로 소송을 제기했고,[17] 법원은 피고의 책임을 인정했지만, 개인 정보 보호 법규 미비로 인해 개인 정보를 게재한 웹사이트에 벌금형을 내리는 데 그쳤다.[17] 2008년에는 인육 수색이 스토킹에 이용되어 살인 사건으로 이어진 사례도 있었는데, 재판장은 인육 수색 참여자들을 "공범"이라고 비판했다.[17]

중국의 개인 정보 보호법 정비는 늦어지고 있다. 2006년에 관련 법안의 전문가 안과 연구 보고서가 제출되었지만, 2013년 시점까지 중앙 정부 차원의 입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7] 2009년 장쑤성 쉬저우시는 개인 정보 무단 게재에 대한 벌칙을 규정한 조례를 제정했지만, 네티즌과 미디어의 반발을 샀고, 결국 부정부패 관리 적발, 범죄 검거 등에는 적용하지 않는다는 운용을 하게 되었다.[17] 인민망의 조사에 따르면, "인육 수색은 폐해가 많고 이점이 적다"고 답한 사용자는 3.7%에 불과했다.[17]

7. 관련 작품

천카이거 감독의 2012년 영화 《갇힌 거미줄(Caught in the Web)》은 인육수색 엔진의 허구적 사용 사례를 다루고 있다.[12] 텔레비전 드라마 《미스터 로봇(Mr. Robot)》에서 다크 아미로 알려진 미스터리한 단체는 이 현상을 기반으로 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로앤오더(Law and Order)》 시즌 20 에피소드 6의 제목은 "인육수색 엔진"이었다. 인터넷 탐정들의 지식 협업을 위한 웹 기반 플랫폼은 CBS 프로그램 《위즈덤 오브 더 크라우드(Wisdom of the Crowd)》의 전제이다. 《서치(Searching)》는 인육수색에 관한 2018년 미국 스릴러 영화이다. 《백설공주 살인사건》은 인육수색의 비극을 보여준다. 2009년 중국 영화 《인비저블 킬러(Invisible Killer)》는 인육수색과 관련이 있다. 《인육수색 엔진》은 2009년 7월 18일에 공개된 중국 다큐멘터리이다.

8. 결론

참조

[1] 논문 A Study of the Human Flesh Search Engine: Crowd-Powered Expansion of Online Knowledge 2010-08
[2] 뉴스 Human flesh search engines: Chinese vigilantes that hunt victims on the web http://technology.ti[...] The Times 2008-06-25
[3] 뉴스 How China's internet generation broke the silenc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3-24
[4] 논문 Cyber vigilantism, transmedia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ivic participation.
[5] 뉴스 China's tolerance for public oversight is limited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3-06-16
[6] 뉴스 China's Cyberposs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6-16
[7] 뉴스 Human-flesh search engines — renrou sousuo yinqing https://www.wired.co[...] Wired 2010-03-07
[8] 논문 Human Flesh Search Engine and Online Privacy. 2016-04
[9] 서적
[10] 뉴스 Chinese court fines Web user in "cyber-violence" cas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6-16
[11] 뉴스 《网络信息内容生态治理规定》明确不得开展人肉搜索、流量造假等违法活动 http://www.gov.cn/xi[...] Government of China 2020-02-29
[12] 뉴스 China, Framed by the Cinema and the Web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6-16
[13] 서적 China and the Internet: Using New Media for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3
[14] 뉴스 China's internet vigilantes and the 'human flesh search engine'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6-16
[15] 웹사이트 中国ネット界で流行の「人肉検索」 - 新ビジネスモデルのカギに? https://news.mynavi.[...] 2008-10-15
[16] 웹사이트 2009年の中国インターネットを予測する https://internet.wat[...] インプレス 2009-01-06
[17] 논문 中国における「人肉捜索」の現状と諸問題 https://doi.org/10.1[...] 静岡大学情報学部 2013-03
[18] 웹사이트 ネット用語から読み解く中国(13)「人肉捜索」 https://www.toho-sho[...] 東方書店 2011-08
[19] 웹사이트 Cyber Manhunt 人肉搜索 http://english.cri.c[...] 中国国際放送 2009-02-06
[20] 웹사이트 ネット上で個人情報を暴かれる!恐怖の「人肉捜索」とは…―中国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08-05-30
[21] 웹사이트 私人空间10大沦陷区:失去隐私的新媒体时代 http://news.xinhuane[...] www.XINHUANET.com 2006-06-28
[22] 웹사이트 中国「動画投稿の実名義務化」、理由は「人肉検索」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4-01-24
[23] 웹사이트 虐猫事件民间追缉令 http://news.sina.com[...] 2006-03-16
[24] 웹사이트 Google's hoaxes - Google 人肉捜索 https://addieworks.t[...]
[25] 웹사이트 ネット用語から読み解く中国(14) 「人肉捜索」(続) https://www.toho-sho[...] 東方書店 2011-09
[26] 문서 "Caught in the Web Competes for Academy Awards" Chinese Films 2012-09-29
[27] 논문 ニュースから見た台湾の「人肉捜索」に対する意識 https://hdl.handle.n[...] 長崎県立大学東アジア研究所 2014-03
[28] 뉴스 慘遭網友起底圍剿 「七折港女」想過輕生 http://news.stheadli[...] 頭條日報 2010-01-04
[29] 뉴스 拍分屍短片放 YouTube 網民人肉起底 炸龜童被捕 http://hk.apple.next[...] 蘋果日報 2012-07-06
[30] 웹사이트 犯案動機曝! 疑性騷「館長」被肉搜不滿 男開三槍後投案 {{!}} 聯合新聞網:最懂你的新聞網站 https://udn.com/news[...] 2020-08-28
[31] 웹인용 『娱乐八卦』[八卦江湖]MSN名人毒药的真正内幕快要揭开了 http://www.tianya.cn[...] 2009-08-15
[32] 문서 私人空间10大沦陷区:失去隐私的新媒体时代 http://news.xinhuane[...]
[33] 웹인용 Chinese court fines Web user in "cyber-violence" case - The New York Times http://www.iht.com/a[...] 2009-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