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인천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옹진군은 황해에 위치한 섬들로 이루어진 인천광역시의 군이다. 1018년 고려 현종 때 옹진현으로 설치되었으며, 1895년 황해도 옹진군으로 개편되었다. 1945년 분단 이후 옹진군의 일부가 경기도에 편입되었고, 한국 전쟁으로 인해 현재의 백령면, 대청면, 연평면, 덕적면, 영흥면, 자월면, 북도면 등 7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1995년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해상 교통이 주요 교통 수단이다. 옹진군은 아름다운 해안과 섬,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드라마 오징어 게임 촬영지로도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 연수구
연수구는 1995년 인천광역시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약 38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고, 인천대학교,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등의 교육기관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등을 포함한 교통망을 갖춘 구이다. -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 남동구
인천광역시 남동구는 1988년 남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자치구로, 약 50만 명이 거주하며 주요 교통망과 시설, 교육기관 등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옹진군 (인천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한자 표기 | 甕津郡 |
로마자 표기 | Ongjin-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Ongjin-kun |
위치 | 대한민국 수도권 인천광역시 |
종류 | 군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7 면 |
통계 | |
면적 | 172.48 km² |
인구 (2020년) | 20,456명 |
인구 (2023년) | 20,377명 |
남자 인구 (2023년) | 11,643명 |
여자 인구 (2023년) | 8,734명 |
세대수 (2023년) | 12,437세대 |
일반 정보 | |
방언 | 서울말 |
군수 | 문경복 (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배준영 (국민의힘, 중구·강화군·옹진군) |
군청 소재지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120 |
상징물 | |
군목 | 해송 |
군화 | 해당화 |
군조 | 갈매기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옹진군청 |
2. 역사
옹진군은 황해의 섬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유물을 통해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한국 초기 부족 국가 중 하나인 진번이 황해도 지역에 있었고, 고조선 멸망 후 한사군 중 진번군이 설치되었다가 폐지된 후 낙랑군과 대방군을 거쳐 고구려 영토가 되었다. 고구려 시대 옹진은 옹천(甕遷), 강령(康翎)은 부진이(付珍伊), 백령도는 곡도(鵠島)라 불렸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복지군(瀑池郡)의 일부가 되었다. 오늘날의 옹진이라는 이름은 고려 태조 때 지어졌으며,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주요 행정 구역으로 설치되었다.
1945년 광복 당시 옹진군은 황해도에 속해 있었으나, 38선으로 인해 미군정의 관할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후 경기도로 편입되었다.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으로 옹진반도 본토는 북한에 속하게 되었고, 대한민국 옹진군은 서해 5도 지역만 관할하게 되었다.
1995년 3월 1일, 옹진군은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2]
2. 1. 옹진반도 지역 (1953년 이전)
'''옹진'''은 삼국사기에도 나오는 지명으로, 본래 옹진반도 (현재의 북한 측 옹진군 주변)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원래 옹진군은 황해도에 속해 있었으나, 일본의 패전 후 옹진반도와 그 남쪽 섬들은 북위 38도선 남쪽에 위치하여 미국군이 진주, 대한민국 영역에 편입되어 경기도 옹진군으로 편성되었다.- 1895년: 해주부 옹진군
- 1896년: '''황해도 옹진군''' (1읍 10면 - 옹진읍·부민면·용연면·봉구면·흥미면·동남면·북면·서면·용천면·교정면·가천면)
- 1945년
- *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 점령되면서 옹진군 대부분이 미군정 관할이 되었고, 38선 이북인 교정면·가천면은 소련군정 관할이 되었다.[12][13]
- * 11월 4일: 황해도 38선 이남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면서, '''경기도 옹진군'''이 되었다. 벽성군 해남면·동강면·송림면과 장연군 백령면 등 38선 이남의 인근 4개 면이 옹진군에 편입되었다.[12][13][14] (1읍 12면)
-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옹진반도 본토는 조선인민군에게 함락되었다.
- 1953년 한국 휴전 협정 체결 결과, 황해도 옹진군 지역은 모두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경기도 옹진군에는 1945년 11월 4일에 편입되었던 백령면(백령도·대청도·소청도)과 송림면 연평리(연평도)만 남게 되었다. (2면 - 백령면·송림면)
- 1962년 6월: 백령면 대청도에 대청출장소가 설치되었다.(2면 1출장소)
2. 2. 경기도 옹진군 (1953년 ~ 1995년)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옹진군 대부분이 미군정 관할이 되었고, 38선 이북인 교정면·가천면은 소련군정 관할이 되었다.[12][13] 1945년 11월 4일에는 황해도 38선 이남 지역이 경기도에 편입되면서 황해도 옹진군은 '''경기도 옹진군'''이 되었고, 벽성군 해남면·동강면·송림면과 장연군 백령면 등 38선 이남의 인근 4개 면이 옹진군에 편입되었다.[12][13][14] (1읍 12면)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결과, 본래 황해도 옹진군이었던 지역은 모두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경기도 옹진군에는 1945년 11월 4일 편입되었던 백령면(백령도, 대청도, 소청도)과 송림면 연평리(연평도)만 남게 되었다.[12][13][14] (2면 - 백령면·송림면)
1962년 6월, 백령면 대청도에 대청출장소가 설치되었다.(2면 1출장소) 1973년 7월 1일에는 경기도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부천군의 섬 지역(영종면, 북도면, 용유면, 덕적면, 영흥면, 대부면 등 6면 3출장소)이 모두 옹진군에 편입되어 경기만 일대의 섬 지역을 아우르는 현재와 같은 행정구역을 갖추게 되었다.[15] (8면 4출장소)
1974년 7월과 1975년 5월에는 대청출장소가 대청면으로 승격하고, 대청면 소청도에 소청출장소가 설치되었다. (9면 4출장소) 1983년 2월에는 영흥면 자월리·이작리와 덕적면 승봉리를 관할로 하여 자월면이 신설되었다.[16] (10면 3출장소)
1989년 1월 1일, 영종면과 용유면이 인천직할시 중구에 편입되었다.[17] (8면 2출장소) 1994년 12월 26일에는 대부면이 안산시에 편입되었다.[18] (7면 2출장소)
1995년 3월 1일, 경기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어 '''인천광역시 옹진군'''이 되었다.[19]
2. 3. 인천광역시 옹진군 (1995년 ~ 현재)
1995년 3월 1일: 경기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어 '''인천광역시 옹진군'''이 되었다.[19]1999년 7월 20일: 송림면이 연평면으로 개칭되었다.[20]
2019년 2월 8일: 자월면 이작리에 이작출장소가 설치되었다. (7면 3출장소)
3. 지리
옹진군은 황해에 산재한 유인도 25개와 무인도 75개 섬으로 형성되었으며, 농경지가 좁지만 토양은 비옥하여 많은 농산물이 생산된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수심이 얕고, 간만의 차가 심하여 수산업에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계절에 따라 황금어장이 형성된다. 덕적면 서포리 해변은 관광지로 유명하며, 백령도의 용기포 해변은 천연비행장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관광지로도 개발이 기대되는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다.[21]
지역 대부분이 섬으로 이루어져 영흥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선박을 이용해야 한다. 과거에는 영흥도도 선박을 이용했으나 대부도를 잇는 영흥대교와 선재대교 개통으로 옹진군에서 유일하게 육로로 갈 수 있는 지역이 되었다.
인천 서쪽 황해(경기만)의 섬들을 군역으로 하며, 대한민국이 통치하는 황해도 앞바다의 섬도 관할한다. 인천 중심부에서 193km 서쪽의 백령도(대한민국 통치 지역의 최서단)도 옹진군에 속한다. 수도권의 섬이라는 점에서 일본의 이즈 제도와 비슷하다.
군역의 변천 결과, 크게 4개 지역에 섬이 분포한다.
- 인천 근처 경기만에는 강화도와 영종도(인천국제공항이 있음) 사이에 북도면에 속한 섬이 있다.
- 영종도의 남쪽에서 남서쪽 해상에는 영흥면, 자월면, 덕적면에 속하는 섬들(덕적군도)이 있다. 영흥면의 영흥도·선재도와 동쪽의 대부도(안산시단원구, 구 옹진군 대부면) 사이에는 다리가 놓여 육로로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 옹진반도 남쪽에는 연평도로 통칭되는 대연평도·소연평도(연평면)가 있으며, 옹진반도 서쪽에는 백령도(백령면), 대청도·소청도(대청면) 등이 있다.
군내에서 가장 넓은 섬은 백령도로, 백령면을 구성한다. 군 인구의 28%인 약 4,700명이 이 섬에 거주한다(2006년 12월 31일 현재).
4. 행정 구역
옹진군의 행정 구역은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개의 출장소와 75개의 리, 272개의 반을 포함한다. 옹진군의 면적은 172.94km2이다.[22] 2023년 6월을 기준으로 옹진군의 인구는 2만 503명, 가구 수는 1만 3,030 가구이다. 남녀의 성비는 1.33:1로 대한민국의 시·군·구 중 성비 불균형이 가장 심각하며, 특히 서해 5도인 연평면, 백령면, 대청면에서 남초 현상이 두드러진다.
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지도 |
---|---|---|---|---|---|
북도면 | 北島面 | 17.65km2 | 2,077 | 1,186 | ![]() |
백령면 | 白翎面 | 51.22km2 | 5,966 | 3,656 | |
대청면 | 大靑面 | 15.62km2 | 1,401 | 932 | |
덕적면 | 德積面 | 36.62km2 | 1,900 | 1,213 | |
영흥면 | 靈興面 | 26.69km2 | 5,932 | 3,761 | |
자월면 | 紫月面 | 17.72km2 | 1,103 | 795 | |
연평면 | 延坪面 | 7.41km2 | 2,124 | 1,487 | |
옹진군 | 甕津郡 | 172.94km2 | 20,503 | 13,030 | |
옹진군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읍이 없는 군이다. 7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면의 관할 섬은 다음과 같다.
면 | 법정리 | 비고 |
---|---|---|
백령면 | 진촌리, 북포리, 가을리, 연화리, 남포리 | 백령도 |
대청면 | 대청리, 소청리 | 대청도, 소청도 |
연평면 | 연평리 | 대연평도, 소연평도 |
덕적면 | 북리, 진리, 서포리, 소야리, 울도리, 백아리, 문갑리, 굴업리 | 덕적도, 소야도, 문갑도, 굴업도, 백아도, 울도 |
자월면 | 자월리, 이작리, 승봉리 | 자월도, 대이작도, 소이작도, 승봉도, 선갑도 |
영흥면 | 외리, 내리, 선재리 | 영흥도, 선재도 |
북도면 | 야일리, 신도리, 모도리, 장봉리 | 야도, 신도, 모도, 장봉도 |
옹진군청은 군역 외부에 위치하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인천항 근처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에도 옹진군이 있는데, 옹진군의 섬들은 1948년 한반도 분단 이전에는 원래 황해도에 속해 있었다.
4. 1. 인구
2012년 기준으로 옹진군은 0~14세 인구는 13.2%, 65세 이상 인구는 18.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8.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19.2%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26.3%로 전국평균인 14.5%보다 높다. 대한민국에서 옹진군보다 인구가 적은 지자체는 경상북도의 영양군과 울릉군 뿐이다. 성비 불균형이 매우 심한 곳 중 하나인데, 2017년 통계청 전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옹진군의 인구는 19,294명이었고 이 중 남자가 11,004명, 여자가 8,290명으로 성비가 무려 132.7: 100인 극단적인 남초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옹진군에 해병대가 주둔하고 있어 군인들 비중이 높은 탓으로 보인다.[23]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60년 | 16,172명 | |
1965년 | 17,617명 | |
1970년 | 14,859명 | |
1975년 | 51,237명 | 급증 원인: 부천군의 폐지로 부천군의 섬 지역 편입 (1973년 7월 1일) |
1980년 | 39,841명 | |
1985년 | 35,398명 | |
1990년 | 20,085명 | 급감 원인: 영종면과 용유면을 인천직할시 중구로 이관 (1989년 1월 1일) |
1995년 | 12,624명 | 급감 원인: 대부면을 경기도 안산시로 이관 (1994년 12월 26일) |
2000년 | 13,308명 | |
2005년 | 12,271명 | |
2010년 | 14,550명 | |
2015년 | 18,642명 |
5. 관광
옹진군은 북한과의 근접성과 대한민국 본토와의 거리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 해안과 섬에는 많은 자갈 해변이 있으며, 일부 해변(구리동 해변, 굴업도 해변 등)에는 환상적인 침식된 암석 노두가 있다. 또한 넓은 갯벌이 있어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6. 교통
옹진군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상 교통이 발달하였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여러 섬으로 가는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여객선 운항 회사는 우리고속훼리, 세종해운, 대부해운, 고려고속훼리, 에이스마린 등이 있다.
육상 교통으로는 북도면에서 공영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각 면에는 주요 도로가 있는데, 영흥면에는 영흥로와 선재로가 있고, 대청면에는 대청로가 있으며, 북도면에는 장봉로가 있다.
7. 기타
황동혁이 넷플릭스를 위해 제작한 생존 드라마 텔레비전 시리즈인 오징어 게임은 2020년에서 2021년 사이에 자월면의 일부인 승봉도에서 촬영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Korea
http://www.history.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Navy, Naval Historical Center
2006-11-03
[2]
웹사이트
옹진군 (甕津郡)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여기가 거기라고?! 전 세계가 열광하는 '오징어 게임' 국내 촬영지 탑 5
http://www.smartlife[...]
smartlifetv
2021-10-02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 도직제
1945-11-03
[6]
법률
시 설치와 군의 폐치 분합에 관한 법률
1973-03-12
[7]
법률
시 · 군 · 구 · 읍 · 면의 관할 구역 변경 및 면 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8]
법률
부산광역시 강서구 설치 및 시 · 도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8-12-31
[9]
법률
시 · 군 · 자치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94-12-22
[10]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 · 광역시 · 도간 관할 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11]
조례
옹진군송림면명칭변경에관한조례
1999-07-20
[12]
이미지
황해도 옹진군의 지도
http://ibuk5do.mopas[...]
이북5도위원회
[13]
이미지
황해도 벽성군의 지도
http://www.ibuk5do.g[...]
이북5도위원회
[14]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 도직제
1945-11-03
[15]
법률
시 설치와 군의 폐치 분합에 관한 법률
1973-03-12
[16]
법률
시·군·구·읍·면의 관할 구역 변경 및 면 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17]
법률
부산광역시 강서구 설치 및 시·도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8-12-31
[18]
법률
시·군·자치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94-12-22
[19]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도간 관할 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20]
조례
옹진군송림면명칭변경에관한조례
1999-07-20
[21]
통계자료
2010년 통계연보
[22]
웹인용
2022년 1월 31일 인천광역시 법정동별 데이터
https://www.data.go.[...]
[23]
통계자료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