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한기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한기르는 무굴 제국의 황제 아크바르 대제와 마리아무즈자마니의 아들로, 1605년부터 1627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예술과 건축에 대한 열정, 그리고 회고록인 자한기르나마를 통해 기록을 남겼다. 자한기르는 아버지의 종교 관용 정책을 이어받아 힌두교 등 다른 종교를 존중했지만, 시크교에 대해서는 구루 아르준 데브를 처형하는 등 예외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관계가 시작되었고, 메와르 왕국을 복속시키는 등 외교 및 군사적 활동도 있었다. 자한기르는 아들들과의 권력 투쟁, 그리고 누르 자한의 영향력 확대로 인해 무능한 통치자로 평가받기도 하며, 그의 죽음 이후 무굴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인도의 군주 - 샤 자한
샤 자한은 '세계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은 무굴 제국의 제5대 황제로, 군사적 재능과 예술에 대한 관심으로 무굴 제국의 문화적 번영을 이끌었으며, 특히 타지마할과 델리 성과 같은 건축물을 건설하여 황금기를 장식했으나, 말년에는 왕위 계승 분쟁과 사치스러운 생활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 17세기 인도의 군주 - 시바지
시바지는 17세기 인도 마라타 왕국의 창시자이자 전사왕으로, 무굴 제국에 저항하여 독립적인 왕국을 건설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발전시켜 인도 민족주의의 상징이자 마하라슈트라 주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무굴 황제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무굴 황제 - 바부르
바부르는 티무르 제국 후예이자 무굴 제국 창시자로, 페르시아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별칭을 가졌으며, 권력 다툼 끝에 카불을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화약 무기를 지원받아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로디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건설한 군사 전략가이자 시인이다.
자한기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자한기르 |
전체 이름 | 미르자 누르 웃딘 바이크 무함마드 칸 살림 |
출생 이름 | 누르 웃딘 무함마드 살림 |
다른 이름 | 알 술탄 알 아잠, 왈 카칸 알 무카람, 쿠슈루이 기티 파나 아불 파트 누르 웃딘 무함마드 자한기르 파드샤 |
사후 이름 | 잔나트 마카니 (천국에 거주하는 자) |
로마자 표기 | Nur-ud-din Muhammad Jahangir |
별칭 | 세계의 정복자 |
출생일 | 1569년 8월 31일 |
출생지 | 파테푸르 시크리, 무굴 제국 |
사망일 | 1627년 10월 28일 |
사망지 | 빔베르, 카슈미르 수바, 무굴 제국 |
매장지 | 자한기르 묘, 라호르, 파키스탄 |
왕조 | 무굴 왕조 (티무르 왕조) |
아버지 | 악바르 |
어머니 | 마리암 우즈 자마니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하나피파) |
서명 | [[파일:Persian 47 Wellcome L0050349.jpg|Imperial Seal]] |
통치 | |
직위 | 파디샤 알 술탄 알 아잠 샤한샤에힌드 (인도의 왕 중 왕) |
재위 시작 | 1605년 11월 3일 |
재위 종료 | 1627년 10월 28일 |
대관식 | 1605년 11월 24일 |
선임자 | 악바르 |
후임자 | 샤 자한 샤리아르 미르자 (사실상) 다와르 바크시 (명목상) |
통치 시대 | 16세기와 17세기 |
가족 | |
배우자 | 샤 베굼 (1585년 2월 13일 결혼, 1604년 5월 16일 사망) 빌키스 마카니 (1586년 9월 21일 결혼, 1619년 4월 8일 사망) 카스 마할 (1596년 결혼) 살리하 바누 베굼 (1608년 결혼, 1620년 사망) 누르 자한 (1611년 결혼) |
배우자 (추가) | 사히브 자말 (1586년 결혼, 1599년 사망) 말리카 자한 (1587년 결혼) 누르 운니사 (1592년 결혼) |
자녀 | 술탄 운니사 베굼 쿠스라우 미르자 파르비즈 미르자 바하르 바누 베굼 샤 자한 루자트 운니사 베굼 샤리아르 미르자 |
기타 정보 | |
특징 | 학문적 성향과 자연에 대한 사랑을 가짐 |
종교 | 이슬람교 (수니파) |
통치 특징 | 옛 귀족에 대한 완전한 신뢰를 두지 못함 |
선호 지역 | 카슈미르를 매우 사랑함 |
카슈미르 방문 | 여러 번 카슈미르 방문하여 쾌적하고 시원한 공기를 즐김 |
2. 어린 시절
살림 왕자(Prince Salim)는 1569년 8월 31일 수도 파테푸르 시크리에서 악바르와 마리아무자자마니 사이에서 태어난 세 번째 아들이었다.[13][9][14] 1564년에 태어난 쌍둥이 형 하산(Hassan)과 후세인 미르자(Hussain Mirza)가 있었지만, 유아기에 사망했다.[15][16][17][18][19]
마리아무자자마니가 살림을 임신했을 때, 태아의 발길질이 갑자기 멈추자 악바르는 금요일에 치타 사냥을 하지 않겠다고 서원했다. 살림은 자서전에서 악바르가 평생 그 서원을 지켰다고 적었으며, 자신 또한 아버지의 서원을 존중하여 금요일에 치타 사냥을 하지 않았다. 마리아무자자마니의 출산이 임박했을 때, 악바르는 그녀를 살림 치슈티의 소박한 집으로 옮겼고, 그곳에서 살림이 태어났다. 살림이라는 이름은 성인의 기도의 효험에 대한 악바르의 믿음 때문에 지어졌다.[13][24] 자한기르의 양어머니는 살림 치슈티의 딸이었고, 양형은 치슈티의 손자인 쿠투브딘 코카였다.[25][26]
자한기르는 다섯 살 때부터 쿠투브딘 코카 등 여러 스승들에게 페르시아어, 아랍어, 터키어, 힌디어, 산술, 역사, 지리, 과학 등을 배웠다.[27] 아브둘 라힘 칸-이-카난은 그의 중요한 스승 중 한 명이었다. 자한기르는 페르시아어와 우르두어에 능통했고, 무굴 제국의 조상 언어인 차가타이어에 대한 지식도 갖추었다.[28]
2. 1. 탄생 배경
무굴 제국의 황제 악바르는 아들이 없음을 걱정하여 파테푸르 시크리의 성자 살림 치슈티(Salim Chishti)에게 간절히 기도했다.[20] 악바르는 살림 치슈티에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았고, 그는 곧 세 아들을 낳게 될 것이며, 그들은 장수할 것이라고 확신시켜 주었다. 살림 왕자의 탄생 몇 년 전, 악바르와 마리아무자자마니는 아들을 빌기 위해 아즈메르 샤리프 다르가(Ajmer Sharif Dargah) 순례를 떠났다.[21][22]
악바르가 그의 주요 힌두 부인이 아이를 임신했다는 소식을 듣자, 살림 치슈티의 숙소 근처 파테푸르 시크리에 황후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왕궁을 건설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마리아무자자마니는 그곳에 세워진 궁전으로 옮겨졌고, 임신 기간 동안 악바르는 직접 시크리(Sikri)로 가서 시간의 절반을 시크리에서, 나머지 절반을 아그라에서 보냈다.[23]
1569년 8월 31일, 살림 왕자는 수도 파테푸르 시크리에서 악바르와 마리아무자자마니 사이에서 태어난 세 번째 아들이었다.[13][9][14] 그는 1564년에 태어난 쌍둥이 형 하산(Hassan)과 후세인 미르자(Hussain Mirza) 두 명이 있었지만, 둘 다 유아기에 사망했다.[15][16][17][18][19] 악바르는 성인의 기도의 효험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고려하여 아들의 이름을 살림이라고 지었다.[13][24]
2. 2. 교육 및 성장 과정
자한기르는 5세 때부터 쿠투브딘 코카를 비롯한 여러 스승들에게 페르시아어, 아랍어, 힌디어, 산술, 역사, 지리, 과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배웠다. 특히, 아브둘 라힘 칸-이-카난은 그의 중요한 스승 중 한 명이었다. 자한기르는 페르시아어와 우르두어에 능통했으며, 무굴 제국의 조상 언어인 차가타이어에도 상당한 지식을 갖추게 되었다.3. 아버지 악바르와의 관계
살림(자한기르)은 아버지 악바르로부터 어린 시절부터 엄격한 감독을 받으며 성장했다.[110] 악바르는 아들들을 진심으로 사랑했지만, 성장함에 따라 말투가 거칠어지고 손찌검을 하기도 했다고 아불 파즐은 기록하고 있다.[110] 12세에 악바르는 살림에게 군 지휘와 행정 경험을 쌓게 했다. 살림은 문무 양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지만, 청년기부터 아버지와 불화를 겪었다.[109] 역사가 프랜시스 로빈슨은 "악바르와 같은 위대한 아버지를 둔 아들의 입장은 쉬운 것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한다.[111]
살림은 알코올과 아편 중독으로 건강이 쇠약해져 있었는데,[111] 프랜시스 로빈슨은 이것이 살림이 공공연히 반항한 원인이라고 추측한다.[111] 1602년, 살림은 금요 예배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황제임을 선포하고,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주화를 주조하여 아버지에게 보내기도 했다.[113] 악바르는 친구였던 아불 파즐을 보내 살림을 설득하려 했으나, 살림은 부하를 시켜 아불 파즐을 살해했다.[113]
이 사건으로 악바르는 큰 충격을 받았지만,[113] 결국 살림을 용서하고, 궁중 여성들의 중재로 둘의 관계는 회복되는 듯했다. 그러나 얼마 후 악바르는 병세가 악화되어 1605년 10월 25일 사망했다.[117]
3. 1. 반란과 권력 투쟁
1600년 악바르가 원정을 떠나 수도를 비운 사이, 셀림은 알라하바드에서[132]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황제임을 선포했다.[135] 악바르는 서둘러 아그라로 돌아와 질서를 회복했다. 2년 후, 자한기르는 악바르의 절친한 친구이자 조언자인 아불 파즐을 암살하여 악바르를 충격에 빠뜨렸다. 악바르는 자한기르 대신 다른 후계자를 고려하기도 했다.[132]1603년, 자한기르는 알라하바드에서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할머니 하미다 바누 베굼의 죽음을 계기로 악바르의 궁정으로 돌아왔다. 공식적으로는 환영받았지만, 알코올과 아편 중독으로 인해 악바르의 명에 따라 10일간 감금되었다. 그러나 셀림은 악바르의 후계자로 공인되었고, 악바르는 죽기 직전 그에게 제국의 예복을 물려주었다. 1605년 10월 23일, 셀림은 36세의 나이로 무굴 제국의 황제가 되었고, '''누르 웃 딘 무함마드 자한기르'''라는 이름을 취했다.
즉위 직후, 자한기르는 악바르가 자신을 후계자로 삼으려 했다는 이유로 반기를 든 아들 미르자 호스로의 반란에 맞서야 했다. 자한기르는 호스로와 그의 삼촌이자 최대 지지자인 만 싱을 회유하려 했으나, 호스로는 펀자브로 도망쳤다. 시크교의 구루 아르준이 호스로를 축복한 것은 자한기르와 시크교, 무굴 제국과 시크교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38] 자한기르의 치세는 악바르와 마찬가지로 종교적 관용을 보였으나, 시크교는 예외였다.[136] 호스로는 라호르를 약탈했으나, 바이로왈에서 패배하고 젤룸 강을 건너려다 생포되었다. 《자한기르나마》에 따르면, 호스로는 손발이 묶인 채 칭기스 칸의 법에 따라 자한기르에게 인도되었고, 울면서 떨고 서 있었다.[137]
자한기르는 왕자를 감금하고 추종자들을 잔혹하게 처벌하려 했으나,[138] 측근들의 반대로 호스로의 눈을 멀게 하는 선에서 그쳤다. 곧 자한기르는 의사들에게 호스로를 치료하라 명했지만, 풀어주지는 않았다. 1622년, 동생 후람(후의 샤 자한 1세)의 보호를 받던 호스로는 사망했는데, 이 죽음의 배후에 후람이 있다는 의혹이 있다.
4. 즉위와 통치
1605년 10월 23일, 36세의 나이로 무굴 제국의 황제에 즉위한 자한기르는 '누르 웃 딘 무함마드 자한기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14] 즉위 직후, 자신의 이름 살림이 오스만 제국의 황제 셀림 1세와 셀림 2세와 같다는 것을 알고, “세계의 지배자”를 의미하는 “자한기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19]
자한기르는 "정의의 사슬"로 유명했다. 그의 회고록 『자한기르나마』에 따르면, 정의를 원하는 백성은 누구든 이 사슬을 통해 황제에게 직접 호소할 수 있었다.[54] 또한 공중 보건과 의학에도 관심을 가져, 제국 전역의 모든 도시에 무료 병원을 설립하고 의사를 임명하도록 명령했다.[62]
즉위 초, 자한기르는 아들 미르자 호스로의 반란에 직면했다.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시크교의 5대 구루 아르준이 호스로를 지원했다는 이유로 처형당했다.[70][71] 이는 무굴 제국과 시크교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자한기르는 아버지 아크바르의 정책을 계승하여 소 도살과 일주일 중 특정 요일에 동물 도살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62] 그는 자신의 초상화가 새겨진 '자한기르 동전'을 발행하고, 점성술에 대한 믿음 때문에 황도대 기호가 새겨진 황금과 은화 시리즈를 발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동전들은 율법 학자들에 의해 금지되었기 때문에, 후계자인 샤 자한이 모두 녹이도록 명령했다.[73][74]
자한기르의 치세는 아버지 아크바르의 치세를 계승했기 때문에 제국은 번영을 누렸고, 문화도 번성했다. 그는 자서전 「투즈크-이-자한기리」를 저술했다.
4. 1. 종교 정책
M. 아타르 알리에 따르면, 자한기르는 일반적으로 아크바르의 종교 정책을 계승했으며 범신론에 큰 관심을 가졌다.[63]즉위 초기에 많은 강경한 수니파 무슬림들은 자한기르가 아버지보다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희망을 가졌다. 자한기르는 아버지의 정책을 계승하여 소 도살과 일주일 중 특정 요일에 동물 도살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그는 힌두교도들이 자신의 사법 대표를 갖도록 카슈미르의 스리칸트를 힌두교도들의 카지(qazi)로 임명했다.[62] 그는 또한 브라만과 사원을 후원하는 아버지의 정책을 계속했다. 특히 그는 브린다반(Vrindavan)에 있는 사원을 위해 차이타냐 숭배자들에게 여러 차례 기증을 했지만, 그들의 사원에 대해 부정적인 언급을 하기도 했다. 그는 아버지처럼 윤회와 우상 숭배를 못마땅하게 여겨 푸슈카르(Pushkar)에 있는 라나 샹카르 사원에서 멧돼지 형상을 제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가장 악명 높은 사건은 자한기르의 명령으로 시크교의 구루 아르잔 데브(Guru Arjan Dev)를 처형한 것이다. 자한기르가 그가 쿠스라우의 반란을 도왔다고 의심하여 그의 토지는 몰수되었고 그의 아들들은 투옥되었다.[70] 자한기르가 시크교도가 무엇인지 이해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며, 구루 아르잔을 "자신의 방식과 태도로 많은 순진한 힌두교도들과 심지어 무지하고 어리석은 이슬람 추종자들까지 사로잡았다…3세대 또는 4세대(영적 계승자) 동안 이 상점을 따뜻하게 해왔다"라고 언급한 힌두교도로 언급했다. 구루 아르잔의 처형 원인은 자한기르의 반역적인 아들 쿠스라우 미르자(Khusrau Mirza)를 지지했기 때문이지만, 자한기르 자신의 회고록에서 그가 그 이전부터 구루 아르잔을 싫어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 허황된 일을 멈추거나 그를 이슬람 사람들의 집회에 데려오라는 생각이 여러 번 떠올랐다." [71]
리처드 M. 이튼(Richard M. Eaton)에 따르면, 자한기르 황제는 귀족들에게 어느 누구의 종교도 강제로 개종시키지 말라고 경고하는 많은 칙령을 발표했지만, 이러한 명령의 발행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어느 정도 그러한 개종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 그는 무굴 제국의 전통인 엄격한 세속주의적 관점을 계속 유지했다. 안정, 충성심, 수입이 주된 초점이었지, 신민들의 종교적 변화는 아니었다.[75]
4. 2. 외교 및 군사 활동
자한기르는 사파비 왕조, 우즈베크, 오스만 제국 등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특히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관계는 주목할 만한데, 자한기르는 영국 대사 토마스 로를 통해 동인도 회사에 무역 특권을 부여했다. 이는 훗날 인도 아대륙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83]군사적으로는 메와르 왕국과의 오랜 분쟁을 종식시키고 라자스탄 지역을 제국의 지배하에 편입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자한기르는 즉위 직후 메와르 왕국에 군대를 파견했지만 실패했고, 1608년과 1609년에 다시 원정군을 보냈다. 이 원정은 황제의 셋째 아들 후람이 이끌었는데, 세 번째 원정에서 성공을 거두었다.[122] 프라탑 싱의 아들 아말 싱은 제국에 복속했고, 자한기르는 칫토르가르 성을 파괴된 채로 돌려주는 조건으로 메와르 왕국의 반독립을 인정했다.[123] 이후 메와르 왕국은 제국의 충실한 동맹국이 되었다.[123]
데칸 지역에서는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재상 말릭 암바르의 저항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말릭 암바르는 무굴 제국군을 공격하여 아흐마드나가르와 베라르 등 악바르가 정복했던 영토 대부분을 탈환했다.[124] 1616년 자한기르는 후람을 데칸에 파견했고, 1617년 말릭 암바르와 영토 분할 협정을 맺었다. 후람은 아흐마드나가르 성을 받고 1500000INR의 배상금을 얻었다.[124] 그러나 1620년 말릭 암바르는 협정을 깨고 다시 전쟁을 벌였고, 1626년 그가 죽을 때까지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옛 영토 대부분을 회복했다.[124]
칸다하르 지역에서는 사파비 왕조의 압바스 1세에게 영토를 빼앗기기도 했다. 1607년 압바스 1세는 칸다하르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1620년 이후 다시 칸다하르를 점령하려 했고, 1621년 칸다하르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125] 자한기르는 칸다하르를 탈환하려 했으나, 재위 기간 동안에는 성공하지 못했다.[126]
하지만 칸다하르를 둘러싼 분쟁을 제외하면 무굴 제국과 사파비 왕조의 관계는 매우 우호적이었다. 자한기르는 압바스 1세로부터 많은 선물을 받았고, 무굴 궁정 화가 아불 하산이 그린 미니어처에는 두 사람이 포옹하는 그림도 있다. 그러나 자한기르와 압바스 1세는 실제로 만난 적이 없다.[125]
5. 문화적 업적
자한기르나마에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난 사건, 그가 만난 동식물에 대한 묘사, 그리고 일상생활의 다른 측면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우스타드 만수르와 같은 궁정 화가들에게 그의 생생한 산문에 어울리는 세밀한 그림을 그리도록 의뢰했다.[77] 예를 들어, 1619년에 그는 이란 통치자로부터 궁궐로 보내진 왕실 매의 아름다움에 감탄하여 글을 썼고, 그 매가 죽은 후 우스타드 만수르에게 초상화를 그리라고 명령했다.[78] 자한기르는 그가 의뢰한 많은 예술 작품들을 수백 점의 이미지가 담긴 정교한 앨범에 묶어 전시했는데, 때로는 동물학과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하기도 했다.[80]
자한기르는 그림을 보고 화가를 식별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언급했다.
자한기르는 예술에 대한 그의 감식안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그는 또한 아크바르 황제 시대의 그림들을 보존했다. 그의 통치하에 만들어진 그림들은 미적 가치 외에도 꼼꼼하게 목록화되고, 날짜가 기록되고, 심지어 서명까지 되어 있어, 학자들에게 많은 작품들이 언제 어떤 맥락에서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상당히 정확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밀로 클리블랜드 비치는 자한기르가 상당히 안정적인 정치적 통제하에 통치했고, "황제의 현재 열정에 대한 반응으로" 그의 회고록에 실을 예술 작품을 만들도록 예술가들에게 명령할 기회를 가졌다고 설명한다.[81] 그는 그의 부와 여유로운 시간을 이용하여 무굴 제국이 포함하는 무성한 자연 세계를 상세히 기록했다. 때때로 그는 이 목적으로 예술가들을 데리고 다녔는데, 자한기르가 라히마바드에 있었을 때, 그는 특히 아름답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사살한 특정 호랑이의 모습을 포착하기 위해 화가들을 대기시켰다.[82]
예수회 선교사들은 여러 권의 책, 판화, 그림을 가지고 왔고, 아크바르가 그것들에 대해 기뻐하는 것을 보고, 더 많은 것을 보내 무굴 제국에 주었다. 그들은 무굴 제국이 "개종 직전"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임이 판명되었다. 대신 아크바르와 자한기르는 이 작품들을 매우 자세히 연구하고 복제하고 각색하여, 초기의 상징적 특징과 후기의 회화적 사실주의를 채택했는데, 이는 르네상스 미술의 특징이었다. 자한기르는 그의 궁정 화가들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으로 유명했다.
자한기르는 유럽 양식을 채택하는 데 있어서도 혁명적이었다. 런던의 영국 박물관에 있는 한 소장품에는 자한기르 시대의 인도 초상화 74점이 포함되어 있는데, 황제 자신의 초상화도 포함되어 있다. 이 초상화들은 자한기르 통치 시대의 독특한 예술 작품의 예이다. 이 그림들은 머리뿐만 아니라 어깨까지 포함하여 얼굴이 완전히 그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83]
페르시아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무굴 제국 황제들은 무예뿐 아니라 문화·예술 보호에도 힘쓰는 군주를 이상으로 삼았다. 자한기르 역시 문화 보호에 힘썼으며, 특히 회화에 열정적이었다.
아버지 아크바르와 마찬가지로 출신과 신앙을 불문하고 다양한 화가들을 초청하여, 그들에 의해 힌두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융합된 매우 정교한 무굴 미니어처가 탄생했다. 이 무굴 세밀화는 서양 미술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우르두어를 사용한 문예 활동도 이 무렵부터 궁정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역대 많은 무굴 황제들은 문인이었기 때문에, 후대에는 자신도 우르두어 시를 제작하는 황제도 등장했다.
6. 개인적인 삶과 권력 투쟁
자한기르의 가계는 바부르 가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자한기르는 "정의의 사슬"로 유명했는데, 이는 금으로 된 방울이 달린 금사슬이었다. 그의 회고록 『자한기르왕조실록(Tuzk-e-Jahangiri)』에 따르면, 이 사슬은 정의를 거부당한 백성들이 황제에게 직접 호소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54]
자한기르는 공중 보건과 의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즉위 후 그는 술과 마약의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고, 제국 전역에 무료 병원을 설립하고 의사를 임명하는 명령을 내렸다.[62]
M. 아타르 알리(M. Athar Ali)에 따르면, 자한기르는 대체로 아버지 아크바르 대제의 종교 정책을 계승했으며 범신론에 관심을 가졌다.[63] 즉위 초기에는 강경한 수니파 무슬림들의 지지를 받기도 했으나, 아버지의 종교적 관용 정책을 이어갔다. 비록 아흐마드 시르힌디(Ahmad Sirhindi)와 같은 종교 지도자들의 영향을 받아 힌두교도에 대한 관용 정책을 바꾸려 했으나, 요하난 프리드만(Yohanan Friedmann)에 따르면, 아흐마드 시르힌디의 청교도적 사상은 아우랑제브(Aurangzeb) 황제의 종교적 정통성에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68][69]
자한기르는 소 도살과 특정 요일의 동물 도살을 금지하고, 힌두교도들이 사법 대표를 갖도록 카슈미르에 힌두교도 카지(qazi)를 임명했다.[70] 브린다반(Vrindavan)의 사원을 후원하기도 했지만, 윤회와 우상 숭배를 못마땅하게 여겨 푸슈카르(Pushkar)의 사원에서 멧돼지 형상을 제거하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가장 악명 높은 사건은 자한기르의 명령으로 시크교의 구루 아르잔 데브(Guru Arjan Dev)를 처형한 것이다. 자한기르는 그가 자신의 아들 쿠스라우 미르자(Khusrau Mirza)의 반란을 도왔다고 의심하여 처형했다.[70] 자한기르는 회고록에서 자이나교 승려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 곧 해제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그는 자신의 초상화와 황도대 기호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동전들은 율법 학자들에 의해 금지되었고, 그의 후계자 샤 자한에 의해 모두 녹여져 현재는 매우 희귀하다.[73][74]
리처드 M. 이튼(Richard M. Eaton)에 따르면, 자한기르는 귀족들에게 강제 개종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 이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어느 정도 강제 개종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75]
6. 1. 가족 관계
자한기르는 누르 자한을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기록된 부인만 30명에 달했다.[106] 누르 자한은 자한기르의 가장 총애받는 부인이자 정치적 동반자였다. 누르 자한은 뛰어난 지성과 미모를 바탕으로 자한기르의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때로는 권력 투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97][98]자한기르의 아들과 딸들은 다음과 같다.
출생일 | 이름 | 어머니 |
---|---|---|
1587년 8월 16일 | 쿠스라우 미르자 | 샤 베굼 (암베르의 라자 바그완트 다스의 딸)[36] |
1589년 10월 31일 | 파르비즈 미르자 | 사히브 자말 베굼 (크와자 하산의 딸)[40][41] |
1592년 1월 5일 | 무함마드 쿠람 | 빌키스 마카니 (마르와르의 라자 우다이 싱의 딸)[39] |
약 1605년 | 자한다르 미르자 | 첩 |
1605년 1월 16일 | 샤흐리야르 미르자 | 첩 |
1586년 4월 25일 | 술탄운니사 베굼 | 샤 베굼 (암베르의 라자 바그완트 다스의 딸)[36] |
1589년 4월 6일 | 이파트 바누 베굼 | 말리카 시카르 베굼 (카슈가르의 사이다 칸 자가타이의 딸)[37] |
1589년 12월 24일 | 다울라툰니사 베굼 | 라자 다리아 말바스의 딸[38] |
1590년 10월 9일 | 바하르 바누 베굼 | 메르타의 케샤브 다스의 카람시 바이거[39] |
1590년 10월 9일 | 베굼 술탄 베굼 | 빌키스 마카니 (마르와르의 라자 우다이 싱의 딸)[39] |
1591년 1월 21일 | 딸 | 사히브 자말 베굼 (크와자 하산의 딸)[40] |
1594년 10월 14일 | 딸 | 사히브 자말 베굼 (크와자 하산의 딸)[41] |
1595년 1월 | 딸 | 압둘라 칸 발루치의 딸[42] |
1595년 8월 28일 | 딸 | 누룬니사 베굼 (이브라힘 후세인 미르자의 딸)[43] |
1597년 9월 23일 | 루자툰니사 베굼 | 빌키스 마카니 (마르와르의 라자 우다이 싱의 딸)[44] |
이 외에도 기록에 따라 6명에서 7명[106]의 딸이 더 있었다고 전해진다.
6. 2. 누르 자한의 전횡과 황위 계승 전쟁
1610년경부터 자한기르는 병을 앓기 시작했고, 무굴 제국의 국정은 재상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와 황후 누르 자한, 그리고 그녀의 동생 아사프 칸에게 장악되었다.[127]1612년, 재상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가 사망하자 황후 누르 자한이 사실상 황제처럼 행동하기 시작했고, 그녀의 전횡이 두드러졌다. 자한기르는 그녀를 중용하여 황제의 칙령에도 그녀의 이름을 기재했고, 그녀의 이름을 새긴 화폐를 주조하게 했다.[121] 이처럼 제국의 국정이 혼란스러워지자 자한기르의 장남 후스로, 차남 파르비즈, 삼남 훌람, 사남 샤흐리야르 사이에서 황위 계승을 둘러싼 다툼이 발생했다.
1619년, 누르 자한은 전 남편 셰르 아프간 칸(1605년 사망)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을 샤흐리야르에게 시집보냈고, 다른 황자들은 자신의 계승권이 위태롭다고 생각하여 궁정에 긴장이 감돌았다.[127]
1620년,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장군 말릭 암바르가 제국에 전쟁을 일으키자 훌람에게 그 진압이 명령되었지만, 그는 눈먼 형 후스로를 넘겨주지 않으면 데칸으로 출전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결국 훌람은 후스로를 데리고 데칸으로 출전하여 1621년 전투에서 승리한 후 1622년 1월에 후스로를 살해했다.
하지만 1622년, 사파비 왕조가 칸다하르를 점령하자 샤흐리야르에게 그 탈환 명령이 내려졌고, 동시에 훌람의 영지 일부가 그에게 주어지게 되었다.[127]
훌람은 이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제국이 파견한 장군 마하바트 칸의 군대에 패배하고 데칸에 머무르도록 요구받았다. 그 사이 1626년 10월 18일에 파르비즈가 사망하여 황위 계승자는 훌람과 샤흐리야르 두 사람이 되었다.
7. 죽음과 유산
1627년 10월 28일, 자한기르는 카슈미르에서 라호르로 가던 중 사망했다.[106] 이후 후람과 샤흐리아르 사이에 후계 다툼이 벌어졌다. 아사프 칸은 후람을 지지하며 누르 자한을 가두고, 후스로의 아들 다왈 바흐슈를 허수아비 황제로 내세워 샤흐리아르 군대를 물리치고 그를 체포했다.[128] 데칸에 있던 후람은 이 소식을 듣고 아사프 칸에게 다른 황족들을 체포하라 명하고 아그라로 돌아왔다. 1628년 1월 23일, 후람은 샤흐리아르, 다왈 바흐슈 등 다섯 명을 델리에서 처형했다. 이튿날인 1월 24일, 후람은 "샤 자한"이라는 칭호를 쓰며 2월 14일 아그라에서 황제위에 올랐다.[129]
한편, 누르 자한은 연간 20만인도 루피의 연금을 받으며 라호르에서 여생을 보내다 1645년 12월 12일에 사망했다.[130]
7. 1. 유산에 대한 현대적 평가 (중도진보적 관점)
자한기르는 무굴 제국의 황제로서, 종교적 관용과 예술 후원 정책을 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알리(M. Athar Ali)에 따르면, 자한기르는 대체로 아크바르의 종교 정책을 이어받았고 범신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63] 그는 소 도살과 특정 요일의 동물 도살을 금지하고, 힌두교도들이 자체적인 사법 대표를 가질 수 있도록 카슈미르의 스리칸트(Srikant)를 힌두교도들의 카지(qazi)로 임명했다.[65] 또한 브린다반(Vrindavan)의 사원을 위해 차이타냐 숭배자들에게 여러 차례 기증하기도 했다.[65]그러나 자한기르의 통치에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그의 명령으로 시크교의 구루 아르잔 데브(Guru Arjan Dev)가 처형된 사건은 종교적 관용 정책의 한계를 보여준다.[70] 자한기르는 쿠스라우 미르자(Khusrau Mirza)의 반란을 도왔다는 이유로 구루 아르잔을 처형했지만,[70] 그의 회고록에는 이전부터 구루 아르잔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는 내용이 나타나 있다.[71]
리처드 M. 이튼(Richard M. Eaton)에 따르면, 자한기르는 귀족들에게 강제 개종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 이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어느 정도 강제 개종이 있었음을 시사한다.[75] 그는 무굴 제국의 전통인 엄격한 세속주의적 관점을 유지하며 안정, 충성심, 수입을 중시했고, 신민들의 종교적 변화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75]
예술과 건축에 대한 자한기르의 관심은 그의 자서전인 자한기르나마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궁정 화가들에게 세밀한 그림을 그리도록 의뢰했으며, 특히 우스타드 만수르는 자한기르의 생생한 묘사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렸다.[77] 자한기르는 자신의 그림 감식안에 대해 자부심을 가졌으며, 그림을 보고 화가를 식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자한기르는 무능하고 무력한 통치자로 여겨지기도 한다.[84] 동양학자 헨리 베버리지는 자한기르를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에 비유하며, 그가 통치자로서의 자질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88] 존 F. 리차드스는 자한기르가 와인과 아편 중독으로 인해 나태한 생활을 했다고 지적했다.[89]
참조
[1]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
[2]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Washington, D. C.: Freer Gallery of Art,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Mughal Documents
Manohar
[4]
서적
Mughal Administration
M. C. Sarkar
[5]
서적
Early travels in India, 1583-1619
AMS Press
[6]
서적
Twelver Shiism: Unity and Diversity in the Life of Islam 632 to 1722
Edinburgh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Mughal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Jahangir {{!}} Ruler, Biography, Administration, & Achievements
https://www.britanni[...]
2023-07-08
[10]
웹사이트
Jahāngīr
https://www.britanni[...]
2018-06-02
[11]
서적
Journal of Historical Research
https://books.google[...]
[12]
서적
Botanical Culture of Mughal India
https://books.google[...]
Partridge
2018-07-27
[13]
서적
The Tūzuk-i-Jahangīrī Or Memoirs Of Jahāngīr
http://persian.packh[...]
Royal Asiatic Society
1909–1914
[14]
서적
Gulshan-I-Ibrahimi
[15]
서적
Akbar
https://archive.org/[...]
Vikas Publishing House
[16]
서적
References In The Press To The Visit Of Their Royal Highnesses, The Prince And Princess Of Wales To India, 1905-06
http://archive.org/d[...]
[17]
서적
The history of Aryan rule in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Akbar
http://archive.org/d[...]
New York, Frederick A. Stokes company
[18]
서적
A Handbook to Agra and the Taj Sikandra, Fatehpur-Sikri and the Neighbourhood.
http://archive.org/d[...]
Longmans, Green & Co, London
[19]
서적
The empire of the great Mughals: history, art and culture
Reaktion Books
[20]
서적
The 9th edition of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Studies of Islamic culture in the Indian Environment
Clarendon Press
[22]
서적
[23]
서적
Tabaqat-i-Akbari
[24]
서적
Emperors of the Peacock Throne: The Saga of the Great Mughal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5]
서적
The Tūzuk-i-Jahāngīrī or Memoirs of Jahāngīr, Volume 2
Royal Asiatic Society, London
[26]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History of India: From 1206 to 1773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28]
서적
Architecture of Mughal In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9-24
[29]
서적
Mughal Glory
Konark Publishers Pvt Ltd
[30]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https://archive.org/[...]
Washington, D. C.: Freer Gallery of Art,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Dimensions of Indian Womanhood, Volume 3
[32]
서적
Mertiyo Rathors of Merta, Rajasthan Vol II
[33]
학술지
The Bundela Revolts During the Mughal Period: A Dynastic Affair
[34]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https://archive.org/[...]
Freer Gallery of Art,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Shah-Jahan: The Rise and Fall of the Mughal Emperor
[36]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I
[37]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I
[38]
서적
Akbarnama
ASIATIC SOCIETY OF BENGAL
[39]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I
[40]
서적
Akbarnama Vol. III
[41]
서적
Akbarnama Vol. III
[42]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I
[43]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I
[44]
서적
Akbarnama Of Abul Fazl; Volume III
[45]
서적
History of the Afghans in India, A.D. 1545-1631
https://books.google[...]
Pakistan Publishing House
2023-10-04
[4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ization of Portuguese Historiography
https://www.brown.ed[...]
2017-10-23
[47]
서적
Bangladesh and Pakistan Flirting with Failu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Gaurav Book Center
2023-03-19
[48]
Banglapedia
[49]
서적
400 years of Dhaka
Ittyadi
[50]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51]
서적
Islamic Concept of Crime and Justice: Political justice and crime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22-10-10
[52]
서적
Sir Thomas Herbert, Bart: Travels in Africa, Persia, and Asia the Great: Some Years Travels Into Africa and Asia the Great, Especially Describing the Famous Empires of Persia and Hindustan, as Also Divers Other Kingdoms in the Oriental Indies, 1627-30, the 1677 Version
https://books.google[...]
ACMRS (Arizona Center for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53]
서적
From Plassey to Partition: A History of Modern India
Orient Blackswan
[54]
웹사이트
Emperor Jahangir at the Jharoka window, AKM136, The Aga Khan Museum
http://agakhanmuseum[...]
2023-04-04
[55]
서적
The Anarchy: The Relentless Rise of the East India Company
Bloomsbury
2019
[56]
서적
The Embassy of Sir Thomas Roe to the Court of the Great Mughal
https://archive.org/[...]
Humphrey Milford
1899
[57]
서적
Empress - The astonishing reign of Nur Jahan
W. W. Norton & Company
[58]
서적
Nur Jahan: Empress of Mugh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59]
서적
Mughal-Ottoman Relations A Study of Political &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ughal India and the Ottoman Empire, 1556-1748
https://books.google[...]
Idarah-i Adabiyat-i Delli
2024-03-09
[60]
서적
The Cambridge Shorter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Empress - The Astonishing Reign of Nur Jahan
W. W. Norton & Company
[62]
학술지
Jahangir's interest in public health and medicine
1995
[63]
학술지
The Religious World of Jahangir
[64]
서적
History of India and Pakistan: pt. 1. Great Mughals
https://books.google[...]
Ferozsons
2023-03-19
[65]
학술지
7. Letters of Sheikh Ahmad. (A New Source of Historical Study) [1563—1624 A. D.]
1946
[66]
학술지
The Political Role of Shaikh Ahmad Sirhindi and Shah Waliullah
1960
[67]
서적
The Mughal Empire Part 1, Volume 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04
[68]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03-06
[69]
학술지
Effects of social reforms of shaykh Ahmad sirhindi (1564-1624) on muslim society in the sub continent
https://philpapers.o[...]
University of Karachi
2024-03-09
[70]
서적
A Brief History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71]
서적
The Story of Islamic Imperialism in India
[72]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800-1700)
Orient Blackswan
[73]
잡지
Why did Mughal emperor Jahangir issue these rare and singular astrology-themed coins?
https://scroll.in/ma[...]
2022-09-13
[74]
웹사이트
The COININDIA Coin Galleries: Jahangir
https://coinindia.co[...]
[75]
뉴스
'We will never know the number of temples desecrated through India's history': Richard Eaton
http://scroll.in/art[...]
2015-11-20
[76]
웹사이트
India and the World as Viewed from a Pillar of Ashoka Maurya
https://guftugu.in/2[...]
2018-06-13
[77]
서적
Mughal and Rajput Pa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https://archive.org/[...]
Freer Gallery of Art, Arthur M. Sackler Gallery in Association with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Nur Jahan: Empress of Mugh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03-25
[80]
서적
Mughal and Rajput Pa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https://archive.org/[...]
Freer Gallery of Art, Arthur M. Sackler Gallery in Association with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Mughal Painter of Flora and Fauna: Ustād Manṣūr
Abhinav Publications
[83]
서적
The Carpet at the Window: a European Motif in the Mughal Jharokha Portrait
Mapin Publishing
2013
[84]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 III, Bk. 2: A Century of Advance, South As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85]
서적
The Mughal Padshah: A Jesuit Treatise on Emperor Jahangir's Court and Household
Brill
2015
[86]
서적
The empire of the Great Mughals: history, art and culture
https://archive.org/[...]
Sang-E-Meel Pub.
2005
[87]
서적
Voyages in World History, Volume 1 to 1600
Cengage Learning
2013
[88]
서적
Tuzuk-i-Jahangiri
https://indiancultur[...]
Royal Asiatic Society, London
[89]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ndia: Mughal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90]
서적
On & Behind the Indian Cinema
Diamond Pocket Books Pvt Ltd
2014
[91]
서적
Houseful The Golden Years of Hindi Cinema
Om Books International
2012
[92]
뉴스
'Anarkali' screened at Mandwa
https://www.thenews.[...]
2016-05-08
[93]
뉴스
Mughal-E-Azam: Lesser known facts
http://timesofindia.[...]
[94]
뉴스
Anarkali 1966
http://www.thehindu.[...]
2010-05-31
[95]
잡지
Model Milind Soman to play Salim in serial Noorjahan on DD1
http://indiatoday.in[...]
1999-09-27
[96]
뉴스
Sudhanshu Pandey replaces Karanvir Sharma in Siyaasat
http://timesofindia.[...]
2015-03-20
[97]
서적
Twentieth wife: a novel
https://archive.org/[...]
Washington Square Press
[98]
서적
The Feast of Roses: A Novel
Simon and Schuster
[99]
서적
Ruler of the World
Hachette UK
[100]
서적
The Tainted Throne
Hachette UK
[101]
서적
Nur Jahan's Daughter
Rupa & Co.
[102]
서적
Beloved Empress Mumtaz Mahal: A Historical Novel
Roli Books
[103]
서적
Nurjahan: A Historical Novel
Writers Workshop
[104]
서적
Taj, a Story of Mughal India
Penguin
[105]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06]
웹사이트
Delhi 5
http://www.royalark.[...]
[107]
서적
イスラームの歴史2
[108]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09]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10]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11]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12]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13]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14]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15]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16]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17]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18]
서적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_インドの歴史
創土社
[119]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20]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21]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22]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23]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24]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25]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26]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27]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28]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29]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30]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31]
서적
인도사 108장면
민족사
[132]
웹사이트
Jahāngir
http://www.iranicaon[...]
2008-12-15
[133]
서적
이슬람 세계의 정원문화
누리에
2003-11-30
[134]
서적
인도사 108장면
민족사
[135]
서적
Muslim Rule In India
https://archive.org/[...]
[136]
서적
A History of India
[137]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3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2A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