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의 행정 구역은 고려 시대의 지방 통치 체제를 나타낸다. 고려 초에는 8목과 십도 체제가 운영되었으며, 8목은 주요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목사가 파견되었다. 십도는 당나라 제도를 참고하여 지리적 조건을 고려하여 설치되었으며, 안찰사가 파견되어 감찰 기능을 수행했다. 고려 중기에는 5도 양계 체제가 확립되어 전국을 5도와 양계로 나누었고, 양계에는 병마사가 파견되어 군사 및 행정을 담당했다. 3경은 도참사상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개경, 서경, 동경, 남경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운영되었다. 4도호부는 군사적 성격으로 시작하여 일반 행정 구역으로 변화하였으며, 안동도호부, 안서도호부, 안남도호부, 안북도호부, 안변도호부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95년 설치 - 포천군
    포천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2003년 포천시로 승격되면서 폐지되었다.
  • 고려의 행정 구역 - 경상도
    경상도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신라, 가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낙동강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으로, 부산, 대구, 울산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영남'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고려의 행정 구역 - 전라도
    전라도는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황해, 동중국해와 접하고 소백산맥을 경계로 경상도와 닿아 있으며, 마한의 일부였다가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018년에 처음 '전라도'라는 명칭이 등장했고, 1896년에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리되었으며, 금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등의 하천이 흐르고 서남 방언을 사용하며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이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이다.
  • 1413년 폐지 - 장성군
    장성군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 고시이현에서 갑성군을 거쳐 장성현으로, 이후 장성도호부를 거쳐 현재의 장성군이 되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사이에 위치하고 백양사, 필암서원, 장성호 등의 관광지가 있다.
  • 1413년 폐지 - 가평군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가평군은 북한강 유역의 청평호, 남이섬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등의 관광 명소,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등으로 유명하며,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관광 산업 중심의 1읍 5면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고려의 행정 구역
개요
국가고려
존속 기간918년 ~ 1392년 (474년)
수도서경 (918년 ~ 10세기)
개경 (10세기 ~ 1392년)
강도 (1232년 ~ 1270년)
언어한국어
한문
종교불교 (국교)
도교
유교
통화고려통보, 활구, 저화
정치
정치 체제전제군주제
국왕역대 국왕 목록 참고
역사
주요 사건918년: 고려 건국
936년: 후삼국 통일
993년 ~ 1019년: 거란의 침입
1126년: 이자겸의 난
1135년: 묘청의 난
1170년: 정중부의 난
1170년 ~ 1270년: 무신정권
1232년 ~ 1270년: 몽골의 침입
1270년: 개경 환도
1388년: 위화도 회군
1392년: 조선 건국으로 멸망
행정 구역
지방 행정 구역5도 양계
5도경기
경상도
전라도
교주도
서해도
양계북계
동계
기타
이전후삼국 시대
이후조선

2. 고려 초기 (태조 ~ 성종)

고려 건국 초기에는 신라의 제도를 바탕으로 지방 행정 구역을 정비하였다.

2. 1. 8목

성종 2년(983년) 양주, 해주, 광주, 충주, 청주, 공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승주, 황주에 12목이 설치되었으며,[2] 현종 때 광주, 충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황주의 8목으로 정비되었다.[3]

2. 2. 십도

당나라의 제도를 채용한 십도(十道)는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개편한 지방 행정 제도로, 지리적 조건을 고려해 설치하였다.[4] 감찰 기능을 주로 하는 외직이라는 설이 있지만, 통념상으로 행정 구역 도에서 행정 책임자는 안찰사이다.[5]

십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설명예종 원년(1106년) 이후 변화
관내도양주(楊州), 광주(廣州), 황주(黃州), 해주(海州) 등 지금의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양주, 광주 등은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에 합병, 황주, 해주 등은 서해도
중원도충주(忠州), 청주(淸州) 등 지금의 충청북도 및 경기도 남부 일대.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에 합병
하남도공주(公州), 운주(運州) 등 지금의 충청남도 일대.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에 합병
영남도상주(尙州) 등 지금의 경상북도 북부 및 충청북도 일부.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에 합병
영동도경주(慶州), 금주(金州)가 관할하던 지금의 경상북도 남동부 및 경상남도 동부.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에 합병
산남도진주(晉州)가 관할하던 지금의 경상남도 대부분.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에 합병
강남도전주(全州), 영주(瀛州), 순주(淳州), 마주(馬州) 등 지금의 전라북도 일대 및 충청남도 일부.현종 9년(1018년)에 전라주도(全羅州道)에 합병
해양도나주(羅州), 광주(光州), 정주(靜州), 승주(昇州), 패주(貝州), 담주(潭州), 낭주(朗州) 등 지금의 전라남도 일대.현종 9년(1018년)에 전라주도(全羅州道)에 합병
삭방도춘주(春州), 화주(和州), 명주(溟州) 등 지금의 강원도와 함경남도 일대.정종 2년(1036년)에 동계가 됨. 명종 8년(1178년)에 춘주(春州), 동주(東州), 교주(交州) 등이 춘주도가 되었다가, 동주도(東州道), 원종 4년(1263년)에 교주도
패서도서경(西京) 등 지금의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후에 북계로 개칭


3. 고려 중기 (현종 ~)

현종 때 5도 양계 체제가 확립되면서 고려의 지방 행정 구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6][7]

3. 1. 5도 양계

현종 때 전국을 5도(道)[6]와 양계(兩界)[7]로 나누는 지방 행정 구역 체제가 확립되었다. 양계는 병마사(兵馬使)를 두어 군권과 민정을 맡겼으며, 당시 혼란스러웠던 북방 지역을 통제하였다. 양계는 지금의 평안도 지방인 북계(北界)[8]와 함경도 지방인 동계(東界)를 합쳐 부르는 말이며, 북계를 서북면, 동계를 동북면이라고도 불렀다.

  • 도(道): 상설 행정 기관이 없는 일반 행정 단위로서 안찰사가 파견되어 도내의 지방을 순찰하였다.
  • 계(界): 북방 국경 지대에 설치된 북계와 동계를 가리키며, 이를 합해 양계라 불렀다. 병마사를 파견하였다.

3. 2. 3경

고려 삼경(三京)은 도참사상에 따라 창건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그 구성이 변하였다.[9]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경우를 삼경으로 칭한다.

# 중경·서경·남경

# 중경·서경·동경

# 서경·남경·동경

도선기중국어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 고려 땅에 삼경이 있는데 송악(宋岳)이 중경이 되고 목멱양(木覓壤)은 남경이 되며, 평양이 서경이 되어 왕이 11·12·1·2월에는 중경에 거하고, 3·4·5·6월에는 남경에 머물고, 7·8·9·10월에는 서경에 머물면 36국(國)이 조공(朝貢)하리라.

고려의 경(京)은 왕경(王京)인 개경(開京)과 태조 때 설치된 서경(西京: 평양)을 포함했다. 987년(성종 6) 경주를 동경(東京)으로 개칭하여 중경, 서경과 함께 삼경 체제를 갖추었다. 현종 때 동경의 격을 낮춰 경주라 하고 동경유수(東京留守)를 폐지했다가 다시 설치하였다. 1067년(문종 21) 양주(楊州. 한양을 의미.)에 남경을 설치하여 실제로는 사경(四京)이 되었으나, 동경은 자주 폐지되어 풍수설에 포함되지 못하고 중요성을 잃어 사경 대신 삼경으로 불렸다.

남경 설치 이전의 삼경은 중경(中京. 개경(開京)을 의미), 서경(西京), 동경(東京)이었다. 남경 설치 후에는 왕이 순행하던 삼경은 중경, 서경, 남경이며, 왕경인 개경을 제외한 삼경은 서경, 동경, 남경을 의미한다.[10]

1254년 충주목이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곧 다시 충주목으로 격하되었다. 1269년 서경이 원나라에 넘어가 동녕부가 되었다가 1290년에 반환되어 다시 설치되었다. 1308년 동경은 계림부(鷄林府)로, 남경은 한양부(漢陽府)로 개편되었다. 1369년 서경에 만호부가 설치되었다가 후에 평양부(平壤府)로 바뀌면서 경(京) 제도는 완전히 사라졌다.

3. 3. 4도호부

고려 초기에 지방 통제를 위해 설치된 군사적 성격의 행정 기관이었으나, 점차 일반적인 행정 구역으로 변화하였다. 보통 4도호부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5도호부가 있었다.

  • 안동도호부(安東): 995년(고려 성종 14년) 김주(金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1012년(고려 현종 3년) 상주로 옮겨 대도호부가 되었고, 1014년(고려 현종 5년) 경주로 옮겨졌다. 1030년 길주(吉州)로 옮기면서 안동부가 되었다. 1197년(고려 명종 27년) 안동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204년(고려 신종 7년) 대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308년(고려 충렬왕 34년) 복주목(福州牧)이 되었다가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다시 안동대도호부가 되어 조선시대까지 이어졌고, 현재의 안동시가 되었다.
  • 안서도호부(安西): 995년(고려 성종 14년) 풍주에 처음 설치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해주로 옮겨졌고, 1122년(고려 예종 17년) 대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247년(고려 고종 34년) 해주목(海州牧)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 안남도호부(安南): 후백제 멸망 직후 수도였던 전주에 처음 설치되었다가 940년(고려 태조 23년) 폐지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년) 낭주(朗州)에 다시 설치되었고, 1018년(고려 현종 9년) 전주로 옮겨졌다가 1022년(고려 현종 13년) 폐지되었다. 1150년(고려 의종 4년) 수주(樹州)에 다시 설치되었고, 1215년(고려 고종 2년) 계양도호부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308년(고려 충렬왕 34년) 길주목(吉州牧)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 안북도호부(安北): 941년(고려 태조 14년) 팽원군(彭原郡)에 안북부(安北府)를 설치한 것이 시초이다. 983년(고려 성종 2년) 영주(寧州)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가 되었다. 1256년(고려 고종 43년) 원나라의 공격을 받고 창린도로 피신했다가 다시 돌아왔다. 1369년(고려 공민왕 18년) 안주만호부(安州萬戶府)가 되었다가 안주목(安州牧)이 되어 조선시대로 이어졌고, 현재의 안주시가 되었다.
  • 안변도호부(安邊): 995년(고려 성종 14년) 화주(和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등주(登州)로 옮겨졌다가, 원나라의 공격을 받고 양주(襄州)로 옮겨졌다가 다시 간성(杆城)으로 옮겨졌고, 1298년(고려 충렬왕 24년) 원래 위치로 돌아와 조선시대로 이어졌고, 현재의 안변군이 되었다.

참조

[1] 웹인용 역사자료 > 합천의 역사와 문화 > 고려시대의 합천 https://www.hc.go.kr[...] 합천박물관 2019-06-27
[2] 문서 고려사 지리지에는 절도사(節度使)라고 되어있다.
[3] 문서 일반적으로 8목으로 알려져있고 고려사 지리지 서문에도 8목이라고 기록되어있는데, 현종이 행정 구역을 개편한 1018년 당시 전주는 안남도호부였다. 따라서 정확히는 7목이다.
[4] 웹인용 십도(十道)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5] 웹인용 지방행정제도(地方行政制度)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6] 문서 양광도·경상도·전라도·교주도·서해도
[7] 문서 동계·북계
[8] 문서 뒤에 흔히 ‘서계’라고도 함
[9] 문서 길흉에 대한 신앙심
[10] 백과사전 삼경 http://preview.brita[...] 2007-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