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순창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순창군은 전라북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과거 마한 시대에는 오산, 백제 시대에는 도실 등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 순창현으로 시작하여 충숙왕 때 순창군으로 승격되었고, 2024년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으로 개편되었다.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지맥에 위치하여 산지가 많지만, 섬진강 유역의 순창분지에는 비옥한 농지가 발달했다.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추장, 된장 등 발효식품과 농산물이 특산물이다. 교통은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로를 통해 편리하며, 강천사, 삼인대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창군 - 순창장류박물관
    순창장류박물관은 2007년 11월 1일에 개관하여 전시실, 수장고 등을 갖추고 무료로 운영되며, 매주 월요일과 특정일에 휴관한다.
  • 순창군 - 전북특별자치도산림박물관
    전북특별자치도산림박물관은 2002년 3월 25일에 개관하여 3월부터 10월까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관람 가능하며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에 휴관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무주군
    무주군은 전라북도 동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서쪽의 산지가 많은 군으로, 금강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신라의 무풍과 백제의 주계를 합쳐 지명이 유래되었고, 태권도원, 덕유산 국립공원 등의 관광지와 축제가 열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고창군
    고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서남단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고 고인돌 유적이 많으며, 선운사, 고창읍성, 서해안고속도로 등이 있으며, 고창 모양성 축제 등이 열리는 지역이다.
순창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순창군
한자 표기淳昌郡
로마자 표기Sunchang-gun
맥큔-라이샤워 표기Sunch'ang-gun
위치대한민국 호남 지방
행정 구역1 , 10
인구
총인구 (2024년 9월)26,803명
인구 밀도54명/km²
총인구 (2022년 3월)26,689명
총인구 (2023년)26,764명
남자 인구 (2023년)13,161명
여자 인구 (2023년)13,603명
세대수 (2021년)13,996
방언전라 방언
지리
면적495.75 km²
면적494.74 km²
면적495.94 km²
행정
국가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군수최영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박희승 (더불어민주당, 남원시·장수군·임실군·순창군)
군청 소재지순창읍 경천로 33 (순화리 315-4)
상징
군목느티나무
군화백일홍
군조까치
기타
홈페이지순창군청
이미지
신경준 유적지
대동산에서 바라본 순창읍 전경
경천교
순창 객사
순창군청
강천산에 있는 순창 삼인대
순창군 깃발
대한민국 내 위치
순창군 지도

2. 역사

순창군은 마한 시대에는 오산(烏山), 옥천(玉川)으로 불렸고, 백제 때에는 도실(道實)이라 불렀으며, 한때 오산(烏山)·옥천(玉川)이라 칭하였다. 남북국 시대에는 순화(淳化)라 했다. 고려 때에 순창현으로 남원부에 속하게 되었으며, 명종 5년(1135년) 감무를 두었고 충숙왕 1년(1314년)에 순창군으로 승격했다.[6][7]

1319년(충숙왕 1년) 순창 출신 승려 정고가 국사(國師)가 되는 영예를 얻으면서 현에서 군으로 승격되었다.


  • 1897년 - 하부 지역을 면으로 개칭하여 18면을 관할하였다.
  • 1914년 4월 1일 - 일제 강점기에 14면으로 개편하였다.[6][7]
  • 1917년 - 좌부면·우부면이 합쳐져 순창면이 발족하였다. (13면)
  • 1919년 - 금동면과 목과면을 금과면으로 합면하였다. (12면)[8][9]
  • 1935년 3월 1일 - 남원군 대산면 일부를 동계면에, 동계면 괴정리를 적성면에 편입하고, 구암면·무림면을 구림면으로 합면하였다.[8][9]
  • 1979년 5월 1일 순창면이 순창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0면)[10]
  •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으로 개편되었다.

3. 지리

전북특별자치도의 최남단 노령산맥의 동쪽 산간지대에 위치하는데 군의 동·서·북은 소백·노령 두 산맥의 지맥이 역내에 뻗어 산지의 기복이 많고 평지가 전반적으로 적다. 그러나 중앙부는 섬진강이 흘러 유역 남부에는 비옥한 순창분지가 발달하였다. 거의 대부분이 반암지대이다.

3. 1. 기후

순창군은 남부 내륙에 위치하여 기온의 교차가 비교적 큰 편이다.[2][3] 2010년에는 연평균 기온이 12.4℃, 1월 평균 기온은 -2.2℃, 8월 평균 기온은 26.8℃, 연 강수량은 1,664.5mm였다.[2][3] 2015년에는 연평균 기온이 13.3℃, 1월 평균 기온은 0.3℃, 8월 평균 기온은 24.7℃, 연 강수량은 1,061.1mm였다.[2][3]

2009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을 살펴보면, 연평균 기온은 12.8℃, 1월 평균 기온은 -1.5℃, 8월 평균 기온은 26.0℃이다.[2][3] 연평균 강수량은 1473.3mm이며, 연평균 습도는 71.0%이다.[2][3]

4. 행정 구역

'''순창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창군의 면적은 495.96km2이며, 2016년 12월말 기준으로 13,819세대 30,314명(외국인 365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 35%가 순창읍에 거주한다. 1965년에는 인구가 105,529명이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순창군의 면적은 495.96km2이고, 11개 읍면 중 구림면이 83.51km2로 가장 넓고, 쌍치면 78.55km2, 복흥면 73.73km2, 동계면 57.09km2 순이다.

주요 지목별 면적 현황은 임야가 326.66km2로 전체 면적의 65.9%를 점유하고 있고, 다음으로 논(답) 72.82km2 (14.7%), 밭(전) 37.29km2 (7.5%) 순이다.

순창군 행정구역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2)
순창읍淳昌邑4,14410,35721.15
인계면仁溪面8461,73836.06
동계면東界面1,1542,33257.09
적성면赤城面7511,47132.69
유등면柳等面6561,33718.33
풍산면豊山面9761,90928.10
금과면金果面9551,82527.30
팔덕면八德面7871,63639.47
복흥면福興面1,1332,40573.73
쌍치면雙置面1,0922,28878.55
구림면龜林面1,3252,65183.51
순창군淳昌郡13,81929,949495.96



순창군은 남서쪽 노령산맥 산간지대에 위치하며, 1979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88올림픽고속도로와 24번 국도, 27번 국도 및 여러 지방도로가 모이는 호남 내륙 지방의 상업·교통 중심지이다. 산간지대이지만 비교적 농지가 넓고, 고추의 명산지이다. 명승고적으로는 삼인대, 귀래정, 대모산성, 건천, 답포치, 강천사 등이 있다.

5. 산업

경지 면적은 전체 면적의 약 24%이고 임야가 67%를 차지한다. 주산업은 농업으로서 특히 순창 분지는 비옥하여 답작이 성하며, 미맥 외에 면화·담배 등이 많이 생산된다. 특히 이곳의 고추는 유명하다. 또한 죽세공품과 모시·면포·삼베·종이 등의 가내 공업이 비교적 성하다. 그리고 별미인 고추장과 아름다운 자수도 특산물로 유명하다. 광산물로는 구리·금 등이 있다.

순창은 고추장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이다. 순창고추장이 등장하는 문헌은 조선시대 어의 이시필(1657년~1724년)의 《소문사설》에 순창고추장의 제조법이 최초로 기록돼 있다.

1740년 영조 때 이표가 쓴 《수문사설》의 〈순창 고추장 조법〉에는 곡창 지대인 순창 지방의 유명한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전복, 큰 새우(대하), 홍합, 생강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고 기록되어 있다.[11]

그 외에도 한과·자수·오이·매실·팽이버섯·느타리버섯·감식초·배·동외정과·한봉·자미·김치·밥호박·고추 등이 유명하다. 최근에는 순창군 자체의 블루베리 상표가 생겨 순창 블루베리가 특산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된장, 고추장도 유명하다.

5. 1. 특산물

순창은 고추장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이다. 순창고추장이 등장하는 문헌은 조선시대 어의 이시필(1657년~1724년)의 《소문사설》에 순창고추장의 제조법이 최초로 기록돼 있다.

1740년 영조 때 이표가 쓴 《수문사설》의 〈순창 고추장 조법〉에는 곡창 지대인 순창 지방의 유명한 고추장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전복, 큰 새우(대하), 홍합, 생강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고 기록되어 있다.[11]

그 외에도 한과·자수·오이·매실·팽이버섯·느타리버섯·감식초·배·동외정과·한봉·자미·김치·밥호박·고추 등이 유명하다. 최근에는 순창군 자체의 블루베리 상표가 생겨 순창 블루베리가 특산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된장, 고추장도 유명하다.

6. 교통

순창군은 27번 국도가 남북으로, 24번 국도가 동서로 통과하며, 광주대구고속도로가 순창읍을 지나고 순창IC가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이를 통해 농산물 집산과 관광객 방문이 용이하며, 관광객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까운 광역 대도시인 광주광역시로의 교통이 편리하여 인구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순창시외버스터미널에 정차하고 있는 동광고속 시외버스와 농어촌버스의 모습.


철도역은 없지만, 가까운 남원시의 남원역을 이용할 수 있다. 27번 국도를 이용하면 전주시로, 24번 국도를 이용하면 서쪽으로 광주광역시와 담양군, 동쪽으로 남원시와 연결된다.

광주-대구 고속도로의 순창 나들목이 있다. 서울과 순창 버스터미널(순창읍)을 잇는 고속버스가 하루에 수 편 운행된다. 인근 시·군과의 노선 중에서는 동쪽의 남원시와 서쪽의 전라남도 담양군을 경유하여 광주광역시로 가는 노선이 비교적 많다. 시외버스는 순창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한다.

7. 관광

순창고추장축제 민속마을


순창군은 전통 발효 콩 제품 산업 활성화와 전통 고추장 주요 생산지로서의 명성을 유지하고 전통적인 생산 방식을 계승하기 위해 순창 전통 고추장 민속마을을 조성하였다. 1997년 개장한 이 마을은 3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순창군은 아미산 기슭 순창읍 백산리에 전국의 고추장 명인들을 모아 마을을 조성하고 관광지로 만들었다.

현대 과학 기술이 입증한 위생 기준과 명인들의 맛과 재료에 대한 비법이 결합되어 전통 고추장의 독창적이고 전통적인 맛을 생산해낸다.

  • 위치: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민속마을길
  • 마을 규모: 84,404 m2, 54가구 (42개 업체 운영)
  • 사업 기간: 1994년–1997년 (4년)
  • 사업비: 152억 원 (중앙정부 9억 원, 도 14억 원, 군 48억 원, 민간 81억 원)
  • 주요 시설: 콩 제품 연구소, 콩 제품 박물관, 콩 제품 체험장, 영상 홍보관,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순창 분원, 향토 음식점 등
  • 생산품 목록: 전통 고추장, 된장, 간장, 청국장, 장아찌 등

순창 삼인대


강천사 오층석탑


귀래정


순창 객사

  • '''순화리 삼층석탑'''

순화리 삼층석탑은 유형문화재 제26호이며, 순창읍 순화리 514-2에 있다. 순화리 삼층석탑은 현재의 순창여자중학교 본관 건물과 숙직실 사이에 위치해 있다. 고려시대의 전 옥천사(玉川寺) 경내에 건립되었던 것이라 하는데 확실한 근거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석탑 가까이에서 지금도 기와 파편과 그릇 파편들이 발견되고 있어 이 부근에 큰 사찰이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탑은 화강암으로 조성한 3층인데 탑의 기단부 지대석은 서북쪽의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땅에 묻혀 있다.

  • '''객사'''

객사는 유형문화재 제48호 지정되어 있으며, 순창읍 순화리 313에 있다. 순창초등학교 교문에서 약 50m쯤 떨어진 운동장과의 사이에 있다. 본 객사의 창건 연대는 1759년 7월 (조선 영조 35년)에 건축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이곳에는 정당(正堂), 동대청(東大廳), 서대청(西大廳)이 있었으며, 전면에 중문(中門)과 외문(外門), 그리고 옆에 무곽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 남아 있을 뿐이다.건물은 원래 정면 13칸, 측면 2칸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지붕은 팔자솟을지붕이었으나, 서대청이 없어진 뒤 동대청만이 팔작지붕으로 남아 있고, 정당 3칸 서쪽은 맞배지붕 형태로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주초석(柱礎石)은 장대석 또는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포작(包作)의 형태로 보아 익공(翼工)집이면서도 외목도리를 하여 처마를 길게 밖으로 빼낸 것이 특징이다.

  • '''강천사'''

강천사(剛泉寺)는 신라 51대 진성여왕 원년(887년)에 풍수지리설을 한반도에 최초로 소개한 도선국사가 보광전, 첨성각 등 사찰을 창건하였으며 그 후 고려 27대 충숙왕 3년(1316년)에 덕현선사가 오층석탑을 세우고 중창하여 사찰이 크게 번성하였으나 임진왜란(1596년) 때 사찰 건물과 연대암 등 12암자가 소실되었다. 선조 37년(1604년)에 소요대사가 다시 사찰을 재건하였으나 그 뒤 6·25 전쟁으로 1950년 12월 완전 소실되었으며 현 건물은 1959년 김장엽 스님이 대웅전, 관음전을 복원하였고 1978년 이경모 스님이 선방과 보광전을 건축하였으며 현재 김재덕 스님이 요사채와 객사를 복원하였다. 강천사의 원명은 복천사(福川寺, 福泉寺)라 하였으며 또한 산세가 용이 꼬리를 치며 승천할 형상이라 하여 용천사(龍泉寺)라고도 하였다. 강천사라는 이름은 선조 때 학자 귀봉 송익필이 이곳에 유숙하며 〈강천사에서 묵다(宿 剛泉寺)〉라는 제목으로 시를 지었으며 이때부터 강천사로 불리었다고 한다. 영조 36년(1760년) 경진판 《옥천군지》에 의하면 불전이 3개소, 승방이 12개소이며, 명적암, 용대암, 왕주암, 지적암 등 강천사에 속한 암자가 12개소, 500여 수도승이 기거한 대거찰이었다.

  • '''강천사 오층석탑'''

강천사 오층석탑은 유형문화재 제92호로 팔덕면 청계 996번지에 있다. 강천사 다보탑(多寶塔)은 현재 강천사 대웅전 바로 앞 뜰에 위치해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 오층탑은 고려 충숙왕 3년에 덕현선사가 강천사를 중창할 때 세운 것이라 한다. 그런데 6·25전쟁 때 강천사의 전체 건물이 소실되어 이 탑도 화를 입어 도괴되었는데 그 후 1959년 당시의 주지 김장엽 스님이 강천사를 다시 세울 때 탑도 다시 세웠다. 높이는 2.5m이고 오층탑으로 되어 있는데 현재 2, 3, 4층의 옥개석이 6·25 당시의 총탄에 의해 일부가 파손되었다. 주변에는 파손된 석등의 중대석과 보주가 일부 남아 있으며 당간지주 4기와 가공된 석재들이 몇 개 흩어져 있다.

  • 내장산국립공원 - 내장산
  • 강천산군립공원
  • '''축제'''

순창의 가장 크고 중요한 축제는 순창의 발효 콩 제품을 세계화하고, 한국 최초의 특화 발효 콩 제품 지역으로 지정하여 순창을 이 산업의 메카로 널리 알리기 위해 개최되었다. 이 축제는 순창 고추장의 브랜드 명성을 높이고 국내외에서 그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다. 방문객들이 한국 고추장, 된장, 간장, 그리고 콩으로 만든 기타 전통 재료와 발효식품의 기원을 볼 수 있는 축제이다.

7. 1. 축제

순창의 가장 크고 중요한 축제는 순창의 발효 콩 제품을 세계화하고, 한국 최초의 특화 발효 콩 제품 지역으로 지정하여 순창을 이 산업의 메카로 널리 알리기 위해 개최되었다. 이 축제는 순창 고추장의 브랜드 명성을 높이고 국내외에서 그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다. 방문객들이 한국 고추장, 된장, 간장, 그리고 콩으로 만든 기타 전통 재료와 발효식품의 기원을 볼 수 있는 축제이다.

8. 자매 도시

순창군은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먼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상남도 창녕군, 부산광역시 사상구,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9. 기타

국내 최초의 공립 학원인 옥천인재숙 (玉川人才宿)이 순창군 순창읍 복실리에 있다. 옥천인재숙으로 인해 순창군은 칠곡군처럼 인구가 매년 늘고 있으며 주택난을 겪는 농촌이 되었다.

10.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년도만 제공되므로 1월 1일로 설정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3]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기타 # 구체적인 type을 지정할 수 없음
[7] 기타 # 구체적인 type을 지정할 수 없음
[8] 법령 부령 제6호 1935-01-26
[9] 법령 도령 제1호 1935-01-30
[10] 법령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1] 웹인용 고추장의 역사와 유래 http://www.eculture.[...] 이컬처 2010-06-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